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94Y1 - 연결 고리 - Google Patents

연결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94Y1
KR200489694Y1 KR2020190000016U KR20190000016U KR200489694Y1 KR 200489694 Y1 KR200489694 Y1 KR 200489694Y1 KR 2020190000016 U KR2020190000016 U KR 2020190000016U KR 20190000016 U KR20190000016 U KR 20190000016U KR 200489694 Y1 KR200489694 Y1 KR 200489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uide shaft
restoring
rotation guid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오
Original Assignee
박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오 filed Critical 박찬오
Priority to KR2020190000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2Hook or eye fasteners with spring closure of hoo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45C13/007Hing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원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고리부재에만 형성하여 구조의 간소화 및 잠금부재에 돌출된 수용부로 회전안내축을 감싸 수용하여 고리부재로부터 잠금부재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 고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 고리{Connecting link}
본 고안은 연결 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부재에 돌출된 수용부로 회전안내축을 감싸 수용하여 고리부재로부터 잠금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고리부재에 복원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연결 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 고리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과 액세서리 등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는 가방 또는 핸드백의 끈에 연결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링에 결합되며, 가방 등의 연결부위에 결합하는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에 설치되는 잠금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고리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551호에 가방끈 고리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스프링이 결합된 고정바디와 회전바디를 링크에 결합하여 핀을 회전시켜 결합하는 구성이나, 상기 핀의 결합력에 떨어져 링크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션스프링을 적용함에 따라 토션스프링을 수용하는 홈을 고정바디와 회전바디에 각각 형성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수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55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원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고리부재에만 형성하는 연결 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잠금부재에 돌출된 수용부로 회전안내축을 감싸 수용하여 고리부재로부터 잠금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 연결 고리는,
회전안내축이 형성된 고리부재;
상기 회전안내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를 복원시키는 복원부재; 및
상기 고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연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면이 경사진 잠금몸체;
상기 잠금몸체 하단부에 돌출된 축; 및
상기 축 하부의 잠금몸체 저면에 돌출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외력에 의해 만곡되면서 회전안내축을 감싸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회전안내축이 형성된 고리몸체;
상기 고리몸체 상면에 상부로 만곡되게 돌출된 고리편; 및
상기 고리몸체 저면에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몸체에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요입형성된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직교되도록 고리몸체 단부에 수직으로 요입형성된 제2 수용공간을 갖는다.
상기 복원부재는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안내축이 개구된 일측 내부에 일체 형성된 고리부재; 상기 회전안내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를 복원시키는 복원부재; 및 상기 고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연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면이 경사진 잠금몸체; 상기 잠금몸체 하단부에 돌출된 축; 및 상기 축 하부의 잠금몸체 저면에 돌출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외력에 의해 만곡되면서 회전안내축을 감싸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복원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고리부재에만 형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잠금부재에 돌출된 수용부로 회전안내축을 감싸 수용하여 고리부재로부터 잠금부재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 고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 고리의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 고리의 제작 과정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 고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복원부재의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복원부재의 또 다른 실시에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 고리의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 고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 고리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 연결 고리(100)은, 가방 또는 핸드백 등과 액세서리 등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리부재(110), 잠금부재(120), 복원부재(130), 연결링(140)을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재(110)는 고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고리몸체(111), 고리편(112), 제1 수용공간(113), 제2 수용공간(114)을 포함한다.
상기 고리몸체(111)는 함체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회전안내축(111')이 형성된다.
상기 고리편(112)은 상기 고리몸체(111) 상면에 상부로 만곡되게 돌출되는데, 일측에 상기 고리몸체(111) 상면과 고리편(112) 사이에 개구부(1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수용공간(113)은 상기 고리몸체(11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요입형성되어 복원부재(130)가 장착된다.
상기 제2 수용공간(114)은 상기 제1 수용공간(113)과 직교되도록 고리몸체(111) 단부에 수직으로 요입형성되어 잠금부재(120)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안내축(111')은 상기 제2 수용공간(114)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재(120)는 상기 고리부재(110)에 장착되어 액세서리의 착탈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잠금몸체(121), 축(122), 수용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몸체(121)는 상기 고리부재(110)의 개구부(112')에 장착되는 기둥형상으로, 상면이 고리편(112) 단부와 경사지게 면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122)은 상기 잠금몸체(121) 하단부에 복원부재(130)가 끼워지도록 돌출된 구성이다.
상기 수용부(123)는 상기 축(122) 하부의 잠금몸체(121) 저면에 회전안내축(111')을 감싸 수용하도록 돌출된다.
