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64Y1 -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 Google Patents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64Y1
KR200490464Y1 KR2020190000634U KR20190000634U KR200490464Y1 KR 200490464 Y1 KR200490464 Y1 KR 200490464Y1 KR 2020190000634 U KR2020190000634 U KR 2020190000634U KR 20190000634 U KR20190000634 U KR 20190000634U KR 200490464 Y1 KR200490464 Y1 KR 200490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ner housing
hearing aid
modul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헌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텍시스템
Priority to KR2020190000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2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 H02J2007/006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1Aspects of the use of accumulators in hearing aids, e.g. rechargeable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청기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제습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청기의 충전제습에 관한 기술로서, 보청기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배터리의 완충을 위해 서서히 충전하는 충전 후반부에 남는 전기를 활용하여 그 보청기의 제습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충전 단자 주변에 별도의 히팅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그 남는 전기를 히팅 레지스터에 공급하여 발열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히팅 레지스터를 보청기 모듈이 안착되는 충전 단자 주변으로 넓게 배치함에 따라 보청기 모듈의 충전 중에도 제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Hearing aid charging dehumidifier}
본 고안은 보청기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제습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청기의 충전제습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소형의 충전제습 장치의 특성상 충전과 제습을 동시에 수행할 때 제습을 위해 히팅 레지스터를 가열하게 되면 충전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를 고속으로 충전하는 충전 전반부에는 히팅 레지스터를 가열하지 않는 상태로 두었다가 배터리의 완충을 위해 서서히 충전하는 충전 후반부에 제습을 위해 히팅 레지스터를 가열함으로써 충전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충전과 제습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사용자가 귀에 착용한 상태로 돌아다니기 때문에 무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착용한 보청기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보청기 내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그 배터리가 소진되기 전에 미리 충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보청기는 사용자의 귀에 끼워 넣어 착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몸에서 나온 분비물(예: 기름, 수분)이 보청기의 표면에 묻어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청기의 제습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소개되기도 하였지만, 사용자가 그 보청기를 충전하는 시간동안 사용하지 못한 것에 더해 별도의 제습 시간을 할애하거나 별도의 제습 장비를 구입하는 시도는 매우 번거롭고 실질적인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보청기 배터리의 충전이 타겟레벨(예: 70%)까지 급속으로 이루어진 후에 저속 충전하는 충전 후반부에 제습 과정을 거침으로써 충전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충전과 제습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청기를 충전하는 위치에서 위치 변경없이 제습을 위한 발열과 충전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청기 배터리의 충전이 타겟레벨(예: 70%)까지 급속으로 이루어진 후에 저속 충전하는 충전 후반부에 제습 과정을 거침으로써 충전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충전과 제습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는 자신의 상면에 안착된 보청기 모듈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110)가 구비된 내부하우징(100); 내부하우징을 감싸는 형태로 내부하우징에 연결되어 내부하우징을 외부와 차단하고 자신의 천장에는 복수의 배기공(210)을 구비함에 따라 내부하우징과 이루는 내부의 공기를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하우징(200); 내부하우징에 탑재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하우징의 부품에 제공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USB 전원공급부재(310); 내부하우징에 탑재되며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단자에 안착되는 보청기 모듈을 충전시키는 충전 모듈(320); 내부하우징에 탑재되며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됨에 따라 충전 단자에 안착된 상태의 보청기 모듈을 제습시키는 히팅 레지스터(330); 내부하우징에 탑재되며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히팅 레지스터에 인가하는 히팅 모듈(340);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충전 모듈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 온오프하는 제 1 릴레이 스위치(350);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히팅 모듈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 온오프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360);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전부를 충전 모듈에 인가하는 충전 모드와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중 일부를 충전 모듈에 인가함과 동시에 나머지를 히팅 모듈에 인가하는 분할 모드 중 어느하나의 모드를 선택 제어하는 충전제습 마이컴(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보청기 모듈에 대한 충전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보청기 모듈의 충전 상태가 타겟레벨 이전까지는 충전 모드에 