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848B1 - Baby carrier - Google Patents

Baby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848B1
KR101970848B1 KR1020147006660A KR20147006660A KR101970848B1 KR 101970848 B1 KR101970848 B1 KR 101970848B1 KR 1020147006660 A KR1020147006660 A KR 1020147006660A KR 20147006660 A KR20147006660 A KR 20147006660A KR 101970848 B1 KR101970848 B1 KR 10197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cover
user
support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4297A (en
Inventor
히로코 구로스
아키코 후지시마
모모에 가메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2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8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Abstract

유아를 지지하는 서포트 본체(5)와, 유저(2)의 좌우의 어깨 둘레를 따르도록 연장되고, 또한 양단부가 서포트 본체(5)와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20)와, 유저(2)의 배면측에서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는 배면측 버클(32)을 구비하고, 서포트 본체(5)를 유저(2)의 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어깨 벨트(20)를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유저(2)의 전방측에서 서포트 본체(5) 내에 상기 유아를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아기띠에 있어서, 한 쌍의 어깨 벨트(20)와 배면측 버클(32) 사이에, 유저(2)에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관해 배면측 버클(32)보다도 확장된 등받이부(31)를 설치한다.A pair of shoulder belts 20 extending along the left and right shoulder circumferences of the user 2 and both ends of which are engaged with the support main body 5, Side buckle 32 for connecting the shoulder belt 20 to the back side of the shoulder belt 20 while the shoulder strap 20 is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2, The pair of shoulder belts 20 and the rear waist portion 2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respectively, so that the infant can be housed in the support body 5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2, Back buckle 32 is extended between the side buckle 32 and the back side buckle 3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ime of attachment to the user 2. [

Description

아기띠 {BABY CARRIER}Baby band {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아를 세워 안기 형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capable of supporting an infant and holding it in a hood.

유아를 세워 안기 형태로 지지하는 아기띠로서는, 유아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본체에 한 쌍의 어깨 벨트가 결합되고, 그들 어깨 벨트를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장착하여 지지하는 구성의 아기띠가 일반적이다. 유저의 배면측에서 어깨 벨트를 서로 연결하고, 그것에 의해 어깨 벨트의 위치의 안정화 등을 도모한 아기띠도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As baby belts supporting the infant in a standing position, a pair of shoulder belts are coupled to a support body for supporting infants, and baby belt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houlder belts are mounted and supported around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user are generally used to be. There is provided a baby band in which the shoulder bel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back side of the user so as to stabilize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belt or the lik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6807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68073

종래의 아기띠는, 유아의 하중이 좌우의 어깨 벨트를 따라 유저의 어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유저의 어깨 둘레의 피로감을 높일 우려가 있다. 좌우의 어깨 벨트를 버클 등의 연결구로 서로 연결해도 그 경향은 그다지 변함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깨 벨트에 전해지는 하중을 유저의 배면측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한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한다.In the conventional baby band, the load of the infant is concentrated on the shoulder of the user along the left and right shoulder belts, which may increase the fatigue of the user's shoulder circumference. Even if the right and left shoulder bel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member such as a buckle, the tendency does not change much.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band capable of dispersing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houlder belt to the back side of the user.

본 발명의 아기띠는, 유아를 지지하는 서포트 본체와,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를 따르도록 연장되고, 또한 양단부가 상기 서포트 본체와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서로 연결하는 배면측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를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깨 벨트를 상기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 내에 상기 유아를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아기띠이며,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배면측 연결구 사이에는, 상기 유저에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관해 상기 배면측 연결구보다도 확장된 등받이부가 설치된 것이다.A baby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body for supporting an infant, a pair of shoulder belts extending along the left and right shoulder circumferences of the user and both ends of which are engaged with the support body, Side shoulder bel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houlder strap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main body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Wherein the baby carriage is capable of holding the infant in a standing state in the support body at a side of the shoulder strap, And a back portion extended from the back side connector.

본 발명의 아기띠에 의하면, 어깨 벨트를 유저의 배면측에서 연결하였을 때, 어깨 벨트에 전해지는 하중이 등받이부에도 분산된다. 등받이부는, 배면측 연결구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므로, 배면측 연결구와 동일 정도, 또는 그 미만의 폭이 작은 벨트 등의 연결구에서 어깨 벨트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을 받는 부분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의 분산을 도모하고, 유저의 어깨에의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여 유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aby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oulder belt is connected to the back side of the user,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houlder belt is also dispersed in the backrest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houlder bel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ng ports such as belts having the same width as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back surface side connecting port,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area of the load receiving portion. Thereb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oad on the shoulder of the user by distributing the load on the back side.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는,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아기띠의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부에 상기 배면측 연결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그 일단부에 있어서 어깨 벨트와 결합되고, 그 등받이부에 배면측 연결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어깨 벨트에 전해지는 하중을 등받이부에 확실하게 분산시켜 유저의 어깨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belt is provided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back side of the user, and the backrest includes a shoulder belt, And the rear-side connector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backrest portion is coupled to the shoulder belt at one end thereof and the back side connection portion is attached to the backrest portion,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houlder belt is reliably dispersed to the backrest portion, It can alleviate.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저와의 사이에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유저의 전방에 배치 가능한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센터 서포트부의 좌우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유아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의 상기 유저와 대향하는 측에는,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통해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대향하는 홀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의 하단부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홀드 커버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톱 벨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톱 벨트부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톱 벨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는 홀드 커버 연결구를 통해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톱 벨트부보다도 하방의 영역에서는, 상기 홀드 커버의 측부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대해 분리되어도 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ain body includes a center support portion that can be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main body and the infant so as to accommodate the infant in the raised state, A pair of side support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extend to the side of the infant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shoulder belt a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facing the user,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d cover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ld cover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portion of the top cover, And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top belt portion are provided on the upper At least one of the end portions of the top bel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in a detachable state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through a hold cover connection port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The side portion of the hold cover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는, 홀드 커버 연결구를 풀러 홀드 커버의 톱 벨트부의 한쪽의 단부를 사이드 서포트부로부터 분리하고, 톱 벨트부의 다른 쪽의 단부는 사이드 서포트부와 결합시켜 둠으로써, 센터 서포트부 및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를 홀드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열어 서포트 본체의 수용 스페이스를 확대하여, 유아를 빼고 넣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사이드 서포트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도, 홀드 커버부와 센터 서포트부의 하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들 사이에서 유아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그로 인해 유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유아를 수용한 후, 톱 벨트부의 단부를 홀드 커버 연결구에 의해 사이드 서포트부와 연결하는 것만으로 홀드 커버와 센터 서포트부 사이의 스페이스에 수용된 유아를 센터 서포트부와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부로 덮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aspect, the end portion of one end of the top belt portion of the puller hold cover is separated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top bel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The side support portions of the support main body can be ope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ld cover, thereby enlarging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upport main body, and the convenience of pulling out the infant can be achieved. The holding cover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are integrally coupled with each other even in the state where the side support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can be supported from below between them so that the infan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The infant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lder cover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is simply covered with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pair of side support portions only by conn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top belt portion to the side support portion by the hold cover connection opening can do.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홀드 커버와의 사이에서 유아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지지하는 낙하 방지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하단부는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좌우 방향의 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를 열었을 때에, 낙하 방지 커버와 홀드 커버 사이에 유아의 엉덩이부 둘레를 수용하여 유아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낙하 방지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상단부를, 상기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보다도 낮은 위치로 한 경우에는, 센터 서포트부를 전방으로 크게 열어도, 낙하 방지 커버의 상단부가 홀드 커버에 대해 전방으로 크게 이격되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낙하 방지 커버에 의한 낙하 방지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mentioned aspect, it is preferable that a fall prevention cover for supporting the periphery of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is provid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hold cover,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all-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all preventing cover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ne side support portion is opened, the infant can be held around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between the fall prevention cover and the hold cover,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fant from dropping is further enhanced. In addition, whe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all preventing cover is lower tha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hold cover, even wh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is largely opened forwar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all preventing cover is largely spaced forward There is no work.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exhibit the fall prevention effect by the fall prevention cover.

상기 홀드 커버 연결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서포트부와 상기 센터 서포트부 사이에는,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 결합 부분을 상기 결합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가르도록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슬릿을 닫도록 하여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연결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홀드 커버 연결구를 풀러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를 홀드 커버로부터 전방으로 열 때, 사이드 연결구에 의한 연결도 해제함으로써 슬릿이 열려 사이드 서포트부의 측방에 큰 개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개구를 통하여 유아를 빼고 넣을 수 있으므로, 유아를 상방으로 크게 들어올리는 조작은 불필요하다. 그로 인해, 유아의 빼고 넣기를 원활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A slit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hold cover attachment port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 the downside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A sid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enter support part and the side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so as to close the sli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hold cover connection port is opened forwardly from the hold cover on one side support portion of the puller, the connection by the side connection port is also released, so that the slit can be opened to generate a large opening on the sid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Since the infant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infant upwards is unnecessary. As a result, the infant can be smoothly and easily pulled out.

