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99Y1 - 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 - Google Patents

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99Y1
KR200489399Y1 KR2020190000418U KR20190000418U KR200489399Y1 KR 200489399 Y1 KR200489399 Y1 KR 200489399Y1 KR 2020190000418 U KR2020190000418 U KR 2020190000418U KR 20190000418 U KR20190000418 U KR 20190000418U KR 200489399 Y1 KR200489399 Y1 KR 200489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band
band
waist
rod
velcro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인식
Original Assignee
(주)데르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르마 filed Critical (주)데르마
Priority to KR2020190000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9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9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가 위치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이고, 상기 힙 시트부재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제1허리 밴드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허리 밴드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에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되는 제3허리 밴드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밴드 연결구를 포함하여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착용하거나 벗을 때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재착용 시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어 착용 시 번거로움을 줄여 착용 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키고, 힙 시트 캐리어의 상품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ist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which is a waist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in which a hip sheet member on which a baby's hip is seated is placed and worn on the waist of a wearer, A third waistband member re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attached to the second waistband member with a Velcro tape, a second waistband member re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a band connecting member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waist 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 band member. The Velcro tape is detached in a state in which the Velcro tape is attached, improves convenience when worn or removed, If you want to re-adjust the length of your waist, Is not possible to improve further the convenience when worn reduces the hassle equip and greatly increase the commercial value of the heap sheet carrier.

Description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본 고안은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벗을 수 있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에 관한 고안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which can be easily taken off with a velcro tape attached thereto.

일반적으로 아기를 안거나 업는데 사용하기 위해 기존의 포대기의 불편함을 해소한 아기띠가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 baby band is used to relieve the inconvenience of a conventional swab to use to hold or lift a baby.

아기띠는 유아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고자 할 때 유아를 감싸는 상태로 하여 유아의 몸통을 받쳐 주는 등받이 패드와, 상기 등받이 패드의 양측에 형성하여 보호자의 어깨에 메는 어깨벨트 및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벨트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아기띠를 사용할 경우 보호자가 양팔로 유아를 안는 것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들고 보호자의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수면중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 backrest pad for supporting the infant's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is wrapped around the infant when the infant is raised on the back of the infant or on the back of the back of the infant when the infant is to be held on the back of the infant or the shoulder belt on the shoulder of the protector, And a waist belt for wrapping. When the baby band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ed, the guard is less in strength than the baby holding the two arms, and the two arms of the guard can be freely used, and the baby can be used even when sleeping.

근래에 들어 무거워지는 아기를 보다 가볍게 안을 수 있도록 아기띠에 힙 시트(HIP SEAT)를 적용한 힙 시트 캐리어가 출시되고 있다. 힙 시트 캐리어는 힙 시트(엉덩이 받침부)로 허리에서 아기의 엉덩이를 한 번 더 받쳐주어 아기의 무게를 분산함으로써 착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준다.In recent years, a heap seat carrier has been introduced with a hip seat (HIP SEAT) applied to a baby band to lighten a baby that is getting taller. The HipSheet Carrier is a hip seat (backrest) that once again supports the baby's hips at the waist to reduce the load on the wearer's shoulders by distributing the baby's weight.

힙 시트 캐리어는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가 위치되는 허리 밴드를 허리에 감아 착용하고, 등받이의 양 측에 위치된 어깨 벨트를 어깨에 착용하여 힙 시트에 안착된 아기를 편한하게 안아 줄 수 있게 한다.The HipSheet Carrier can be worn around the waist band with the hip seat on which the baby's buttocks are placed, and the shoulder belt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can be hung on the shoulder to comfortably hold the baby seated on the hip seat. Let's do it.

통상적으로 힙 시트 캐리어의 허리 밴드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은 상태로 양단부 측이 서로 겹쳐져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부착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다.Normally, the waist band of the hip seat carrier is worn on the wearer's waist with the waist of the wearer wrapped around and the two ends are overlapped and attached by the Velcro tape.

즉, 힙 시트 캐리어의 허리 밴드는 양 단부 측에 서로 겹쳐져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가 위치되어 다양한 체형의 착용자가 각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That is, the waist band of the heel seat carrier is provided with Velcro tapes which are superimposed on both end sides so that wearers of various body types can wear them to fit their respective waist circumferences.

그러나 종래의 힙 시트 캐리어의 허리 밴드는 착용자의 다양한 허리 둘레에 맞게 착용될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가 일정 길이 이상 가지도록 위치되므로 허리에 착용할 때 불필요한 길이의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시키거나 분리시켜야 하므로 착용하거나 벗을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waist band of the conventional hip seat carrier is positioned so that the velcro tape is worn over a wide range of waist of the wearer, it is necessary to attach or detach the unnecessary length of the Velcro tape when worn on the waist There was an inconvenience when taking off.

또한, 종래의 힙 시트 캐리어의 허리 밴드는 착용할 때 마다 본인의 허리 둘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해서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ist band of the hip seat carrier has to be attached with Velcro tape by adjusting the length to fi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wearer every time it is worn.

0001)한국등록특허 제10-1916094호 '힙시트 캐리어의 허리밴드 구조체'(2018.11.01.등록)000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916094 'Waist Band Structure of Hip Seat Carrier' (Registered on November 1, 2018)

본 고안의 목적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착용하거나 벗을 때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which improves convenience when the Velcro tape is detached and worn or removed with the tape attach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재착용 시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어 착용 시 번거로움을 줄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el seat carrier which eliminates the need to readjust the length to sui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wearer when the tape is re-worn, And to provide a waist band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가 위치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이고, 상기 힙 시트부재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제1허리 밴드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허리 밴드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에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되는 제3허리 밴드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밴드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in which a hip sheet member on which a baby's hip is seated is worn and worn on the waist of a wearer A first waistband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el sheet member, a second waistband memb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el sheet member, a second waistband member re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A third waistband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by a Velcro tape, and a band connector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본 고안에서 상기 밴드 연결구는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제1밴드 연결부 및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다른 한 측에 위치되고 제1밴드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밴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connector has a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 band member, and a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 band member And a second band connection that is positioned and removably engaged with the first band connection.