상기 수용부(123)는 외력에 의해 만곡되면서 회전안내축(111')을 감싸 수용하여 수용부(123)가 만곡되면서 형성된 수용홀(123')에 회전안내축(111')이 위치하도록한다.
상기 복원부재(130)는 상기 잠금부재(120)의 가압에 따라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생성하는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120)의 가압으로 복원부재가 압축될 때,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보다 적은 가압력으로 압출되는 원추형 스프링인 복원부재(130')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120)의 가압으로 압축될 때, 상기 제1 수용공간(113)과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부가 수평을 이루면서 하부가 일측에서 타측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이루는 비대칭 스프링인 복원부재(13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복원부재(130)의 급격한 복원을 방지하는 댐핑부재(1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핑부재(131)는 상기 복원부재(130)와 힘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잠금부재(120)와 고리부재(110)를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링(140)은 상기 고리부재(110)에 돌출된 결합돌기(115)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연결몸체(141), 결합공(142), 이탈방지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몸체(141)는 내부가 수평으로 관통된 몸체이다.
상기 결합공(142)은 상기 연결몸체(141)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결합돌기(115)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43)는 상기 결합돌기(115)에 결합된 결합공(14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돌기(115)에 요입형성된 이탈방지홈(115')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120)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어느 하나에 요입 형성된 유동방지홈(151)과, 상기 유동방지홈(151)에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부재(120)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된 상기 유동방지돌기(152)를 더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 고리(100)의 제작과정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고리부재(110)의 고리몸체(111)에 요입형성된 제1 수용공간(113)에 복원부재(130)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수용공간(113)과 직교되도록 고리몸체(111) 단부에 요입형성된 제2 수용공간(114)에 잠금부재(12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120)의 잠금몸체(121) 경사진 상면은 고리부재(110)의 고리편(112) 경사진 저면과 면접촉되면서 상기 잠금몸체(121)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어느 하나에 요입된 유동방지홈(151)에 상기 잠금몸체(121)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52)가 결합되면서 잠금부재(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몸체(121)의 하단부는 제2 수용공간(114)으로 결합되어 제2 수용공간(114)이 형성된 고리몸체(111)와 면접촉되어 잠금부재(120)의 유동을 이중으로 방지함은 물론 상기 잠금몸체(121) 하단부에 돌출된 축(122)이 복원부재(130)에 결합되면, 상기 잠금몸체(121) 저면에 돌출된 수용부(123)를 고리몸체(111) 내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23)는 상기 고리몸체(111)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안내축(111')을 감싸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부(123) 내부의 수용홀(123')에 회전안내축(111')이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수용부(123)는 회전안내축(111')을 감싸므로 회전안내축(111')으로부터 잠금몸체(1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고리부재(110)에 복원부재(130) 및 잠금부재(120)가 결합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고리부재(110) 하부에 연결링(140)를 결합하는데, 상기 연결링(140)은 고리부재(110)의 결합돌기(115)에 연결몸체(141)에 관통된 결합공(142)을 결합한 후, 상기 결합돌기(115) 외주면에 요입형성된 이탈방지홈(115')에 이탈방지부재(143)를 결합하면서 연결 고리(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작된 연결 고리(100)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도 6과 같이, 상기 연결 고리(100)의 잠금부재(120)를 고리몸체(111)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120)는 회전안내축(111')을 수용한 수용홀(123')을 중심으로 잠금몸체(121)가 고리몸체(111)으로 이동하여 상기 잠금몸체(121)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52)가 상기 잠금몸체(121)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어느 하나에 요입된 유동방지홈(151)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개구부(112')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잠금몸체(121)는 복원부재(130)를 가압한다.
상기 복원부재(130)는 제1 수용공간(113)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어 복원력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130)는 코일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으나, 도 7과 같이, 상기 잠금부재(120)의 가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압축되는 원추형 스프링인 복원부재(130')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잠금부재(120)에 의해 압축될 때, 제1 수용공간(113) 내면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일측에서 타측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이루는 비대칭 스프링인 복원부재(13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개방된 개구부(112')를 통해 가방이나 핸드백의 끈이 고리편(112) 내부로 이동하여 고리편(112) 내부에 위치시키면, 상기 잠금부재(12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한다.
상기 가압력이 해제된 잠금부재(120)는 압축된 복원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 수용홀(123')을 중심으로 잠금몸체(121)의 하단부가 제2 수용공간(114)이 형성된 고리몸체(111) 내면과 면접촉되어 회전하고, 상기 잠금몸체(121)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유동방지돌기(152)가 상기 잠금몸체(121) 상면 또는 고리편(112) 저면 중 어느 하나에 요입된 유동방지홈(151)에 결합되므로 잠금부재(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120)가 복원되면서 개구부(112')를 폐쇄시켜 상기 고리편(112) 위치한 가방이나 핸드백 끈의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120)가 복원될 때, 도 9와 같이, 상기 복원부재(130)의 급격한 복원을 방지하는 댐핑부재(1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핑부재(131)는 잠김부재(120)와 고리부재(110)를 연결하여 상기 복원부재(120)와 힘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복원부재(130)의 급격한 복원을 방지함으로써 잠금부재(12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끼어 다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과 같이, 잠금부재(120)를 고리부재(110)에 결합할 때, 상기 잠금부재(120)의 잠금몸체(121) 저면에 수용홀(123') 양측으로 한 쌍의 수용부(123a)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수용부(123a) 단부를 가압하여 수용홀(123')에 위치한 회전안내축(111')을 감싸 수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수용부(123a)가 회전안내축(111')을 감싸 수용한 이후의 과정은 상기 회전안내축(111')을 수용부(123)가 감싼 이후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연결 고리 110: 고리부재
120: 잠금부재 130: 복원부재
140: 연결링

