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95Y1 - 주화롤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주화롤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95Y1
KR200490895Y1 KR2020190001839U KR20190001839U KR200490895Y1 KR 200490895 Y1 KR200490895 Y1 KR 200490895Y1 KR 2020190001839 U KR2020190001839 U KR 2020190001839U KR 20190001839 U KR20190001839 U KR 20190001839U KR 200490895 Y1 KR200490895 Y1 KR 200490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 roll
support protrusion
rol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관열
Original Assignee
손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관열 filed Critical 손관열
Priority to KR2020190001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화롤이 수용되는 보관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보관부의 내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주화롤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화롤 보관용기{STORAGE CONTAINER FOR COIN ROLL}
본 고안은 일정 단위로 주화가 묶음 포장된 주화롤을 보관할 수 있는 주화롤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화(coin)는 일정량의 금속을 일정한 모양으로 가공하여 각인한 금속화폐를 말한다. 대한민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주화로 10원, 50원, 100원, 500원 등이 있다.
주화의 입출금이 빈번한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서는 주화의 관리가 쉽도록 개별 주화를 종류별 일정 개수로 묶어 롤(ROLL) 형태의 주화묶음으로 포장할 수 있는 주화포장기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 주화포장기는 500원 40개, 100원 50개, 50원 50개, 10원 50개 등과 같이 주화를 주화롤로 포장한다. 주화롤은 개별 주화에 비해 계수가 편리하고 주화를 보관 관리하는데도 유리하다.
그런데 현재 주화롤을 보관할 수 있는 전용 보관 용기가 없기 때문에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서는 일반 바구니에 주화롤을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주화롤을 일반 바구니에 담아 관리하다 보니 주화롤을 관리하는 사람에 따라 바구니에 관리하는 주화롤의 개수가 다르고 주화롤의 배열 형태가 각기 다른 등 관리의 일관성이 없어 전체 주화롤의 파악과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은 물론 편의점, 마트, 자동판매기 업자, 셀프 세차장, 운수업종 등과 같이 주화의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업종에서 주화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화량을 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주화롤 보관용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 등록특허 제3998379호(1976.12.21. 등록)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포장된 주화롤을 일정 단위로 보관하여 주화량을 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등 보관 관리가 매우 편리한 주화롤 보관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주화롤이 수용되는 보관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보관부의 내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주화롤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는 주화롤이 삽입 가능한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주화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화롤의 외주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타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는 서로 다른 높이로 교차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는 주화롤의 반지름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중 최하단 지지돌기는 상기 보관부의 바닥면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타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중 최하단 지지돌기는 상기 일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보관부의 바닥면에서 주화롤이 삽입될 수 있는 거리만큼 떨어지고 일측면 최하단 지지돌기보다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또한, 상기 보관부의 세로 폭은 주화롤의 길이의 적어도 한배 이상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의 폭은 주화롤의 외주 폭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의 높이는 주화롤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적층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의 끝단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는 일체형 구조 또는 분할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는 서로 교차하는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에 의해 4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지고, 4개로 나누어진 보관부에 각기 다른 종류의 주화롤이 수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포장된 주화롤을 일정 단위로 보관하여 주화량을 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등 보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금융기관 뿐만 아니라 특성상 동전을 많이 다루어야 하는 자동판매기 업자, 셀프 세차장, 운수업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현재 주화롤을 보관할 수 있는 전용 보관 용기가 없기 때문에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에서는 일반 바구니에 주화롤을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주화롤을 일반 바구니에 담아 관리하다 보니 주화롤을 관리하는 사람에 따라 바구니에 관리하는 주화롤의 개수가 다르고 주화롤의 배열 형태가 각기 다른 등 관리의 일관성이 없어 전체 주화롤의 파악과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은행 등과 같은 금융기관은 물론 편의점, 마트, 자동판매기 업자, 셀프 세차장, 운수업종 등과 같이 주화의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업종에서 주화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화량을 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주화롤 보관용기 보관용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본체(10) 및 용기본체(10) 일측면(12)과 타측면(13)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10)는 보관부(11)를 포함한다. 보관부(11)에 주화(110)를 일정단위로 묶음 포장한 주화롤(100)을 일정 개수로 담을 수 있는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보관부(11)는 각 주화별 규격화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보관부(11)는 주화롤(100)이 수용되는 개수가 정해지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주화롤(100)을 담아 채우기만 하면 주화롤(100)의 개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화의 전체 금액을 쉽게 산출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보관부(11)는 세로 폭(W2)보다 가로 폭이 더 긴 장방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화롤(100)을 보관부(11)에 담을 때 주화롤(100)의 길이(L)를 보관부(11)의 세로 폭(W2)에 맞추어 담는다.