상기 서포트 본체의 하부에는 유저의 허리부에 장착되는 허리 패드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아를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에는, 당해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구와, 상기 중앙 연결구에 대한 좌우 방향 양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측방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는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측방 연결구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된 유아의 양 다리를 빼내기 위한 간극이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유아를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경우,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아의 양 다리를 허리 패드의 전방으로 빼낼 수 있다. 그로 인해,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할 때에 유아에게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강요할 우려가 없다. 한편, 세워 대면 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중앙 연결구 및 측방 연결구를 이용하여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서로 연결하고, 그로 인해,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And a back pad attached to a waist portion of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and the infant can be housed in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housed in a front view state.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A cente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lateral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at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connector are provided, And when the lateral connector is detached, a gap may be generated for pulling out both legs of the infant accommodated in the front view.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infant is placed upright and housed in a front view state, both legs of the infant can be pulled out forward of the waist pa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Thereby, there is no danger of forcing the infant into unnatural posture when supporting the infant in the frontal view.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upporting the infant in the standing-up state,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ver a wider range by using the center connector and the side connector, thereby enhancing the integrity of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have.

또한, 상기 허리 패드에는, 상기 측방 연결구를 설치하기 위한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허리 패드의 하방으로 폴딩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측방 연결부를 분리하여 연결부를 하방으로 폴딩함으로써,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 사이의 간극을 확대하고, 그로 인해 유아의 양 다리를 통과시키는 데에 충분한 크기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ist pad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art protruding upward to mount the lateral connect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may be foldable downward of the waist pad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connecting part is detached. According to this, by separating the side connecting portion and folding the connecting portion downwardly,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gap between the support main body and the waist pad, thereby securing a gap of a size large enough to pass both legs of the infa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아기띠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아기띠의 정면도.
도 3은 아기띠에 설치된 서포트 본체의 정면도.
도 4는 서포트 본체의 이면도.
도 5는 사이드 파스너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사이드 파스너를 플랩으로 덮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헤드 서포트 벨트와 어깨 벨트의 연결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한쪽의 어깨 벨트에 설치된 포켓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쪽의 어깨 벨트에 설치된 포켓의 주위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센터 서포트부에 대한 홀드 커버 등의 접합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홀드 커버에 대해 센터 서포트부를 열어 낙하 방지 커버를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아기띠에 설치된 허리 패드의 정면도.
도 15는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을 분리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17은 세워 안기 형태에서의 사용에 대비하여 아기띠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허리 패드를 유저에게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배면측 버클을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아기띠를 유저에게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아기띠를 장착한 유저를 그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세워 대면 안기 형태로 유아를 수용할 때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홀드 커버의 양측으로 유아의 양 다리를 통과시키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22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의 사용에 대비하여 서포트 본체와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유아를 수용할 때의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도 28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도 29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도 30에 이어지는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아기띠를 유저에게 장착하기 전의 단계에서, 유아를 세워 대면 안기 형태로 아기띠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등받이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등받이부의 새로운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use form of a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support body provided on a baby band.
4 is a rear view of the support main body.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fastener is close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de fastener is covered with a flap;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head support belt and a shoulder belt.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a pocket provided on one of the shoulder belts;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a pocket provided on the other shoulder belt.
10 is an enlarged view of a joint portion of a hold cover or the like with respect to a center support portion;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in Fig. 10;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Fig. 10;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ll-preventing cover is exposed by opening a center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ld cover;
Fig. 14 is a front view of a waist pad provided on a baby band. Fig.
Fig. 1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support main body and a waist pad in a separated state; 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by band is assembled in preparation for use in a standing type.
1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ist pad is attached to a user.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by band is attached to a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back side buckle is engaged;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ing a baby band is viewed from the back side thereof;
Fig. 21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accommodating an infant in a stand-up face-to-face configuration; Fig.
Fig. 22 is a view showing the procedure subsequent to Fig. 21; Fig.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legs of the infant are passed to both sides of the holding cover;
Fig. 24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subsequent to Fig. 22; Fig.
Fig. 25 is a view showing the procedure subsequent to Fig. 24; Fig.
26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connecting a support main body and a waist pad in preparation for use in a front view type.
Fig. 27 is a view showing the procedure subsequent to Fig. 26; Fig.
Fig. 28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accommodating an infant in a standing and frontal view. Fig.
Fig. 29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subsequent to Fig. 28; Fig.
FIG. 30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subsequent to FIG. 29; FIG.
Fig. 31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subsequent to Fig. 30; Fig.
Fig. 3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by is placed in a baby's sling in a face-to-face manner in a state before a baby sash is attached to a user.
3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backrest;
34 is a diagram showing a new modification of the backrest;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아기띠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아기띠(1)는 성인의 유저(2)가 유아(3)를 대면 상태로 안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도 1의 (a)의 형태]와, 유아(3)를 앞보기의 상태로 안는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도 1의 (b)의 형태]와, 유아(3)를 옆을 향한 자세로 안는 가로로 안기 형태[도 1의 (c)의 형태]와, 유아(3)를 업는 업기 형태[도 1의 (d)의 형태]의 4개의 형태로부터 하나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 또는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아기띠(1)를 설명한다. 가로로 안기 형태에서는, 가로로 안기 시트(4)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지만, 그 상세한 것은 본 발명의 요지 외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 및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를, 세워 안기 형태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aby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 1, the baby ban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by-to-be-seen type (in the form of Fig. 1 (a)) in which the adult user 2 holds the baby 3 in a confronting state, 1 (b) of Fig. 1), and a side view (Fig. 1 (c)) in which the infant 3 is held in a side- (A form of FIG. 1 (d) of FIG. 1), and a type of a maker that lifts up the infant 3 (one form of FIG. 1 (d)). Hereinafter, the baby band 1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case in which it is used in a standing face-up type or an upright type. In the transverse seated form, the transversely seated sheet 4 is additionally used, but the details thereof are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tanding-up type and the standing-forward typ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standing type.

도 2는 아기띠(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아기띠(1)는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를 구비하고 있다.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는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서포트 본체(5)는 복수매의 천을 봉합하여 구성된 기본 구조를 갖고, 유아(3)의 엉덩이부로부터 머리부까지의 범위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부품이다. 허리 패드(6)는 유저(2)의 허리 둘레에 장착되어 아기띠(1)의 하중을 허리 둘레로 분산시키기 위한 부품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band 1. Fig. The baby band (1) has a support body (5) and a waist pad (6). The support main body 5 and the waist pad 6 can be join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upport main body 5 has a basic structure constructed by sewing a plurality of cloths, and is a part formed to a size capable of covering a range from the butt portion to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3. The waist pad 6 is mounted around the waist of the user 2 to disperse the load of the baby band 1 around the waist.

