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148Y1 -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 Google Patents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148Y1
KR200386148Y1 KR20-2005-0007284U KR20050007284U KR200386148Y1 KR 200386148 Y1 KR200386148 Y1 KR 200386148Y1 KR 20050007284 U KR20050007284 U KR 20050007284U KR 200386148 Y1 KR200386148 Y1 KR 200386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entrance
hole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집
Original Assignee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7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A)는 내측에 터미널블록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전선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는 케이블출입구가 형성된 터미널단자함의 상기 케이블출입구의 출입공내에 삽입되며 내측에는 케이블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는 케이블관통공이 형성되는 신축가능한 패킹삽입구와, 상기 패킹삽입구의 외측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수축가능하게 톱니형상이 연속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 조임부재와, 상기 케이블출입구의 나사부에 조립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의 외주면이 수축되도록 조이는 고정캡이 구비되어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의 방수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보다 안전하게 터미널단자함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a waterproof device for terminal block box}
본 고안은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미널블록이 형성된 단자함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선케이블이 출입되는 출입공을 단단하게 파지고정하므로서 케이블출입구의 방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전선의 단자가 접속되는 터미널블록은 많은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관계로 항상 숏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강우에 노출될 우려가 큰 노천이나 실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이러한 우려가 더욱 증대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미널블록이 배치되는 터미널단자함이 제공된 바 있으나, 이러한 터미널단자함은 전선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는 출입구부분에 대한 밀폐가 용이하지 않아 빗물이나 물방울이 터미널단자함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케이블을 타고 단자함내로 들어가 숏트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의 방수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의 방수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장소를 불문하고 터미널블록을 수납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내측에 터미널블록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전선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는 케이블출입구가 형성된 터미널단자함의 상기 케이블출입구의 출입공내에 삽입되며 내측에는 케이블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는 케이블관통공이 형성되는 신축가능한 패킹삽입구와, 상기 패킹삽입구의 외측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수축가능하게 톱니형상이 연속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 조임부재와, 상기 케이블출입구의 나사부에 조립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의 외주면이 수축되도록 조이는 고정캡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A)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터미널블록(1)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전선케이블(2)이 인입 및 인출되는 케이블출입구(3)가 형성된 터미널단자함(4)의 상기 케이블출입구(3)의 출입공(31)내에 삽입되며 내측에는 케이블(2)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는 케이블관통공(51)이 형성되는 신축가능한 패킹삽입구(5)와, 상기 패킹삽입구(5)의 외측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수축가능하게 톱니형상이 연속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 조임부재(6)와, 상기 케이블출입구(3)의 나사부(32)에 조립되는 나사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6)의 외주면이 수축되도록 조이는 고정캡(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킹삽입구(5)의 외주면에는 조임부재(6)의 전진이 정지되도록 걸림턱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킹삽입구(5)의 케이블관통공(51)은 입력측 패킹삽입구는 1개의 케이블관통공(51)이 형성되나 출력측 패킹삽입구(5)는 복수의 케이블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패킹삽입구(5)의 케이블관통공(51)내에는 케이블관통공(51)을 폐쇄시키는 폐쇄봉(53)이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패킹삽입구(5)는 신축가능한 고무, 또는 우레탄, 또는 다는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다.
상기 조임부재(6)는 톱니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가락지형상인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캡(7)에 의하여 수축력(F)을 받을 경우에는 각 톱니부(61)사이의 골(62)이 수축되면서 그 원주길이가 작아지게 되므로 직경이 축소되어 패킹삽입구(5)를 압축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6)의 양단부는 하향경사지게 테이퍼지는 경사면(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6)의 일측 경사면(63)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블출입구(3)의 입구에는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캡(7)의 내측에는 나사부(71)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전선케이블(2)이 지나는 개구부(7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72)에 인접한 내측에는 압압경사면(73)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6)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구조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A)는 전선케이블(2)이 케이블출입구(3)를 통하여 터미널단자함(4)의 터미널블록(1)에 접속시에 전선케이블(2)은 패킹삽입구(5)의 케이블관통공(51)을 지나서 터미널블록(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전선케이블(2)이 터미널블록(1)에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캡(7)을 케이블출입구(3)의 나사부(32)에 나사결합시켜 고정캡(7)을 조이게 되면 고정캡(7)이 조여들어가게 되면서 고정캡(7)의 내측의 압압경사면(73)이 조임부재(6)의 일단의 경사면(63)에 접하면서 조임부재(6)를 밀게 되므로 미는힘(F)에 의하여 조임부재(6)는 패킹삽입구(5)의 걸림턱부(52)에 걸려 전진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고정캡(7)에 의하여 압박을 받게 되므로, 조임부재(6)를 압박하게 되고, 따라서, 조임부재(6)의 여유공간이 있었던 톱니부(61)사이의 골(62)이,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이 W1에서 W2인 이점쇄선의 위치로 수축됨에 따라 조임부재(6)의 외주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그 직경이 줄어들게 되면서 도3의 이점쇄선위치로 되어 패킹삽입구(5)의 외측면을 압박하므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케이블(2)이 통과되는 케이블관통공(51)의 직경도 W3에서 W4로 축소되어 패킹삽입구(5)는 그 직경이 줄어들면서 패킹삽입구(5)의 케이블관통공(51)과 전선케이블(2)사이의 공극이 폐쇄되게 되므로 전선케이블(2)이 통과되는 케이블출입구(3)는 누수가 되지 않고 방수가 완벽하게 실현이 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A)는 내측에 터미널블록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전선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는 케이블출입구가 형성된 터미널단자함의 상기 케이블출입구의 출입공내에 삽입되며 내측에는 케이블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는 케이블관통공이 형성되는 신축가능한 패킹삽입구와, 상기 패킹삽입구의 외측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수축가능하게 톱니형으로 형성된 조임부재와, 상기 케이블출입구의 나사부에 조립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의 외주면이 수축되도록 조이는 고정캡이 구비되어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의 방수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보다 안전하게 터미널단자함을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가 설치된 덮개가 열려진 터미널단자함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설치된 방수구조체의 부분확대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방수구조체의 원통형 조임부재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터미널블록 2. 전선케이블
3. 케이블출입구 4. 터미널단자함
5. 패킹삽입구 6. 조임부재
7. 고정캡