도 2에는 보관부(11)가 1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예컨대 보관부(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관부(11)의 중앙에 격벽을 형성하고 격벽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보관부(11)를 2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주화롤(100)의 길이(L)를 보관부(11)의 세로 폭(W2)에 맞추어 담기 때문에 2개의 주화롤(100)을 담을 수 있도록 보관부(11)의 세로 폭(W2)은 주화롤(100)의 길이(L)의 2배에 해당하는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부(11)에 적층되는 주화롤(100)의 적층 수에는 제한이 없다. 일예로서 보관부(11)의 높이(H)는 주화롤(100)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적층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3와 같이 보관부(11)에 주화롤(100)이 모두 채워지면 주화롤(100)이 보관부(11)에 4층으로 적층되고 각 층에 10개의 주화롤(100)이 배열되도록 보관부(11)의 가로 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층에 10개의 주화롤(100)이 배열될 경우 주화롤(100)의 수량 파악이 용이하다.
지지돌기는 보관부(11) 내부의 일측면(12)과 마주보는 타측면(13)의 양측으로 구비된다. 지지돌기는 보관부(11) 내부의 일측면(12)과 타측면(13)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지지돌기의 폭(W3)은 주화롤(100)의 외주 폭(W1)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지지돌기는 제1 지지돌기(121), 제2 지지돌기(122), 제3 지지돌기(133) 및 제4 지지돌기(13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는 도 3과 같이 제1 지지돌기(121)와 제2 지지돌기(122)는 일측면(12)의 하부에서 상부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3 지지돌기(133)와 제4 지지돌기(134)는 타측면(13)의 하부에서 상부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일예로서, 제1 지지돌기(121), 제2 지지돌기(122), 제3 지지돌기(133), 제4 지지돌기(134)는 하나의 일체형 구조이거나, 도 2와 같이 간격을 두고 2개로 분할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지지돌기(121)와 제2 지지돌기(122) 사이에 주화롤(100)이 삽입 가능한 삽입부(120)가 구비된다. 제1 지지돌기(121)는 일측면(12)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돌기로서 보관부(11)의 평면 바닥면(14)에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제2 지지돌기(122)는 제1 지지돌기(121) 위에 위치한다.
제1 지지돌기(121)와 제2 지지돌기(122)는 타측면(13)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1 지지돌기(121)의 끝단(121a)과 제2 지지돌기(122)의 끝단(122a)은 반원 등과 같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화롤(100)을 보관부(11)에 넣으면 주화롤(100)의 외주가 제1 지지돌기(121)의 끝단(121a) 곡면과 제2 지지돌기(122)의 끝단(122a) 곡면을 미끄러지면서 주화롤(100)이 보관부(11)의 바닥면(14)부터 채워진다. 보관부(11)의 바닥면(14)에 주화롤(100)이 다 채워지면 다음에 투입되는 주화롤(100)은 바닥면(14)에 채워진 주화롤(100) 위에 적층된다. 주화롤(100)은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적층된다.
한편, 제1 지지돌기(121)와 제2 지지돌기(122) 사이에 삽입부(120) 구비된다. 삽입부(120)는 주화롤(1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주화롤(100)의 외주 폭(W1)에 부합하는 폭으로 구비된다.
제1 지지돌기(121)는 대향하는 제3 지지돌기(133)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제2 지지돌기(122)는 대향하는 제3 지지돌기(133)와 제4 지지돌기(134) 사이에 위치한다.
타측면(13)에 구비되는 제3 지지돌기(133)와 제4 지지돌기(134) 사이에 삽입부(130)가 구비된다. 삽입부(130)는 주화롤(1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주화롤(100)의 외주 폭(W1)에 부합하는 폭으로 구비된다.
제3 지지돌기(133)는 타측면(13)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돌기로서 보관부(11)의 바닥면(14)에서 주화롤(100)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제1 지지돌기(121)의 높이보다 높이 위치한다.
