KR200490930Y1 - 방수 신발 표면 구조. - Google Patents
방수 신발 표면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930Y1 KR200490930Y1 KR2020180003107U KR20180003107U KR200490930Y1 KR 200490930 Y1 KR200490930 Y1 KR 200490930Y1 KR 2020180003107 U KR2020180003107 U KR 2020180003107U KR 20180003107 U KR20180003107 U KR 20180003107U KR 200490930 Y1 KR200490930 Y1 KR 2004909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waterproof
- hole
- face
- hemispherical conve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표면에 방수 라이너 부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장착 할 때 통기성과 방수성 기능을 얻을 수 있는 방수 신발 표면 구조를 제공한다. 방수 신발 표면 구조는, 밑창(11), 신발 면체(12) 및 방수 라이너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신발 면체(12)가 상기 밑창(11)의 위쪽 가장자리 면에 압착되어 신발체(10)가 성형된다. 상기 신발 면체(12)에는 상기 방수 라이너부(13)가 설치된다. 상기 방수 라이너 부 (13)에는, 복수의 방수 반구체 볼록부(13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 반구체 볼록부(131)는, 정면(頂面) 중심부의 고소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형성된 작은 구멍 직경을 갖는 관통공(132)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신발 면체 (12)에 설치된다. 상기 신발 면체(12)의 내부에는, 연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방수 신발 표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 표면에 방수 라이너 부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설치할 때 통기성과 방수 기능을 얻을 수 있는 방수 신발 표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방수 신발 면은, 통기 방수 신발 면(60)이 있고, 그 밑창의 양쪽에는 여러 구멍(611)을 갖는 커버 층(61)과, 복수의 통기공(621)을 갖는 내부 바닥 층(62)이 밀착된다.
커버층(61)과 내부 바닥층(62)사이에는 복수 개의 통기 채널(63)이 형성되고, 신발 체내의 따뜻하고 습한 기체가 복수의 통기공(621) 통기 채널(63) 및 천공(611)을 통해 신발체에서 배출되므로 신발체는 통풍, 환기 및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 방수 신발 표면의 커버층(61)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611)과 커버층(61)표면이 수평 표면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데다, 내부 바닥층(62)에 내부 통기 채널을 형성하여 도수 경로로 이용하고, 커버층(61)의 외부에 형성된 천공(611)에서 배출시키기 때문에, 다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신발면의 부피 및 무게가 늘어나 수율은 낮았다.
커버층(61)과 내부 바닥층(62)사이에는 복수 개의 통기 채널(63)이 형성되고, 신발 체내의 따뜻하고 습한 기체가 복수의 통기공(621) 통기 채널(63) 및 천공(611)을 통해 신발체에서 배출되므로 신발체는 통풍, 환기 및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 방수 신발 표면의 커버층(61)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611)과 커버층(61)표면이 수평 표면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데다, 내부 바닥층(62)에 내부 통기 채널을 형성하여 도수 경로로 이용하고, 커버층(61)의 외부에 형성된 천공(611)에서 배출시키기 때문에, 다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신발면의 부피 및 무게가 늘어나 수율은 낮았다.
선행기술로는 특허 등록 번호 10-1502558 "방수성 및 투습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얻어지는 신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신발 표면에 방수 라이너부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설치할 때 통기성과 방수 기능을 얻을 수 있는 방수 신발 표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발바닥, 신발 면체 및 방수 라이너 부를 구비 한 방수 신발 표면 구조이며, 상기 신발면체가 상기 밑창의 위쪽 가장자리면에 압착되어 신발체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면체에는, 상기 방수 라이너부가 설치되고, 상기 방수 라이너부에는 복수의 방수 반구체 볼록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 반구 체 볼록부는, 정면 (頂面) 중심의 고소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형성된 작은 구멍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을 갖는 동시에, 상기 신발 면체에 설치되고, 상기 신발 면체 내부에는, 연통하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신발 면체 내부 장착 공간에는, 상기 신발 면체의 상기 통풍구 및 상기 방수 라이너부의 상기 반구체 볼록부의 수직 관통공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고, 상기 신발체가 뒤틀려지게 되면, 상기 신발 면체의 상기 방수 라이너 부분이 외부의 압력을 받고 가압되어 신발내의 공기가 상기 반구체 볼록부의 상기 관통공에서 밀려나서, 수축할 때,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흡입되고, 상기 신발 면체의 상기 반구형 볼록부의 상기 환기 관통공에 공기 교환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안이 통기성을 가져 신었을 때의 쾌적한 감촉이 되며, 상기 방수 라이너부의 상기 반구체 볼록부 사이의 경사면 의해,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흘러 떨어져, 물방울이 상기 반구체 볼록부의 상기 수직 관통 구멍 위에 떨어질때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에 흘러 떨어져, 상기 관통공에 침입 할 수 없기 때문에, 방수성, 통기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신발 표면 구조이다.