Claims (3)

  1. 내측에 터미널블록(1)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전선케이블(2)이 인입 및 인출되는 케이블출입구(3)가 형성된 터미널단자함(4)의 상기 케이블출입구(3)의 출입공(31)내에 삽입되며 내측에는 케이블(2)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는 케이블관통공(51)이 형성되는 신축가능한 패킹삽입구(5)와, 상기 패킹삽입구(5)의 외측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수축가능하게 형성된 조임부재(6)와, 상기 케이블출입구(3)의 나사부(32)에 조립되는 나사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6)의 외주면이 수축되도록 조이는 고정캡(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조임부재(6)는 톱니형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 톱니부(61)사이의 골(62)이 수축되면서 그 원주와 직경이 축소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환상조입부재(6)의 양단부는 하향경사지게 테이퍼지는 경사면(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패킹삽입구(5)의 외주면에는 조임부재(6)의 전진이 정지되도록 걸림턱부(52)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삽입구(5)의 케이블관통공(51)은 입력측 패킹삽입구는 1개의 케이블관통공(51)이 형성되나 출력측 패킹삽입구(5)는 복수의 케이블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패킹삽입구(5)의 케이블관통공(51)내에는 사용되지 않는 케이블관통공(51)을 폐쇄시키는 폐쇄봉(53)이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KR20-2005-0007284U 2005-03-17 2005-03-17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KR200386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84U KR200386148Y1 (ko) 2005-03-17 2005-03-17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284U KR200386148Y1 (ko) 2005-03-17 2005-03-17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148Y1 true KR200386148Y1 (ko) 2005-06-07

Family

ID=4368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284U KR200386148Y1 (ko) 2005-03-17 2005-03-17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02U (ko) * 2016-07-07 2018-01-1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02U (ko) * 2016-07-07 2018-01-1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KR200490726Y1 (ko) 2016-07-07 2019-12-2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는 전선 그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0741A (en) Cord grips
US7857647B2 (en) Weather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RU2534700C2 (ru) Кабельный ввод для ручной машины
US10505352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US7311563B2 (en) Insulated water-tight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t screw driver and plug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US20030010519A1 (en) Wraparound seal for optical fibers
CA2804727C (en) Helical cable tension relief
US20050194785A1 (en) Rain tight compression fitting coupling device
CA2571472A1 (en) Nut seal assembly for coaxial connector
US2621228A (en) Cable splicing sleeve with sealing chambers
HU227368B1 (en) Device for linking and connecting a line
JP2006180696A (ja) 密封される導線ブッシング用のねじ締め装置
CN106256050B (zh) 电缆出口
GB2400503A (en) Sealed clamp for sealing round a cable
KR200386148Y1 (ko) 터미널단자함의 케이블출입구용 방수구조체
WO2006114587A1 (en) Cable gland assembly and seal therefor
US5516985A (en) Cable end cap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KR100952900B1 (ko)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재, 자기수축형 케이블 접속유니트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접속방법
KR200296553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맨홀인입용 고정구
US6077129A (en) Connector for making and sealingly enclo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KR200210137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101290689B1 (ko) 신축형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커넥터
JP2001210426A (ja) 防水形配線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