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39Y1 -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 Google Patents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539Y1
KR200459539Y1 KR2020090015084U KR20090015084U KR200459539Y1 KR 200459539 Y1 KR200459539 Y1 KR 200459539Y1 KR 2020090015084 U KR2020090015084 U KR 2020090015084U KR 20090015084 U KR20090015084 U KR 20090015084U KR 200459539 Y1 KR200459539 Y1 KR 200459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hip
backrest
bel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0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5263U (en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2020090015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39Y1/en
Publication of KR20110005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26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3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9Baby-carriers with waist-belt only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를 안고 다니는 히프시트(hip seat)의 기능과 아기를 안거나 등에 업고 다니는 아기띠의 기능을 결합시켜서 상황에 따라 히프시트 또는 아기띠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및 아기의 편의를 도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히프시트와 아기띠 모두를 구입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function of the hip seat to carry the baby and the function of the baby belt to carry the baby or carry the back, so that it can be used as a hip seat or baby belt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facilitate the user and baby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with a combination of a bottom sheet, which is effective in purchasing both a bottom sheet and a baby band at a low cost.

본 고안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는 아기를 업거나 안고 이동하는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일측에 히프시트본체(10)가 구비되어 있고 양단이 벨트연결부(3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허리 벨트부(30)를 포함하며, 상기 히프시트본체(10)의 주머니 상단의 테두리부에 서로 치합되는 지퍼의 양측의 치합부 중 일측의 치합부(11)가 봉합되어 있는 히프시트(A); 그리고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40)의 하단부에 타측의 치합부(41)가 봉합되어 상기 히프시트(A)의 일측의 치합부(11)와 서로 치합되어서 히프시트(A)에 착탈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40)의 내면의 상단에 상측의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 하단부가 봉합되어서 내측부가 아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아기앞부분지지부(50), 상기 등받이(40)의 상단 중앙부에 봉합되어 있는 머리받침부(60), 상기 등받이(40)의 상부의 좌우측에 일단부가 각각 봉합되어 있는 어깨 벨트부(70),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60)의 상측부의 양측과 상기 어깨 벨트부(70)의 외면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머리받침 연결부(80)를 포함하는 아기띠(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Hip seat combined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by carrier for lifting or holding the baby, the hip seat body 10 is provided on one sid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elt connecting portion 31 30) a hip sheet (A) in which one of the engaging portions 11 of the two of the engaging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zipper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edge portion of the top of the pocket of the hip sheet body 10 is sealed; And the backrest 40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baby is provided and the other end portion 41 is sutur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40 is engaged with the mating portion 11 on one side of the hip sheet (A). It is to be detachable to the hip seat (A), both ends of the upper sid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rest 40 and the lower end is sutured to the lower end to form a baby accommodation space Baby front support portion 50, the head restraint portion 60 is sewn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ackrest 40, the shoulder belt portion 70, one end of which is respectively sew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40, 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by band (B) including both the headrest connecting portion 80 of the both side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headrest portion 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70.

히프시트, 아기띠, 지퍼, 허리벨트부, 어깨벨트부 Bottom seat, baby belt, zipper, waist belt, shoulder belt

Description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BABY CARRIER WITH A HIP SEAT}Hip seat combined baby carrier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본 고안은 아기를 안거나 업고 다니는 베이비 캐리어(baby carri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를 안고 다니는 히프시트(hip seat)의 기능과 아기를 안거나 등에 업고 다니는 아기띠의 기능을 결합시켜서 상황에 따라 히프시트 또는 아기띠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및 아기의 편의를 도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히프시트와 아기띠 모두를 구입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for carrying or carrying a baby, and more specifically, to combine the function of a hip seat carrying a baby with the function of a baby carrier carrying a baby or a b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om seat combined carrier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and babies and purchasing both the bottom sheet and the baby band at low cost by configuring the device to be used as a bottom sheet or baby band according to a situation.

보호자가 아기와 함께 이동할 때에, 아기를 한손으로 편리하게 안고 다닐 수 있는 소위 "히프시트"가 사용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It is well known that when a caregiver moves with a baby, a so-called "heap seat" is used, which allows the baby to conveniently carry the baby with one hand.

종래에 이용되었던 히프시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프시트 본체(10)와 허리벨트부(30)로 이루어져 있다. As used in the prior art, the bottom sheet is shown in FIGS. 1 and 2, the bottom sheet body 10 and the waist belt portion 30.