본 고안의 방수 신발 표면 구조는, 신발 표면에 방수 라이너부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설치 한 때 통기성과 방수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의 방수 라이너 부분이 빗물에 젖어 모세관 현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를 갖는 신발을 신고 사용할 때, 방수 라이너 부에 기체가 유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방수 라이너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방수 라이너 부분의 응용 예 (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방수 라이너 부분의 응용 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기존의 방수 신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신발 체내의 따뜻하고 습한 기체가 공기 채널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의 방수 라이너 부분이 빗물에 젖어 모세관 현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를 갖는 신발을 신고 사용할 때, 방수 라이너 부에 기체가 유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방수 라이너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방수 라이너 부분의 응용 예 (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방수 라이너 부분의 응용 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기존의 방수 신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신발 체내의 따뜻하고 습한 기체가 공기 채널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도 2를 참고한다. 도 1 및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수 신발 표면 구조는 적어도 밑창(11), 신발 면체(12) 및 방수 라이너부(13)로 구성되어있다.
신발 면체(12)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며, 착용구(着用口)를 가진 입체 신발 모양의 판면에 형성되어, 밑창(11)의 위쪽 가장자리 면에 압착되어서 신발체(10)가 성형되어. 사용자는 착용구에 발을 넣어 착용 할 수 있다.
신발 면체(12) 신발 표면의 적당한 곳에는 방수 라이너부(13)가 설치되어있다. 방수 라이너부(13)는 복수의 방수 반구체 볼록부(13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경사면이 구비된다.
반구체 볼록부(131)는, 다양한 형태로 조형 되고, 표면이 정면(頂面) 중심부의 고소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적당한 작은 구멍 직경을 갖는 수직 관통공(132)가 형성되고, 신발 면체(12)에 천공되며, 신발 면체(12) 외부 반구체 볼록부(131)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신발 면체(12)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 통기공(121)이 형성된다.
신발 면체(12) 내부 장착 공간에는, 방수 라이너부(13)의 반구체 볼록 부(131)의 관통 공(1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착 할 때, 높은 통기성에 의해 높은 편안함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반구체 볼록부 (131)사이의 경사면에 의해,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흘러 떨어져, 물방울이 반구체 볼록부(131)의 관통공(132)에 낙하할 때 모세관 현상 (즉 응집력, 표면 장력과 접착력이 서로 작용하는 결과)이 발생하여, 액체와 고체가 접촉될 때, 액체의 표면 분자와 고체의 표면 분자에는, 서로 흡인하는 접착력이 발생하고 이 부착력 이 액체의 응축력 보다 큰 경우, 액체는 고체 표면에 살포 된 물방울의 표면 장력에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에 흘러 떨어져, 관통공(132)내에 침입 하는 일이 없다 (도 3 참고).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방수 신발 표면은 방수성. 통기성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신발을 신고 걸으면, 도 4에 보이는바와 같이, 신발 면체(12)가 걷는 발걸음에 따라 교대로 움직여, 그 신발 면체(12) 앞쪽에 마련된 방수 라이너부(13)가 신발 면체(12)에 연동되어, 외부의 압력을 받고 가압되면, 신발 내부의 공기가 반구체 볼록부(131)의 관통공(132)에서 밀려나, 수축할 때 신발 면체 (12)의 압력이 방출되어 회복됨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흡입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걸으면, 자연히 신발 면체(12)의 반구체 볼록부(131)에 형성된 수직 관통 공(132)에 공기가 유통하는 통기공(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내의 통기성이 있어, 신었을 때 쾌적한 감촉을 느끼게 된다.