대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보청기 모듈의 충전 상태가 타겟레벨이 되면 분할 모드에 대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하우징(100)은, 충전 단자(110)가 위치하는 자신의 상면에 보청기 모듈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태로서 충전 단자의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착탈홈(120); 착탈홈의 중앙부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배치되어 보청기 모듈의 하면에 돌출되는 자석돌기를 그립하는 금속재질의 고정블록(13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히팅 레지스터(330)는 복수의 착탈홈 주변에 대응하는 내부하우징의 내측에 플레이트 형태로 넓게 배치되고 자신의 상부에 대응하는 내부하우징의 상면에 복수의 발열공(140)을 구비함에 따라 내부하우징의 내측에서 발생한 열을 발열공을 통해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이 이루는 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하우징(200)은 내부하우징이 자신의 내외부를 슬라이딩 동작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자신의 양단부가 개구되고, 내부하우징(100)은 외부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하우징의 개구된 양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외부하우징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각 단부에 외부하우징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격벽(151,15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히팅 레지스터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서미스터 센서(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서미스터 센서가 제공하는 히팅 레지스터의 현재 온도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충전제습 마이컴이 충전 모드와 분할 모드를 선택 제어함에 따라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의 보청기 모듈을 위치 변경없이 그대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충전과 제습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보청기 배터리의 충전이 타겟레벨(예: 70%)까지 급속으로 이루어진 후에 저속 충전하는 충전 후반부에 제습을 위해 히팅 레지스터를 가열함으로써 충전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충전과 제습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히팅 레지스터를 보청기 모듈이 안착되는 충전 단자 주변으로 넓게 배치함에 따라 보청기 모듈의 충전 중에도 제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히팅 레지스터에 의한 타겟온도를 감지하는 서미스터 센서를 구비함에 따라 제습시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화재를 방지하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에 채용되는 보청기 모듈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는 충전과 제습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하우징(100), 외부하우징(200), USB 전원공급부재(310), 충전 모듈(320), 히팅 레지스터(330), 히팅 모듈(340), 제 1 릴레이 스위치(350), 제 2 릴레이 스위치(360), 충전제습 마이컴(370), 서미스터 센서(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1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자신의 상면에 안착된 보청기 모듈(10)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110)가 구비하고 자신의 내측에는 보청기 모듈(10)을 충전시킴과 아울러 제습시키기 위한 복수의 부품을 탑재할 수 있다.
외부하우징(2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을 감싸는 형태로 내부하우징(100)에 연결되어 내부하우징(100)을 외부와 차단하고 자신의 천장에는 복수의 배기공(210)을 구비함에 따라 내부하우징(100)과 이루는 내부의 공기를 배기공(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외부하우징(2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이 자신의 내외부를 슬라이딩 동작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자신의 양단부가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하우징(100)은 외부하우징(2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하우징의 개구된 양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외부하우징(20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각 단부에 외부하우징(20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격벽(151,15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보청기 모듈(10)이 충전 단자(110)에 접촉하도록 내부하우징(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충전과 제습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이 외부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내부하우징(10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격벽(151,152)은 외부하우징(200)의 개구된 양단부가 내외부 간 기밀유지되도록 외부하우징(200)의 개구된 양단부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히팅 레지스터(330)의 가열로 발열공(140)을 통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열은 격벽(151,152)에 의해 밀폐된 내부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에서 보청기 모듈(10)을 제습시킨다.
이렇게, 보청기 모듈(10)의 제습에 따라 발생한 습한 공기는 외부하우징(200)의 상부에 마련된 배기공(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USB 전원공급부재(310)는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의 내측에 탑재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하우징(100)의 각 부품에 제공하도록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USB 전원공급부재(310)는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에 탑재된 상태로 내부하우징(100)의 측벽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외부의 USB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충전 모듈(320)은 [도 5]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의 내측에 탑재되며 USB 전원공급부재(3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단자(110)에 안착되는 보청기 모듈(10)을 충전시킨다.