도 3은 서포트 본체(5)의 정면도, 도 4는 그 이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에는 센터 서포트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 서포트부(10)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 유아(3)를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 유아(3)를 전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부분이며, 1매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센터 서포트부(10)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유아(3)를 양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사이드 서포트부(12)라고 표기한다.3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main body 5, and Fig. 4 is a rear view thereof.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provided on the support main body 5. [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fant 3 from the back side in a stand-up facing configuration and supporting the infant 3 from the front side in the front view shape, and is formed into a single sheet .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for supporting the infant 3 from both sid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are referred to as a side support portion 12 when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의 상부와 센터 서포트부(10) 사이에는 절입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서포트부(12A)는, 센터 서포트부(10)에 일체로 결합된 1매의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우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서포트부(12B)는, 그 하부가 센터 서포트부(1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그 상부는 사이드 파스너(15)를 통해 센터 서포트부(10)와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 파스너(15)는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결합 위치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한 경우,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에는,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결합 부분을 그 상단부로부터 당해 결합 부분의 하방을 향하여 가르도록 하여 슬릿(16)이 출현한다. 그로 인해,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12B) 사이에는, 상하 방향을 따른 비교적 긴 개구부가 발생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파스너(15)를 폐쇄한 경우에는, 사이드 서포트부(12B)가 센터 서포트부(10)와 연속한다. 그로 인해,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마찬가지로 1매의 커버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사이드 서포트부(12B)가 기능한다. 또한,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경계 부분에는 플랩(17)이 설치되어 있다. 플랩(17)은 센터 서포트부(10)와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플랩(17)과 사이드 서포트부(12B)의 각각에는 한 쌍의 호크(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파스너(15) 상에 플랩(17)을 덮어 호크(18)로 잠금으로써, 사이드 파스너(15)를 덮어 은폐시킬 수 있다.An inserting portion 1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3 and 4,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located on the left side is formed into a single cover shape integrally joined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s shown in Fig. 3, the lower side support portion 12B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provided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while the upp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hrough the side fastener 15 A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The side fastener 15 is provided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Therefore, when the side fastener 15 is opene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from the upper end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The slit 16 emerges so as to be direct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s a result, relatively long opening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re generat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s 12B. When the side fastener 15 is closed as shown in Fig. 5,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is continuous with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s a result,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functions as a single cover-shaped support member like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A flap 17 i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The flap (17) is integrally joined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 pair of hawks 18 is provided on each of the flap 17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The side fastener 15 can be covered and concealed by covering the side fastener 15 with the flap 17 and locking it with the hawk 18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서포트부(12)의 상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어깨 벨트(20) 각각의 상단부(20a)가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서포트부(12)의 상부는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절입부(14)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그들 상부는 어깨 벨트(20)의 일부(기부)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센터 서포트부(10)의 상방에는, 유아(3)를 머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 서포트부(2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헤드 서포트부(21)는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굴곡선(21a)을 따라 폴딩 가능하다. 헤드 서포트부(21)의 양단부에는, 헤드 서포트 벨트(22)(도 2 참조)의 일단부(22a)가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각 헤드 서포트 벨트(22)는, 어깨 벨트(20)와 헤드 서포트부(2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3 and 4, an upper end portion 20a of each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belts 20 is joined in an unremovable state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2. [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2 can be substantially functioned as a part (base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20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2 is separated by the inserting portion 14 with respect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 Above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 head support portion 21 for supporting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3 is integrally provided. The head support part (21) is foldable along the bending line (21a) with respect to the center support part (10). One end portion 22a of the head support belt 22 (see Fig. 2) is inseparably join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head support portion 21. Each head support belt 22 is provided to connect the shoulder belt 20 and the head support portion 21 to each other.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서포트 벨트(22)의 타단부(22b)는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개재하여 어깨 벨트(20)와 연결 가능하다. 헤드 서포트 버클(23)은, 헤드 서포트 벨트(22)에 고정되는 수형 버클부(23A)와, 어깨 벨트(20)에 고정되는 암형 버클부(23B)를 구비하고 있다. 버클부(23A, 23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헤드 서포트부(21)와 어깨 벨트(20)가 서로 연결되고, 버클부(23A, 23B)를 분리함으로써, 헤드 서포트부(21)와 어깨 벨트(2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각 헤드 서포트 벨트(22)의 외주에는 헤드 서포트 커버(24)가 설치된다. 헤드 서포트 커버(24)는, 2세트의 호크(25A, 25B)를 서로 끼워 맞춤으로써,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덮어 은폐하도록 하여 헤드 서포트 벨트(22)의 외주에 설치 가능하다.7, the other end portion 22b of the head support belt 22 is connectable to the shoulder belt 20 via the head support buckle 23. As shown in Fig. The head support buckle 23 is provided with a male buckle portion 23A fixed to the head support belt 22 and a female buckle portion 23B fixed to the shoulder belt 20. The head support portion 21 and the shoulder belt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engaging the buckle portions 23A and 23B so that the head support portion 21 and the shoulder belt 20 can be separated by separating the buckle portions 23A and 23B, Can be disconnec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head support belt 22, a head support cover 24 is provided. The head support cover 24 can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ad support belt 22 so as to cover and cover the head support buckle 23 by fitting two sets of the hawk 25A and 25B to each other.