본 고안에서 상기 제1밴드 연결부는 세로로 세워져 위치되는 결합 막대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제3허리 밴드부재 중 어느 한 측에 장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트부재 및 상기 결합 막대부재를 상기 제1장착 브라켓트부재에 연결하는 막대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 연결부는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다른 한 측에 장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트부재, 상기 제2장착 브라켓트부재의 일 측에 세워져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막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막대 삽입부가 위치되고 외측면에 상기 막대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막대 삽입부와 연통되고 상부로 개방된 형태의 연결 슬릿부가 위치된 막대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racket member vertically erected, a first mounting bracket member mounted on on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 band member, 1 mounting bracket member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mounted on the other of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A bar insertion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member and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as to insert the bar member therein, communicating with the bar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bar connection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slit portion in the form of a rod-engaging member.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 막대부재는 상기 막대 연결부재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외주면에 잠금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막대 결합부재에는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 삽입부가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rod member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rod connecting member and is elastically warped, and a locking protrusion is protru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od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od coupling member, have.

본 고안에서 상기 밴드 연결구는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와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의 벨크로 테이프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가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connector may include a Velcro tap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and a removable Velcro tape at a portion overlapping the second waistband member.

본 고안에서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에 제1벨크로 테이프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에 제2벨크로 테이프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밴드 연결부와 상기 제2밴드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와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부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제3벨크로 테이프부가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istband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Velcro tape portion, the third waistband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Velcro tape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And a third Velcro tape portion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Velcro tape portion may be positioned at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waistband member.

본 고안에서 상기 제1밴드 연결부와 제2밴드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은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밴드 연결부와 상기 제2밴드 연결부가 서로 결합된 부분을 덮어 커버하는 연결구 커버부재가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 band member, and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A connecting cover member covering and covering the portions joined to each other can be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ist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구 커버부재는 하단부 측이 밴드 연결구의 하부 측에서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밴드 연결구의 상부 측에서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cover member is fixed at the lower end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 band member at the lower side of the band connecting mouth, and the upper end side i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band connecting mouth, A waistband member, or an inner surface of the third waistband member.

본 고안에서 상기 제1밴드 연결부는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상단부로 일부 돌출되는 조작 막대부재,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조작 막대부재가 하강될 때 결합 막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잠금이동부재 및 상기 잠금이동부재를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막대 결합부재에는 복수의 잠금이동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잠금돌기 삽입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is positioned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within the coupling rod member and is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rod member and is protrud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rod membe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ock moving members inserted into the engaging rod member when the operation rod member is lowered; and a spr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 moving member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The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lock moving member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hooked.

본 고안에서 상기 잠금이동부재는 서로 대향되게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잠금이동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잠금이동부재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어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moving members are provided in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spr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lock moving members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lock moving members by pushing them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본 고안에서 상기 잠금이동부재는 단부 측에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단부에 이동을 위한 제1경사면이 위치된 이동 돌기부가 돌출되며, 상기 조작 막대부재는 하단부 측에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이동 돌기부 사이에 위치되어 하강 시 상기 이동 돌기부를 밀어 이동시키며 상기 제1경사면과 맞닿아 하강 시 상기 잠금이동부재를 상기 결합 막대부재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경사면이 위치되는 한쌍의 가압 돌기부가 돌출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 moving member is positioned on the end sid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and a movable projection portion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for movement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lock moving member to the inside of the engaging rod member upon abutmen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od member and the moving projection, A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can be protruded.

본 고안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착용하거나 벗을 때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when the Velcro tape is detached in the state that the Velcro tape is attached.

본 고안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재착용 시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어 착용 시 번거로움을 줄여 착용 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키고, 힙 시트 캐리어의 상품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This design eliminates the need to re-adjust the length to match your waist circumference when you re-wear it with the Velcro tape attached and adjusted in length to fit your waist circumference. And the merchantability of the heap sheet carrier is greatly increas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가 적용된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에서 밴드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ip seat carrier to which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nd connector in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is desig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가 적용된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ip seat carrier to which a waist band structure 200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p band carrier structure 200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waist band structure 200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의 일 실시예는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100)를 포함한다.FIG. 1 shows an embodiment of a heap shee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h sheet member 100 on which a baby's hip is seated.

힙 시트부재(100)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밴드 구조체(200)에 위치되고, 허리 밴드 구조체(200)가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허리 밴드 구조체(200)에 의해 착용자의 배부분에 위치된다. The hip sheet member 100 is located in the waistband structure 200 worn on the wearer's waist and is positioned on the waistband structure 200 by the waistband structure 200 in a state where the waistband structure 200 is worn on the waist do.

허리 밴드 구조체(200)는 내부 패드 장착과 넓은 단면적으로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고, 아기의 하중을 한 번 더 허리에서 잡아주게 되어 아기의 체중을 분산시키므로 아기를 앉고 있을 때의 무거움을 감소시키고 어깨 통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Since the waistband structure 200 is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with an inner pad and a wide cross-sectional area, the waist is unreasonable, and the load of the baby is gripped once more from the waist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baby,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houlder pain and reduce the role.

힙 시트부재(100)는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주기 위한 부분으로 허리 밴드 구조체(200)가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배부분에 위치되어 착용자가 아기를 안아 감쌀 수 있도록 한다. The hip sheet member 100 i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hip of the baby, and is positioned at the abdomen portion of the wearer with the waist band structure 200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so that the wearer can cover the baby.

