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10Y1 -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 - Google Patents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10Y1
KR200489610Y1 KR2020170002997U KR20170002997U KR200489610Y1 KR 200489610 Y1 KR200489610 Y1 KR 200489610Y1 KR 2020170002997 U KR2020170002997 U KR 2020170002997U KR 20170002997 U KR20170002997 U KR 20170002997U KR 200489610 Y1 KR200489610 Y1 KR 200489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lit
hair follicle
follicl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595U (ko
Inventor
공기환
Original Assignee
공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기환 filed Critical 공기환
Priority to KR2020170002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1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5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시술자의 원래 모(毛) 길이 그대로 모낭을 채취할 수 있으므로 모낭 채취를 위해 모(毛)를 짧게 깎지 않아도 되고, 모(毛)의 자라는 방향과 더불어 모(毛)의 컬방향까지 확인하여 이식이 가능한 모낭을 채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에 관한 것으로서, 채취팁(1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의 슬릿(110)이 형성되어, 모낭 채취시에 모낭의 모(毛)를 상기 슬릿(110)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Follicular unit punching tip}
본 고안은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시술자의 원래 모(毛) 길이 그대로 모낭을 채취할 수 있으므로, 모낭채취를 위해 모(毛)를 자를 필요가 없으며, 모(毛)의 자라는 방향과 더불어 모(毛)의 컬방향까지 확인하여 이식이 가능한 모낭을 채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에 관한 것이다.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생모이식시술은 피시술자의 두피(뒷머리 등)에 남아 있는 모낭(follicles)을 채취하여 이식하는 방법으로서, 대표적인 탈모치료방법 중의 하나이다.
생모이식시술을 위해서는 먼저 피시술자의 모낭을 채취하여야 하는데, 모낭 채취방법 중에서도 모낭유닛추출방식(FUE, follicular unit extraction)은 비절개 방식으로서 단부가 날카로운 원형관 형상의 팁을 이용하여 표피층 및 진피층까지 절개부를 만든 다음 의료용 포셉(forceps)을 이용하여 주변 피부로부터 모낭을 채취하다. 이러한 모낭유닛추출방식은 비절개 방식이기 때문에 흉터와 통증이 적고 회복도 빠른 장점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모낭유닛추출방식으로 모낭을 채취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하고자 하는 모낭(2)의 모(毛)(3)를 팁(10) 내부로 수용시켜야 하는데, 모(毛)(3)가 긴 경우에는 가늘고 긴 팁(10) 내부로 모(毛)(3)를 수용시키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대부분은 모낭 채취 전에 모발을 삭발하는 등 채취하고자 하는 부위의 모(毛)를 짧게 깎은 다음 모(毛)를 채취하거나 또는 모(毛)를 깎지 않은 경우에는 길이가 매우 짧은 모(毛)를 채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모낭 채취 전에 거의 필수적으로 모(毛)를 짧게 깎아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피시술자는 모발 등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의 모(毛)를 짧게 깎아야 하는 심리적인 부담감도 갖게 된다. 더욱이 음모이식시에는 모(毛)가 짧은 모낭을 이식하면 모낭염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므로 음모이식시에는 장모의 모낭을 이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채취한 모낭을 이식하는 경우에는 모(毛)의 자라는 방향과 더불어 모(毛)의 컬(Curl)방향도 확인하고 이식을 하여야 자연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모(毛)가 매우 짧은 모낭을 채취하여 이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식시에 모(毛)의 컬(Curl)방향을 확인하기가 곤란한 단점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320호(2015. 04. 2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원래 모(毛) 길이 그대로 모낭을 채취할 수 있으므로 모낭을 채취하기 위해 삭발을 하는 등 채취하고자 하는 모(毛)를 짧게 자를 필요가 없으며, 모(毛)의 자라는 방향과 모(毛)의 컬(Curl)방향까지 확인하여 이식이 가능한 모낭을 채취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이식결과를 얻을 수 있고 절취력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모낭을 채취하기 위한 모낭 채취팁에 있어서, 상기 채취팁(1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의 슬릿(110)이 형성되어, 모낭 채취시에 모낭의 모(毛)를 상기 슬릿(110)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절개식장모 모낭 채취팁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릿(110)은 제1슬릿(110a)과, 상기 제1슬릿(1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슬릿(110b)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릿(110)은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릿(110)의 하단부에는 하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112)에는 경사날(113)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채취팁의 하단부에 슬릿이 형성되고, 모낭 채취시에 모낭의 모(毛)를 상기 슬릿을 통해 채취팁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장모의 모낭을 비절개 방식으로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면 장모의 모낭도 채취가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피시술자의 모(毛)를 원래 길이 그대로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낭채취를 위해 굳이 모발을 삭발하는 등 채취하고자 하는 부위 모(毛)응 짧게 자를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채취팁(100)으로 채취된 모낭(2)은 장모를 가지므로 시술자가 해당 모(毛)의 컬(curl) 방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낭을 이식할 때 모(毛)의 자라는 방향은 물론이며, 모(毛)의 컬(curl) 방향까지 고려하여 이식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자연스러운 이식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채취팁에 폭이 다른 크기의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면, 채취하고자 하는 모낭유닛에 분포된 모낭 개수에 따라 채취팁을 바꿔 시술할 필요없이 하나의 채취팁으로 모낭개수에 상관없이 범용성 있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슬릿이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면, 슬릿에 의해 채취팁의 절취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상대적으로 넓은 폭의 슬릿을 가지게 되므로 채취하고자 하는 모낭유닛에 분포된 모낭 개수에 상관없이 범용성 있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 슬릿의 하단부에 경사날을 가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면, 이 경사날에 의해 채취팁의 절취력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채취팁을 사용하여 모낭을 채취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요부 확대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요부 확대 정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요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채취팁(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둘레부에는 모발이식기에 연결된 핸드피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102)가 형성된다.