히팅 레지스터(330)는 [도 5]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의 내측에 탑재되며 USB 전원공급부재(3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됨에 따라 충전 단자(110)에 안착된 상태의 보청기 모듈(10)을 제습시킨다.
여기서, 히팅 레지스터(330)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착탈홈(120) 주변에 대응하는 내부하우징(100)의 내측에 플레이트 형태로 넓게 배치되고 자신의 상부에 대응하는 내부하우징(100)의 상면에 복수의 발열공(140)을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히팅 레지스터(3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의 내측에서 발생한 열을 복수의 발열공(140)을 통해 내부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200)이 이루는 내부의 공간으로 뿜어낼 수 있다.
이렇게, 히팅 레지스터(330)를 통해 내부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200)이 이루는 내부의 공간으로 인입된 열기는 해당 위치에 안착된 상태로 충전 중인 보청기 모듈(10)을 효과적으로 제습시킬 수 있다.
히팅 모듈(340)은 [도 5]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의 내측에 탑재되며 USB 전원공급부재(31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히팅 레지스터(330)에 인가한다.
제 1 릴레이 스위치(350)는 [도 5]에서와 같이 충전제습 마이컴(370)의 제어로 스위칭 동작하며 결국 USB 전원공급부재(310)로부터 충전 모듈(320)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 온오프한다.
제 2 릴레이 스위치(360)는 [도 5]에서와 같이 충전제습 마이컴(370)의 제어로 스위칭 동작하며 결국 USB 전원공급부재(310)로부터 히팅 모듈(340)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 온오프한다.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제 1 릴레이 스위치(350)와 제 2 릴레이 스위치(3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충전 모드와 분할 모드 중 어느하나의 모드를 선택 제어한다.
여기서, '충전 모드'라 함은 USB 전원공급부재(3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전부를 충전 모듈(320)에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충전 모드'에서는 USB 전원공급부재(3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전부가 충전 단자(110)를 통해 보청기 모듈(10)을 충전하는 것에 사용되기 때문에 충전의 전반부는 상대적으로 빠른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할 모드'라 함은 USB 전원공급부재(31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중 일부를 충전 모듈(320)에 인가함과 동시에 나머지를 히팅 모듈(340)에 인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분할 모드'에서는 USB 전원공급부재(3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중 일부가 충전 단자(110)를 통해 보청기 모듈(10)을 충전하는 것에 사용되고 그 중 일부는 히팅 레지스터(330)를 통해 발열하는 것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보청기 모듈(10)에 대한 충전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보청기 모듈(10)의 충전 상태가 타겟레벨(예: 70% 충전) 이전까지는 충전 모드에 대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350)와 제 2 릴레이 스위치(3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보청기 모듈(10)에 대한 충전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보청기 모듈(10)의 충전 상태가 타겟레벨(예: 70% 충전)이 되면 분할 모드에 대응하여 제 1 릴레이 스위치(350)와 제 2 릴레이 스위치(3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처럼, 보청기 모듈(10)이 충전 단자(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충전제습 마이컴(370)이 충전 모드와 분할 모드를 선택 제어함에 따라 충전 단자(110)에 연결된 상태의 보청기 모듈(10)을 위치 변경없이 그대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충전과 제습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충전 모드에서 히팅 레지스터(330)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진다면 충전 단자(110)에도 그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충전 효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는데, 보청기 모듈(10)에 대해 충전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충전 전반부에는 히팅 레지스터(330)를 가열하지 않는 충전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대적으로 저속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 후반부에는 충전 단자(110)에 끼워진 보청기 모듈(1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함과 아울러 히팅 레지스터(330)의 가열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결국 보청기 모듈(10)에 대한 충전 효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충전과 제습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미스터 센서(380)는 내부하우징(100)의 내측에 탑재되며 히팅 레지스터(330)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를 충전제습 마이컵(370)에 전달한다.
