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53Y1 - 로프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53Y1
KR200489553Y1 KR2020170004720U KR20170004720U KR200489553Y1 KR 200489553 Y1 KR200489553 Y1 KR 200489553Y1 KR 2020170004720 U KR2020170004720 U KR 2020170004720U KR 20170004720 U KR20170004720 U KR 20170004720U KR 200489553 Y1 KR200489553 Y1 KR 200489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guide portion
attachment means
guide
assi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67U (ko
Inventor
손호진
김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5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2Sling or load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로프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로프 보조 장치는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로프를 가이드하여 일정 형상을 갖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로프를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프 보조 장치{Rope assis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로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프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샤클이 이용될 수 있다. 샤클의 일측에 로프 또는 와이어가 연결되고, 샤클의 다른 일측에 다른 로프 또는 와이어가 연결되거나 중량물이 연결될 수 있다.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로프 또는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샤클의 직경에 따라 적절한 직경의 로프 또는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3619호 (2013.10.02)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로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로프 보조 장치의 일 면(aspect)은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로프를 가이드하여 일정 형상을 갖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로프를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프를 수용하여 상기 로프의 이탈을 제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 1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고정 밴드, 및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부착 수단에 탈착 가능한 제 2 부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착 수단 및 상기 제 2 부착 수단은 선택적으로 벨크로의 갈고리 또는 걸림 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프를 가이드하여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측 말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방향 전환부와 상기 각도 조절부를 연결하고, 상기 방향 전환부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각도 조절부에 힘을 작용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에 의하여 로프가 가이드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가 설치된 로프에 의하여 지지 대상물이 지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에 의하여 로프가 가이드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로프 보조 장치(10)는 가이드부(100) 및 고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100)는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로프를 가이드하여 일정 형상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프의 양측 말단이 크레인의 후크 등에 연결되고, 로프의 나머지 부분을 늘어뜨린 경우 로프의 진행 방향이 전환된다. 예를 들어, 크레인의 후크에 연결된 로프의 양측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다가 방향이 전환되어 서로 만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00)는 로프의 중단에 설치되어 로프의 형상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대체로 "U"자의 형상을 갖고,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로프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로프를 수용하여 로프의 이탈을 제한하는 가이드 홈(GR)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GR)은 가이드부(10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GR)에 수용된 로프는 가이드부(100)의 형상에 따라 그 배치 형태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
고정부(200)는 로프를 가이드부(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00)는 고정 밴드(210) 및 벨크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밴드(210)는 일측이 가이드부(100)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 1 부착 수단(221)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에는 제 2 부착 수단(222)이 구비되는데, 제 1 부착 수단(221)은 제 2 부착 수단(222)에 탈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부착 수단(221) 및 제 2 부착 수단(222)은 벨크로(2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부착 수단(221) 및 제 2 부착 수단(222)은 선택적으로 벨크로(220)의 갈고리 또는 걸림 고리일 수 있다.
제 1 부착 수단(221)이 제 2 부착 수단(222)에 부착되는 경우 고정 밴드(210)는 가이드부(100)와 함께 링을 형성하는데, 해당 링을 관통하는 로프는 고정 밴드(210)에 의하여 가이드부(10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에 의하여 로프가 가이드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가 설치된 로프에 의하여 지지 대상물이 지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로프(RP)는 로프 보조 장치(10)에 의하여 가이드 될 수 있다.
로프 보조 장치(10)가 설치된 로프(RP)는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서 일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로프(RP)의 해당 부분은 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해당 호를 구성하는 원의 직경(이하, 방향 전환 직경이라 한다)(D)은 로프 보조 장치(10)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 보조 장치(1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로프 보조 장치(10)가 설치된 경우 방향 전환 직경(D)은 증가할 수 있다.
작업 환경에 따라 로프(RP)의 직경(d)과 방향 전환 직경(D)의 비율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작업 환경의 경우 로프 직경(d)에 대한 방향 전환 직경(D)의 비율(D/d)이 일정 크기 이상인 것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이다.
로프 보조 장치(1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방향 전환 직경(D)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해당 로프(RP)는 작업에 이용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방향 전환 직경(D)을 제공하는 로프(RP)는 그 로프 직경(d)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로프(RP)를 이용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10)가 이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로프 직경(d)을 갖는 로프(RP)도 상대적으로 큰 방향 전환 직경(D)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에 의하여 로프가 가이드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10)는 로프의 방향 전환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가이드부(100)는 형상 기억 합금일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은 사전에 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가이드부(100)의 사전 설정 형상은 "U"자 형태일 수 있다. 즉, 가이드부(100)의 양측 말단은 직선으로서 서로 평행하고, 만나는 부분에는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0)의 서로 만나는 부분은 로프(RP)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하, 가이드부(100)의 중단으로서 서로 만나는 부분을 방향 전환부라 한다.
가이드부(100)의 양측 말단은 방향 전환부에서 진행하는 로프(RP)의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가이드부(100)의 양측 말단을 각도 조절부라 한다.
로프(RP)는 운용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RP)의 양측 말단이 매듭으로 결합되고 로프(RP)의 중단에 의하여 지지 대상물(SK)이 지지되는 경우 로프(RP)는 전체적으로 물방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로프(RP)의 양측 말단이 수직 방향으로 늘어진 경우 로프(RP)는 전체적으로 "U"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로프 보조 장치(10)가 "U"자의 형상을 갖고, 복원 능력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로프(RP)의 형상에 적응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로프(RP)가 물방울의 형상을 가진 경우 로프 보조 장치(10)가 로프(RP)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면서 물방울의 형상을 만들기 때문에 도 2 내지 도 4의 로프(RP)의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로프(RP)가 "U"자의 형상을 가진 경우 로프 보조 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의 형상으로 로프(RP)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로프 보조 장치(10)가 "U"인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도 조절부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부에서 연장되어 서로 모이도록 경사지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각도 조절부는 방향 전환부에서 연장되어 서로 벌어지도록 경사지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로프 보조 장치(20)는 가이드부(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300)는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로프(RP)를 가이드하여 일정 형상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부(400)는 로프(RP)를 가이드부(3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부(300) 및 고정부(400)의 기능 및 형태는 전술한 가이드부(100) 및 고정부(200)와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300)는 방향 전환부(310), 각도 조절부(320) 및 연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향 전환부(310)는 로프(RP)를 가이드하여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프(RP)는 방향 전환부(310)에 지지되어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전환부(310)는 호의 형상을 가지고 로프(RP)를 지지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320)는 방향 전환부(310)의 양측 말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방향 전환부(310)와 각도 조절부(320)는 연결부(5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00)는 각도 조절부(320)가 방향 전환부(3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부(320)와 방향 전환부(31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부(500)는 힌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부(310)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각도 조절부(320)에 힘을 작용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320)에 작용하는 힘은 방향 전환부(310)에 연결되지 않은 양측 각도 조절부(320)의 말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각도 조절부(320)에 힘을 작용하기 위하여 연결부(500)에는 탄성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500)가 양측 각도 조절부(320)에 힘을 작용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로프(RP)의 내측 공간이 확장되고, 다양한 로프(RP)의 운용 형태에 로프 보조 장치(2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로프 보조 장치 100, 300: 가이드부
200, 400: 고정부 210: 고정 밴드
220: 벨크로 221: 제 1 부착 수단
222: 제 2 부착 수단 310: 방향 전환부
320: 각도 조절부 500: 연결부