이러한 채취팁(1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1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금속제 원형관으로서, 하단에는 비교적 날카로운 하단날(104)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내부 중공과 연통되도록 하단부로부터 일정 폭과 길이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하여 슬릿(110)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1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낭 채취시 모낭(2)의 모(毛)(3)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채취팁(100)이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층을 뚫고 모낭(2)이 위치된 지방층까지 유입되더라도 모(毛)(3)가 절단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릿(110)은 6~7m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채취팁(100)을 사용하여 모낭을 채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채취팁(100)은 연결부(102)를 이용하여 모발이식기의 핸드피스에 끼워 사용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채취팁(100)의 하단을 채취하고자 하는 모(毛)(3)의 하단부, 모근 부위가 채취팁(1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채취팁(100)을 위치시키고, 모(毛)(3)를 슬릿(110)을 통해 채취팁(100) 외부로 유출시킨 다음, 채취팁(100)을 피부로 밀어 넣는다. 채취팁(100)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날(104)에 의해 채취팁(100)은 피시술자의 피부로 삽입되는데, 슬릿(110) 부위에는 날이 없기 때문에, 채취팁(100)을 회전시키면서 밀어 넣어 모낭(2) 주변이 원통형태로 절개되도록 한다.
이때 채취팁(10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릿(1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 모(毛)(3)가 채취팁(100)에 감기는 헤어 코일링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채취팁(100)을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회전시킨다.
헤어코일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채취팁(100)을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채취팁(100)을 표피층과 진피층을 뚫고 모낭(2)이 위치되는 지방층까지 충분히 삽입시키는데, 채취팁(100)이 지방층까지 삽입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110)이 충분히 긴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毛)(3)가 절단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채취팁(100)을 지방층까지 충분히 삽입시켜서 모낭(2) 주위에 절개부를 만든 다음, 의료용 포셉을 사용하여 주변 피부로 부터 모낭(2)을 떼어낸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채취팁(100)은 하단부에 슬릿(110)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슬릿(110)을 이용해 길이가 긴 장모의 모낭을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낭을 채취하기 위해 굳이 머리를 삭발하는 등 털을 짧게 자르거나 또는 짧은 털을 선택하여 채취할 필요가 없이 피시술자의 모(毛)를 원래 길이 그대로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채취팁(100)으로 채취된 모낭(2)은 장모를 가지므로 시술자가 해당 모(毛)의 컬(curl)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낭을 이식할 때 모의 자라는 방향은 물론이며, 모(毛)의 컬(curl) 방향까지 고려하여 이식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자연스러운 이식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모낭 단위 추출법(FUE)에서는 모낭의 분포에 따라 모낭을 1개 채취할 수도 있으나, 복수개의 모낭을 하나의 유닛으로 채취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채취하고자 하는 각 모낭(2)의 모(毛)(3)가 한꺼번에 상기 슬릿(1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야 하므로 슬릿(110)의 폭이 비교적 넓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물론, 슬릿(110)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시키면 모낭(2)의 개수, 즉, 모(毛)(3)의 개수에 상관없이 범용성 있게 사용이 가능하나, 슬릿(110)의 폭이 좁으면 상대적으로 채취팁(100)의 절취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슬릿(110)의 폭은 적절한 크기로 조절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릿(110)의 폭을 달리하여 다수개의 채취팁(100)을 제조하여 시술자가 상황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슬릿(110)이 형성된 채취팁(100)을 선택하여 시술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릿(110)은 길이가 6~7mm 정도이고, 폭은 4m, 5mm, 6mm 의 크기를 갖도록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와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취팁(100)의 하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면으로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1슬릿(110a) 및 제2슬릿(110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2슬릿(110a,110b)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채취하고자 하는 모낭군의 모낭의 개수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슬릿(110a,110b)을 통해 모(毛)(3)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모낭을 채취한다.
