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26Y1 -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 Google Patents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26Y1
KR200490726Y1 KR2020160003940U KR20160003940U KR200490726Y1 KR 200490726 Y1 KR200490726 Y1 KR 200490726Y1 KR 2020160003940 U KR2020160003940 U KR 2020160003940U KR 20160003940 U KR20160003940 U KR 20160003940U KR 200490726 Y1 KR200490726 Y1 KR 200490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cking member
fixing cap
coupled
g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02U (ko
Inventor
장보경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3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2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02G15/046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with bores or protruding portions allowing passage of cable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는 내부는 전선 연결을 위해 전방에서 후방까지 관통공이 형성되며 후방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기장치에 결합되는 전선 고정캡과, 후방에서부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별 전선 가닥이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전방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 고정캡 내부에 삽입되는 패킹부재와, 내부는 전선 연결을 위해 관통되고 전방 외주면에는 상기 전선 고정캡의 암사나부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전선 고정캡에 결합되는 가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전기장치와 전선 그랜드의 결합시 실제 전기장치에 결속되는 전선의 가닥수 만큼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홈의 전방을 천공하여 전선을 삽입한 후 상기 전기장치에 전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Wire gland having improved sealing}
본 고안은 전기장치에 전선을 결속하기 위한 전선 그랜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기전자장치 또는 단자함, 전선 보호함 등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때 인입 또는 인출되는 와이어의 방수, 방염, 방폭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선 그랜드(wire gland)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선 그랜드의 한 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전선 그랜드(등록특허 제10-1413341호, “패킹 압착구조를 갖는 전선 그랜드”2014.07.01.공고)는 전선 고정캡(20), 패킹(30) 및 가압캡(40)으로 구성된다.
전선 고정캡(20)은 전선 그랜드의 하우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기장치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 외주면에 숫나사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 가닥의 전선(11)이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되 관통홀의 후방은 전방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패킹(30)은 전선 고정캡(20)의 관통홀에 압입되며, 중앙부위에 전선(11)과 동일직경으로 되어 전선(10)의 전선(11)이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전선 관통공이 3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패킹(30)은 전선(10)에서 파생되는 전선(11)이 다발로 뭉치지 않고 개별적으로 전선 관통공을 관통하므로, 전선 관통공과 전선(11) 사이의 실링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가압캡(40)은 전선 고정캡(20)의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선단의 표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 전방에는 전선(10)의 전선(11)이 관통하는 전선 관통공이 형성되며, 내부 후방에는 전선 관통공에 비해 큰 공경으로 되어 전선(10)의 일단이 삽입되어지는 전선 삽입부가 형성된다. 가압캡(40)은 전선 고정캡(20)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전방의 패킹(30)을 가압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실링력을 얻게 된다.
그런데, 도1의 전선 그랜드의 경우 패킹(30)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선(11)이 개별적으로 관통하는 3개의 전선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전선 그랜드를 만약 두 개의 전선이 결합되는 전기장치에 사용할 경우 패킹(30)에서 하나의 전선 관통공은 미사용 상태로 남게 되고, 이 남게 되는 전선 관통공에 의해 기밀성이 떨어지게 되며 가압캡(40)을 전선 고정캡(20)에 체결시 2개의 전선 관통공(31)에는 전선이 결합된 상태로, 남은 하나의 전선 관통공(31)은 개방된 상태로 가압캡에 의한 압착이 불균일하게 되어 이에 의해서도 방수, 방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기밀성이 향상되는 전선 그랜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는 내부는 전선 연결을 위해 전방에서 후방까지 관통공이 형성되며 후방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기장치에 결합되는 전선 고정캡과, 후방에서부터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별 전선 가닥이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전방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 고정캡 내부에 삽입되는 패킹부재와, 내부는 전선 연결을 위해 관통되고 전방 외주면에는 상기 전선 고정캡의 암사나부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킹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전선 고정캡에 결합되는 