히프시트 본체(10)는 아기가 편리하게 앉을 수 있는 의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와 그 주머니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합성수지로 된 형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머니에는 형상체를 넣고 빼낼 수 있도록 지퍼(12)가 구성되어 있다. The bottom seat body 10 is formed in a chair shape where a baby can sit conveniently, and is formed of a bag formed with a space therein and a shap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inserted into the bag. The zipper 12 is configured to be.

허리벨트부(30)는 상기 히프시트본체(10)와 일체로 봉합되어 있으며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허리벨트부(30)의 일단에는 결착용 자(雌)부재(32a)가 구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결착용 자부재(32a)에 결착되는 결착용 웅(雄)부재(31a)가 구성되어 있다. 자부재(32a)는 벨트본체의 일측에 봉합되어 있는 연결끈 고정부(32)에 연결되어 있고 웅부재(31a)는 벨트본체의 타측에 연결된 벨트연결부(31)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연결부(31)는 허리벨트부(30)의 길이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꺾여진 벨트연결부(31)를 묶어주기 위한 벨트연결부고리(33)가 구성되어 있다. The waist belt portion 30 is integrally sealed with the hip seat body 10 and is designed to be worn on the waist. At one end of the waist belt portion 30, a binding magnetic member 32a is formed, and at the other end, a binding male member 31a is attached to the binding magnetic member 32a. . The magnetic member 32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trap fixing portion 32 which is sealed to one side of the belt body, and the male member 31a is configured to the belt connecting portion 31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elt body. In addition, the belt connection portion 31 i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aist belt portion 30 according to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wearer, the belt connection portion 33 for tying the bent belt connection portion 31 is configured. .

허리벨트부(30)에는 아기용품 또는 엄마용품 등을 넣을 수 있는 주머니(20)가 구비되어 있다. The waist belt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pocket 20 to put baby goods or mother goods.

이러한 종래의 히프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0)가 허리에 히프시트를 차고 일측에 구비된 히프시트 본체(10)의 상면에 아기(110)를 올려놓는데 아기는 45° 옆으로 돌려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100)가 한쪽팔로 아기를 잡아도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쪽팔로 아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가방을 든다든가 다른 일을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아기를 바닥에 편리하게 내려놓을 수도 있다. In the conventional hip seat, as shown in FIG. 2, the user 100 puts the baby seat on the waist and places the baby 1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ip seat body 10 provided at one side. Since it is turned, the user 100 can maintain a safe state even when the user holds the baby with one arm. So you can hold the baby with one arm, lift the bag with your other hand, or do something else, and you can conveniently put the baby on the floor as needed.

그러나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두 손을 자유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아기를 안거나 업을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먼 곳을 가거가 쇼핑을 하고자 하여 양손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히프시트대신에 아기띠를 사용하여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여야 한다. However, depending on the user'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hold or lift the baby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For example, if you want to go shopping in the distance and use both hands freely, Both hands should be freely used with a strap.

이와 같이 히프시트를 사용하여야 편리할 상황이 있고 아기띠를 사용하여야 편리할 상황이 있기 때문에 아기엄마들을 히프시트와 아기띠를 모두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만큼 아기용품을 구입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두 가지 모두를 갖고 다니거나 보관하여 활동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Thus, there are situations where it is convenient to use the bottom sheet, and there is a situation where it is convenient to use the baby belt. Therefore, baby moms should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th both the bottom sheet and the baby b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money to buy baby goods and carry or both of them carry an inconvenience to the activit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기엄마의 상황에 따라 히프시트와 아기띠의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등 아기엄마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히프시트와 아기띠 모두를 구입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management by selecting the functions of the hip sheet and baby belt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baby m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carrier with a combination of a hip sheet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baby mother and shows the effect of purchasing both the hip sheet and the baby belt at a low cos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기의 체중을 허리와 어깨에 분산하여 아기를 안거나 업음으로써 사용자 및 아기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p seat combined baby carrier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and the baby by holding or lifting the baby by dispersing the baby's weight on the waist and should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캐리어는 아기를 업거나 안고 이동하는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일측에 히프시트본체가 구비되어 있고 양단이 벨트연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허리 벨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프시트본체의 주머니 상단의 테두리부에 서로 치합되는 지퍼의 양측의 치합부 중 일측의 치합부가 봉합되어 있는 히프시트, 그리고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에 타측의 치합부가 봉합되어 상기 히프시트의 일측의 치합부와 서로 치합되어서 히프시트에 착탈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의 내면의 상단에 상측의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 하단부가 봉합되어서 내측부가 아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아기앞부분지지부, 상기 등받이의 상단 중앙부에 봉합되어 있는 머리받침부, 상기 등받이의 상부의 좌우측에 일단부가 각각 봉합되어 있는 어깨벨트부, 상기 머리받침부의 상측부의 양측과 상기 어깨벨트부의 외면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머리받침 연결부를 포함하는 아기띠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p seat combined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by carrier for lifting or holding a baby, the hip seat body is provided on one sid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connection portion And, the bottom of the back seat is provided with a back sea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hip seat and the baby seat of the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two sides of the zipper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edge portion of the pocket of the bottom seat body and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is sutur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hip sheet to be detachable to the bottom sheet, both ends of the upper sid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rest and The lower part is sealed and the inner part of the baby front support portion is formed a baby receiving space, Head restrained portion is sewn o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ackrest, shoulder belt portion whose one end is sew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both sides connec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a baby strap including a headrest connection of the.

