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30Y1 - 배관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30Y1
KR200489530Y1 KR2020170005410U KR20170005410U KR200489530Y1 KR 200489530 Y1 KR200489530 Y1 KR 200489530Y1 KR 2020170005410 U KR2020170005410 U KR 2020170005410U KR 20170005410 U KR20170005410 U KR 20170005410U KR 200489530 Y1 KR200489530 Y1 KR 200489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ipe
screw
piping
hydraulic 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98U (ko
Inventor
조관희
박규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5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3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9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1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ax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배관 보호 장치는 배관의 외면을 둘러싼 클램프가 지지부를 관통하며, 클램프는 배관의 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탈할 시, 클램프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보호 장치{Piping protection device}
본 고안은 배관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정주기 운전 및 펌프를 작동시킬 경우,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격작용(Water Hammering)으로 인하여, 배관 내부의 압력이 높아짐으로써, 배관의 흔들림이 지속되어, 배관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배관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관의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과제는 배관의 흔들림을 줄여주어, 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과제는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지지부를 관통하며, 클램프가 지지부로부터 이탈될 시, 클램프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켜, 지지부와 배관 사이의 유격을 줄여줌으로써, 배관이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배관 보호 장치는, 배관의 외면을 둘러싼 클램프는 지지부를 관통하며, 클램프는 배관의 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탈할 시, 클램프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지지부의 외면들 중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과, 제2 방향을 바라보는 타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클램프를 수용하며, 이동부는, 지지부의 일면보다 클램프가 외부로 노출되면 클램프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부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와, 유압 공급부와 연결되되, 유압을 안내하는 호스와, 호스를 통한 유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시에 클램프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램과, 일단은 클램프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램을 관통하여 유압램의 제2 방향 측의 말단에 연결되되 유압램의 연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램프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루 및 일측은 지지부의 외면들 중 제2 방향을 바라보는 타면에 접촉되게 고정되며, 타측은 유압램의 제1 방향 측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제2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된 공간에 유압램의 제1 방향 측의 말단이 수용되어 고정되며, 배관이 이탈할 시, 이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배관은 원래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배관의 흔들림을 줄여주어, 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발전소 운전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지지부를 관통하며, 클램프가 지지부로부터 이탈될 시, 클램프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켜, 지지부와 배관 사이의 유격을 줄여줌으로써, 배관이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보호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보호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관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배관이 흔들릴 경우, 배관 내부를 유동중인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은 배관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을 감싸는 클램프가 지지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배관과 지지부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줄여줌으로써, 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보호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관 보호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제1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2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의 외면을 둘러싼 클램프(20)는 지지부(1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클램프(20)가 배관의 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탈할 시, 배관 보호 장치는 클램프(2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구동될 수 있다.
배관 보호 장치는 배관(1)의 외면을 둘러싼 클램프(20)가 배관의 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탈할 시, 클램프(20)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부(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는 지지부(10)의 외면들 중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과, 제2 방향을 바라보는 타면 사이의 내부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11)에 클램프(20)가 수용될 수 있다.