각 어깨 벨트(20)의 하부에는, 겨드랑이 벨트(26)가 길이 조정 수단으로서의 래더 로크(27)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겨드랑이 벨트(26)의 선단에는, 겨드랑이 벨트 버클(28)의 암형 버클부(28A)가 설치되어 있다. 래더 로크(27)로부터 암형 버클부(28A)까지의 부분이 겨드랑이 벨트(26)의 유효 길이이며, 그 유효 길이는 래더 로크(27)에 대한 겨드랑이 벨트(26)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증감 가능하다. 또한, 래더 로크(27)로부터는 겨드랑이 벨트(26)의 나머지 길이 부분이 늘어져 있고, 그 선단에는 겨드랑이 벨트(26)를 미사용 시에 묶기 위한 고무제의 벨트 고정 밴드(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서포트부(12)의 내부에는, 겨드랑이 벨트 버클(28)의 수형 버클부(28B)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서포트부(12)의 외주에는, 수형 버클부(28B)에 액세스하기 위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겨드랑이 벨트(26)의 선단의 암형 버클부(28A)는, 그들 개구부를 통해 사이드 서포트부(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형 버클부(28B)와 맞물려진다.At the bottom of each shoulder belt 20, an underarm belt 26 is provided via a ladder lock 27 as a length adjusting means. A female buckle portion 28A of an underarm belt buckle 28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ide belt 26. [ The length from the ladder lock 27 to the female buckle portion 28A is the effective length of the side belt 26 and the effective length thereof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ide belt 26 with respect to the ladder lock 27 Do. The other lengthwise portion of the side belt 26 extends from the ladder lock 27. A belt fixing band 29 made of rubber for binding the side belt 26 at the unused time is provided at the tip thereof. 3, a male buckle portion 28B of an underarm belt buckle 28 is provided inside the side support portion 12. As shown in Fig. An opening (not shown) for accessing the male buckle portion 28B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2. The female type buckle portion 28A at the tip of the side belt 26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2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male buckle portion 28B.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어깨 벨트(20)에는, 아기띠(1)의 좌우 방향 내측, 바꿔 말하면 반대측의 어깨 벨트(20)와 대향하는 측으로 열리는 포켓(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30)의 개구 단부 테두리에는, 등받이부(31)를 개재하여 배면측 버클(배면측 연결구)(32)의 암형 버클부(32A) 또는 수형 버클부(32B)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부(32A, 32B)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좌우의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받이부(31)는 그 일단부가 포켓(30)의 개구 단부 테두리에서 어깨 벨트(20)와 접합되고, 또한 그 접합 부분으로부터 아기띠(1)의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타단부에 버클부(32A 또는 32B)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부(31)는 버클부(32A, 32B)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즉, 등받이부(31)는 그 선단부가 버클부(32A, 32B)와 동일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로부터 어깨 벨트(20)에의 접합부를 향하는 것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도 20도 참조). 등받이부(31)는 서포트 본체(5)나 어깨 벨트(20)에 사용되는 직물의 천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메쉬 소재가 등받이부(31)의 소재로서 적절하게 이용된다.As shown in Fig. 4, each shoulder belt 20 is provided with pockets 30 which are opened to the in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aby band 1, that is, the opposite side to the shoulder belt 20 on the opposite side. 8 and 9, the female buckle portion 32A of the back side buckle (back side side connector) 32 or the male buckle portion 32A of the back buckle (back side side connector) 32 is provided at the opening end edge of the pocket 30 with the back portion 31 interposed therebetween. (Not shown). By engaging the buckle portions 32A and 32B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left and right shoulder belts 20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backrest portion 31 is joined to the shoulder belt 20 at the edge of the opening end of the pocket 30 and extends from the joint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baby band 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buckle portion 32A or 32B is provided. The backrest portion 31 extends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buckle portions 32A and 32B. That is, the backrest portion 31 is formed in a size approximately equal to that of the buckle portions 32A and 32B, and has a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t is directed from the front end portion to the joining portion to the shoulder belt 20 (See Fig. 20). The backrest portion 31 may be formed of a fabric cloth used for the support body 5 and the shoulder belt 20. [ A mesh material is appropriate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backrest portion 31.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에는 프론트 벨트(33)가 수납되어 있다. 프론트 벨트(33)는 포켓(30)의 내부에서 어깨 벨트(20)와 접합되어 있다. 프론트 벨트(33)의 선단부에는, 프론트 버클(34)의 수형 버클부(3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의 내부에는, 프론트 버클(34)의 암형 버클부(34B)가 설치되어 있다. 암형 버클부(34B)는 수형 버클부(34A)와 맞물림 가능하다. 그들 버클부(34A, 34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도 어깨 벨트(20)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 및 프론트 버클(34)의 버클부(34A, 34B)는 포켓(30) 내에 수납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에는, 암형 버클부(32A)를 포켓(30) 내에 구속하기 위한 고무제의 버클 고정 밴드(35)와, 프론트 벨트(33) 및 수형 버클부(34A)를 수납하기 위한 프론트 벨트 포켓(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어깨 벨트(20)의 포켓(30)에는, 암형 버클부(34B)를 수납하는 프론트 버클 포켓(37)이 설치되어 있다. 배면측 버클(32)의 수형 버클부(32B)는, 프론트 버클(34)의 암형 버클부(34B) 및 프론트 버클 포켓(37)과 포켓(30)의 내면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a front belt 33 is housed in a pocket 30 of one shoulder belt 20. As shown in Fig. The front belt (33) is joined to the shoulder belt (20) inside the pocket (30). A male buckle portion 34A of the front buckle 3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belt 33. [ 9, the female buckle portion 34B of the front buckle 34 is provided inside the pockets 30 of the other shoulder belt 20. As shown in Fig. The female buckle portion 34B is engageable with the male buckle portion 34A. The shoulder belts 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engaging the buckle portions 34A and 34B. The buckle portions 32A and 32B of the back side buckle 32 and the buckle portions 34A and 34B of the front buckle 34 can be housed in the pockets 30. [ 8, the pockets 30 of one of the shoulder belts 20 are provided with a buckle fixing band 35 made of rubber for restraining the female buckle portion 32A in the pockets 30, A front belt pocket 36 for accommodating the male buckle portion 33 and the male buckle portion 34A is provided. 9, a front buckle pocket 37 for accommodating a female buckle portion 34B is provided in the pockets 30 of the other shoulder belt 20. As shown in Fig. The male buckle portion 32B of the back side buckle 32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female buckle portion 34B of the front buckle 3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buckle pocket 37 and the pocket 30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의 이면측에는 홀드 커버(40) 및 낙하 방지 커버(41)가 설치되어 있다. 홀드 커버(40)는 센터 서포트부(10)와 대향하는 1매의 시트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구성되고, 그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센터 서포트부(10)와 홀드 커버(40) 사이의 스페이스가, 세워 안기 형태로 유아(3)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로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홀드 커버(4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편측을 비틀어, 낙하 방지 커버(41)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홀드 커버(40)는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서 유아(3)의 가랑이로부터 가슴부를 덮고,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 유아(3)의 엉덩이부로부터 배면부에 걸친 부분을 덮는 지지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는 센터 서포트부(10)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배치되고, 유아(3)의 엉덩이부를 덮는 시트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도 그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에 접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a hold cover 40 and a fall prevention cover 41 are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main body 5. As shown in Fig. The holder cover 40 is constituted as one sheet-like support member facing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is join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The space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hold cover 40 is set to b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fant 3 in the form of a bird.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is partly exposed by twisting on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old cover 40. In Fig. The hold cover 40 is provided as a support member covering the chest from the crotch of the infant 3 in a standing face-to-face configuration and covering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3 to the back side in the front view shape.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hold cover 40 and is configured as a sheet-like support member for covering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3. And the lower end of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is also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도 10은,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한 홀드 커버(40) 등의 접합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그 접합 부분의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접합 부분의 도 10에 있어서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 각각은, 표면측 시트(12a) 및 이면측 시트(12b)를 겹친 구성을 갖고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는 그 좌우 방향의 양단부(도 1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있어서 시트(12a, 12b)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시트(12a, 12b)와 봉제 위치 SP1에서 일체로 봉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낙하 방지 커버(41)의 좌우 방향의 단부는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joint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such as the hold cover 40,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I in Fig. 10,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Fig. As is apparent from Fig. 11, each of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side sheet 12a and the back side sheet 12b are overlapped.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is sandwiched between the sheets 12a and 12b at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 ≪ / RTI > Therefore,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are integrally join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또한, 도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 및 낙하 방지 커버(41)의 하단부는,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와 홀드 커버(40)의 하단부 사이에 낙하 방지 커버(41)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서로 겹치고, 봉제 위치 SP2에서 일체로 봉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홀드 커버(40) 및 낙하 방지 커버(41) 각각의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에 접합된다. 센터 서포트부(10)와 커버(40, 41)의 접합 위치에는, 에지 커버(42)가 일체로 꿰매져 있다. 에지 커버(42)는 커버(40, 41)의 봉합 부분을 은폐하도록 센터 서포트부(10)의 이면측(도 12에 있어서 우측)까지 폴딩되어 파스너 커버(43)(도 4도 참조)와 겹쳐진다. 커버(42, 43)의 겹침 부분은 에지 커버(44)에 의해 덮이고, 그들 커버(42, 43, 44)는 봉제 위치 SP3에서 일체로 봉합되어 있다. 또한, 커버(44), 센터 서포트부(10), 낙하 방지 커버(41) 및 홀드 커버(40)는 봉제 위치 SP4에서 일체로 봉합되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홀드 커버(40)의 상단부에는 톱 벨트부(40a)가 주머니 형상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꿰매져 있다.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에는 폴딩부(41a)가 형성되어 꿰매져 있다. 폴딩부(41a)는 센터 서포트부(10) 및 톱 벨트부(40a) 각각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12,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hold cover 40 and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old cover 40, Overlapping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sandwiched, and are integrally sealed at the sewing position SP2. Thus,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hold cover 40 and the fall preventing cover 41 are join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respectively. An edge cover 42 is integrally sewn at the joining posi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covers 40, 41. The edge cover 42 is folded to the back side (the right side in Fig. 12)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so as to conceal the sealing portions of the covers 40 and 41 and overlapped with the fastener cover 43 Loses. The overlapped portions of the covers 42 and 43 are covered by the edge cover 44 and the covers 42, 43 and 44 are integrally sealed at the sewing position SP3. The cover 44,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and the hold cover 40 are integrally sealed and bonded to each other at the sewing position SP4. In addition, the top cover 40a is stitched in the folded state in the form of a bag on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cover 40. [ A folding portion 41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and stitched. The folding portion 41a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top belt portion 40a.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는 그 톱 벨트부(40a)의 일단부(40b)에서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분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대해 톱 벨트부(40a)의 타단부(40c)는 사이드 서포트부(12B)에 대해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홀드 커버(40)는 사이드 서포트부(12B)측을 자유 단부로 하여 비틀어지도록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이 홀드 커버(40)를 비틀음으로써, 유아(3)의 수용 스페이스를 사이드 서포트부(12B)측을 향하여 열릴 수 있다. 또한,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보다도 하방의 영역에 있어서, 홀드 커버(40)의 양측부는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에 대해 분리되고, 그들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hold cover 40 is inseparably join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at one end portion 40b of the top belt portion 40a.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portion 40c of the top belt portion 40a is separated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Therefore, the hold cover 40 can be deformed so as to twist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side as a free end. By thus twisting the hold cover 40, the receiving space of the infant 3 can be opened towar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side. Both side portions of the hold cover 40 are separated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in a region below the top belt portion 40a of the hold cover 40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m .

낙하 방지 커버(41)는 그 양단부가 사이드 서포트부(12)와 접합되고, 하단부가 센터 서포트부(10)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낙하 방지 커버(41)는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상방으로 열리는 포켓과 같이 부속된다. 단,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를 연 경우에는, 낙하 방지 커버(41)의 일단부가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므로, 낙하 방지 커버(41)에 의해 형성되는 포켓도 측방으로 열린다. 또한, 도 1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는 센터 서포트부(10)의 접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서 점차 좌우 방향으로 폭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고, 그 상단부의 톱 벨트부(40a)는 좌우 방향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 방지 커버(41)는 메쉬 소재로 형성되고, 다소의 신축성을 갖고 있다. 특히,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의 폴딩부(41a)는 신축성이 많은 소재, 일례로서 고무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부분적으로 나타내었지만, 센터 서포트부(10)도 메쉬 소재로 형성된다.The fall preventing cover 41 has its both ends join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2 and the lower end joined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Therefore,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is attached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like a pocket opened upward. However, when the side fastener 15 is opened to open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since the one end of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moves integrally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The pockets formed by the openings also open sideways. 13, the hold cover 40 has a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it goes upward from the joining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top belt portion 40a, Is slightly protru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3 and 13,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is formed of a mesh material and has some elasticity. Particularly, the folding portion 41a at the upper end of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10,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also formed of a mesh material.

도 4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홀드 커버(40)에 있어서의 톱 벨트부(40a)는 그 내부에 홀드 벨트(45)를 구비하고 있다. 홀드 벨트(45)의 일단부는 톱 벨트부(40a)의 내면측에 접합되고, 타단부(선단부)에는 홀드 버클(46)의 수형 버클부(46A)가 설치되어 있다. 수형 버클부(46A)는, 톱 벨트부(40a)의 단부(40c)를 향하게 되어 있고, 그 단부(40c)는 수형 버클부(46A)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열려 있다. 사이드 서포트(12B)의 이면측에는, 홀드 버클(46)의 암형 버클부(46B)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부(46A, 46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의 단부(40c)를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결합하고, 그로 인해 어깨 벨트(20)를 톱 벨트부(40a)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파스너 커버(43)는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단부뿐만 아니라,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의 하단부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중앙의 파스너 커버(43) 상의 2개소에는, 파스너 커버 호크(47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 본체(5)의 이면측(도 4에 도시하는 측)에는, 가로로 안기 시트 설치용의 면 파스너(48)가 설치되어 있다.Returning to Fig. 4,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The top belt portion 40a of the hold cover 40 is provided with a holding belt 45 inside. One end of the holding belt 45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belt portion 40a and the other end of the holding belt 45 is provided with a male buckle portion 46A of the holding buckle 46. [ The male buckle portion 46A is directed toward the end portion 40c of the top belt portion 40a and the end portion 40c thereof is opened to expose the male buckle portion 46A. A female buckle portion 46B of the holding buckle 46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ide support 12B. The end portion 40c of the top belt portion 40a of the hold cover 40 is engag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by engaging the buckle portions 46A and 46B so that the shoulder belt 20 is engaged with the top belt portion 40B, (40a). 4, the fastener cover 43 is provided not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but also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Two fastener cover hooks 47A are provided at two positions on the fastener cover 43 at the center. On the back side (the side shown in Fig. 4) of the support main body 5, there is provided a face fastener 48 for mounting a horizontal seat.