삭제delete

본 고안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캐리어는 아기띠를 히프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히프시트기능 또는 아기띠 기능을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히프시트와 아기띠를 모두 구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관 및 관리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한 구입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The baby seat combined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aby seat by using the bottom seat function or the baby band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In terms of storage and management, i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and lowers the purchase cost.

또한 아기띠의 기능으로 본 고안의 베이비 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기가 히프시트본체에 편안하게 앉을 수 있고 아울러 등까지 받쳐주므로 아기는 히프시트가 없는 기존의 아기띠의 경우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엄마에게 안기거나 업힐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엄마는 아기의 체중이 허리와 어깨로 분산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unction of the baby band, the baby can sit comfortably on the bottom seat body and support the back, so that the baby is more comfortable and safer than the mother without the baby seat. It has the advantage of holding or lifting, and the mother's weight is distributed to the waist and shoulders so that the baby can be held or lifted more convenientl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p-seat combined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hip-seat combined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가 올려지는 히프시트 본체(10)가 구성되어 있는 히프시트(A)와, 히프시트(A)에 지퍼에 의해서 결합되는 아기띠(B)로 구성되어 있다.The baby seat combined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by seat coupled to the hip seat (A) and the hip seat (A) by which the bottom seat body (10) on which the baby is placed is configured as shown in the drawing. It consists of (B).

상기 히프시트(A)는 일측에 히프시트본체(10)가 구비되어 있고 양단이 벨트연결부(3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허리 벨트부(30)로 이루어져 있다.The hip seat A is provided with a hip seat body 10 at one side, and both ends of the waist belt part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elt connection part 31.

상기 히프시트본체(10)는 아기(110)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의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플렉시블한 주머니와 그 속에 넣어진 형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허리벨트부(30)의 일측에 봉합되어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The hip seat body 10 is in the shape of a chair so that the baby 110 can sit comfortably, and is composed of a flexible pocket and a shape placed therein, and is integrally sealed to one side of the waist belt part 30. Consists of.

상기 히프시트본체(10)의 상단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지퍼의 양측의 치합부 중 일측의 치합부(11)가 봉합되어 있으며, 치합부(11)는 아기띠(B)의 등받이(40)의 하단부에 봉합되어 있는 타측의 치합부(41)와 치합된다.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ttom seat body 10 is sutured on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1 of the both sides of the zipper, the fitting portion 11 of the backrest 40 of the baby belt (B) It is meshed with the other engagement portion 41 which is sealed at the lower end.

상기 허리벨트부(30)는 그 양단이 벨트연결부(3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데, 종래와 같이 결착용 자(雌)부재와 웅(雄)부재에 의해서 착탈되며 사용 자(100)의 허리사이즈에 따라 벨트연결부(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Both ends of the waist belt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elt connecting portion 31, and detachable by the binding member and the male member as in the prior art, and the user's 100 The length of the belt connection portion 3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aist size.

사용자가 아기용품이나 지갑 등을 넣을 수 있는 주머니(20)가 허리벨트부(30)에 구성되어 있다.A pocket 20 for allowing a user to put baby goods or a wallet is configured in the waist belt portion 30.