힙 시트부재(100)는 상부면에 아가가 앉을 수 있는 넓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hip sheet member 100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n area capable of sitting on an upper surface thereof.

힙 시트부재(100)의 상부면과 착용자의 배에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각각 안장 완충 패드부재(1100)과 배 완충 패드부재(1200)가 위치된다. The saddle cushioning pad member 1100 and the cushioning pad member 1200 ar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el sheet member 100 and the inner surface contacting the wearer's abdomen.

힙 시트부재(100)는 천 재질의 힙 시트 내부에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는 보형물이 삽입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공지의 힙 시트 캐리어에서 공지된 구조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heath sheet memb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osthesis that can support a baby's hips is inserted into a heap sheet of a cloth material and is known in a known heap sheet carri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한편, 힙 시트부재(100)의 상부 측에는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지지하는 등받이부재(300)가 위치되고, 등받이부재(300)의 양 측에는 착용자의 팔이 관통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부재(400)가 각각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ide of the heel sheet member 100, a backrest member 300 for supporting a baby's back or belly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member 300, a shoulder belt Member 40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등받이부재(300)는 하단부가 힙 시트부재(100)의 상부 측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힙 시트부재(100)의 바깥쪽 원호 라인 중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힙 시트부재(100)에 앉은 아기의 등 또는 배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backrest member 300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eath sheet member 100 and fix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arc lines of the heath sheet member 100, Or the like to be stably supported.

등받이부재(300)는 앞면쪽으로 노출되는 겉감이 면 소재 또는 캔버스 소재로 되고 안쪽에서 아기와 닿는 안감이 에어메쉬 또는 메쉬소재로 되어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The backrest member 300 is made of a cotton or canvas material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rest member 300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backrest member 300 is made of an air mesh or mesh material so that ventilation is performed.

어깨 벨트부재(400)는 일단부가 등받이부재(300)의 상부 측에 봉재로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등받이부재(300)의 하부 측에 봉재로 고정되어 착용자의 팔이 통과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걸어 아기의 하중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One end of the shoulder belt member 40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ckrest member 300 by a bar member and the lower end side thereof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ckrest member 300 by a bar material so that the arm of the wearer is passed, As shown in FIG.

또한, 등받이부재(300)의 상부 측에는 목받침 후드부재(600)가 접혀질 수 있도록 위치된다.Fur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backrest member 300, the neck support hood member 600 is positioned so as to be foldable.

목받침 후드부재(600)는 아기의 목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아기의 머리 상부 측에서 어깨 벨트부재(400)에 각각 양 단부 측이 각각 결합되어 아기에게 그늘을 형성할 수 있는 목받침 후드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eck support hood member 600 may be used to support the neck of a baby or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houlder belt member 400 on the upper side of the baby's head to form a necklace hood member (600).

목받침 후드부재(600)는 등받이부재(300)의 외측면 양 측에 스냅 단추 등의 후드 연결구(610)를 통해 양 단부 측이 각각 결합되어 목받침으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neck support hood member 600 can be used as a neck support by being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backrest member 300 through the hood connector 610 such as a snap button or the like.

목받침 후드부재(600)는 어깨 벨트부재(400)의 상부 측에 스냅 단추 등의 후드 연결구(610)로 양 단부 측이 각각 결합되어 아기에게 그늘을 형성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The neck support hood member 600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shade for a baby by joining both end sides to the upper side of the shoulder belt member 400 with a hood connector 610 such as a snap button or the like.

목받침 후드부재(600)의 양 단부 측을 등받이부재(300) 또는 어깨 벨트부재(400)에 연결하는 후드 연결구(610)는 스냅 단추, 벨크로 테이프 등 공지의 탈부착 가능한 연결구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hood connector 610 connecting both end sides of the neck support hood member 600 to the backrest member 300 or the shoulder belt member 400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a known detachable connection member such as a snap button or a Velcro tape As shown in Fig.

한편, 허리 밴드 구조체(200)는 힙 시트부재(100)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제1허리 밴드부재(210), 힙 시트부재(100)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허리 밴드부재(220),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허리 밴드부재(220)에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되는 제3허리 밴드부재(230)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waistband structure 200 includes a first waistband member 21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ath sheet member 100, a second waistband member 220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ath sheet member 100, And a third waistband member 23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attached to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by a Velcro tape so a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earer's waist wrap .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는 밴드 연결구(24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re detachably connected by a band connector 240.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제1벨크로 테이프부(221)가 위치되고,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제1벨크로 테이프부(221)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제2벨크로 테이프부(231)가 위치된다.The first waistcoat portion 221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and the first Velcro tape portion 221 is dispos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 And a second detachable Velcro tape portion 231 is disposed.

본 고안에서는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외측면에 제1벨크로 테이프부(221)가 위치되고,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내측면에 제2벨크로 테이프부(231)가 위치되어 제3허리 밴드부재(230)가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외측면을 덮어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붙였다 떼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first Velcro tape portion 221 is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and the second Velcro tape portion 231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Velcro tape.

제3허리 밴드부재(230)는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외측을 덮도록 위치된다.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is position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by a Velcro tape.

허리 밴드 구조체(200)는 제1벨크로 테이프부(221)와 제2벨크로 테이프부(231)가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에 맞게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The waistband structure 200 can be worn to fit the waist of the wearer by adjusting the length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Velcro tape portion 221 and the second Velcro tape portion 231 overlap.

즉, 허리 밴드 구조체(200)는 벨크로 테이프의 부착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따라 전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 시 다양한 체형을 가지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게 착용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waist band structure 200 can be adjusted to the entire waist circumference of the wearer by adjusting the attachment length of the Velcro tape, so that it can be worn around the wearer's waist having various body shapes when worn.

