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50Y1 -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 - Google Patents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50Y1
KR200489650Y1 KR2020170005803U KR20170005803U KR200489650Y1 KR 200489650 Y1 KR200489650 Y1 KR 200489650Y1 KR 2020170005803 U KR2020170005803 U KR 2020170005803U KR 20170005803 U KR20170005803 U KR 20170005803U KR 200489650 Y1 KR200489650 Y1 KR 200489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air mesh
heating
heat generat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04U (ko
Inventor
정미수
서채하
차정원
Original Assignee
정미수
서채하
차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수, 서채하, 차정원 filed Critical 정미수
Priority to KR2020170005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5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선이 내장된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열조끼는 조끼의 배면부(背面部)를 이루는 원단이 내측으로부터 내피원단, 소정 두께의 제1 에어메쉬(air mesh)과 제2 에어메쉬, 그리고 외피원단이 순차로 적층된 4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에어메쉬의 내측면 상에 발열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국소부위의 발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발열 부위의 분포를 확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HEAT GENERATING VEST AND HEAT GENERATING PAD}
본 고안은 열선이 내장된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소부위의 발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발열 부위의 분포를 확장시킨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열조끼(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목덜미 바로 아래 부분에 해당하는 내피(11)의 이면(裏面)에 열선이 분포된 부직포 형태의 발열시트(12)가 부착되는 구성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따라, 발열시트(12)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내피(11)를 통해 착용자의 목덜미 바로 아래 등 부위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열조끼(10)의 구성에서 내피(11)는 대개 얇은 안감으로 이루어져 피부에 밀착됨에 따라 발열시트(12)에서 발생한 열을 거의 그대로 직접적으로 안쪽, 즉 착용자의 등 쪽으로 전달하여 국소부위의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발열시트(12)가 부착되지 않는 다른 부위로는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충분한 발열효과마저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실제로 종래의 발열조끼의 구성 중에는 2 이상의 발열시트(12)가 구비된 것도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국소부위의 발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발열 부위의 분포를 확장시킨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발열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배면부(背面部)를 이루는 원단이 내측으로부터 내피원단, 소정 두께의 제1 에어메쉬(air mesh)과 제2 에어메쉬, 그리고 외피원단이 순차로 적층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에어메쉬의 내측면 상에 발열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에어메쉬와 상기 제2 에어메쉬는 일측면과 타측면을 이루는 제1 및 제2 직조면 사이에 공기통로층을 형성하는 중간층이 상기 소정 두께로 이루어진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끼의 전면부(前面部)를 이루며 서로 지퍼로 연결되는 좌,우측 원단이 스판덱스(spandex) 원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발열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배면부(背面部)를 이루는 원단이 내측으로부터 내피원단, 소정 두께의 에어메쉬(air mesh), 그리고 외피원단이 순차로 적층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메쉬의 외측면 상에 발열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발열패드에 있어서, 제1 원단, 소정 두께의 제1 에어메쉬(air mesh)과 제2 에어메쉬, 그리고 제2 원단이 순차로 적층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에어메쉬와 대면하는 상기 제2 에어메쉬의 일측 표면 상에 발열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패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원단은 외측면에 방수코팅이 이루어진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에 의하면, 조끼의 외피원단과 내피원단 사이에 2장의 에어메쉬를 적층시켜 개재하고, 상기 2장의 에어메쉬 사이에 발열패드를 개재시킴으로써 이에 의한 발열효과가 내피와 외피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함은 물론, 발열패드가 내피를 통해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피부와 맞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방지에 기여함은 물론, 특히 상기 2장의 에어메쉬가 각각 소정 두께의 공기통로층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열 분포를 확장시킬 수 있어 적은 발열패드의 면적으로도 우수한 발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발열조끼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조끼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발열조끼의 전면부(前面部)를 이루는 좌,우측 원단을 개방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발열조끼의 배면부(背面部)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부(背面部)의 일 구성요소인 에어메쉬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도 4의 배면부(背面部)를 이루는 4층 구조를 구분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4의 배면부(背面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조끼(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지퍼로 연결되는 좌,우측 원단(21, 22)으로 이루어진 조끼의 전면부(前面部), 그리고 좌우 양측단부에서 상기 좌,우측 원단(21, 22)과 연결되는 조끼의 배면부(背面部, 23)를 포함한다. 조끼 전면부(前面部)의 일측 원단(22)에 형성된 주머니(22a)에는 USB 단자(24)가 인출되어 배터리(도면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터리는 상기 주머니(22a)에 수용된다. 상기 USB 단자(24)는 인출선(25)을 따라 조끼 배면부(23)에 내장되는 발열패드(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도 4 참조).
조끼 배면부(23)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도면에서는 상측)으로부터 내피원단(27), 소정 두께의 제1 에어메쉬(air mesh)(28)와 제2 에어메쉬(29), 그리고 외피원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메쉬(29)의 내측면(도면에서는 상측면) 상에 부착되는 상기한 발열패드(2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피원단(27)과 외피원단(30)은 서로 동일한 소재이며, 나아가 상기한 조끼 전면부를 이루는 좌,우측 원단(21, 22) 또한 내피원단(27) 및 외피원단(3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특별히, 좌,우측 원단(21, 22)의 경우에는 신축성이 있는 스판덱스(spandex) 원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끼의 착용시 착용감 및 밀착감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복대와 같이 허리를 보호하는 기능성 의류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제1 에어메쉬(28)와 제2 에어메쉬(2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31)과 타측면(32)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중간층(33)이 상기 일측면(31) 및 타측면(32)과 함께 일체로 연결되도록 직조되되 상하 소정의 두께(t)를 유지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직조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중간층(33)은 상하방향으로 열기를 전달할 뿐 아니라 좌우방향, 즉 에어메쉬(28, 29)가 연장된 방향으로도 평면적으로 열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에어메쉬(28)와 제2 에어메쉬(29) 사이에 발열패드(26)가 개재되는 구조의 조끼 배면부(23)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패드(26)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하의 제1 에어메쉬(28)와 제2 에어메쉬(29)를 통해 내측(도면에서는 상측)과 외측(도면에서는 하측)으로 전달됨은 물론, 제1 에어메쉬(28)와 제2 에어메쉬(29)의 각 중간층(도 5의 33)이 형성하는 소정 두께(t)의 공기통로층에 의해 평면적으로도, 즉 조끼 배면부(23)의 면적을 따라 확장하여 분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에어메쉬(28)와 제2 에어메쉬(29)에 의해 조끼 배면부(23)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골고루 열기가 분포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서 외측(하측)으로 전달되는 열은 발열조끼(20)의 착용자가 통상적으로 상기 발열조끼(20) 위에 겹쳐 입게 되는 외투(도면 미두시)와의 사이공간에 축적되어 결국 다시 착용자를 데워주는 순환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2개의 원단(27, 30)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2개의 에어메쉬(28, 29)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상측 에어메쉬(28)를 대면하는 하측 에어메쉬(29)의 상측 표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발열패드(도 4의 26)가 부착된다. 이러한 발열패드는 방석이나 기타 다양한 용도의 패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침낭속에 깔아 사용하는 용도로 맞춤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바닥면에 해당하는 하측 원단(30)의 외측면(도면에서는 하측면)에는 방수코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된 발열조끼(20) 및 발열패드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20: 발열조끼 21, 22: 전면부(前面部) 좌,우측 원단
23: 배면부(背面部) 24: USB 단자
25: 인출선 26: 발열패드
27: 내피원단 28: 제1 에어메쉬(air mesh)
29: 제2 에어메쉬 30: 외피원단
31: 일측면 32: 타측면
33: 중간층

