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751B1 - Baby carrier - Google Patents
Baby c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751B1 KR101426751B1 KR1020120135265A KR20120135265A KR101426751B1 KR 101426751 B1 KR101426751 B1 KR 101426751B1 KR 1020120135265 A KR1020120135265 A KR 1020120135265A KR 20120135265 A KR20120135265 A KR 20120135265A KR 101426751 B1 KR101426751 B1 KR 1014267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contact member
- waist
- tight contact
- se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2832 Shoulder Anatomy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7613 Shoulder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2855 Anxie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666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17 Buttock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2003/04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nd one additional strap around the waist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상체 밀착부재의 상부 양측과 양측 단부를 상부로 동시에 당겨줌에 따라 착석부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아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가 후방에 위치되게 허리를 감싸며 밀착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 단부의 사이에는 허리 연결부가 구비되는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착석부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의 전방의 상단 둘레에 일체로 재봉되어 상부로 돌출되고 쿠션층이 내장된 복부 밀착부재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상단 양측과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상단 측부에 재봉되어 어깨에 걸치며 쿠션층이 내장된 밀착벨트를 포함하며, 밀착벨트의 단부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측 단부의 사이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길이 조정벨트부가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어깨벨트와; 상기 착석부의 전방 상부의 둘레에 하단이 일체로 재봉되고 쿠션층이 내장된 상체 밀착부재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상단 양측과 상기 양측의 어깨 걸이벨트의 중간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상부 당김벨트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양측의 측 단부와 상기 길이 조정벨트부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부 당김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restraint apparatus for preventing an infant upper body from being bent backward by preven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hild restraint member from falling down as the upper and both ends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hild child sitter are simultaneously pulled upward, A waist belt comprising: a waist belt having a waist belt and a waist belt, the waist belt including a waist belt and a waist belt; A seating part protruding forwardly at a front center of the waist-tightening belt; A abdomen tightening member integrally sewn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ist of the waist tightening belt and protruding upward and having a cushion layer embedded therein; And an adhesion belt which is provided between both upper ends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and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abdominal tight contact member and which is sewn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abdominal tight contact member and has a cushion layer wrapped around the shoulder, Two shoulder belts on both sides of which length adjustment belts are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side end portions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An upper body tightening member having a lower end integrally sewn around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cushion layer incorporated therein; A pair of upper pulling bel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close contact member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o be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oulder belt; A side pulling belt detachably provided between the side en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and the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상체 밀착부재의 상부 양측과 양측 단부를 상부로 동시에 당겨줌에 따라 착석부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아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s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ant sling comprising: an infant upper body, which prevents the front portion of the infant from falling down as the upper and both ends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ing portion are simultaneously pulled upward, And to prevent the backward tilting of the baby.
일반적으로 유아용 포대기는 보호자가 잘 걷지 못하는 유아와 함께 외출할 때 유아를 보호자의 신체와 일체화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감싸며 안는 수단으로 여러 형태가 알려져 있다. Generally, a baby 's swaddlingclip allows the infant to move in unity with the body of the protector when he / she goes out with the infant who can not walk well. In other words, infant swaddling is known as a form of wrapping around infants.
그리고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는 양 어깨에 걸어 유아를 전방으로 안는 포대기와 한쪽 어깨에 걸어 유아를 한 팔로 감싸 안는 포대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 infant swaddling cloths are widely used for swaddling clothes wrapped around both shoulders, and swaddling clothes wrapped around one shoulder by one arm.
이에, 종래에 양 어깨에 걸어 유아를 전방으로 안는 포대기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8272호의 "아기 포대기"가 알려져 있다. Therefore, conventionally known as "baby swaddling cloth" of Korean Utility Model No. 2010-0008272, which is hung on both shoulders and holding the infant forwar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아기 포대기는, 아기 포대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 벨트(100)와, 상기 허리 벨트(100)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서포트 블록(200)과, 상기 서포트 블록(200)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벨트(400)를 포함한다.
10, a conventional baby sling includes a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아기 포대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aby sling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의 아기 포대기는 서포트 블록의 전방에 결합된 본체에만 어깨 벨트가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서포트 블록의 전방의 상부 당김력이 약함으로써, 어깨 벨트를 양 어깨에 걸어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서포트 블록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게 되어 유아의 상체가 뒤로 젖혀짐에 따라 유아에게 많은 피로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baby napkin, since the shoulder belt is connected only to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block, the upper pulling force at the front of the support block is weak, so that the shoulder belt is hooked on both shoulders, And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is bent backward, thereby giving the infant a lot of fatigue.