또한, 허리 밴드 구조체(200)는 제2허리 밴드부재(22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밴드 연결구(240)를 통해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를 분리시켜 착용자의 허리에서 간단하게 벗을 수 있게 된다. The waistband structure 200 also includes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ttach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via the band connector 240 with the Velcro tape attached thereto.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can be separated from the waist of the wearer easily.

또한, 허리 밴드 구조체(200)는 제2허리 밴드부재(22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 즉,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게 전체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가 분리되므로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를 연결하여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될 때 다시 허리 둘레에 맞게 전체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In the waistband structure 200,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Velcro tape is attached, that is, the entire length is adjusted to fit the waist of the wearer, Since the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re connected again to each other to be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again to fit the waist circumference.

한편, 허리 밴드 구조체(200)는 외측면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를 조이는 허리띠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istband structure 200 may further include a waistband member 500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istband structure 200 to fasten the waist of the wearer while being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허리띠부재재(500)는 제1허리 밴드부재(210)의 외측면 또는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외측면에 일단부 측이 고정되는 제1허리띠부(5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외측면에 일단부 측이 고정되어 제1허리띠부(5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허리띠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istband member 500 includes a first waistband portion 510 having one end sid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or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And a second waistband portion 520 having one end sid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istband portion 23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istband portion 510.

제1허리띠부(510)와 제2허리띠부(5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버클과 숫버클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제1허리띠부(510)와 제2허리띠부(520)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는 두개의 끈, 띠, 벨트 등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지의 벨트 연결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first waistband portion 510 and the second waistband portion 5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male buckl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istband portion 510 and the second waistband portion 520, It is noted that the connecting connection which can be connecte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a known belt connecting structure in which two straps, a belt, a belt and the like are detachably connected.

숫버클에는 제1허리띠부(510) 또는 제2허리띠부(5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 클립부가 위치되어 허리띠부재(5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허리 밴드 구조체(200)가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허리띠부재(500)가 착용자의 허리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 The male buckle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clip portion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waistband portion 510 or the second waistband portion 520 to adjust the entire length of the waistband member 500 so that the waistband structure 200 So that the waistband member 500 is able to tighten the waist of the wearer.

길이조절 클립부는 제1허리띠부(510) 또는 제2허리띠부(520)가 가로바를 중심으로 앞측에 위치된 제1띠통과부를 통과한 후 가로바의 뒷측에 위치된 제2통과부를 통과하여 제1허리띠부(510) 또는 제2허리띠부(5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The length adjusting clip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waistband portion 510 or the second waistband portion 520 passes through the first band-passing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ar,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passing portion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horizontal bar, 1, the length of the waistband portion 510 or the second waistband portion 520 can be adjus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허리띠부재(500)는 서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고 있는 싸 조임으로써 제2허리 밴드부(220)와 제3허리 밴드부(230)를 연결하는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을 지지하며 허리 밴드 구조체(200)를 착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허리를 바로 잡아주어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다.The waistband member 500 is connected to the waistband structure 200 to support the connection of the velcro tape that connects the second waistband 220 and the third waistband 230 by wrapping around the waist of the wear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waist by adjusting the waist of the wearer to be close to the waist of the wear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ist band structure 200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ist band structure 200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밴드 연결구(240)는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제1밴드 연결부(250)와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 중 다른 한 측에 위치되고 제1밴드 연결부(25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밴드 연결부(260)를 포함한다.2 and 3, the band connector 240 includes a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positioned on one of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nd a second band connection 260 positioned on the other of the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nd releasably engaged with the first band connection 250.

그리고, 제1밴드 연결부(250)는 제2밴드 연결부(260)의 상부에서 하강되어 제2밴드 연결부(260)에 결합되고, 승강되어 제2밴드 연결부(260)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is lower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and coupled to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and is lifted up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비교예로 밴드 연결구(240)가 공지의 버클 구조로 허리를 감싸는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해 버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허리를 감싸고 있는 밴드의 장력으로 바로 버클이 풀려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가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As a comparative example, when the band connector 2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aist in a known buckle structure, when the buckle is unlocked due to an external shock or other external factors, An accident that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re separated may occur.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가 사용 중 분리되는 경우 힙 시트부재(100) 상에 앉은 아기의 안전성에 큰 영향을 주고, 힙 시트부재(100)에 앉은 아기가 낙하되는 큰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When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re separated during use, the safety of the baby sitting on the hip sheet member 100 is greatly affected, There is a risk that a large accident that falls may be caused.

반면에 본 고안의 밴드 연결구(240)는 제1밴드 연결부(25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밴드 연결부(2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 상태가 유지되므로 밴드의 길이 방향에서 허리를 감싸는 밴드의 장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the band connecting par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locked state, It is not separated by the tension of the band that surrounds it.

즉, 본 고안의 밴드 연결구(240)는 밴드의 길이 방향에서 허리를 감싸는 밴드의 장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중 착용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 요인에 의해 풀려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가 사용 중 분리되는 사고를 예방하고, 힙 시트부재(100)에 앉은 아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band connecting por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eparated by the tension of the band that surrounds the wai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it is loosened by carelessness of the wearer during use or by an external factor so that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waistband member 230 is separated during use, and the safety of the baby sitting on the hip sheet member 100 can be secured.

