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567Y1 - 빙과 용기 - Google Patents

빙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567Y1
KR200490567Y1 KR2020180003153U KR20180003153U KR200490567Y1 KR 200490567 Y1 KR200490567 Y1 KR 200490567Y1 KR 2020180003153 U KR2020180003153 U KR 2020180003153U KR 20180003153 U KR20180003153 U KR 20180003153U KR 200490567 Y1 KR200490567 Y1 KR 200490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stem
opening
contai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빙그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to KR2020180003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빙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빙과를 내용물로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개방하는 꼭지부; 및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꼭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취부는, 상기 꼭지부를 젖혔을 때 상기 꼭지부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절취되도록, 가로로 깊게 좁혀지며 중앙에 환형의 절취라인이 마련되는 오목환홈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빙과 용기{Ice Production Packaging Container}
본 고안은 빙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빙과류 또는 아이스크림류 등의 내용물을 넣어두도록 된 합성수지재 튜브형 빙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빙과(氷菓)는 얼음 과자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스틱 타입(Type), 콘 타입, 샌드타입, 미니컵 타입, 페밀리 타입 및 펜슬 타입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빙과제품은 각각의 타입에 따라 제품 포장 재질이나 개봉 방법 등이 다양하다.
스틱 타입(Type)과 샌드 타입의 경우 주로 비닐류로 되어 있고, 미니컵 타입의 경우 플라스틱 계열류로 되어 있으며, 콘 타입, 페밀리 타입이나 펜슬 타입의 경우 필름과 종이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튜브형 빙과 용기는 빙과류, 아이스크림류, 젤리류, 음료류 등의 식품을 수용할 수 있게 어느 일측만이 개구되게 합성수지 원료를 녹여 튜브 형태로 사출 성형한 튜브본체의 내부에 식품을 수용되게 한 후 상기 개구를 열압착 등의 방법으로 밀봉하고, 이와 같이 밀봉된 튜브본체 내부의 식품을 먹기 위해서는 튜브본체 일부분에 형성된 절취부를 절취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튜브형 빙과 용기에 형성되는 절취부는 튜브본체의 두께보다 단순히 얇게 구성함으로써, 절취부를 절취하기 위하여 강한 힘이 요구되어 어린이나 여성에게는 그 부분을 절취함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절취시에 절취가 되지 않고 절취용 손잡이부만 뜯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의 섭취시 절단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용기본체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빙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빙과 용기는, 빙과를 내용물로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개방하는 꼭지부; 및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꼭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취부는, 상기 꼭지부를 젖혔을 때 상기 꼭지부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절취되도록, 가로로 깊게 좁혀지며 중앙에 환형의 절취라인이 마련되는 오목환홈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용부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꼭지부와 연결되는 취식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본체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꼭지부는, 상기 절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본체와 연결되는 개봉부; 및 상기 개봉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관통구멍이 마련되는 개봉부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봉부손잡이는, 하부가 상기 개봉부의 측면까지 연장되되, 하단부가 적어도 상기 절취부의 상기 절취라인 레벨까지 직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는, 용기본체와 꼭지부 사이에 절취부를 형성하되 절취부를 가로로 깊게 좁혀지는 오목환홈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꼭지부를 절취부의 절취라인을 따라 용기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는, 꼭지부의 개봉부손잡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약한 힘으로도 꼭지부를 용기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는, 용기본체를 수용부, 취식부, 본체손잡이부로 구성되도록 하되, 꼭지부와 연결되는 취식부를 수용부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꼭지부 역시 지름이 작아짐에 따라 핀홀(pin hole)이나 내용물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꼭지부를 절취부의 절취라인을 따라 용기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빙과 용기는, 용기본체를 수용부, 취식부, 본체손잡이부로 구성되도록 하되, 본체손잡이부를 수용부의 하단으로부터 막대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섭취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절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 용기의 개봉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 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 용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절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 용기의 개봉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빙과 용기(1)는, 빙과류, 아이스크림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튜브형 용기로서, 용기본체(100), 꼭지부(200), 절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빙과류, 아이스크림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튜브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후술할 절취부(300)를 사이에 두고 후술할 꼭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꼭지부(200)에 의해 절취부(300)를 절취함에 의해 용기본체(10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한 용기본체(100)는 용도에 따라 수용부(110), 취식부(120), 본체손잡이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용기본체(100)의 메인 부분으로서, 빙과류, 아이스크림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후술할 취식부(120), 후술할 본체손잡이부(130)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가지며 튜브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취식부(120)는 수용부(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절취부(300)를 사이에 두고 후술할 꼭지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취식부(120)는 수용부(110)와 마찬가지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튜브형태로 형성하되, 수용부(110)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취식부(120)를 수용부(110)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함에 따라 후술할 꼭지부(200) 역시 지름이 작아져 핀홀(pin hole)이나 내용물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꼭지부(200)를 절취부(300)의 절취라인을 따라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게 한다. 