Claims (3)

  1. 회전안내축이 개구된 일측 내부에 일체 형성된 고리부재;
    상기 회전안내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를 복원시키는 복원부재; 및
    상기 고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연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면이 경사진 잠금몸체;
    상기 잠금몸체 하단부에 돌출된 축; 및
    상기 축 하부의 잠금몸체 저면에 돌출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외력에 의해 만곡되면서 회전안내축을 감싸 수용하도록 하는 연결 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회전안내축이 형성된 고리몸체;
    상기 고리몸체 상면에 상부로 만곡되게 돌출된 고리편; 및
    상기 고리몸체 저면에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몸체에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요입형성된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직교되도록 고리몸체 단부에 수직으로 요입형성된 제2 수용공간을 갖는 연결 고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연결 고리.
KR2020190000016U 2019-01-02 2019-01-02 연결 고리 KR200489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16U KR200489694Y1 (ko) 2019-01-02 2019-01-02 연결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16U KR200489694Y1 (ko) 2019-01-02 2019-01-02 연결 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94Y1 true KR200489694Y1 (ko) 2019-07-24

Family

ID=6743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16U KR200489694Y1 (ko) 2019-01-02 2019-01-02 연결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9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68Y1 (ko) * 2000-02-15 2000-08-16 정재욱 가방끈 걸고리쇠
KR200327437Y1 (ko) * 2003-06-10 2003-09-26 오행님 가방끈 걸고리쇠
KR200411140Y1 (ko) * 2005-12-09 2006-03-10 정명철 걸고리 결합구조
KR20110057112A (ko) * 2011-05-13 2011-05-31 유정아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연결고리
KR200457551Y1 (ko) 2011-09-09 2011-12-23 주식회사 진원산업 가방끈 고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568Y1 (ko) * 2000-02-15 2000-08-16 정재욱 가방끈 걸고리쇠
KR200327437Y1 (ko) * 2003-06-10 2003-09-26 오행님 가방끈 걸고리쇠
KR200411140Y1 (ko) * 2005-12-09 2006-03-10 정명철 걸고리 결합구조
KR20110057112A (ko) * 2011-05-13 2011-05-31 유정아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연결고리
KR200457551Y1 (ko) 2011-09-09 2011-12-23 주식회사 진원산업 가방끈 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8961A1 (en) Battery cover assembly
US20070111086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127080U (ja) ツールチャック装置
US20100321868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9694Y1 (ko) 연결 고리
EP3722496A1 (en) Clothes iron base and clothes iron device
US20130221665A1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JP2007220506A (ja) 電子機器のコネクタ抜け止め構造。
US20010001087A1 (en) High performance yo-yo
JPH0438619Y2 (ko)
KR960014743B1 (ko) 끈고정구
CN212413398U (zh) 一种耳机盒
KR960014744B1 (ko) 끈고정구
JP2011000317A (ja) 連結具
CN216343594U (zh) 一种导向轮组件
JPH06267611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CN209952215U (zh) Vr手柄
CN211776527U (zh) 一种结构稳定的门锁
CN210579078U (zh) 一种耳机取放装置
CN218960999U (zh) 电动牙刷收纳盒
JPS636920Y2 (ko)
JPH018055Y2 (ko)
JP3673341B2 (ja) コネクタシール装着用治具
JP3219287U (ja) 吊下具
KR100698675B1 (ko)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