더 상세하게 제1밴드 연결부(250)는 세로로 세워져 위치되는 결합 막대부재(251),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 중 어느 한 측에 장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트부재(252), 결합 막대부재(251)를 제1장착 브라켓트부재(252)에 연결하는 막대 연결부재(253)를 포함하고, 제2밴드 연결부(260)는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 중 다른 한 측에 장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트부재(261), 제2장착 브라켓트부재(261)의 일 측에 세워져 위치되고 내부에 결합 막대부재(251)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막대 삽입부(262a)가 위치되고 외측면에 막대 연결부재(2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막대 삽입부(262a)와 연통되고 상부로 개방된 형태의 연결 슬릿부(262b)가 위치된 막대 결합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includes a binding rod member 251 vertically erected and a first mounting part 250 mounted on either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Bracket member 252 and a bar connecting member 253 connecting the connecting bar member 251 to the first mounting bracket member 252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260 includes a first waistband member 210, A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261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waist band member 230 and a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261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261 and having a coupling rod member 251 inserted therein And a connecting slit portion 262b communicating with the rod inserting portion 262a and opening upwardly so that the rod connecting portion 253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thereof And may include a positioned rod engagement member 262.

그리고, 결합 막대부재(251)는 막대 연결부재(253)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외주면에 잠금돌기(251a)가 돌출되고, 막대 결합부재(262)에는 잠금돌기(251a)가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 삽입부(262c)가 위치된다.The locking rod member 251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rod connecting member 253 and is resiliently bent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51a protrud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locking protrusion 251a is provided on the rod connecting member 262, The protrusion inserting portion 262c is inserted.

돌기 삽입부(262c)는 잠금돌기(251a)가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구멍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protrusion inserting portion 262c is formed in a hole or groove shap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51a can be inserted and positioned.

결합 막대부재(251)는 막대 삽입부(262a)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향 이동되어 즉, 하강되어 막대 삽입부(262a) 내로 삽입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잠금돌기(251a)가 돌기 삽입부(262c)에 삽입되어 걸려 잠금된다. The engaging rod member 251 is moved downward or downward from the open top of the rod inserting portion 262a to be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ng portion 262a and the locking protrusion 251a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ng portion 262c by self- And is locked.

결합 막대부재(251)가 막대 삽입부(262a)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향 이동될 때 막대 연결부재(253)는 연결 슬릿부(262b)를 통해 함께 하강이동된다. When the binding rod member 251 is moved downward at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rod insertion portion 262a, the rod connecting member 253 is moved down together through the connection slit portion 262b.

막대 연결부재(253)의 양 측면에는 연결 슬릿부(262b)의 사이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부가 위치되어 결합 막대부재(251)가 막대 삽입부(262a) 내에서 안정적으로 상, 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od connecting member 253, fitting grooves are provided so as to be fitted between the connecting slit portions 262b so that the connecting rod member 251 can stably move up and down within the rod inserting portion 262a .

막대 연결부재(253)의 상단에는 막대 결합부재(262)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조작부가 위치되고, 착용자는 조작부를 밀어 막대 삽입부(262a) 내에서 결합 막대부재(251)를 휘어지게 하여 잠금돌기(251a)를 돌기 삽입부(262c)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A manipul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rod engaging member 262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rod connecting member 253 and the wearer pushes the manipulating portion to bend the engaging rod member 251 in the rod inserting portion 262a The lock projection 251a can be released from the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262c.

그리고, 착용자는 잠금돌기(251a)가 돌기 삽입부(262c)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결합 막대부재(251)를 들어올려 막대 결합부재(262)에서 분리하여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wearer removes the engagement rod member 251 from the rod engagement member 262 in a state where the lock projection 251a is disengaged from the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262c to separate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The waistband member 230 can be easily separated.

다시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를 연결할 경우 결합 막대부재(251)를 막대 결합부재(262) 내에서 하향 이동시켜 막대 삽입부(262a)로 삽입하고 잠금돌기(251a)가 돌기 삽입부(262c)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재착용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are connected again, the binding rod member 251 is moved downward in the rod coupling member 262 to be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portion 262a, (251a)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262c) so that it can be simply rewoun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밴드 연결구(240)는 제2허리 밴드부재(220)와 겹쳐지는 부분에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벨크로 테이프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가 위치될 수 있다.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ist band structur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band connecting portion 240 is overlapped with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The Velcro tap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and the removable Velcro tape may be placed on the losing part.

즉, 더 상세하게 제1밴드 연결부(250)와 제2밴드 연결부(260)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제2허리 밴드부재(220)와 겹쳐지는 부분에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제1벨크로 테이프부(221)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제3벨크로 테이프부가 위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250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26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overlapping the second waist band member 220 with a first portion of the second waist band member 220 A third Velcro tape portion tha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Velcro tape portion 221 can be positioned.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단부 일부분이 제1허리 밴드부재(210)와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사이에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지 않고 떨어지면서 외관미가 저화되거나 떨어진 부분이 외부 구조물에 걸리는 경우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된 부분이 분리되면서 큰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is separated without attaching the Velcro tape between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If it is caught, a large accident may occur as the part attached with the Velcro tape is detached.

즉, 제2허리 밴드부재(220)는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일부분을 감싸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붙여질 때 제1밴드 연결부(250) 또는 제2밴드 연결부(260)가 위치된 부분에서 제3벨크로 테이프부에 붙여질 수 있어 제2허리 밴드부재(220)의 단부 측 일부분이 떨어져 외관미를 저하시키거나 외부 구조물에 걸려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250 or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260 is positioned when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is wrapped arou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by the Velcro t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ident that the end portion side portion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220 may fall off, which may be adhered to the third Velcro tape portion, to deteriorate the appearance of the waistband member or may be caught by the external structur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제1밴드 연결부(250)와 제2밴드 연결부(260)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은 제1허리 밴드부재(210) 또는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ist band structure 200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250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260 is a 1 waist band member 210 or the third waist band member 23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 때 제1밴드 연결부(250)와 제2밴드 연결부(260)가 서로 결합된 부분 즉, 밴드 연결구(240)는 제1허리 밴드부재(210) 또는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내측면에 위치되며, 제1허리 밴드부재(210) 또는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내측면에는 서로 결합된 제1밴드 연결부(250)와 제2밴드 연결부(260) 즉, 밴드 연결구(240)를 덮어 커버하는 연결구 커버부재(280)가 위치될 수 있다. The band connecting part 240 where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210 or the third waist band member 230, The first waist band member 210 or the third waist band member 230 has a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250 and a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260, The cover cover member 280 covering the cover cover 280 can be positioned.