제3 지지돌기(133)와 제4 지지돌기(134)는 일측면(12)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3 지지돌기(133)의 끝단(133a)과 제4 지지돌기(134)의 끝단(134a)은 반원 등과 같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화롤(100)을 보관부(11)에 넣으면 주화롤(100)의 외주가 제3 지지돌기(133)의 끝단(133a) 곡면과 제4 지지돌기(134)의 끝단(134a) 곡면을 미끄러지면서 주화롤(100)이 보관부(11)의 바닥면(14)부터 채워진다. 보관부(11)의 바닥면(14)에 주화롤(100)이 다 채워지면 다음에 투입되는 주화롤(100)은 바닥면(14)에 채워진 주화롤(100) 위에 적층된다. 주화롤(100)은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적층된다.
타측면(13)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3 지지돌기(133)는 대향하는 제1 지지돌기(121)와 제2 지지돌기(122) 사이에 위치한다. 제4 지지돌기(134)는 제3 지지돌기(133) 위에 위치하고 제2 지지돌기(122)보다 높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일측면(12)과 타측면(13)에 구비되는 지지돌기를 서로 다른 높이로 교차 배열함으로써 주화롤(100)의 안정적이 적층이 가능하다. 즉, 도 3과 같이 제1 지지돌기(121), 제2 지지돌기(122), 제3 지지돌기(133), 제4 지지돌기(134)는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돌출된다. 이로 인해 최하단 1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은 제1 지지돌기(121)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도 3에서 우측으로 밀려서 배열된다. 1층 위에 적층되어 2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은 제3 지지돌기(133)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도 3에서 좌측으로 밀려서 배열된다. 이로 인해 2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은 자연스럽게 1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적층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3층을 이루는 주화롤(100)도 제2 지지돌기(122)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도 3에서 우측으로 밀려서 배열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2층을 이루는 주화롤(100) 상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적층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4층을 이루는 주화롤(100)도 제4 지지돌기(134)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도 3에서 좌측으로 밀려서 배열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3층을 이루는 주화롤(100) 상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된 적층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로서, 각기 다른 주화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부를 4개로 구획 구성한 것이다. 보관부를 구획한 것 이외의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관부(11)는 가로 격벽(15a)과 세로 격벽(15b)에 의해 4개의 구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로 격벽(15a)과 세로 격벽(15b)는 보관부(11)에 "+"와 같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로 격벽(15a)과 세로 격벽(15b)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나 세로 격벽(15b)보다 길이가 긴 가로 격벽(15a)은 일체형 구조보다 2개로 나누어진 분할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보관부(11)는 제1 보관부(11a), 제2 보관부(11b), 제3 보관부(11c), 제4 보관부(11d)로 구획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 보관부(11a)에 10원 주화롤(100)을 수납하고, 제2 보관부(11b)에 50원 주화롤(100)을 수납하며, 제3 보관부(11c)에 100원 주화롤(100)을 수납하고, 제4 보관부(11d)에 500원 주화롤(100)을 수납하는 등 제1 보관부(11a), 제2 보관부(11b), 제3 보관부(11c), 제4 보관부(11d)에 각기 다른 4종의 주화롤(100)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다.
다음은 주화롤을 보관부에 수납하는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주화롤 보관용기는, 각 주화 500원, 100원, 50원, 10원 등과 같은 주화롤(100) 단위별로 규격에 맞추어 제작되어 각 주화롤(100) 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일정 단위로 묶음 포장된 주화롤(100)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보관부(11)로 투입한다.
보관부(11)에 투입되는 주화롤(100)은 보관부(11)의 바닥면(14)에서부터 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면서 적층된다.
주화롤(100)을 보관부(11)에 정확히 투입하지 않더라도 주화롤(100)의 길이(L)를 보관부(11)의 세로 폭(W2)에 맞추어 넣기만 하면 주화롤(100)의 외주가 지지돌기 끝단(121a, 122a, 133a, 134a)의 곡면을 미끄러지면서 보관부(11)의 바닥면(14)에 떨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보관부(11)의 바닥면(14)에서부터 층을 이루도록 주화롤(100)이 안정적으로 적층된다.