상기 아기띠(B)는 등받이(40)와, 아기앞부분지지부(50)와, 머리받침부(60)와, 양측의 어깨벨트부(70)와, 양측의 머리받침연결부(80)로 이루어져 있다.The baby band (B) is composed of a backrest 40, the front support portion 50, the headrest portion 60, the shoulder belt portion 70 on both sides, the headrest connection portion 80 on both sides. .

상기 등받이(4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하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히프시트본체(10)의 상단부에 구비된 일측의 치합부(11)에 치합되도록 타측의 치합부(41)가 봉합되어 있다.The backrest 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shape, and the other end portion 41 is sutured to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11 of one sid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seat body 10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It is.

등받이(40)는 높이를 2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지퍼(42)가 구성되어 있으며 지퍼(42)의 양측 치합부를 분리하면 등받이(40)의 높이가 높아지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치합부를 결합하면 등받이(40)의 높이가 낮아진다. The backrest 4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in two stages. For this purpose, the zipper 42 is configured, and when the two side portions of the zipper 42 are separated, the height of the backrest 40 is increased, and FIGS. 3 and 4. As shown in the figure, coupling the two engagement portions lowers the height of the backrest 40.

상기 아기앞부분지지부(50)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아기(110)의 몸통 앞부분이 지지된다. The baby front portion support portion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the front of the body of the baby 110 is supported.

상기 머리받침부(60)는 등받이(40)의 상단 중앙부에 아기(110)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단부가 봉합되어 있다.The headrest 60 is sealed at the lower end so as to support the head of the baby 110 in the upper center of the backrest (40).

상기 양측의 어깨벨트부(70)는 등받이(40)의 상단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사용자(100)의 양측 어깨에 걸려진다. The shoulder belts 70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40, respectively, and are caught on both shoulders of the user 100.

상기 양측의 머리받침 연결부(80)는 상기 머리받침부(6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어 아기의 머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The headrest connection portion 80 of both sides is connected to the upper both sides of the headrest 60, respectively, and serves to support the baby's hea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캐리어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Hip seat combined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cts as follows.

먼저 아기띠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프시트(A)의 허리벨트부(30)의 양단부에 연결된 벨트연결부(31)의 결착부재(미도시)를 분리하여 사용자(100)의 허리에 두르고 나서 다시 결착부재를 결합시킨다. 이때, 벨트연결부(31)의 길이는 사용자(100)의 허리사이즈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First, the case used as a baby strap will be described. The binding member (not shown) of the belt connection part 31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aist belt part 30 of the hip seat A is separated and wrapped around the waist of the user 100, and then the binding member is coupled again.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belt connection portion 31 can be adjusted to suit the waist size of the user (100).

그 다음에 상기 아기띠(B)의 등받이(40)의 하단부에 구비된 지퍼의 일측부인 치합부(41)와 히프시트(A)의 히프시트 본체(10)의 상면의 외측 테두리부에 구비된 지퍼의 타측 치합부(11)를 치합시킨다. Next, the engaging portion 41, which is one side of the zipper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40 of the baby belt B, and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ip seat body 10 of the hip seat A are provided. Engage the other engagement portion 11 of the zipper.

그리고 하단부가 등받이(40)의 내면 하단부에 봉합되어 있는 아기앞부분지지부(50)의 상단 양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착탈 단추(미도시)들을 해제하여 아기를 히프시트본체(100)에 올려놓고 다시 착탈단추들을 결합한다. 아기(110)의 양측다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빠져나온다. And the lower end releases the detachable buttons (not shown) that are fixed to the upper both sides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50, which is sealed to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backrest 40, put the baby on the bottom sheet body 100 and detached again. Combine the buttons. Both legs of the baby 110 exit outwards as shown in FIG. 4.

이 상태에서 어깨벨트부(70)를 사용자(100)의 어깨에 걸친다. In this state, the shoulder belt portion 70 covers the shoulder of the user 100.

만약 아기를 등에 업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기(110)를 히프시트본체(10)에 올려놓고 아기앞부분지지부(50)를 착용시킨 후 아기(110)를 사용자(100)의 등 뒤로 이동시키고 나서 어깨벨트부(70)를 엄마의 어깨에 걸치면 된다. If you want to carry the baby on the back, put the baby 110 on the bottom seat body 10, wear the front support portion 50 of the baby and then move the baby 110 behind the back of the user 100, the shoulder belt You can put on the shoulders of the mother (70).