연결구 커버부재(280)는 하단부 측이 밴드 연결구(240)의 하부 측에 고정되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밴드 연결구(240)의 상부 측에서 제1허리 밴드부재(210) 또는 제3허리 밴드부재(230)의 내측면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cover member 280 is fixedly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nd connector 240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cover member 280 is connect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연결구 커버부재(280)의 상단부에는 제1허리 밴드부재(210) 또는 제3허리 밴드부재(230)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스냅단추가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벨크로 테이프 등 붙였다 떼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As an example, a snap button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istband member 210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2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cover member 280, and a velcro tape or the lik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이는 제1밴드 연결부(250)가 제2밴드 연결부(260)의 상부 측으로 이동되어 분리되고, 제2밴드 연결부(260)의 상부 측에서 하강되어 제2밴드 연결부(260)로 결합되므로 연결구 커버부재(280)의 상단부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2밴드 연결부(260)의 상부 측을 통해 제1밴드 연결부(250)를 용이하게 제2밴드 연결부(260)로 결합시키고, 제2밴드 연결부(260)에 결합된 제1밴드 연결부(25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Since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and is separated and is lower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to be coupled to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is easily coupled to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whil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0 is separated, So that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coupled to the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0 can be easily separated.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200)에서 밴드 연결구(2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을 참고하면 제1밴드 연결부(250)는 결합 막대부재(251)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결합 막대부재(251)의 상단부로 일부 돌출되는 조작 막대부재(254), 결합 막대부재(25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조작 막대부재(254)가 하강될 때 결합 막대부재(251)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잠금이동부재(255), 잠금이동부재(255)를 결합 막대부재(25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256)를 더 포함하고, 제2밴드 연결부(260)의 막대 결합부재(262)에는 복수의 잠금이동부재(255)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잠금돌기 삽입부(262d)가 위치될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connector 240 in the waist band structure 200 for a hip seat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band connector 250 includes a coupling rod member 251 and 252 which are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251 and which partiall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rod member 251, A plurality of lock moving members 255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rod member 251 when the locking member 254 is lowered and a spring member 25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 moving member 255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rod member 251, And a plurality of lock projection insertion portions 262d may be positioned in the rod coupling member 262 of the second band connection portion 260 so that a plurality of lock movement members 255 are inserted and engaged, .

잠금이동부재(255)는 서로 대향되게 한쌍으로 구비되고, 스프링부재(256)는 잠금이동부재(255)의 사이에 위치되어 잠금이동부재(255)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어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The lock members 255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spring members 256 are positioned between the lock members 255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 members 255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

스프링부재(256)는 잠금이동부재(255)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 즉, 잠금이동부재(255)가 막대 결합부재(262) 내로 이동하면 잠금이동부재(255)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The spring member 256 is compressed between the lock moving members 255 when the lock moving member 255 moves toward each other, that is, when the lock moving member 255 moves into the rod engagement member 262.

잠금이동부재(255)는 스프링부재(256)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결합 막대부재(25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막대 결합부재(262)의 잠금돌기 삽입부(262d) 내에 삽입되어 결합 막대부재(251)가 막대 삽입부(262a) 내로 삽입된 상태를 잠금한다.The lock moving member 255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spring member 256 so that the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engaging rod member 251 is inserted into the lock projection inserting portion 262d of the rod engaging member 262, (251) is inserted into the rod insertion portion (262a).

그리고, 잠금이동부재(255)는 조작 막대부재(254)가 눌려 하강하면 각각 결합 막대부재(251) 내로 삽입되어 잠금돌기 삽입부(262d)에서 분리되고 결합 막대부재(251)의 잠금을 해제하고 결합 막대부재(251)가 막대 결합부재(262)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operation rod member 254 is depressed, the lock moving member 255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rod member 251 and separated from the lock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262d to unlock the engagement rod member 251 So that the coupling rod member 251 can be separated from the rod coupling member 262.

조작 막대부재(254)를 가압한 힘이 해제되면 스프링부재(25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잠금이동부재(255)는 결합 막대부재(2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The lock moving member 255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engaging rod member 251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256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ng rod member 254 is released.

더 상세하게 잠금이동부재(255)는 서로 마주보고 위치되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각 잠금이동부재(255)는 단부 측에 결합 막대부재(251)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단부에 이동을 위한 제1경사면이 위치된 이동 돌기부(255a)가 돌출된다. More specifically, the lock moving member 255 is provided in a pair facing each other, and each lock moving member 255 is positioned on the end sid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251, A moving projection portion 255a in which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located protrudes.

그리고, 조작 막대부재(254)는 하단부 측에 결합 막대부재(251)의 내측면과 이동 돌기부(255a) 사이에 위치되어 하강 시 이동 돌기부(255a)를 밀어 이동시키며 제1경사면과 맞닿아 하강 시 잠금이동부재(255)를 결합 막대부재(251)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경사면이 위치되는 한쌍의 가압 돌기부(254a)가 돌출된다.The operation rod member 254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251 and the movable projection portion 255a at the lower end side and pushes the movable projection portion 255a when the movable rod member 254 is lowered to com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254a protruding from whic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lock moving member 255 into the engaging rod member 251 is located.