상술한 신발체(10), 밑창(11), 신발 면체(12) 및 방수 라이너부(13)는, EVA 재료로 일체사출 성형되어도 좋다.
도 5를 참고한다. 도 5 에서와같이 상술 한 신발체(10)의 '밑창(11'), 신발 면체의 방수 라이너부(13')의 반구체 볼록부(131')가 갖는 관통공(132')이 조형되는 입체 반구 면체(예를 들면, 육각형, 원뿔형, 타원형, 삼각추 형 등의 각종 형상)는,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반구체 볼록부(131)는 표면이 상면의 고소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적당한 크기의 세공경(細孔徑)의 수직 관통공(132')이 신발 면체(12')에 형성되고, 신발 면체(12')외부의 반구체 볼록부(131)의 수직 관통공(132‘)및 신발 면체(12')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통기공(121')이 형성되고, 신발 면체(12')내부의 장착 공간에 의해, 방수 라이너부(13')의 반구체 볼록부(131')의 수직 관통공(13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통하기 때문에, 신발의내부가 통기를 가져서 신는 느낌이 편안해 진다.또한,
상술한 방수 라이너부(13)은',헬멧(30)의 헬멧 본체(31)상에 직접 일체 성형 되고 (도 6 참고), 헬멧 본체(31) 상의 방수 라이너부(32)에는, 복수의 반구체 볼록부(321)가 마련된다.
반구체 볼록부(321)은 헬멧 본체(31)에 일체화되어, 방수성. 통기성 기능을 갖는 복수의 수직 통기공(322)이 형성되고, 헬멧 본체(31) 내부의 장착 공간 내에는, 방수 라이너부(32)의 반구체 볼록부(321)의 통기공(32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고, 사용자가 장착하면, 주행 중의 풍속과 기류에 의해 발생한 대류가 헬멧 본체(31)의 내외에 발생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높아져서 편안하게 되어, 기존의 헬멧을 썼을 때의 답답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비가 올때도 반구체 볼록부(321) 사이에 고저경사면을 이용하여 비가 자연히 떨어져 방수 라이너부(42)에는 복수의 반구형 볼록부(421)가 설치되고 반구체 볼록부(321)표면에 살포된 물방울이 모세관 현상을 발생하고 통기공(322)내에 침투하지 않고 빗물이 자연히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므로 방수 헬멧은 방수성,통기성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방수 라이너부(42)는, 비옷(40)의 등 부분(41) 설치되고,(도7 참고) 반구형 볼록부(421)의 통기공(422)가 비옷의 등 부분(41)에 형성되고, 방수성. 통기성을 갖는 통기공(422)의 방수 라이너부(42)가 형성되며, 장착하는 내부 장착 공간 내는, 방수 라이너부(42)의 반구형 볼록부(421)의 통기공(42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통되어, 사용자가 장착하면, 주행 중에 풍속 및 기류가 대류 하여 비옷의 등 부분(41)의 내외를 흐르기 때문에, 통기성이 높아져 쾌적성을 향상하기 때문에, 기존에, 장착했을 때 느낀 답답함을 개선 할 수가 있다.
또한, 비가 온 경우에는 반구형 볼록부(421) 사이의 고저경사면에 의해,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반구형 볼록부(421)의 표면에 살포 된 물방울의 표면 장력에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통기공(422)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흘러 내려, 비옷은 방수성. 통기성 기능을 얻을 수가 있다.
신발 면체(12)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며, 착용구(着用口)를 가진 입체 신발 모양의 판면에 형성되어, 밑창(11)의 위쪽 가장자리 면에 압착되어서 신발체(10)가 성형되어. 사용자는 착용구에 발을 넣어 착용 할 수 있다.