제1 지지돌기(121), 제2 지지돌기(122), 제3 지지돌기(133) 및 제4 지지돌기(134)의 각 지지돌기가 교차 높이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각 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주화롤(100)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제1 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은 제1 지지돌기(121)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우측으로 밀려서 배열되고, 1층을 이루는 주화롤(100) 위에 적층되는 2층 주화롤(100)은 제3 지지돌기(133)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좌측으로 밀려서 배열됨에 따라 1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여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3층 주화롤(100) 또한 제2 지지돌기(122)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우측으로 밀려서 배열됨에 따라 2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여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4층 주화롤(100) 또한 제4 지지돌기(134)에 의해 주화롤(100)의 반지름 길이만큼 좌측으로 밀려서 배열됨에 따라 3층을 이루는 주화롤(10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여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장된 주화롤을 일정 단위로 보관하여 주화량을 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등 보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금융기관 뿐만 아니라 특성상 동전을 많이 다루어야 하는 자동판매기 업자, 셀프 세차장, 운수업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돌기에 의해 주화롤을 매우 견고한 적층구조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보관부
11a : 제1 보관부
11b : 제2 보관부
11c : 제3 보관부
11d : 제4 보관부
12 : 일측면
13 : 타측면
14 : 바닥면
15a : 가로 격벽
15b : 세로 격벽
100 : 주화롤
110 : 주화
120, 130 : 삽입부
121 : 제1 지지돌기
122 : 제2 지지돌기
133 : 제3 지지돌기
134 : 제4 지지돌기
121a, 122a, 133a, 134a : 끝단
L : 길이
H : 높이
W1 : 외주 폭
W2 : 세로 폭
W3 : 지지돌기의 폭

Claims (13)

  1. 주화롤이 수용되는 보관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보관부의 내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타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는 서로 다른 높이로 교차 배열되며,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는 주화롤의 반지름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일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중 최하단 지지돌기는 상기 보관부의 평면 바닥면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타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중 최하단 지지돌기는 상기 일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돌기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보관부의 바닥면에서 주화롤이 삽입될 수 있는 거리만큼 떨어지고 일측면 최하단 지지돌기보다 높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돌기의 폭은 주화롤의 외주 폭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는,
    주화롤이 삽입 가능한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주화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화롤의 외주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세로 폭은,
    주화롤의 길이의 적어도 한배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높이는,
    주화롤을 적어도 두 개 이상 적층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끝단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일체형 구조 또는 분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서로 교차하는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에 의해 4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지고, 4개로 나누어진 보관부에 각기 다른 종류의 주화롤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롤 보관용기.
KR2020190001839U 2019-05-03 2019-05-03 주화롤 보관용기 KR200490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39U KR200490895Y1 (ko) 2019-05-03 2019-05-03 주화롤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39U KR200490895Y1 (ko) 2019-05-03 2019-05-03 주화롤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95Y1 true KR200490895Y1 (ko) 2020-01-17

Family

ID=6922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39U KR200490895Y1 (ko) 2019-05-03 2019-05-03 주화롤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9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917A (ja) * 2000-02-24 2001-08-28 Yamada:Kk パチスロ機用コインの収容箱
JP2002065952A (ja) * 2000-08-23 2002-03-05 Kobishi Denki Kk 遊技コイン用収納箱、及び遊技用コイン収納箱のバケ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917A (ja) * 2000-02-24 2001-08-28 Yamada:Kk パチスロ機用コインの収容箱
JP2002065952A (ja) * 2000-08-23 2002-03-05 Kobishi Denki Kk 遊技コイン用収納箱、及び遊技用コイン収納箱のバケ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809523A (en) Wrapped-coin container
US3773213A (en) Shipping and dispensing container
US4023680A (en) Bakery tray
US4601393A (en) Stackable carrier or crate for goods or articles
US5344013A (en) End wall made of material which can be shaped without cutting for a winding film
EP1813539A1 (en) Cardboard packing box for cartridge container
JP2017178383A (ja) 通い箱
KR200490895Y1 (ko) 주화롤 보관용기
US3227272A (en) Article stacking arrangement
US3231074A (en) Coin storage receptacle
US5308360A (en) Key storage container
KR100654154B1 (ko)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
JP3115392U (ja) カセットに収納したパチンコ景品の計数兼保管器具
US3349942A (en) Nesting basket and carrier combination
US3069213A (en) Containers for disk-shaped articles
CN110155466A (zh) 一种非拆装可堆叠运输储存箱
US1212522A (en) Coin-box.
EP1922237A1 (en) Dolly and lid combination
JP6738633B2 (ja) 集合包装容器及びその積層体
KR20120106210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및 이것의 적층보관장치
JP3275675B2 (ja) チップケース
JP4331333B2 (ja) 運搬用容器
KR200236060Y1 (ko) 동전 보관함
KR200488504Y1 (ko) 병 운반용 상자
KR20240017616A (ko) 박스 수납용 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