가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전기장치와 전선 그랜드의 결합시 실제 전기장치에 결속되는 전선의 가닥수 만큼 상기 패킹부재의 결합홈의 전방을 천공하여 전선을 삽입한 후 상기 전기장치에 전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고정캡의 내부 중앙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확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의 전방에는 상기 전선 고정캡의 확경부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에서 전면에는 각 결합홈의 연장선상에 원형의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방수, 방진성 등의 기밀성이 향상되는 전선 그랜드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 그랜드의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그랜드의 분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그랜드에서 패킹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그랜드가 전기장치에 결합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그랜드의 분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그랜드에서 패킹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그랜드가 전기장치에 결합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는 전기장치(101)에 결합되는 전선 고정캡(110)과, 전선 고정캡(110) 내에 삽입되는 패킹부재(120)와, 전선 고정캡(110)에 결합되어 패킹부재(120)를 가압하는 가압캡(13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전선 고정캡(110)은 전기장치(101)에 본 전선 그랜드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전방에는 전기장치(1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111)가 형성되고 전선 고정캡(110)의 내부는 전선 연결을 위해 전방에서 후방까지 관통공(114)이 형성되며, 전선 고정캡(110)의 후방 내주면에는 가압캡(130)과의 결합을 위해 암나사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전선 고정캡(110)의 내부 중앙에는 관통공(114)의 직경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확경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패킹부재(120)는 전선 고정캡(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패킹부재(120)의 전방부(121)는 전선고정캡(110) 내부의 확경부(112)에 대응되도록 테이퍼져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패킹부재(120)에는 개별 전선(102) 가닥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22)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 결합홈(122)은 패킹부재(120)의 후방에서부터 전선(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 만큼 형성되고 결합홈(122)의 전방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홈(1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결합홈(122)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압캡(130)은 패킹부재(120)가 전선 고정캡(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선 고정캡(110)에 결합되어 패킹부재(120)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캡(130)의 전방 외주면에는 전선 고정캡(110)의 암나사부(113)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132)가 형성되고, 가압캡(130)의 내주면 전단에는 전선 고정캡(110)과 결합되면서 패킹부재(12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턱(131)이 환형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가압캡(130)의 내부 또한 전선(102) 연결을 위해 관통되어져 있고 내주면에 나사부(13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그랜드를 실제 전기장치(101)에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먼저 전기장치(101)에 연결되는 전선(102)의 가닥수에 따라 패킹부재(120)의 결합홈(122)의 전방을 천공하고 도면에서와 같이 2개의 전선(102) 가닥이 전기장치(101)에 연결될 경우 패킹부재(120)에서 3개의 결합홈(122) 중 2개의 결합홈(122)의 전방을 도구를 이용하여 천공한다. 그 다음 전기장치(101)에 연결될 2개의 전선(102) 가닥을 개방된 2개의 결합홈(122)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하되 전기장치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여유있게 삽입한다. 그 후 2개의 전선(102)이 삽입된 패킹부재(120)를 전선 고정캡(110) 내부에 삽입하는데 패킹부재(120)의 테이퍼진 전방부(121)가 전선고정캡(110)의 내부 중앙의 확경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가압캡(130)이 패킹부재(120)를 가압하도록 전선 고정캡(110)의 후방 암나사부(113)에 가압캡(130)의 수나사부(132)를 나사결합시킨 다음 전선 고정캡(110)을 전기장치(101)에 결합하여 연결을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이 전선 그랜드의 패킹부재(120)에서 연결되는 전선(102) 가닥수만큼만 결합홈(122)의 전방을 개방하여 사용함으로써 연결되는 전선(102) 가닥수가 다를 경우에도 동일한 전선 그랜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지 않고 남아 있는 결합홈(122)에서도 전방이 막혀 있게 되어 기밀성이 보다 향상되고 이로 인한 방수 방진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3에서와 같이 패킹부재(120)의 결합홈(122)의 전방부에 원형의 절취선(12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절취선(123)이 형성됨으로써 실제 연결되는 전선(102) 가닥수에 따라 결합홈(122)의 전방 개방시 보다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절취선(123)은 실선 또는 파선의 원 형태로 절취홈으로 이루어지고 절취홈의 깊이는 약 결합홈(122)의 막힌 전방 두께의 약 반만큼 형성될 수 있다.
101 : 전기장치 102 : 전선
110 : 전선 고정캡 112 : 확경부
120 : 패킹부재 122 : 결합홈
130 : 가압캡 131 : 가압턱