도 14는, 허리 패드(6)의 정면도이다. 허리 패드(6)는 상하 방향으로 적당한 폭을 갖는 패드 본체(50)와, 그 패드 본체(50)의 일단부(50a)에 고정된 허리 벨트(51)를 갖고 있다. 허리 벨트(51)에는 허리 버클(52)의 수형 버클부(52A)가 설치되고, 패드 본체(50)의 타단부(50b)에는 허리 버클(52)의 암형 버클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버클부(52A, 52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허리 벨트(51)를 패드 본체(50)의 단부(50b)와 연결하여, 허리 패드(6)의 전체를 루프 형상으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허리 벨트(51)에 대한 수형 버클부(52A)의 설치 위치는, 허리 벨트(51)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패드 본체(50)의 단부(50a)로부터 수형 버클부(52A)의 위치까지가 허리 벨트(51)의 유효 길이이다. 허리 벨트(51)의 수형 버클부(52A)보다도 앞쪽으로 빼내어진 나머지 길이 부분은, 수형 버클부(52A)로부터 폴딩되어 허리 벨트(51) 상의 벨트 홀더(53)에 끼워 넣어진다.14 is a front view of the waist pad 6. Fig. The waist pad 6 has a pad body 50 having an appropriat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waist belt 51 fixed to one end portion 50a of the pad body 50. [ The waist belt 51 is provided with a male buckle portion 52A of the waist buckle 52 and the other end portion 50b of the pad body 50 is provided with a female buckle portion 52B of the waist buckle 52 . The waist belts 51 can be connected to the end portions 50b of the pad main body 50 by connecting the buckle portions 52A and 52B to connect the entire waist pads 6 in a loop shap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le buckle portion 52A with respect to the waist belt 51 is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ist belt 51. [ The effective length of the waist belt 51 from the end portion 50a of the pad main body 50 to the position of the male buckle portion 52A. The remaining length portion drawn out before the male buckle portion 52A of the waist belt 51 is folded from the male buckle portion 52A and is fitted into the belt holder 53 on the waist belt 51. [

패드 본체(50)의 중앙 상부에는, 센터 파스너(55)의 한쪽의 파스너 테이프(55A)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파스너 테이프(55A)의 양측에는, 패드 본체(50)의 단부(50a, 50b)를 향하는 것에 따라서 서서히 높이가 증가하는 연결부(50c)가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부(50c)의 상부에는, 사이드 파스너(56)의 한쪽의 파스너 테이프(5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스너 테이프(55A)의 하방의 2개소에는 파스너 커버 호크(47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 의 하단부 테두리부의 형상은, 패드 본체(50)의 상단부 테두리부의 형상과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의 하측 테두리부이며, 파스너 커버(43)를 걷어올린 위치에는, 센터 파스너(55)의 다른 쪽의 파스너 테이프(55B)와, 사이드 파스너(56)의 다른 쪽의 파스너 테이프(56B)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 파스너(55)의 파스너 테이프(55A, 55B)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센터 서포트부(10)의 하부와 허리 패드(6)의 중앙 상부가 연결되고, 사이드 파스너(56)의 파스너 테이프(56A, 56B)를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사이드 서포트부(12)의 하부와 허리 패드(6)의 좌우의 연결부(50c)가 연결된다. 또한, 도 16은 한쪽의 사이드 서포트부(12B)만을 도시하지만, 반대측의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허리 패드(6)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패드 본체(50)의 파스너 커버 호크(47B)는, 파스너 커버(43) 상의 파스너 커버 호크(47A)와 위치를 정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파스너 커버 호크(47A, 47B)를 끼워 맞춤으로써, 파스너 커버(43)를 허리 패드(6)에 연결할 수 있다.One fastener tape 55A of the center fastener 55 is provided in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pad main body 50 so as to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Connection portions 50c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astener tape 55A and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as the end portions 50a and 50b of the pad main body 50 are oriented. One fastener tape 56A of the side fastener 56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each connecting portion 50c. Further, fastener cover hooks 47B are provided at two positions below the fastener tapes 55A. As shown in Fig. 15, the shap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main body 5 is complementary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ad main body 50. As shown in Fig. The other fastener tape 55B of the center fastener 55 and the side fastener 56 are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support main body 5 at the position where the fastener cover 43 is rolled up, The other fastener tape 56B is provided.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waist pad 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astener tapes 55A and 55B of the center fastener 5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56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 12 and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portions 50c of the waist pad 6 are connected. 16 shows only one side support portion 12B,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waist pad 6 is the same. The fastener cover hock 47B of the pad main body 50 is disposed in alignment with the fastener cover hock 47A on the fastener cover 43. [ The fastener cover 43 can be connected to the waist pad 6 by fitting the fastener cover hawks 47A and 47B.

이어서, 세워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아기띠(1)의 사용 수순을 설명한다. 이하는,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고, 그 후에 유아(3)를 아기띠(1)에 수용하는 수순이다. 도 17은, 세워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에 대비하여 아기띠(1)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의 상태에 있어서는, 우선,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가 연결된다. 세워 대면 안기 형태의 경우에는, 센터 파스너(55) 및 한 쌍의 사이드 파스너(56)(도 17에서는 은폐되어 보이지 않음)를 이용하여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가 연결되고,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의 경우에는 센터 파스너(55)만을 이용하여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가 연결된다. 어깨 벨트(20)로부터는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가 등받이부(31)와 함께 인출된다. 겨드랑이 벨트(26)는 겨드랑이 벨트 버클(28)을 이용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연결된다. 헤드 서포트부(21)는 헤드 서포트 벨트(22) 및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이용하여 어깨 벨트(20)와 연결된다(도 7 참조).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이면측에 은폐되어 보이지 않음)는 홀드 버클(46)을 이용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연결된다. 사이드 파스너(15)(도 3 참조)는 폐쇄되고, 플랩(17)도 사이드 서포트부(12B) 상에 고정된다.Next, the procedure for using the baby band 1 in the standing type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is the procedure for attaching the baby band 1 to the user 2 and thereafter accommodating the baby 3 in the baby band 1. [ Fig.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by band 1 is assembled in preparation for use in a standing type. In the state shown in Fig. 17, first, the support main body 5 and the waist pad 6 are connected. The support body 5 and the waist pad 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center fastener 55 and the pair of side fasteners 56 (not shown in Fig. 17) In the front view type, only the center fastener 55 is used to connect the support main body 5 and the waist pads 6. The buckle portions 32A and 32B of the back side buckle 32 ar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backrest portion 31 from the shoulder belt 20. [ The side belt 26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using an underarm belt buckle 28. [ The head support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shoulder belt 20 using the head support belt 22 and the head support buckle 23 (see Fig. 7). The top belt portion 40a of the hold cover 40 (not shown hidden on the back side)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using the holding buckle 46. [ The side fastener 15 (see Fig. 3) is closed, and the flap 17 is also fixed on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이상의 상태로부터, 세워 대면 안기 형태로 유아(3)를 지지하는 수순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패드(6)를 그 패드 본체(50)의 중앙부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유저(2)의 허리부에 세트하고, 허리 버클(52)의 버클부(52A, 52B)를 맞물리게 하여 허리 패드(6)를 유저(2)에 장착한다. 이때, 허리 버클(52)의 수형 버클부(52A)의 허리 벨트(51) 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변화시켜, 허리 벨트(51)를 적절한 길이로 조정한다. 이어서,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를 맞물리게 하여 등받이부(31)를 서로 연결한다. 그 후,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32)와 어깨 벨트(20)에 의해 형성된 고리로 들어가도록 하여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한다. 이때, 서포트 본체(5)는 그 홀드 커버(40)가 유저(2)의 가슴부에 접하고, 센터 서포트부(10)가 유저(2)가 볼 때 홀드 커버(40)보다도 먼 곳에 위치하는 방향에서 유저(2)에 장착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띠(1)를 장착한 상태에서, 좌우의 어깨 벨트(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배면측 버클(32) 및 등받이부(31)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부(31)가 배면측 버클(32)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으므로, 배면측 버클(32)과 동일 정도, 또는 배면측 버클(32)보다도 상하 방향의 폭이 작은 벨트 등의 연결구에 의해 어깨 벨트(20)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2)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을 받는 부분의 면적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배면측에 있어서의 하중의 분산을 도모하고, 유저(2)의 어깨에의 하중의 집중을 완화하여 유저(2)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ocedure for supporting the infant 3 from the above-described state in the form of a standing face. The waist pad 6 is set in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2 so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pad body 50 is positioned in front and the buckle portions 52A, And the waist pad 6 is attached to the user 2 by engaging the waist pads 52A and 52B.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male buckle portion 52A of the waist buckle 52 on the waist belt 51 is changed to adjust the waist belt 51 to an appropriate length. Then, the buckle portions 32A and 32B of the back side buckle 3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connect the back portion 31 to each other. Thereafter, as shown in Fig. 19, the baby band 1 is attached to the user 2 so as to enter the loop formed by the backrest portion 32 and the shoulder belt 20. At this time, the support main body 5 is positioned such that the holder cover 40 is in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user 2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positioned farther from the hold cover 40 And is mounted on the user 2. 20, the right and left shoulder belts 20 extend substantially in paralle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ck side buckle 32 and the backrest portion 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ackrest portion 31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back side buckle 32 so that the back side buckle 32 is connected to the back side buckle 32 by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belt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back side buckle 32, The area of the portion receiving the load on the back side of the user 2 is widen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houlder belt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load on the rear side can be dispersed and the burden on the user 2 can be reduced by allevi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load on the shoulder of the user 2. [