신발 면체(12) 신발 표면의 적당한 곳에는 방수 라이너부(13)가 설치되어있다. 방수 라이너부(13)는 복수의 방수 반구체 볼록부(131)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경사면이 구비된다.
반구체 볼록부(131)는, 다양한 형태로 조형 되고, 표면이 정면(頂面) 중심부의 고소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적당한 작은 구멍 직경을 갖는 수직 관통공(132)가 형성되고, 신발 면체(12)에 천공되며, 신발 면체(12) 외부 반구체 볼록부(131)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신발 면체(12)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 통기공(121)이 형성된다.
신발 면체(12) 내부 장착 공간에는, 방수 라이너부(13)의 반구체 볼록 부(131)의 관통 공(1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착 할 때, 높은 통기성에 의해 높은 편안함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반구체 볼록부 (131)사이의 경사면에 의해,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흘러 떨어져, 물방울이 반구체 볼록부(131)의 관통공(132)에 낙하할 때 모세관 현상 (즉 응집력, 표면 장력과 접착력이 서로 작용하는 결과)이 발생하여, 액체와 고체가 접촉될 때, 액체의 표면 분자와 고체의 표면 분자에는, 서로 흡인하는 접착력이 발생하고 이 부착력 이 액체의 응축력 보다 큰 경우, 액체는 고체 표면에 살포 된 물방울의 표면 장력에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에 흘러 떨어져, 관통공(132)내에 침입 하는 일이 없다 (도 3 참고).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방수 신발 표면은 방수성. 통기성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신발을 신고 걸으면, 도 4에 보이는바와 같이, 신발 면체(12)가 걷는 발걸음에 따라 교대로 움직여, 그 신발 면체(12) 앞쪽에 마련된 방수 라이너부(13)가 신발 면체(12)에 연동되어, 외부의 압력을 받고 가압되면, 신발 내부의 공기가 반구체 볼록부(131)의 관통공(132)에서 밀려나, 수축할 때 신발 면체 (12)의 압력이 방출되어 회복됨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흡입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걸으면, 자연히 신발 면체(12)의 반구체 볼록부(131)에 형성된 수직 관통 공(132)에 공기가 유통하는 통기공(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내의 통기성이 있어, 신었을 때 쾌적한 감촉을 느끼게 된다.
상술한 신발체(10), 밑창(11), 신발 면체(12) 및 방수 라이너부(13)는, EVA 재료로 일체사출 성형되어도 좋다.
도 5를 참고한다. 도 5 에서와같이 상술 한 신발체(10)의 '밑창(11'), 신발 면체의 방수 라이너부(13')의 반구체 볼록부(131')가 갖는 관통공(132')이 조형되는 입체 반구 면체(예를 들면, 육각형, 원뿔형, 타원형, 삼각추 형 등의 각종 형상)는,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반구체 볼록부(131)는 표면이 상면의 고소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적당한 크기의 세공경(細孔徑)의 수직 관통공(132')이 신발 면체(12')에 형성되고, 신발 면체(12')외부의 반구체 볼록부(131)의 수직 관통공(132‘)및 신발 면체(12')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통기공(121')이 형성되고, 신발 면체(12')내부의 장착 공간에 의해, 방수 라이너부(13')의 반구체 볼록부(131')의 수직 관통공(13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통하기 때문에, 신발의내부가 통기를 가져서 신는 느낌이 편안해 진다.또한,
상술한 방수 라이너부(13)은',헬멧(30)의 헬멧 본체(31)상에 직접 일체 성형 되고 (도 6 참고), 헬멧 본체(31) 상의 방수 라이너부(32)에는, 복수의 반구체 볼록부(321)가 마련된다.