취식부(120)는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소비자가 입에 넣었을 때, 부담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취식부(120)가 수용부(110)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취식부(120)와 수용부(110)가 연결되는 부분이 계단 형상이 되어 용기본체(100)의 외관이 투박할 수 있는데, 취식부(120)와 수용부(110) 사이의 연결 부분을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각진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용기본체(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본체손잡이부(130)는 수용부(110)의 하단에 형성되되, 소비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수용부(110)의 하단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손잡이부(130)는 수용부(110)와 마찬가지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튜브형태로 형성하되, 수용부(110)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손잡이부(130)는 소비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안정감이 있어야 하므로, 튜브형태가 아닌 중공이 없는 단순 막대형태일 수 있다.
꼭지부(200)는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용기본체(100)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절취부(300)를 사이에 두고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꼭지부(200)는 개봉부(210), 개봉부손잡이(220)로 구성될 수 있다.
개봉부(210)는 후술할 절취부(300)를 사이에 두고 용기본체(100)의 취식부(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개봉부손잡이(220)를 일방향으로 젖혔을 때 후술할 절취부(300)가 절취되면서 용기본체(100)의 취식부(120)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봉부(210)는 지름이 취식부(120)와 동일 또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봉부손잡이(220)는 개봉부(2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봉부손잡이(220)에는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약한 힘으로도 꼭지부(20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관통구멍(2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봉부손잡이(220)는 하부가 개봉부(210)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개봉부(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봉부손잡이(220)의 하단부(220a)는 직하방으로 볼록하게 연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적어도 후술할 절취부(300)의 절취라인(320) 레벨까지 직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개봉부손잡이(220)의 하단부(220a)는 개봉부손잡이(220)를 젖히는 과정에서 용기본체(100)의 상단 모서리 구체적으로는 용기본체(100)의 취식부(120)의 모서리에 닿으면서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되어, 꼭지부(200)를 후술할 절취라인(320)을 따라 용기본체(100)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개봉부손잡이(220)는 전체 형상이 판상형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판형, 고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취부(300)는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꼭지부(200)가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와 꼭지부(200) 사이에 형성, 구체적으로는 용기본체(100)의 취식부(120)와 꼭지부(200)의 개봉부(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취부(300)는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꼭지부(200)를 젖혔을 때 꼭지부(200)가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가로로 깊게 좁혀지며 중앙에 환형의 절취라인(320)이 마련되는 오목환홈(310)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취부(300)는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꼭지부(200)를 절취라인(320)을 따라 용기본체(100)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오목환홈(310) 부분이 용기본체(100) 또는/및 꼭지부(200)의 두께보다 얇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용기본체(100), 꼭지부(200), 절취부(300)로 구성되는 빙과 용기(1)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사출 성형 방식이 아니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일체형이 아닌 일부 분리형으로 형성한 후 접착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본체(100), 꼭지부(200), 절취부(300) 각각은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용기본체(100)의 주요 기능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고, 꼭지부(200)의 주요 기능은 용기본체(100)를 개방하는 것이고, 절취부(300)의 주요 기능은 용기본체(100)와 꼭지부(200)를 분리시키는 것인 점을 고려해 볼 때, 용기본체(100), 꼭지부(200), 절취부(300) 각각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용기본체(100)의 수용부(110)와 취식부(120)는 소비자가 내용물을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제1두께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취식부(120)와 연결되는 꼭지부(200)의 개봉부(210)는 제1두께보다 두꺼운 제2두께로 형성하여 취식부(120) 대비 상대적으로 딱딱하게 함으로써, 꼭지부(200)의 개봉부손잡이(220)를 젖혔을 개봉부(210)를 통해 절취부(300)에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절취부(300)가 더욱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취식부(120)와 꼭지부(200)의 개봉부(210) 사이를 연결하는 절취부(300)는 제1두께보다 얇은 제3두께로 형성하여 취식부(120) 및 개봉부(210) 대비 부드럽게 함으로써, 약한 힘으로도 더욱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00)와 꼭지부(200) 사이에 절취부(300)를 형성하되 절취부(300)를 가로로 깊게 좁혀지는 오목환홈(310)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꼭지부(200)를 절취부(300)의 절취라인(320)을 따라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꼭지부(200)의 개봉부손잡이(220)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관통구멍(230)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 섭취시 약한 힘으로도 꼭지부(20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00)를 수용부(110), 취식부(120), 본체손잡이부(130)로 구성되도록 하되, 꼭지부(200)와 연결되는 취식부(120)를 수용부(110)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꼭지부(200) 역시 지름이 작아짐에 따라 핀홀(pin hole)이나 내용물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꼭지부(200)를 절취부(300)의 절취라인(320)을 따라 용기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00)를 수용부(110), 취식부(120), 본체손잡이부(130)로 구성되도록 하되, 본체손잡이부(130)를 수용부(110)의 하단으로부터 막대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섭취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빙과 용기 100: 용기본체
110: 수용부 120: 취식부
130: 본체손잡이부 200: 꼭지부
210: 개봉부 220: 개봉부손잡이
230: 관통구멍 300: 절취부
310: 오목환홈 320: 절취라인