이때,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서미스터 센서(380)가 제공하는 히팅 레지스터(330)의 현재 온도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제 2 릴레이 스위치(3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그 결과, 히팅 레지스터(330)의 가열을 통해 보청기 모듈(10)을 제습하는 과정에서 히팅 레지스터(330)의 적정 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에 채용되는 보청기 모듈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내부하우징(100)은 착탈홈(120)과 고정블록(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착탈홈(120)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보청기 모듈(10)을 충전시킬 충전 단자(1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착탈홈(120)은 충전 단자(110)가 위치하는 자신의 상면에 보청기 모듈(1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보청기 모듈(10)의 충전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충전 단자(110)의 선단부를 자신의 상방향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고정블록(1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착탈홈(120)의 중앙부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배치되며 보청기 모듈(10)의 하면에 돌출되는 자석돌기(11)를 자력으로 그립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고안의 충전제습 장치를 [도 1]에서와 같이 내부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200)이 체결된 상태로 보청기 모듈(10)이 착탈홈(120)에 끼워져 충전과 제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본 고안의 충전제습 장치를 휴대하고 이동하는 경우에도 보청기 모듈(10)이 착탈홈(120)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 보청기 모듈
11 : 자석돌기
100 : 내부하우징
110 : 충전 단자
120 : 착탈홈
130 : 고정블록
140 : 발열공
151,152 : 격벽
200 : 외부하우징
210 : 배기공
310 : USB 전원공급부재
320 : 충전 모듈
330 : 히팅 레지스터
340 : 히팅 모듈
350 : 제 1 릴레이 스위치
360 : 제 2 릴레이 스위치
370 : 충전제습 마이컴
380 : 서미스터 센서

Claims (6)

  1. 자신의 상면에 안착된 보청기 모듈을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단자(110)가 구비된 내부하우징(100);
    상기 내부하우징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내부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을 외부와 차단하고 자신의 천장에는 복수의 배기공(210)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내부하우징과 이루는 내부의 공기를 상기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부하우징(200);
    상기 내부하우징에 탑재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내부하우징의 부품에 제공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USB 전원공급부재(310);
    상기 내부하우징에 탑재되며 상기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 단자에 안착되는 보청기 모듈을 충전시키는 충전 모듈(320);
    상기 내부하우징에 탑재되며 상기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됨에 따라 상기 충전 단자에 안착된 상태의 보청기 모듈을 제습시키는 히팅 레지스터(330);
    상기 내부하우징에 탑재되며 상기 USB 전원공급부재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히팅 레지스터에 인가하는 히팅 모듈(340);
    상기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상기 충전 모듈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 온오프하는 제 1 릴레이 스위치(350);
    상기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상기 히팅 모듈로의 전류 흐름을 스위칭 온오프하는 제 2 릴레이 스위치(360);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전부를 상기 충전 모듈에 인가하는 충전 모드와 상기 USB 전원공급부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중 일부를 상기 충전 모듈에 인가함과 동시에 나머지를 상기 히팅 모듈에 인가하는 분할 모드 중 어느하나의 모드를 선택 제어하는 충전제습 마이컴(37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상기 보청기 모듈에 대한 충전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보청기 모듈의 충전 상태가 타겟레벨 이전까지는 상기 충전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청기 모듈의 충전 상태가 타겟레벨이 되면 상기 분할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100)은,
    상기 충전 단자(110)가 위치하는 자신의 상면에 상기 보청기 모듈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태로서 상기 충전 단자의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착탈홈(120);
    상기 착탈홈의 중앙부에 하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보청기 모듈의 하면에 돌출되는 자석돌기를 그립하는 금속재질의 고정블록(13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팅 레지스터(330)는 상기 복수의 착탈홈 주변에 대응하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측에 플레이트 형태로 넓게 배치되고 자신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에 복수의 발열공(140)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측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발열공을 통해 상기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이 이루는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200)은 상기 내부하우징이 자신의 내외부를 슬라이딩 동작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자신의 양단부가 개구되고,