일예로, 내부 공간(11)의 내측 둘레와, 클램프(20)의 외면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배관(1)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격작용 등에 의하여, 배관(1)이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배관(1)의 흔들림에 의하여, 배관(1)을 둘러싼 클램프(20)는 제1 방향으로 이탈하여, 지지부(10)의 일면보다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클램프(20)가 지지부(10)의 일면보다 외부로 노출될 경우, 배관(1)과 지지부(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어, 배관(1)의 흔들림이 보다 심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10)의 일면보다 클램프(20)가 외부로 노출될 시, 이동부(30)는 클램프(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내부 공간(11)에 클램프(20)를 배치시킴으로써, 배관(1)과, 내부 공간(11)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줄여주어, 배관(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부(30)는 클램프(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유압 공급부(33), 호스(32), 유압램(3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압 공급부(33)는 유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호스(32)는 유압 공급부(33)와 연결되어, 유압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압램(31)은 호스(32)를 통한 유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압램(31)과 호스(32)는 기밀이 유지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압램(31)은 클램프(20)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연장 시, 클램프(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클램프(20)가 지지부(10)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탈될 시, 유압램(31)에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스크루(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루(34)의 일단은 클램프(20)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크루(34)의 타단은 유압램(31)을 관통하여, 유압램(31)의 제2 방향 측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스크루(34)는 유압램(31)의 연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클램프(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배관(1)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배관일 수 있으며, 배관(1) 내부에는 냉각수 등이 유동될 수 있다. 유체의 수격작용(Water Hammering)으로 인하여, 배관(1)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배관(1)의 흔들림이 지속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클램프(20)가 제1 방향으로 이탈될 경우, 클램프(20)를 신속하게 원래 위치로 복원시킴으로써, 원자력 발전 운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동부(30)는 고정부재(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8)는 유압램(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8)의 일측은 지지부(10)의 타면 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측은 유압램(31)의 제1 방향 측의 말단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압램(31)의 제1 방향 측의 말단은 고정되고, 유압램(31)의 제2 방향 측의 말단은 연장되면서, 흔들림 없이 스크루(34)의 이동을 안내하여, 클램프(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8)는 H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에 유압램(31)의 제1 방향 측의 말단이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개구된 공간에는 스크루(34)가 통과되도록 통과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8)는 유압램(31)의 작동시, 유압램(31)이 흔들리거나, 유압램(31)의 제1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여, 유압램(31)의 제2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루(34)의 일단은 클램프(20)를 관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34)의 일단은 클램프(20)의 외면들 중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보다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너트(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너트(35)는 스크루(34)의 돌출된 부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너트(35)는 스크루(34)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램프(20)의 일면에 면 접촉하여 클램프(20)를 제2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유압램(31)의 연장 시, 너트(35)는 클램프(20)를 가압할 수 있는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스크루(34)의 돌출된 부분에 플레이트(36)가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36)는 클램프(20)의 외면들 중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너트(35)는 스크루(34)와의 체결에 의하여, 플레이트(36)의 제1 방향 측에 면 접촉되도록 구성될 있다.
유압램(31)의 연장 시, 너트(35)는 플레이트(36)와 함께, 클램프(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 이동부(30)를 배관(1)의 측면에 배치되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배관(1)의 상단에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3에 이동부(30)를 2개 배치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1 개 혹은 2개 이상으로 배치된 구성 또한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는 배관(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한 쌍으로 체결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20a, 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2 클램프(20a, 20b)는 제1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나사(4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20a, 20b)의 나사(41) 결합에 의하여, 배관(1)을 지지할 수 있다.
스크루(34)는 제1 및 2 클램프(20a, 20b)가 마주하는 사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사(41)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스크루(34)에 관통된 플레이트(36)는 너트(35)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6)는 한 쌍으로 체결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20a, 20b)의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압램(31)의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스크루(34)에 결합된 플레이트(36) 및 너트(35)는 클램프(20)의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을 가압하여, 클램프(2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관(1)의 양단에는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배관(1)이 흔들릴 경우, 유압램(31)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램프(20)를 수용 공간(11)에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프(20)와 수용 공간(11)의 유격이 적어지게 되어, 배관(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34)는 배관(1)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배관(1)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사(41)는 스크루(34)와 배관(1) 사이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및 2 클램프(20a, 20b)가 마주하는 사이에 스크루(34)가 배치된 후, 제1 및 2 클램프(20a, 20b)의 제1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나사(41)가 결합될 수 있다. 