반구체 볼록부(321)은 헬멧 본체(31)에 일체화되어, 방수성. 통기성 기능을 갖는 복수의 수직 통기공(322)이 형성되고, 헬멧 본체(31) 내부의 장착 공간 내에는, 방수 라이너부(32)의 반구체 볼록부(321)의 통기공(32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고, 사용자가 장착하면, 주행 중의 풍속과 기류에 의해 발생한 대류가 헬멧 본체(31)의 내외에 발생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높아져서 편안하게 되어, 기존의 헬멧을 썼을 때의 답답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비가 올때도 반구체 볼록부(321) 사이에 고저경사면을 이용하여 비가 자연히 떨어져 방수 라이너부(42)에는 복수의 반구형 볼록부(421)가 설치되고 반구체 볼록부(321)표면에 살포된 물방울이 모세관 현상을 발생하고 통기공(322)내에 침투하지 않고 빗물이 자연히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므로 방수 헬멧은 방수성,통기성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방수 라이너부(42)는, 비옷(40)의 등 부분(41) 설치되고,(도7 참고) 반구형 볼록부(421)의 통기공(422)가 비옷의 등 부분(41)에 형성되고, 방수성. 통기성을 갖는 통기공(422)의 방수 라이너부(42)가 형성되며, 장착하는 내부 장착 공간 내는, 방수 라이너부(42)의 반구형 볼록부(421)의 통기공(42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통되어, 사용자가 장착하면, 주행 중에 풍속 및 기류가 대류 하여 비옷의 등 부분(41)의 내외를 흐르기 때문에, 통기성이 높아져 쾌적성을 향상하기 때문에, 기존에, 장착했을 때 느낀 답답함을 개선 할 수가 있다.
또한, 비가 온 경우에는 반구형 볼록부(421) 사이의 고저경사면에 의해,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반구형 볼록부(421)의 표면에 살포 된 물방울의 표면 장력에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통기공(422)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흘러 내려, 비옷은 방수성. 통기성 기능을 얻을 수가 있다.
10 신발체
11 밑창
12 신발 면체
13 방수 라이너부
30 헬멧
31 헬멧 본체
32 방수 라이너부
40 비옷
41 비옷의 등 부분
42 방수 라이너부
60 통기 방수 신발면
61 커버층
62 내저층
63 통기 채널
121 통기공
131 반구체 볼록부
132 관통공
321 반구체 볼록부
322 통기공
421 반구형 볼록부
422 통기공
611 천공
621 통기공
11 밑창
12 신발 면체
13 방수 라이너부
30 헬멧
31 헬멧 본체
32 방수 라이너부
40 비옷
41 비옷의 등 부분
42 방수 라이너부
60 통기 방수 신발면
61 커버층
62 내저층
63 통기 채널
121 통기공
131 반구체 볼록부
132 관통공
321 반구체 볼록부
322 통기공
421 반구형 볼록부
422 통기공
611 천공
621 통기공
Claims (5)
- 신발 밑창, 신발 면체 및 방수 라이너 부를 구비 한 방수 신발 표면 구조이며,
상기 신발 면체가 상기 밑창의 위쪽 가장자리 면에 압착되어 신발 체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 면체에는, 상기 방수 라이너 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라이너부에는, 복수의 방수 반구체 볼록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 반구체 볼록부는, 정면(頂面) 중심부의 높이 곳에서 아래로 향해 형성된 작은 구멍 직경을 갖는 관통 공을 갖는 동시에, 상기 신발 면체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 면체 내부에는, 연통하는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신발 면체 내부의 장착 공간에는, 상기 신발 면체의 상기 통기공 및 상기 방수 라이너부의 상기 반구 체 볼록부의 수직 관통 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통되어. 상기 신발체가 뒤 틀리지게 되면, 상기 신발 면체의 상기 방수 라이너 부분이 외부의 압력을 받고 가압되어 신발내의 공기가 상기 반구 체 볼록부의 상기 관통 공에서 밀려나, 수축 할 때,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흡입되어, 상기 신발 면체상의 상기 반구체 볼록부의 상기 통기 관통공에 기류를 교환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내의 통기성을 가져 신발을 신었을 때의 쾌적한 감촉을 가져오고, 상기 방수 라이너부의 상기 반구체 볼록부 사이의 높낮이 경사면을 통해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흘러내려, 물방울이 상기 반구 체 볼록부의 상기 수직 관통공 상에 떨어질 때에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고, 빗물이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흘러내려, 상기 관통공 내에 침입 할 수 없기 때문에, 방수성. 통기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신발 표면 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는, 정면(頂面)의 고소에서 아래쪽으로 향해 작은 구멍 직경을 갖는 상기 수직 관통공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신발 표면 구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3107U KR200490930Y1 (ko) | 2018-07-06 | 2018-07-06 | 방수 신발 표면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3107U KR200490930Y1 (ko) | 2018-07-06 | 2018-07-06 | 방수 신발 표면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114U KR20200000114U (ko) | 2020-01-15 |