Claims (4)

  1. 빙과를 내용물로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와 연결되는 개봉부와, 상기 개봉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개봉부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를 개방하는 꼭지부; 및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꼭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취부는,
    상기 꼭지부를 젖혔을 때 상기 꼭지부가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절취되도록, 가로로 깊게 좁혀지며 중앙에 환형의 절취라인이 마련되는 오목환홈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개봉부손잡이는,
    하부가 상기 개봉부의 측면까지 연장되되, 상기 개봉부손잡이를 젖히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모서리에 닿으면서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도록 하단부가 적어도 상기 절취부의 상기 절취라인 레벨까지 직하방으로 볼록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용부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꼭지부와 연결되는 취식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본체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는,
    상기 절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용기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개봉부손잡이에는 관통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과 용기.
  4. 삭제
KR2020180003153U 2018-07-09 2018-07-09 빙과 용기 KR200490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53U KR200490567Y1 (ko) 2018-07-09 2018-07-09 빙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53U KR200490567Y1 (ko) 2018-07-09 2018-07-09 빙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67Y1 true KR200490567Y1 (ko) 2019-12-03

Family

ID=6883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53U KR200490567Y1 (ko) 2018-07-09 2018-07-09 빙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6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06U (ko) * 1993-08-19 1995-03-20 절취부가 개량된 튜브형 빙과용기
KR970005692U (ko) * 1995-07-21 1997-02-19 노진율 빙과용기
KR200182419Y1 (ko) * 1996-06-11 2000-06-01 박근영 빙과용기
KR20000020242U (ko) * 1999-04-30 2000-11-25 신종훈 빙과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06U (ko) * 1993-08-19 1995-03-20 절취부가 개량된 튜브형 빙과용기
KR970005692U (ko) * 1995-07-21 1997-02-19 노진율 빙과용기
KR200182419Y1 (ko) * 1996-06-11 2000-06-01 박근영 빙과용기
KR20000020242U (ko) * 1999-04-30 2000-11-25 신종훈 빙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088B1 (ko) 성형 용기
TWM598645U (zh) 易於連同吸管成型脫模的杯子
NL1031129C2 (nl) Artikel voor het bewegen van een medium voor te eten en/of drinken.
US20170369198A1 (en) Container with product removal mechanism
US4154345A (en) Food product containers an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US5076452A (en) Plastic receptacle
US5280844A (en) Beverage containers and filling thereof
US5437389A (en) Beverage container
US10464720B2 (en) Cork and paperboard beverage-packaging container
KR200490567Y1 (ko) 빙과 용기
US20120258213A1 (en) Enhanced Multicompartment Cup
NL1030563C2 (nl) Drinkrietj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en gebruik van een container.
CN210961355U (zh) 杯体结构
JP3223215U (ja) 飲料カップ蓋
CN211167760U (zh) 坯件和用于储存食品的包装
CN208325912U (zh) 立式蛋形冰品容器
EP1136387B1 (fr) Emballage distributeur alimentaire comportant un récipient externe autoportant et un récipient interne déformable
WO2019143243A1 (en) Two-compartment assembly for preparing and mixing liquid food
JP2003341700A (ja) プラスチック使い捨て容器の蓋
CN219791105U (zh) 一种勺状包装
TWI722505B (zh) 易於連同吸管成型脫模的杯子
CN207791580U (zh) 一种按压式即配饮料瓶盖
JP2006219153A (ja) パイプ付き袋容器
KR200250106Y1 (ko) 음료 포장용 튜브
KR20240068315A (ko) 라벨 겸용 컵을 갖는 페트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