이상과 같이 하여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한 후에는, 아기띠(1)에 유아(3)를 수용하는 수순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하의 수순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2)가 의자(C) 등에 앉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풀러 헤드 서포트부(21)와 어깨 벨트(20)의 연결을 해제한다. 또한, 플랩(17)을 잠그는 호크(18)를 벗겨,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한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폴딩되도록 연다. 또한, 도 2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홀드 커버(40)는 어깨 벨트(20) 사이에서 유저(2)의 가슴부에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유아(3)를 유저(2)와 마주보게 되도록 하여 안아 올려 아기띠(1)에 태운다. 이때, 도 2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열어 낙하 방지 커버(41)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스페이스 S1을 발생시키고, 그 스페이스 S1에 유아(3)가 들어가도록 하여, 유아(3)의 양 다리(3a)를 홀드 커버(40)의 양측에 통과시킨다.After the baby band 1 is attached to the user 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oves to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baby 3 in the baby band 1. [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ollowing procedure is performed by the user 2 sitting on the chair C or the like as shown in Fig. First, the head support buckle 23 is disconnected from the puller head support portion 21 and the shoulder belt 20. Further, the hawk 18 for locking the flap 17 is peeled off and the side fastener 15 is opened (see Fig. 3). Thereby,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opened so as to fold forward. 21, the hold cover 40 is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user 2 between the shoulder belts 20. Subsequently, the infant 3 is held so as to face the user 2 and picked up in the baby band 1. The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3,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forwardly opened to generate a space S1 between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and the hold cover 40, and the infant 3 enters the space S1 So that both legs 3a of the infant 3 are passed to both sides of the hold cover 40. [

이에 의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3)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홀드 커버(40)와 낙하 방지 커버(41) 사이에 수용하여, 유아(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서포트 본체(5)의 센터 서포트부(10)가 전방으로 크게 열린 상태이어도, 센터 서포트부(10)와 홀드 커버(40)가 그들의 하단부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아(3)가 하방으로 낙하할 우려가 없다. 그 낙하 방지 효과는, 낙하 방지 커버(41)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유아(3)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수용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발휘된다. 또한,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는 홀드 커버(40)나 센터 서포트부(10) 각각의 상단부보다도 충분히 낮으므로, 센터 서포트부(10)의 상부를 크게 열어도 낙하 방지 커버(41)의 상단부는 홀드 커버(40)로부터 전방으로 크게 이격되는 일이 없어, 유아(3)의 지지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없다. 이들 작용에 의해,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아(3)를 태울 때에는,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가 측방으로 크게 열려 있으므로, 유아(3)를 높게 들어올리는 일 없이, 아기띠(1)의 측방으로부터 홀드 커버(40)와 센터 서포트부(10) 사이의 스페이스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22, the periphery of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3 is accommodated between the hold cover 40 and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so that the infant 3 can be reliably support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of the support main body 5 is opened wide forward, since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hold cover 40 are engaged at their lower end portions, There is no danger of falling. The drop prevention effect is more reliably exhibited by accommodating the periphery of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3 between the fall preventing cover 41 and the hold cover 40. [ The upper end of the fall preventing cover 41 is sufficiently lower tha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hold cover 40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so that eve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opened to a large extent, The upper end portion is not largely spaced forward from the hold cover 40, an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supporting effect of the infant 3 is lowered. By these ac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ant 3 from falling and to improve the safety. Since the space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is largely opened sideways when the infant 3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baby band 1 from the side of the baby band 1 without lifting the baby 3 high, So that it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ld cover 40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계속해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를 유아(3)의 배면측에 덮도록 하여 들어올리고,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맞물리게 한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폐쇄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센터 서포트부(10)를 연결한다. 그 후,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7)을 사이드 서포트부(12B)에 덮어 호크(18)를 끼워 맞춘다. 이상에 의해,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3)의 지지가 완료된다. 또한, 유아(3)를 내려놓을 때에는, 대략 상기와 반대의 수순에 따르면 된다. 그 경우도, 서포트 본체(5)를 열었을 때에 낙하 방지 커버(41)가 유아(3)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함으로써,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를 크게 열어 유아(3)를 아기띠(1)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4, the support main body 5 is lifted so as to cover the back side of the infant 3, and the head support buckle 23 is engaged. In addition, the side fastener 15 is closed to connect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Thereafter, as shown in Fig. 25, the flap 17 is cover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and the hawk 18 is fitt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of the infant 3 in the standing-up type is completed. Further, when the infant 3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procedure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above. In this case as well, since the fall preventive cover 41 supports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3 when the support main body 5 is opened, falling of the infant 3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opening the side fastener 15, the baby 3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baby band 1 by opening the gap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이어서, 도 17의 상태로부터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유아(3)를 지지하는 수순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아기띠(1)를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 본체(5)와 허리 패드(6)는, 센터 파스너(55)만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그 상태를 도 26에 도시한다. 이 경우, 사이드 파스너(56)(도면에서는 은폐되어 보이지 않음)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허리 패드(6)의 패드 본체(50)에 있어서의 연결부(50c)와의 사이에는 간극 S2가 발생한다. 그들 간극 S2는,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서, 유아(3)가 그 양 다리를 서포트 본체(5)의 전방으로 빼내기 위한 통로로서 이용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0c)가 하방으로 폴딩되어 패드 본체(5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간극 S2가 확대되어, 유아(3)의 양 다리를 통과시키기 위해 충분한 크기의 간극 S2를 확보할 수 있다.Next, the procedure for supporting the infant 3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7 in a front view type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upport body 5 and the waist pad 6 are connected using only the center fastener 5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by band 1 is used as a front view. This state is shown in Fig. In this case, since the side fasteners 56 (not shown in the figure) are separated,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12B and the waist pads 6 are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s 50c in the pad main body 50 A gap S2 is generated. The gap S2 is used as a passageway for the infant 3 to pull both legs forward of the support main body 5 in a standing and front view shape. Further, as shown in Fig. 27, the connecting portion 50c is folded downward and stored in the pad main body 50. As shown in Fig. Thereby, the gap S2 is enlarged, and a gap S2 having a sufficient size for passing the legs of the infant 3 can be ensured.

아기띠(1)를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유저(2)에 대한 아기띠(1)의 장착은,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수순과 동일한 수순으로 행하면 된다. 아기띠(1)의 장착 후는 우선,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서포트 버클(23)을 푸는 동시에, 호크(18)를 벗겨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하고,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폴딩하도록 하여 연다. 계속해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3)를 앞보기 자세로 안아 올려 아기띠(1)에 태운다. 이때도, 도 23과 마찬가지로, 센터 서포트부(10)를 전방으로 열어 낙하 방지 커버(41)와 홀드 커버(40) 사이에 스페이스 S1을 발생시키고, 그 스페이스 S1에 유아(3)가 들어가도록 하여, 유아(3)의 양 다리(3a)를 홀드 커버(40)의 양측으로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유아(3)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홀드 커버(40)와 낙하 방지 커버(41) 사이에 수용하여, 유아(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본체(5)의 센터 서포트부(10)가 전방으로 크게 열린 상태이어도,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가 크게 열려 있으므로, 유아(3)를 아기띠(1)의 측방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어, 유아(3)를 높게 들어올릴 필요는 없다. 또한,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허리 패드(6)의 연결부(50c) 사이에는 간극 S2가 열려 있으므로, 그 간극 S2를 통해 유아(3)의 양 다리를 아기띠(1)의 전방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유아(3)의 발의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아, 유아(3)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강요당할 우려가 없다.In the case of using the baby band 1 as a front view type, the attachment of the baby band 1 to the user 2 is the same as the procedure of the standing face typ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0 It may be performed in a procedure. 28, the head support buckle 23 is unfastened and the side fastener 15 is uncovered by removing the hawk 18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opened, So as to fold forward. Next, as shown in Fig. 29, the infant 3 is held in a front position and picked up in the baby band 1. [ 23,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opened forward to generate a space S1 between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and the hold cover 40, and the infant 3 is inserted into the space S1 , And both legs (3a) of the infant (3) are passed to both sides of the hold cover (40). Thereby, the periphery of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3 is accommodated between the hold cover 40 and the fall prevention cover 41, so that the infant 3 can be reliably supported. Therefore, even if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of the support main body 5 is opened in a large forwar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ant 3 from falling and to improve the safety. Since the space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is largely opened, the infant 3 can be received from the side of the baby band 1, and the infant 3 need not be lifted up high . Since the gap S2 is opened between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and the connection portion 50c of the waist pad 6, both legs of the infant 3 are guided to the front of the baby band 1 through the gap S2 It becomes possible to remove it. Thereby, the movement of the feet of the infant 3 is not disturbed, an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infant 3 is forced to an unnatural posture.