이와 같이 아기(110)가 히프시트본체(10)에 올려놓아진 상태에서 등받이(40)가 아기(110)의 등을 지지하고 또한 어깨벨트부(70)로 아기(110)의 상체를 지지하므로 종래의 아기띠의 경우보다 아기는 편안하고 안전하게 엄마에게 안길 수 있다. As the baby 110 is placed on the hip seat body 10 as described above, the backrest 40 supports the back of the baby 110 and also supports the upper body of the baby 110 by the shoulder belt part 70. Babies can be comfortably and safely embraced by their mothers than in the case of conventional baby belts.

그리고 사용자(100)는 아기(110)의 체중을 허리와 어깨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게 된다. And since the user 100 can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baby 110 to the waist and shoulders can be more convenient to hold or lift the baby.

본 고안의 베이비 캐리어를 히프시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퍼의 양측 치합부(11)(41)를 서로 분리시켜 상부의 아기띠(B) 부분을 제거하면 순수 히프시트(A)로서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ip sheet, the two side engaging portions 11 and 41 of the zipper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move the upper baby band (B) portion and can be used as a pure hip sheet (A).

본 고안의 베이비 캐리어는 또한 지퍼의 양측 치합부(11)(41)를 서로 분리시켜 상부의 아기띠(B) 부분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종래의 아기띠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The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use only the upper part of the baby band B by separating the two engagement portions 11 and 41 of the zipper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it functions the same as a conventional baby band.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베이비 캐리어는 아기의 체중을 허리와 어깨로 분산할 수 있으므로 엄마가 편리하게 아기를 안거나 업을 수 있으며, 아기도 히프시트본체(10)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40)로 지지되므로 보다 편안하게 엄마에게 안기거나 업힐 수 있다. In this way, the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ribute the baby's weight to the waist and shoulders, so that the mother can easily hold or lift the baby, and the baby is also seated on the hipseat body 10 to the backrest 40. It is supported so you can hold or lift it to your mother more comfortably.

본 고안은 또한 상황에 따라 히프시트기능 또는 아기띠의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두개를 모두 구입하는 경우보다 사용자에게 보관 및 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select the bottom sheet function or the function of 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provides the user with convenience in storage and management than purchasing both.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have to fall under the scope of a model registration claim.

도 1은 종래의 히프시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hip sheet,

도 2는 종래의 히프시트의 사용상태도,2 is a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hip sheet,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분해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p seat combined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4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baby seat combined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히프시트본체 11 : 치합부10: hip seat main body 11: the engaging portion

20 : 주머니 30 : 허리벨트부 20: pocket 30: waist belt

31 : 벨트연결부 31a : 결착용 웅(雄)부재 31: belt connection 31a: male member for fastening

32 : 연결용 고정부 32a : 결착용 자(雌)부재 32: fixing part for connection 32a: magnetic member for fastening

40 : 등받이 40: backrest

41 : 치합부 50 : 아기앞부분지지부 41: engaging part 50: baby front support

60 : 머리받침부 70 : 어깨벨트부 60: headrest 70: shoulder belt

80 : 머리받침 연결부 80: headrest connection

100 : 사용자 110 : 아기 100: user 110: baby

A : 히프시트 B : 아기띠 A: Bottomsheet B: Baby Carrier

Claims (2)