한쌍의 가압 돌기부(254a)는 한쌍의 잠금이동부재(255)에서 결합 막대부재(251)의 내측면과 이동 돌기부(255a)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하강 시 이동 돌기부(255a)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어 잠금이동부재(255)가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부재(256)를 압축하고 잠금돌기 삽입부(262d) 내에 삽입되어 결합 막대부재(251)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The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254a ar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251 and the moving protrusions 255a in the pair of lock moving members 255 so that the moving protrusions 255a in the downward direct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pushing-and-moving member 255 moves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compressing the spring member 256, and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262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coupling rod member 251.

한쌍의 잠금이동부재(255)는 한쌍의 잠금돌기 삽입부(262d) 내로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결합 막대부재(25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잠금하고, 조작 막대부재(254)의 하강에 의해 간단하게 결합 막대부재(251)의 잠금을 해제하고 결합 막대부재(251)를 막대 결합부재(262)에서 분리 가능하게 될 수 있다.The pair of lock moving members 255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lock projection inserting portions 262d and engaged to lock the position of the lock bar member 251 in a stable manner, The rod member 251 can be unlocked and the joining rod member 251 can be made detachable from the rod joining member 262. [

즉, 착용자는 조작 막대부재(254)를 누름으로써 한쌍의 잠금이동부재(255)를 한쌍의 잠금돌기 삽입부(262d)에서 분리시켜 간단하게 결합 막대부재(251)의 잠금을 해제하고 결합 막대부재(251)를 막대 결합부재(262)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at is, the wearer releases the lock rod member 251 simply by separating the pair of lock moving members 255 from the pair of lock projection insertion portions 262d by pressing the operation rod member 254, (251) can be separated from the rod coupling member (262).

본 고안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착용하거나 벗을 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when the Velcro tape is detached with the tape attached.

본 고안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분리되어 재착용 시 본인의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어 착용 시 번거로움을 줄여 착용 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키고, 힙 시트 캐리어의 상품성을 크게 증대시킨다. This design eliminates the need to re-adjust the length to match your waist circumference when you re-wear it with the Velcro tape attached and adjusted in length to fit your waist circumference. And greatly increases the merchantability of the heap sheet carrier.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힙 시트부재 200 : 허리 밴드 구조체
210 : 제1허리 밴드부재 220 : 제2허리 밴드부재
221 : 제1벨크로 테이프부 230 : 제3허리 밴드부재
231 : 제2벨크로 테이프부 240 : 밴드 연결구
250 : 제1밴드 연결부 251 : 결합 막대부재
251a : 잠금돌기 252 : 제1장착 브라켓트부재
253 : 막대 연결부재 254 : 조작 막대부재
254a : 가압 돌기부 255 : 잠금이동부재
255a : 이동 돌기부 256 : 스프링부재
260 : 제2밴드 연결부 261 : 제2장착 브라켓트부재
262 : 막대 결합부재 262a : 막대 삽입부
262b : 연결 슬릿부 262c : 돌기 삽입부
262d : 잠금돌기 삽입부 270 : 제3벨크로 테이프부
280 : 연결구 커버부재 300 : 등받이부재
400 : 어깨 벨트부재 600 : 목받침 후드부재
100: Hip sheet member 200: Waist band structure
210: first waistband member 220: second waistband member
221: first Velcro tape portion 230: third waistband member
231: second Velcro tape portion 240: band connector
250: first band connecting part 251: engaging rod member
251a: locking protrusion 252: first mounting bracket member
253: rod connecting member 254: operating rod member
254a: pressing protrusion 255: lock moving member
255a: movable protrusion 256: spring member
260: second band connecting part 261: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262: rod coupling member 262a: rod insertion portion
262b: connection slit portion 262c: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262d: locking protrusion inserting portion 270: third Velcro tape portion
280: connector cover member 300: backrest member
400: shoulder belt member 600: neck support hood member