Claims (5)

  1.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로프를 가이드하여 일정 형상을 갖도록 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로프를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프를 가이드하여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측 말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양측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방향 전환부에 상기 양측 각도 조절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양측 각도 조절부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양측 각도 조절부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로프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프를 수용하여 상기 로프의 이탈을 제한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로프 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제 1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고정 밴드; 및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부착 수단에 탈착 가능한 제 2 부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착 수단 및 상기 제 2 부착 수단은 선택적으로 벨크로의 갈고리 또는 걸림 고리를 포함하는 로프 보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로프 보조 장치.
  5. 삭제
KR2020170004720U 2017-09-06 2017-09-06 로프 보조 장치 KR200489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20U KR200489553Y1 (ko) 2017-09-06 2017-09-06 로프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20U KR200489553Y1 (ko) 2017-09-06 2017-09-06 로프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67U KR20190000667U (ko) 2019-03-14
KR200489553Y1 true KR200489553Y1 (ko) 2019-07-05

Family

ID=6572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20U KR200489553Y1 (ko) 2017-09-06 2017-09-06 로프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5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278A (ja) * 2000-05-30 2001-12-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動展開する吊上げ装置
JP2009046254A (ja) * 2007-08-20 2009-03-05 Eagle Kuranpu Kk スリングプロテク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683A (ja) * 1991-11-18 1993-06-08 Teruki Nishimori ワイヤエンド用保持具
KR101313619B1 (ko) 2011-09-08 2013-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샤클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278A (ja) * 2000-05-30 2001-12-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動展開する吊上げ装置
JP2009046254A (ja) * 2007-08-20 2009-03-05 Eagle Kuranpu Kk スリングプロテ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67U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4094B1 (en) Helmet ear loop
US6382355B1 (en) Climbing appliance for roping-up and roping-down operations
WO2017119149A1 (ja) 掴線器
CN101400411A (zh) 单索或双索的系索和溜索设备
WO2002089869A3 (en) Intravascular platforms and associated devices
WO2017119148A1 (ja) 掴線器
CA2476974A1 (en) Tension device for use with a self-retracting lifeline
WO2007102864A3 (en) Hook
KR200489553Y1 (ko) 로프 보조 장치
JP4909210B2 (ja) 棒状体落下防止装置
RU2011113162A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адения
EP2778108B1 (en) Assembly to couple a conduit to a crane
KR20150136555A (ko) 안전대 죔줄
US20190315286A1 (en) Bike retaining device
JP5201100B2 (ja) 車椅子吊り装置
JP5711936B2 (ja) 搭載艇揚降装置
AU2012202230B2 (en) Rigging for vehicles
EP1070862B1 (en) Wide base perpendicular hook karabiner
JP6761385B2 (ja) フルハーネス型安全帯用の中継器具及び二重安全対策方法
JP3064252B2 (ja) クレ−ンマストの折りたゝみ機構
JP4522223B2 (ja) 安全帯のランヤード接続用フック
CN104709760B (zh) 放线器的放线方法
JP4456981B2 (ja) 電線ベンダー装置
GB2493565A (en) Rope protector for an edge
KR200451743Y1 (ko) 줄넘기용 줄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