계속해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서포트부(10)를 들어올려 유아(3)의 가슴부에 밀착시킨다. 또한, 헤드 서포트부(21)를 하향으로 폴딩하고, 그 양단부를 헤드 서포트 버클(23)에 의해 어깨 벨트(20)와 연결한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폐쇄하여 사이드 서포트부(12B)와 센터 서포트부(10)를 연결하고, 그 후,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7)을 사이드 서포트부(12B)에 덮어 호크(18)를 끼워 맞춘다. 이상에 의해,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3)의 지지가 완료된다. 또한, 유아(3)를 내려놓을 때에는, 대략 상기와 반대의 수순에 따르면 된다. 그 경우도, 서포트 본체(5)를 열었을 때에 낙하 방지 커버(41)가 유아(3)의 엉덩이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유아(3)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파스너(15)를 개방함으로써, 센터 서포트부(10)와 사이드 서포트부(12B) 사이를 크게 열어 유아(3)를 아기띠(1)로부터 측방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0,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is lift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infant 3. The head support portion 21 is folded downward, and both ends of the head support portion 21 are connected to the shoulder belt 20 by the head support buckle 23. The side fastener 15 is closed to connect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n the flap 17 is cover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as shown in Fig. Fit the hawk (18). As a result, the support of the infant 3 in the front view type is completed. Further, when the infant 3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procedure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above. In this case as well, since the fall preventive cover 41 supports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3 when the support main body 5 is opened, falling of the infant 3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opening the side fastener 15, the infant 3 can be easily taken out sideways from the baby band 1 by opening the gap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또한, 상기에서는,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한 후에 유아(3)를 아기띠(1)에 수용하는 수순을 나타내었지만, 아기띠(1)에 유아(3)를 태운 후에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워 대면 안기 형태에 있어서, 아기띠(1)에 먼저 유아(3)를 태운 상태를 도 32에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도 32의 상태로부터, 허리 패드(6)를 유저(2)에 장착하고, 계속해서, 배면측 버클(32)을 맞물리게 하여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고, 그 후, 도 19와 마찬가지로, 등받이부(32)와 어깨 벨트(20)에 의해 형성된 고리로 들어가도록 하여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면 된다. 세워 앞보기 안기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유아(3)를 아기띠(1)에 수용한 후에 아기띠(1)를 유저(2)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아기띠(1)를 업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7의 준비 형태에 대해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를 어깨 벨트(20) 내에 수납하고, 그 대신에, 프론트 벨트(33)(도 2 참조)를 인출한다. 그 상태에서, 도 3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기띠(1)에 유아(3)를 수용하고, 유아(3)가 배면측이 되도록 하여 아기띠(1)를 등에 메어 어깨 벨트(20)를 유저(2)에 장착하고, 또한, 프론트 벨트(33)와 프론트 버클(34)을 이용하여, 유저(2)의 가슴측에서 어깨 벨트(20)를 서로 연결하면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fant 3 is accommodated in the baby band 1 after the baby band 1 is mounted on the user 2. However, after the infant 3 is carried on the baby band 1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baby band 1 on the user 2. For example, FIG. 32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fant 3 is first placed on the baby band 1 in a standing-up position. 32, the waist pad 6 is attached to the user 2, and the back side buckle 32 is subsequently engaged to connect the shoulder belts 20 to each other. Thereafter, The baby band 1 may be mounted on the user 2 so as to enter the loop formed by the backrest portion 32 and the shoulder belt 20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baby band 1 to the user 2 after the infant 3 has been accommodated in the baby band 1. In this case, 17, the buckle portions 32A, 32B of the back side buckle 32 are housed in the shoulder belt 20, and instead of the buckle portions 32A, And the front belt 33 (see Fig. 2). 32, the infant 3 is received in the baby band 1 and the baby band 1 is put on the back of the baby 3 such that the baby 3 is on the back side, And the front belt 33 and the front buckle 34 may be used to connect the shoulder belts 20 to each other on the chest side of the user 2. [

또한, 이상의 형태에 있어서는, 배면측 버클(32)이 배면측 연결구에 상당하고, 홀드 버클(46)이 홀드 커버 연결구에 상당하고, 사이드 파스너(15)가 사이드 연결구에 상당하고, 센터 파스너(55)가 중앙 연결구에 상당하고, 사이드 파스너(56)가 측방 연결구에 상당한다. 단, 배면측 연결구 및 홀드 커버 연결구에는, 버클(32, 46)로 한정되지 않고,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적절한 연결구가 사용되어도 된다. 사이드 연결구에 대해서는, 파스너로 한정되지 않고,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적절한 연결구가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사이드 파스너(15) 대신에, 버튼, 면 파스너 등을 사이드 연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앙 연결구 및 측방 연결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ide buckle 32 corresponds to the back side connecting port and the holding buckle 46 corresponds to the holding cover connecting port and the side fastener 15 corresponds to the side connecting port and the center fastener 55 And the side fastener 56 corresponds to a lateral connector. However, the back-side connecting port and the holding cover connecting port are not limited to the buckles 32 and 46 but may be appropriately connected to and detachable from each other. As for the side connector, it is not limited to the fastener, but a suitable connector for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may be used. For example, instead of the side fastener 15, a button, a surface fastener, or the like can be used as a side connector. The same applies to the center connector and the side connector.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형태에서는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와 어깨 벨트(20)가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사이드 서포트부(12A, 12B)는 어깨 벨트(20)에 대해 버클 그 외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어깨 벨트(20)에 대해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도 된다. 홀드 커버(40)의 톱 벨트부(40a)의 단부(40b)는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반대측의 단부(40c)와 마찬가지로 홀드 버클(46) 등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단부(40b)를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유아(3)를 빼고 넣을 때에 단부(40b)를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결합하고, 단부(40c)를 사이드 서포트부(12B)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또는, 사이드 서포트부(12A)와 센터 서포트부(10) 사이에도 슬릿(16) 및 사이드 파스너(15)를 설치함과 함께, 톱 벨트(40a)의 양단부(40a, 40b)를 버클(46)에 의해 사이드 서포트부(12)와 연결하고, 그로 인해, 유아(3)를 빼고 넣을 때에 사이드 서포트부(12A 또는 12B)를 택일적으로 센터 서포트부(10)에 대해 열도록 해도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although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and the shoulder belt 20 are inseparably couple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and 12B are provided on the shoulder belt 20, May be coupled to the shoulder belt 20 in a detachable state. The end portion 40b of the top belt portion 40a of the hold cover 40 is inseparably engag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but the end portion 40b of the hold belt 40a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using a connecting hook such as the holding buckle 46, And the end portion 40b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in a detachable state. Even in this case, when the infant 3 is pulled out and put in, the end portion 40b may be engag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and the end portion 40c may be separated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12B. The slit 16 and the side fastener 15 are provided between the side support portion 12A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and the both end portions 40a and 40b of the top belt 40a are fastened to the buckle 46, The side support portions 12A or 12B may alternatively be ope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support portion 10 when the infant 3 is pulled out and inserted.