Claims (11)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가 위치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이고,
상기 힙 시트부재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제1허리 밴드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허리 밴드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에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되는 제3허리 밴드부재; 및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밴드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연결구는,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제1밴드 연결부; 및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다른 한 측에 위치되고 제1밴드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밴드 연결부는,
세로로 세워져 위치되는 결합 막대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제3허리 밴드부재 중 어느 한 측에 장착되는 제1장착 브라켓트부재; 및
상기 결합 막대부재를 상기 제1장착 브라켓트부재에 연결하는 막대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 연결부는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다른 한 측에 장착되는 제2장착 브라켓트부재, 상기 제2장착 브라켓트부재의 일 측에 세워져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결합 막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막대 삽입부가 위치되고 외측면에 상기 막대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막대 삽입부와 연통되고 상부로 개방된 형태의 연결 슬릿부가 위치된 막대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in which a hip sheet member on which a baby ' s hip is seated is worn and worn on the waist of a wearer,
A first waistband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el sheet member;
A second waistband memb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el sheet member;
A third waistband memb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attached to the second waistband member with a Velcro tape; And
And a band connector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The band-
A first band connecting part located on either the first waist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And
And a second band connection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 comprises:
A joining bar member vertically erected and positioned;
A first mounting bracket member mounted on either the first waist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And
And a rod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member to the first mounting bracket member,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 band member, a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positioned upright on one side of the second mounting bracket member, And a rod engaging member having an upper opened portion for inserting a member and having a connecting sli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rod inserting portion and opened upwardly so that the rod connect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thereof Features a waist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막대부재는 상기 막대 연결부재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외주면에 잠금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막대 결합부재에는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 삽입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cking bar member is protruded to the upper side of the rod connecting member and is elastically bent, and a locking protrusion is protru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rod-engag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 연결구는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와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의 벨크로 테이프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d connector has a Velcro tape attached to the second waistband member and a removable Velcro tape at a portion overlapping the second waistband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에 제1벨크로 테이프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에 제2벨크로 테이프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밴드 연결부와 상기 제2밴드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와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부와 붙였다 떼어질 수 있는 제3벨크로 테이프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istband member is positioned on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the second waistband member is positioned on the third waistband memb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ird Velcro tape portion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Velcro tape portion at a portion overlapping the second waistband member A waistband structure for a heap seat carrier.
아기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 시트부재가 위치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이고,
상기 힙 시트부재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제1허리 밴드부재;
상기 힙 시트부재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허리 밴드부재;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허리 밴드부재에 벨크로 테이프로 부착되는 제3허리 밴드부재; 및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밴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연결구는,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제1밴드 연결부; 및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와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 중 다른 한 측에 위치되고 제1밴드 연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밴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 연결부와 제2밴드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은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밴드 연결부와 상기 제2밴드 연결부가 서로 결합된 부분을 덮어 커버하는 연결구 커버부재가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A waist band structure for a hip seat carrier in which a hip sheet member on which a baby ' s hip is seated is worn and worn on the waist of a wearer,
A first waistband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eel sheet member;
A second waistband memb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el sheet member;
A third waistband memb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attached to the second waistband member with a Velcro tape; And
And a band connector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The band-
A first band connecting part located on either the first waist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And
And a second band connection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istband member and the third waistband memb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ist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band member,
And a connecting cover member covering and cover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ba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nd connecting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 band member. Waist band structur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커버부재는 하단부 측이 밴드 연결구의 하부 측에서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위치되고 상단부 측이 밴드 연결구의 상부 측에서 상기 제1허리 밴드부재 또는 상기 제3허리 밴드부재의 내측면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7,
The lower end side of the connector cover member is fixedly secur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waist band member or the third waist band member at the lower side of the band connecting port and the upper end side i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band connecting port, Or is detachably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aistband member or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waistband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 연결부는,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상단부로 일부 돌출되는 조작 막대부재;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조작 막대부재가 하강될 때 결합 막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잠금이동부재; 및
상기 잠금이동부재를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막대 결합부재에는 복수의 잠금이동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잠금돌기 삽입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nd connection portion comprises:
A manipulation rod member that is movably positioned upward and downward within the coupling rod member and protrudes parti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rod member;
A plurality of lock moving members which are position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and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rod member when the actuating rod member is lowered; And
Further comprising a spr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 moving member so as to protrud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Wherei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lock moving members are inserted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ar coupling memb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잠금이동부재는 서로 대향되게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잠금이동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잠금이동부재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moving member is provided in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spring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lock moving member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 moving members by pushing them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aistband structur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잠금이동부재는 단부 측에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단부에 이동을 위한 제1경사면이 위치된 이동 돌기부가 돌출되며,
상기 조작 막대부재는 하단부 측에 상기 결합 막대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이동 돌기부 사이에 위치되어 하강 시 상기 이동 돌기부를 밀어 이동시키며 상기 제1경사면과 맞닿아 하강 시 상기 잠금이동부재를 상기 결합 막대부재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경사면이 위치되는 한쌍의 가압 돌기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ock moving member is located on the end sid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and a movable projection portion o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for movement is located,
Wherein the operating rod member is located on the lower end side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rod member and the moving projection portion and pushes the moving projection portion when it is lowered and abuts against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waist band carrier.
KR2020190000418U 2019-01-28 2019-01-28 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 KR2004893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8U KR200489399Y1 (en) 2019-01-28 2019-01-28 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8U KR200489399Y1 (en) 2019-01-28 2019-01-28 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99Y1 true KR200489399Y1 (en) 2019-06-12

Family

ID=6681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18U KR200489399Y1 (en) 2019-01-28 2019-01-28 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9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920A1 (en) * 2021-01-08 2022-07-14 (주)동인기연 Waist belt
CN115670180A (en) * 2021-07-21 2023-02-0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Infant carr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017U (en) * 2011-08-04 2013-02-14 차복희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KR20170050668A (en) * 2015-10-30 2017-05-11 안문수 Belt with waist band
KR101916094B1 (en) 2017-01-12 2018-11-07 이의환 Structrue for waist band of hip seat carr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017U (en) * 2011-08-04 2013-02-14 차복희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KR20170050668A (en) * 2015-10-30 2017-05-11 안문수 Belt with waist band
KR101916094B1 (en) 2017-01-12 2018-11-07 이의환 Structrue for waist band of hip seat carr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920A1 (en) * 2021-01-08 2022-07-14 (주)동인기연 Waist belt
CN115670180A (en) * 2021-07-21 2023-02-0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Infant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625B2 (en) Face-to-face and forward-looking baby carrier
JP5859841B2 (en) Baby carrier
US6763983B2 (en) Infant carrier
KR101433183B1 (en) Baby carrier
CN103099340B (en) Harness
JP6271137B2 (en) Lullaby
US10631664B2 (en) Two-piece baby carrier
US20110101051A1 (en) Infant carrier with leg straps
US8523028B1 (en) Body worn child carrier
KR200459539Y1 (en)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US5459910A (en) Helmet strap buckle assembly
KR200489399Y1 (en) Waist band structure for hip seat carrier
KR101970848B1 (en) Baby carrier
US20120112444A1 (en) Safety belt for riding double on two-wheeled vehicle
JP2009207848A (en) Foldable crossing baby carrier
KR102331093B1 (en)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KR20170105908A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KR101955475B1 (en)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JP3018415U (en) Belt attachment / detachment connection device
KR101955476B1 (en)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pad
KR200473921Y1 (en) Carrier for baby
JP5467902B2 (en) Lullaby
KR101502580B1 (en) Hip seat for infant
JP5558123B2 (en) Lullaby
KR101493030B1 (en) Carrier for twin ba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