Claims (3)

  1. 전기장치에 전선을 결속하기 위한 전선 그랜드에 있어서,
    내부는 전선(102) 연결을 위해 전방에서 후방까지 관통공(114)이 형성되며 후방 내주면에 암나사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장치에 결합되는 전선 고정캡(110)과,
    후방에서부터 전선(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개별 전선(102) 가닥이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2)의 전방은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 고정캡(110) 내부에 삽입되는 패킹부재(120)와,
    내부는 전선(102) 연결을 위해 관통되고 전방 외주면에는 상기 전선 고정캡(110)의 암사나부(113)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120)의 후방에서 상기 전선 고정캡(110)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재(12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전기장치와 전선 그랜드의 결합시 실제 전기장치에 결속되는 전선(102)의 가닥수 만큼 상기 패킹부재(120)의 결합홈(122)의 전방을 개방하여 전선(102)을 삽입한 후 상기 전기장치에 전선(102)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선 고정캡(110)의 내부 중앙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확경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120)의 전방부(121)는 상기 전선 고정캡(110)의 확경부(112)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120)에서 전면에는 각 결합홈(122)의 연장선상에 실선 또는 파선의 절취홈으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절취선(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3940U 2016-07-07 2016-07-07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KR200490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40U KR200490726Y1 (ko) 2016-07-07 2016-07-07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40U KR200490726Y1 (ko) 2016-07-07 2016-07-07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02U KR20180000202U (ko) 2018-01-18
KR200490726Y1 true KR200490726Y1 (ko) 2019-12-23

Family

ID=6127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940U KR200490726Y1 (ko) 2016-07-07 2016-07-07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2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807A (ja) * 1997-05-20 2002-01-08 エッチ. アルデン、ピーター 現地組立式ツーピース構造のスナップフィット自己封止型回線接続器
KR200386148Y1 (ko) 2005-03-17 2005-06-07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KR101413341B1 (ko) * 2012-08-16 2014-07-01 오정경 패킹 압착구조를 갖는 전선 그랜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0807A (ja) * 1997-05-20 2002-01-08 エッチ. アルデン、ピーター 現地組立式ツーピース構造のスナップフィット自己封止型回線接続器
KR200386148Y1 (ko) 2005-03-17 2005-06-07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KR101413341B1 (ko) * 2012-08-16 2014-07-01 오정경 패킹 압착구조를 갖는 전선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02U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0156B2 (en) Crimpable wire connector assembly
JPH11510306A (ja) ケーブル接続エレメント
CN102414927B (zh) 线缆连接装置
US9692144B1 (en) Electric connector
EP2784878A1 (en) Female connector
US9515404B2 (en) Electrical contact plug and plug housing
US20150303592A1 (en) Plug, socket and connection apparatus
JP4743913B2 (ja) クランプ式電源ケーブル接続装置
KR101413341B1 (ko) 패킹 압착구조를 갖는 전선 그랜드
TWI774873B (zh) 絕緣穿刺連接器
KR200490726Y1 (ko)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JP3177894U (ja) コネクタ
US7699645B1 (en) Connector for multistranded insulated conductor cable
TWM481499U (zh) 電連接器(一)
KR101580792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 전력용 피뢰기
JP2018018812A (ja) コネクタ
EP2978071A1 (en) Terminal sleeve structure
US10008818B2 (en) Electrical device with terminal and wire-stripping seat
KR101597353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KR101750269B1 (ko) 절연커버 일체형 케이블 커넥터
JP5181248B2 (ja) 電線用絶縁被覆付スリーブ
US20170338608A1 (en) Multi-type compatible connector
DE102013113878A1 (de) Steckverbinder mit Einzeladerabdichtung
US10535964B1 (en) Power cable ada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225;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2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25

Effective date: 201911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