    상기 내부하우징(100)은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개구된 양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각 단부에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격벽(151,15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히팅 레지스터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서미스터 센서(3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제습 마이컴(370)은 상기 서미스터 센서가 제공하는 상기 히팅 레지스터의 현재 온도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KR2020190000634U 2019-02-14 2019-02-14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KR200490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34U KR200490464Y1 (ko) 2019-02-14 2019-02-14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34U KR200490464Y1 (ko) 2019-02-14 2019-02-14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464Y1 true KR200490464Y1 (ko) 2019-11-15

Family

ID=6853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34U KR200490464Y1 (ko) 2019-02-14 2019-02-14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82A (ko) * 2021-04-15 2022-10-24 임화목 휴대용 보청기 충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7582A (ja) * 2008-04-23 2009-11-12 Panasonic Corp 補聴器用乾燥ケース
KR20100002630U (ko) * 2008-08-29 2010-03-10 (주)머티리얼솔루션테크놀로지 보청기 케이스
KR20120085980A (ko) * 2011-01-25 2012-08-02 이승택 보청기용 무접점 충전기
JP2016149710A (ja) * 2015-02-13 2016-08-18 アクト・サイエンス株式会社 携帯型補聴器用除湿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7582A (ja) * 2008-04-23 2009-11-12 Panasonic Corp 補聴器用乾燥ケース
KR20100002630U (ko) * 2008-08-29 2010-03-10 (주)머티리얼솔루션테크놀로지 보청기 케이스
KR20120085980A (ko) * 2011-01-25 2012-08-02 이승택 보청기용 무접점 충전기
JP2016149710A (ja) * 2015-02-13 2016-08-18 アクト・サイエンス株式会社 携帯型補聴器用除湿ケ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82A (ko) * 2021-04-15 2022-10-24 임화목 휴대용 보청기 충전기
KR102591612B1 (ko) * 2021-04-15 2023-10-18 임화목 휴대용 보청기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808199A (zh) 用於濕式清潔設備之服務裝置
KR200490464Y1 (ko) 보청기 충전제습 장치
KR101223709B1 (ko) 열풍과 동시에 토출되는 자연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기
US20050199257A1 (en) Device for application of hair curlers
TW201625057A (zh) 一種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
US20120216418A1 (en)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the maintenance of hearing devices
EP1686211A3 (en)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rying for the same
EP0715132A4 (en) OIL DISTRIBUTION CONTROL CONTROLLER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90297437A1 (en) Device for maintaining a hearing ai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DE69815557D1 (de) Allgemeine pneumatische Brems-Kontroll-Einheit
US6964116B2 (en) Ambulatory hairdryer
ITMI992250A0 (it) Circuito di controllo della corrente di fine carica delle batterie spe cialmente per batterie al litio
ITMI20030528U1 (it) Asciugacapelli provvisto di un dispositivo ionizzante
JP3225318U (ja) 首掛け型機器
US20210041170A1 (en) Dryer and sanitizer for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s
US11454575B2 (en) Methods and machines for drying blood smears and an automatic smearing device
EP0740763A4 (en) ELECTRIC AIR HEATER
KR101765564B1 (ko) 착용형 헤어 드라이어
NL7900928A (nl) Elektrische ontladingsbuis met een inrichting voor het beinvloeden van de temperatuurverdeling van de ontladingsruimte.
EP0945623A3 (en) A ventilation system
CN210901815U (zh) 手持吹风机
WO2015152828A1 (en) Wet and dry hair sty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E69806162T2 (de) Pneumatischer kraftverstärker mit steuerkammer
CN214877106U (zh) 一种盒体运输除湿装置
KR200205483Y1 (ko) 모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