나사(41) 결합에 의하여, 스크루(34)는 클램프(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지지부(10)의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의 연장된 선에 대응되게, 배관(1)에 선을 마킹할 수 있다. 이후에, 클램프(20)가 이탈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시, 사용자는 배관(1)에 표시한 선과 지지부(10)의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에 대응되게 유압 공급부(33)에 유압을 공급하여, 클램프(20)를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유압 공급부(33)에 유압을 공급하기 전에, 배관(1)과, 배관(1)의 외면을 둘러싼 클램프(20)가 접촉하는 면에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후에, 나사(41)를 보다 강하게 조여, 제1 및 2 클램프(20a, 20b)를 배관(1)에 고정시킨 후, 유압 공급부(33)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배관(1)의 외면과, 클램프(20)가 접촉하는 면에 윤활제가 도포됨으로써, 클램프(20)는 배관(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클램프(20)가 고정된 자리에서 이탈할 시, 신속하게 클램프(2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킴으로써, 수용 공간(11)과 배관(1)의 유격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배관(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배관 10: 지지부
20: 클램프 30: 이동부

Claims (8)

  1.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배관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외면을 둘러싼 클램프는 지지부를 관통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배관의 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탈할 시, 상기 클램프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들 중 상기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과, 상기 제2 방향을 바라보는 타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보다 상기 클램프가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클램프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동부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
    상기 유압 공급부와 연결되되, 상기 유압을 안내하는 호스;
    상기 호스를 통한 상기 유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 시에 상기 클램프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램;
    일단은 상기 클램프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램을 관통하여 상기 유압램의 상기 제2 방향 측의 말단에 연결되되 상기 유압램의 연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클램프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루;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의 외면들 중 상기 제2 방향을 바라보는 타면에 접촉되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유압램의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공간에 상기 유압램의 상기 제1 방향 측의 말단이 수용되어 고정되며,
    상기 배관이 이탈할 시, 상기 이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배관은 원래위치로 복원되는 배관 보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H빔 형태로 형성된 배관 보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의 일단은, 상기 클램프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프의 외면들 중 상기 제1 방향을 바라보는 일면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스크루의 돌출된 부분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크루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클램프의 일면에 면접촉하여 상기 클램프를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압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배관 보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배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한 쌍으로 체결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2 클램프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나사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스크루는, 상기 제1 및 2 클램프가 마주하는 사이를 관통하되, 상기 나사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배관 보호 장치.
KR2020170005410U 2017-10-19 2017-10-19 배관 보호 장치 KR200489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10U KR200489530Y1 (ko) 2017-10-19 2017-10-19 배관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10U KR200489530Y1 (ko) 2017-10-19 2017-10-19 배관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98U KR20190000998U (ko) 2019-04-29
KR200489530Y1 true KR200489530Y1 (ko) 2019-07-02

Family

ID=6624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10U KR200489530Y1 (ko) 2017-10-19 2017-10-19 배관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30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696A (ja) * 1993-05-10 1994-11-15 Toshiba Corp 排気管反力低減装置
KR100358526B1 (ko) * 2001-03-12 2002-10-3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합성수지관의 어댑터 융착방법
KR101226006B1 (ko) * 2010-11-19 2013-0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지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98U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420B1 (ko) 수압 테스트용 지그
AR037625A1 (es) Junta roscada tubular superior que comprende por lo menos un elemento roscado con labio de extremo
JP5237657B2 (ja) 重機用リリーフバルブ
CA2944828A1 (en) Fitting for coupling to a pipe
US20160169385A1 (en) Energized screw gland
US8783731B2 (en) Connecting arrangement
KR200489530Y1 (ko) 배관 보호 장치
CN105437143A (zh) 气门锁夹的安装辅具
SE457029B (sv) Taetningsanordning vid kaernkraftreaktor
JP2004500520A (ja) 作用シリンダ内にて圧力媒体の作用を受けるピストンのための密封装置
CN205423668U (zh) 黏弹性减振器
JP6430012B2 (ja) 高圧接続装置、燃料高圧ポンプおよび燃料高圧ポンプ用の高圧接続装置を製造する方法
CN106164500A (zh) 液压缸盖
US6829975B2 (en) Hydraulic percussion apparatus
JP2017082879A (ja) 止水装置
DK2189703T3 (da) Sikkerhedsindretning til en højtryksforbindelsesdel ved et hydraulikudstyr
FI77516B (fi) Arrangemang foer tillspaenning av flaetade taetningar.
JP4593409B2 (ja) 伸縮可撓継手構造
CN213206080U (zh) 一种水泵密封结构
KR101122125B1 (ko) 배관 접속용 기밀장치
KR100963535B1 (ko)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마모 방지장치
KR200488615Y1 (ko) 내부케이싱 정렬장치
JP2743485B2 (ja) 大径管用伸縮継手の据付工法
JP6155153B2 (ja) 油圧ブレーカ
EP1704360B1 (en) A plug t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