KR200490930Y1 true KR200490930Y1 (ko) | 2020-02-11 |
Family
ID=6915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3107U KR200490930Y1 (ko) | 2018-07-06 | 2018-07-06 | 방수 신발 표면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93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58823B (zh) * | 2021-12-16 | 2024-06-11 | 广平喜多飞织科技有限公司 | 一种再生可降解环保科技鞋面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19423B2 (ja) | 1991-04-23 | 2001-10-15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タンク本体と座板とのろう付け方法 |
US20110162239A1 (en) | 2008-06-11 | 2011-07-07 | Christian Bier | Shoe Comprising A Ventilation In the Bottom Zone Of the Upper And Air-Permeable Spacing Structure Usable Therefor |
WO2016142897A1 (en) | 2015-03-10 | 2016-09-15 | Hawai Italia S.R.L. | Element for sho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88815A (ko) * | 2013-07-17 | 2013-08-08 | 배영진 | 신발의 통기구조 |
JP3219423U (ja) * | 2018-07-06 | 2018-12-27 | 徳晃有限公司 | 防水靴面構造 |
-
2018
- 2018-07-06 KR KR2020180003107U patent/KR20049093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19423B2 (ja) | 1991-04-23 | 2001-10-15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タンク本体と座板とのろう付け方法 |
US20110162239A1 (en) | 2008-06-11 | 2011-07-07 | Christian Bier | Shoe Comprising A Ventilation In the Bottom Zone Of the Upper And Air-Permeable Spacing Structure Usable Therefor |
WO2016142897A1 (en) | 2015-03-10 | 2016-09-15 | Hawai Italia S.R.L. | Element for sho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114U (ko) | 2020-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21313B (zh) | 用于为在运动中使用而设计的、具有可透气鞋底的鞋子的中底结构 | |
JP4139400B2 (ja) | 通気靴 | |
US9282782B2 (en) |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 |
KR101652569B1 (ko) | 신발용 갑피 조립체 및 갑피 조립체를 구비한 신발 | |
US20050241180A1 (en) | Sole for shoes including transpiration side valves formed by moulding | |
JP3182709U (ja) | 防水通気性靴底 | |
US7251907B1 (en) | Air ventilated shoes | |
CN104582520A (zh) | 可合模(分离、组装)饰边挤压带的鞋底 | |
KR200490930Y1 (ko) | 방수 신발 표면 구조. | |
US20200015542A1 (en) | Waterproof Shoe Structure | |
JP3219423U (ja) | 防水靴面構造 | |
JP4307514B1 (ja) | 通気性を有する靴底を備えた靴 | |
KR200248603Y1 (ko) | 신발창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 |
JP3112387U (ja) | 靴 | |
KR200469939Y1 (ko) | 피스톤 방식의 환기구조를 갖는 신발 | |
CN213428655U (zh) | 一种男鞋鞋底 | |
JPH10234414A (ja) | 通気靴 | |
KR102536938B1 (ko) | 통기성 신발 깔창 | |
JP4463585B2 (ja) | 通気性を改善した靴 | |
CN203575731U (zh) | 一种透气防水鞋 | |
KR20120106087A (ko) | 통풍 신발창 | |
KR20050099873A (ko) | 바닥면과 외주연부에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밑창 | |
EP2514330A1 (en) | A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 |
JP3134777U (ja) | 中敷と中底でエアボックスを形成する靴底構造 | |
KR200412709Y1 (ko) | 통풍구를 가지는 슬리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