일측에 히프시트본체(10)가 구비되어 있고 양단이 벨트연결부(3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허리 벨트부(30)를 포함하며, 상기 히프시트본체(10)의 주머니 상단의 테두리부에 서로 치합되는 지퍼의 양측의 치합부 중 일측의 치합부(11)가 봉합되어 있는 히프시트(A); 그리고 The hip seat body 10 is provided at one side and includes a waist belt 30 connected at both ends by the belt connection part 31, and the edge portion of the top of the pocket of the hip seat body 10 A hip sheet (A) in which one of the engaging portions 11 of one of the engag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zipper to be engaged is sealed; And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40)의 하단부에 타측의 치합부(41)가 봉합되어 상기 히프시트(A)의 일측의 치합부(11)와 서로 치합되어서 히프시트(A)에 착탈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40)의 내면의 상단에 상측의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 하단부가 봉합되어서 내측부가 아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아기앞부분지지부(50), 상기 등받이(40)의 상단 중앙부에 봉합되어 있는 머리받침부(60), 상기 등받이(40)의 상부의 좌우측에 일단부가 각각 봉합되어 있는 어깨 벨트부(70),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60)의 상측부의 양측과 상기 어깨 벨트부(70)의 외면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머리받침 연결부(80)를 포함하는 아기띠(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The backrest 40 is provided to support the back of the baby and the other end portion 41 is sutur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40 to be engaged with the mating portion 11 on one side of the hip sheet A. As it is to be detachable to the hip seat (A), both ends of the upper sid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rest 40 and the lower end is sutured to the lower end of the baby is formed a baby receiving space The front support 50, the head restraint 60 is sewn o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ackrest 40, the shoulder belt portion 70, one end of which is respectively sew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40, and the A hip seat comprising a baby strap (B) comprising both headrest connecting portions 80 connected between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60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belt portion 70. Combined baby carrier. 삭제delete
KR2020090015084U 2009-11-20 2009-11-20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KR2004595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84U KR200459539Y1 (en) 2009-11-20 2009-11-20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84U KR200459539Y1 (en) 2009-11-20 2009-11-20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63U KR20110005263U (en) 2011-05-26
KR200459539Y1 true KR200459539Y1 (en) 2012-04-04

Family

ID=4660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084U KR200459539Y1 (en) 2009-11-20 2009-11-20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3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13Y1 (en) * 2013-11-27 2014-06-27 이진섭 Hip seat carrier set
KR101415521B1 (en) 2013-10-02 2014-07-04 박재현 Hip seat component of baby carrier having fan
KR101552712B1 (en) * 2014-04-01 2015-09-11 박상태 Backpack for carrying ba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59Y1 (en) * 2011-06-08 2012-04-04 신고은 Hip seat for infant
KR101320616B1 (en) * 2011-11-04 2013-10-22 김건형 Hair Shampooing Hanger For Infant
CN105377085B (en) 2013-03-13 2018-06-19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child carrier
EP3280295A4 (en) * 2015-04-10 2018-10-31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harness device and system
CN108697246B (en) 2015-10-30 2021-11-23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Adjustable children's backpack
JP7017567B2 (en) 2016-10-28 2022-02-08 ザ エルゴ ベビー キャ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transport orientations
EP3886653A4 (en) 2018-11-26 2022-08-03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USD1024541S1 (en) 2020-06-19 2024-04-30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EP4292479A1 (en) 2020-06-19 2023-12-20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D1010305S1 (en)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34B1 (en) * 2009-08-17 2011-07-06 유지호 Baby bag combined with baby bag with waist b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34B1 (en) * 2009-08-17 2011-07-06 유지호 Baby bag combined with baby bag with waist ba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21B1 (en) 2013-10-02 2014-07-04 박재현 Hip seat component of baby carrier having fan
KR200473013Y1 (en) * 2013-11-27 2014-06-27 이진섭 Hip seat carrier set
WO2015080363A1 (en) * 2013-11-27 2015-06-04 I-Angel Co., Ltd. Hip seat carrier set
US9596947B2 (en) 2013-11-27 2017-03-21 I-Angel Co., Ltd. Hip seat carrier set
KR101552712B1 (en) * 2014-04-01 2015-09-11 박상태 Backpack for carrying ba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63U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539Y1 (en) Baby carrier with a hip seat
US8701949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9038868B2 (en) Twin baby carrier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US8424732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9357852B2 (en) Infant carrier with expandable seat
KR200473013Y1 (en) Hip seat carrier set
US20090206116A1 (en) Infant carrier
US20100200626A1 (en) Baby carrier
KR200477837Y1 (en) Hip seat carrier set
US10631664B2 (en) Two-piece baby carrier
KR200481152Y1 (en) Baby carrier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US10939744B2 (en) Convertible infant carrier backpack system
KR200473475Y1 (en) Baby hip seat carrier
KR101453460B1 (en) Baby carrying-strap convertible into a hip seat
US7669743B2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KR200482010Y1 (en) Baby Carrier using as Multi Bag
KR101318405B1 (en) safety seat combined with diaper bag
KR20100044985A (en) The bend for baby carrying
KR101502580B1 (en) Hip seat for infant
KR200418305Y1 (en) A baby carrying-strap and sack
JP3725610B2 (en) Baby bag combined with waist bag
KR101720667B1 (en) Carrier
KR20190107798A (en) Multifunctional swaddling structure for easy feeding and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