즉, 적은 개수의 모낭이 분포된 모낭유닛을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제1슬릿(110a)을 통해 모(毛)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모낭을 채취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모낭이 분포된 모낭유닛을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슬릿(110b)을 통해 모(毛)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모낭을 채취한다. 따라서 시술자가 모낭유닛에 분포된 모낭이 개수에 따라 채취팁(100)을 일일이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술이 편리하고 시술시간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10)이 상단부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상광하협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슬릿(110)이 상광하협형상을 가지면, 채취팁(100)의 하단부에는 슬릿(110)의 폭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채취팁(100)의 절취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슬릿(110)의 상단부는 비교적 폭이 넓기 때문에 채취하고자 하는 모낭유닛의 모낭 개수에 상관없이 범용성 있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인 요구 확대 정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110)의 하단부에는 하단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12)가 형성되고, 이 경사부(112)에 경사날(113)이 형성된다. 이 경사부(112)에 의해 슬릿(110)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슬릿(110)의 하단에 경사날(113)을 가지는 경사부(112)가 형성되면, 채취팁(100)을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채취팁(100)을 피부로 가압하면서 좌우로 회전시킬 때 상기 경사부(112)의 경사날(113)에 의해서도 피부가 절개되므로 채취팁(100)의 절취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경사날(113)이 형성된 경사부(112)가 슬릿(110)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폭이 넓기 때문에, 모낭 채취시에 상기 경사날(113)에 의해 모(毛)가 절단될 우려도 적다.
2. 모낭 3. 모(毛)
100. 채취팁 102. 연결부
104. 하단날 110. 슬릿
110a. 제1슬릿 110b. 제2슬릿
112. 경사부 113. 경사날

Claims (4)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관의 하단부에는 내부 중공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부로부터 일정 폭과 길이로서 절개되도록 하여 모낭 채취시에 모낭의 모(毛)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슬릿(110)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110)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하면서 경사지도록 하여 경사부(112)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112)에는 경사날(11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절개식장모 모낭 채취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110)은 상호 대응되는 면으로 제1슬릿(110a)과, 상기 제1슬릿(1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슬릿(110b)을 형성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절개식장모 모낭 채취팁.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2997U 2017-06-13 2017-06-13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 KR200489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97U KR200489610Y1 (ko) 2017-06-13 2017-06-13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997U KR200489610Y1 (ko) 2017-06-13 2017-06-13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95U KR20180003595U (ko) 2018-12-21
KR200489610Y1 true KR200489610Y1 (ko) 2019-07-10

Family

ID=6495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997U KR200489610Y1 (ko) 2017-06-13 2017-06-13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1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9714A (ja) 2005-09-30 2010-12-16 Restoration Robotics Inc 毛嚢ユニットの採収および移植用の自動システム
KR101716854B1 (ko) * 2016-07-22 2017-03-15 박재현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40B1 (ko) * 2008-08-22 2011-03-04 허을 의료용 자동 트위스트 천공기 시스템
US20120289976A1 (en) * 2009-11-13 2012-11-15 Rimscience Co., Ltd. Surgical device and medical needle module having indication function
KR101516320B1 (ko) 2015-01-21 2015-05-06 주식회사 하이로닉 모낭 채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9714A (ja) 2005-09-30 2010-12-16 Restoration Robotics Inc 毛嚢ユニットの採収および移植用の自動システム
KR101716854B1 (ko) * 2016-07-22 2017-03-15 박재현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595U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2042B2 (ja) 毛胞摘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器具
KR101437253B1 (ko) 피봇 구동하는 고정유지 부재를 가진 모낭 유닛 제거 도구
US72617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US7156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US9259236B1 (en) Hair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with localized subsurface dermal fluid insertion
US9987038B2 (en) Follicle punch for use with curled follicles
US5910121A (en) Biopsy device
US200400929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follicular hair transplantation
US20060178677A1 (en) Hair punch
US20080051805A1 (en) Hair Follicle Coring Tool and System Based Thereon
JP2001309919A (ja) 骨髄生検アセンブリ及び骨髄生検の採取方法
US5961529A (en) Hourglass-shaped dermal punch and methods for its use
KR200489610Y1 (ko) 비절개식 장모 모낭 채취팁
KR101874998B1 (ko) 투명부를 구비한 펀칭 니들 및 이를 이용하는 핸드피스
KR20000065685A (ko) 모발 이식장치
KR20190091273A (ko) 긴 형태의 모낭의 추출을 위한 니들을 구비한 장치
NL1032931C1 (nl) Werkwijzen en inrichtingen voor haartransplantatie.
KR102102399B1 (ko) 모발 채취용 핸드피스
KR102226088B1 (ko) 식모 장치
EP2679168A1 (en) Safety shield for a needle assembly
WO2018231169A1 (en) Apparatus with needle for the extraction of long hair follicles
AU2016266109B1 (en) Follicle Extracting Instrument and Method
KR102539312B1 (ko) 모발 이식용 모발 추출기
US201502896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on of folicular units
JPH06315493A (ja) 採毛植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72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7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19

Effective date: 201906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