Claims (6)

  1. 발열조끼에 있어서,
    조끼의 배면부(背面部)를 이루는 원단이 내측으로부터 내피원단, 소정 두께의 제1 에어메쉬(air mesh)와 제2 에어메쉬, 그리고 외피원단이 순차로 적층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에어메쉬와 상기 제2 에어메쉬는 일측면과 타측면을 이루는 제1 및 제2 직조면 사이에 공기통로층을 형성하는 중간층이 상기 소정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에어메쉬의 내측면 상에 발열패드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발열패드는 상기 제1 에어메쉬와 상기 제2 에어메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의 전면부(前面部)를 이루며 서로 지퍼로 연결되는 좌,우측 원단이 스판덱스(spandex)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조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70005803U 2017-11-13 2017-11-13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 KR200489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03U KR200489650Y1 (ko) 2017-11-13 2017-11-13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03U KR200489650Y1 (ko) 2017-11-13 2017-11-13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04U KR20190001204U (ko) 2019-05-22
KR200489650Y1 true KR200489650Y1 (ko) 2019-07-17

Family

ID=6665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803U KR200489650Y1 (ko) 2017-11-13 2017-11-13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5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829B1 (ko) * 2005-09-05 2005-12-26 전경식 온열조끼용 발열부재
JP2017145542A (ja) * 2016-02-19 2017-08-24 平野 隆夫 断熱、保温、放熱、通気、換気機能のある衣服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654B1 (ko) * 2003-12-02 2006-04-28 박외자 카본발열원단이 내장된 의류의 적층구조
KR20110053864A (ko) * 2009-11-16 2011-05-24 김수호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발열 상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829B1 (ko) * 2005-09-05 2005-12-26 전경식 온열조끼용 발열부재
JP2017145542A (ja) * 2016-02-19 2017-08-24 平野 隆夫 断熱、保温、放熱、通気、換気機能のある衣服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04U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587B2 (en) Heat insulation structure
CA2843301C (en) Waterproof taped glove and mitten with laminated leather
JP5960980B2 (ja) 三層一体編テープ
US9399164B2 (en) Cycling suit with a seat pad
KR200489650Y1 (ko) 발열조끼 및 발열패드
CN102933107A (zh) 一次性手套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EP2774499A1 (en) Elastic feather product
KR200454327Y1 (ko) 다운 트레이닝 웨어
US20160039174A1 (en) Elastic Feature Product
US10219563B2 (en) Garment comprising multiple layers
TWI604834B (zh) 發熱膜
KR101203900B1 (ko) 보온의류
JP2016030875A (ja) 衣服
US20110089159A1 (en) Heat pad assembly with positioning members
TWI660800B (zh) Multi-layer thin composite cloth
KR101399554B1 (ko) 통풍원단이 구비된 다운쟈켓
CN108888408A (zh) 一种磁保健按摩眼罩
US20130143024A1 (en) Laminated Cloth
JP5639683B2 (ja) 掛け布団
CN210407815U (zh) 一种折叠床垫
CN209566589U (zh) 一种可双面使用的防水防火绒布面料
CN208664524U (zh) 一种印花布
KR20180102794A (ko) 압착 문양의 기능성 복합 원단과 그 제조방법
JP3183817U (ja) 弾力性羽毛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