등받이부(31)는 일단부가 어깨 벨트(20)와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배면측 버클(32)이 설치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 벨트(20)의 일부를 좌우 방향 중심측으로 팽창하도록 확장부(31A)를 형성하여 그들의 선단에 버클(32)을 장착하고, 그로 인해, 확장부(31A)를 등받이부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또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측 버클(32)의 버클부(32A, 32B)를 상하 방향의 폭이 작은 연결 벨트(60)에 의해 어깨 벨트(20)와 연결함과 함께, 그들의 연결 벨트(60)의 도중에 버클부(32A, 32B)보다도 상하 방향으로 확장된 별도 부품으로서의 등받이 패드(61)를 장착하고, 그들 등받이 패드(61)를 등받이부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또한, 도 34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등받이 패드(61)를 더욱 일체화하여 어깨 벨트(20)의 사이에 단일 등받이 패드(61)가 등받이부로서 설치되어도 된다.The backrest portion 31 is not limited to the one in which the one end portion is inseparably coupled to the shoulder belt 20 and the backside buckle 32 is provided in the other end por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3, an enlarged portion 31A is formed so as to expand a part of the shoulder belt 20 toward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buckle 32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enlarged portion 31A, (31A) may function as a backrest. 34, the buckle portions 32A, 32B of the back side buckle 32 are connected to the shoulder belt 20 by the connection belt 60 having a small width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back pad 61 may be mounted as an additional componen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buckle portions 32A and 32B on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belt 60 and these back pad 61 may function as a backrest. 34, the left and right back pads 61 may be further integrated so that a single back pad 61 may be provided as a backrest between the shoulder belts 2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아기띠는, 유저와 서포트 본체 사이의 스페이스에, 유아를 세워 안기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가로로 안기 형태, 또는 업기 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은 불가능해도 된다.The baby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ffice as long as the infant can be housed in a space between the user and the support body in an enclosed space.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유아를 지지하는 서포트 본체와,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를 따르도록 연장되고, 또한 양단부가 상기 서포트 본체와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서로 연결하는 배면측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를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어깨 벨트를 상기 유저의 좌우의 어깨 둘레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저의 전방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 내에 상기 유아를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아기띠이며,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배면측 연결구 사이에는, 상기 유저에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관해 상기 배면측 연결구보다도 확장된 등받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어깨 벨트는, 상기 유저의 배면측에서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일단부로부터 상기 아기띠의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타단부에 상기 배면측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저와의 사이에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유저의 전방에 배치 가능한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센터 서포트부의 좌우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유아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연장되어 상단부가 상기 어깨 벨트와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의 상기 유저와 대향하는 측에는, 상기 유아를 상기 세워 안기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통해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대향하는 홀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의 하단부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홀드 커버의 상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톱 벨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톱 벨트부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톱 벨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는 홀드 커버 연결구를 통해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톱 벨트부보다도 하방의 영역에서는, 상기 홀드 커버의 측부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대해 분리되어 있는, 아기띠.
A pair of shoulder belts extending along the left and right shoulder circumferences of the user and both ends of which are engaged with the support main body and a pair of shoulder belts at the back side of the user, And the shoulder strap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ody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It is a baby band that is made to be able to hold a baby and hold it in a holding state,
A backres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ck sid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houlder belts and the back sid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ime of attachment to the user,
The shoulder belt is provided so as to extend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back side of the user and the backrest portion extends from the one end coupled to the shoulder belt toward the inside of the baby b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rear surface side connector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thereof,
Wherein the support body includes a center support portion tha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user so as to receive the infant in an upright position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center support portion, A pair of side support parts extending to extend sideways so that an upper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shoulder belt, and a pair of side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center support part opposite to the user, A center support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hold cover are integrally coupled and a top belt por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hold cover,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s , At least one of the end portions of the top bel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 in a detachable state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through a hold cover connection port and in a region below the top bel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s are separated from the side suppor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홀드 커버 사이에는, 상기 홀드 커버와의 사이에서 유아의 엉덩이부의 주위를 지지하는 낙하 방지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하단부는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좌우 방향의 단부는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에 결합되어 있는, 아기띠.
The method of claim 3,
A fall preventive cover for supporting the periphery of the hip portion of the infant is provid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hold cover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all preventive cov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hold cover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all preventing cover are coupled to the side support por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커버의 상단부는, 상기 센터 서포트부 및 상기 홀드 커버 각각의 상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아기띠.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upper end of the fall preventing cover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hold co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커버 연결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서포트부와 상기 센터 서포트부 사이에는,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의 결합 부분을 상기 결합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가르도록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슬릿을 닫도록 하여 상기 센터 서포트부와 상기 사이드 서포트부를 연결하는 사이드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아기띠.
The method of claim 3,
A slit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hold cover attachment port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engagement portion to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a sid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enter support por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so as to close the sl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본체의 하부에는 유저의 허리부에 장착되는 허리 패드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본체에는 상기 유아를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의 연결 부분에는, 당해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중앙 연결구와, 상기 중앙 연결구에 대한 좌우 방향 양측에서 상기 서포트 본체와 상기 허리 패드를 연결하는 측방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는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측방 연결구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세워 앞보기 안기 상태로 수용된 유아의 양 다리를 빼기 위한 간극이 발생하는, 아기띠.
The method of claim 3,
A waist pad attached to the waist of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The support body can be housed in a front view state,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is provided with a central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 lateral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upport body and the waist pads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connector in a lateral direction, and the lateral connector is connectable and detachable, and when the lateral connector is detached, A gap is created in which the legs of the infant accommodated in the state are remov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패드에는, 상기 측방 연결구를 설치하기 위한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측방 연결구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허리 패드의 하방으로 폴딩 가능하게 된, 아기띠.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ist pa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art protruding upward to mount the lateral connect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is foldable downward of the waist pad while the side connecting part is detached.
KR1020147006660A 2011-10-13 2012-10-12 Baby carrier KR1019708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5868A JP5848575B2 (en) 2011-10-13 2011-10-13 Lullaby
JPJP-P-2011-225868 2011-10-13
PCT/JP2012/076535 WO2013054925A1 (en) 2011-10-13 2012-10-12 Baby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297A KR20140074297A (en) 2014-06-17
KR101970848B1 true KR101970848B1 (en) 2019-04-19

Family

ID=48081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660A KR101970848B1 (en) 2011-10-13 2012-10-12 Baby carri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48575B2 (en)
KR (1) KR101970848B1 (en)
CN (1) CN103889279B (en)
TW (1) TWI555488B (en)
WO (1) WO201305492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76A (en) 2022-01-18 2023-07-25 임영신 Baby Carr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207A (en) 2015-05-29 2016-12-07 황경희 A baby carrier
US10433656B2 (en) * 2015-07-17 2019-10-08 Joran Lundh Baby carrier
JP7010659B2 (en) * 2017-10-26 2022-01-26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Babysitter
CN110384365A (en)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Embrace baby with
KR102186824B1 (en) * 2020-08-07 2020-12-04 (주)풍국산업 Shoulder stra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1535A (en) * 1995-11-09 1998-08-11 Lisco, Inc. Soft infant carrier
EP0995380A1 (en) * 1998-10-20 2000-04-26 Evenflo Company, Inc. "Side entry carrier"
JP3071665U (en) * 2000-03-10 2000-09-14 長沢幸株式会社 Baby band
KR20040020319A (en) * 2002-08-30 2004-03-09 이충만 Baby carrier
US7484645B2 (en) * 2004-02-12 2009-02-03 Evenflo Company, Inc. Child carrier with side buckle and venting
JP2006075441A (en) * 2004-09-10 2006-03-23 Nagasawa Ko Kk Baby carrier
JP4633444B2 (en) * 2004-11-09 2011-02-16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Lullaby
JP5026720B2 (en) 2006-03-31 2012-09-19 コンビ株式会社 Lullaby
DE202007016924U1 (en) * 2007-12-04 2009-04-09 Botkus, Breido, Dipl.-Designer Baby carrier system with sleeping bag function
US20100072236A1 (en) * 2008-09-19 2010-03-25 Michael A Parness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KR20100010120U (en) * 2009-04-07 2010-10-15 오민혁 Carrier for infant adjustable width between legs
KR20110000781U (en) * 2009-07-17 2011-01-25 김윤섭 Baby carrier
US7766199B1 (en) * 2009-07-24 2010-08-03 Gabriela Caperon Baby carr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76A (en) 2022-01-18 2023-07-25 임영신 Baby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48575B2 (en) 2016-01-27
TW201320934A (en) 2013-06-01
TWI555488B (en) 2016-11-01
CN103889279B (en) 2017-03-29
WO2013054925A1 (en) 2013-04-18
JP2013085567A (en) 2013-05-13
KR20140074297A (en) 2014-06-17
CN103889279A (en)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KR101970848B1 (en) Baby carrier
US8579168B2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with lumbar belt
EP2421413B1 (en) A baby carrier
JP3856625B2 (en) Face-to-face and forward-looking baby carrier
US6363558B1 (en) Infant support with an improved securement device
US20120241487A1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US20120061429A1 (en) Baby carri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lifting of a child into and out of the same
CN111904214B (en) Infant holding back strap
US10631664B2 (en) Two-piece baby carrier
WO2005037026A1 (en) Baby band
KR101426751B1 (en) Baby carrier
JP2014176493A (en) Baby carrier
US9480344B1 (en) Bimodal child carrier
KR101453460B1 (en) Baby carrying-strap convertible into a hip seat
KR200453681Y1 (en) Wheelchair seat belt
JP4441231B2 (en) Lullaby
KR200482177Y1 (en) baby wrapper
JP3054676U (en) Baby band
JP3131283U (en) Baby carrier
CN217987162U (en) Baby harness
JP5558123B2 (en) Lullaby
JP2005118475A (en) Nursing strap
JP6778078B2 (en) Babysitter
JP4463523B2 (en) Band-shaped article connection structure, baby litter using the same, and fixed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