또한 유아의 상체가 뒤로 젖혀져 유아의 가슴과 유아를 안은 사용자의 상체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유아를 안은 착용자에게 많은 피로감을 주게 되고, 유아를 안은 착용자의 양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Also, since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is bent backward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of the user who holds the infant's chest and the infant, the wearer who wears the infant wears a lot of fatigue, and the problem of causing pain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wearing the infant .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상체 밀착부재의 상부 양측과 양측 단부를 상부로 동시에 당겨줌에 따라 착석부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아 및 착용자의 피로감을 줄임과 동시에 착용자의 어깨 통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석부의 후방을 복부 밀착부재를 통해 상부로 당겨주어 유아를 안은 힘을 복부에도 분산시켜 착용자의 피로감을 좀 더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front portion of a sitting portion from being sagged downwardly as the upper and both ends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eat back portion are simultaneously pulled upward, The wearer's fatigue can be reduced and the shoulder pain of the wearer can be prevented and the back of the sitting part can be pulled upward through the abdominal contact member to disperse the force of the baby in the abdomen to further reduce fatigue of the wearer To provide a baby swaddling cloth.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깨벨트를 구성하는 길이조정벨트에 연결되는 측부 당김벨트의 고정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체격에 따라 상체 밀착부재와 복부 밀착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정함에 따라 유아의 체격과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and the abdomen close contact member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infant so as to freely adjust the fixing position of the side pulling belt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ing belt constituting the shoulder belt And thus can be used compatibly regardless of the physique of the infa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를 착석부에 앉힌 후에 복부 밀착부재에 구비된 안전벨트로 유아를 감싼 다음, 상체 밀착부재로 유아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woven cloth which is improved in safety by allowing an infant to be wrapped with a seat belt provided on a abdominal contact member after the infant is seated in a seating portion and then the infant can be stably wrapped with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체 밀착부재의 하부 양측에 다리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몸체와 밀착되게 유아를 뒤로 안을 수도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crotch member which is capable of holding an infant in a backward position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by forming a leg insertion groove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체 밀착부재의 머리커버를 수납할 수 있는 전방 수납포켓을 구비함으로써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머리커버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s swaddling cloth which is provided with a front storage pocket for storing the head cover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so that the head cover can be easily used whenever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가 앉는 착석부를 구성하는 착석판을 허리벨트의 전방에 유동되지 않게 연결 고정함으로써, 허리벨트에서 착석판의 유동을 막아 유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를 안은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ild seat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an anxiety of an infant by preventing a seat belt from flowing on a waist belt by connecting and fixing a seat seat constituting a sitting portion for infant to a front side of the waist bel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swaddling cloth which can reduce fatigue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석판 지지포켓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지지포켓에서 외부로 이탈시켜 유아용 포대기의 부피를 줄임에 따라, 유아용 포대기의 보관 및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for a child in which a supporting member provided inside a seating plate supporting pocket is detached from a supporting pocket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aby stowing po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by swaddling cloth.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석판 지지포켓에 몸체커버를 수납함으로써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몸체커버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crotch which allows the body cover to be easily used at any time by accommodating the body cover in the seating plate supporting pock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는, 양단부가 후방에 위치되게 허리를 감싸며 쿠션층이 내장된 허리 밀착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양 단부의 사이에는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한 허리 연결부가 구비되는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착석부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의 전방의 상단 둘레에 일체로 재봉되어 상부로 돌출되고 쿠션층이 내장된 복부 밀착부재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상단 양측과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상단 측부에 재봉되어 어깨에 걸치며 쿠션층이 내장된 밀착벨트를 포함하며, 밀착벨트의 단부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측 단부의 사이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길이 조정벨트부가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어깨벨트와; 상기 착석부의 전방 상부의 둘레에 하단이 일체로 재봉되고 쿠션층이 내장된 상체 밀착부재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상단 양측과 상기 양측의 어깨 걸이벨트의 중간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상부 당김벨트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양측의 측 단부와 상기 길이 조정벨트부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부 당김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ant sling comprising: a waist tightening belt having a cushion layer wrapped around the waist with both ends thereof positioned rearward, A waist belt having a possible waist connection; A seating part protruding forwardly at a front center of the waist-tightening belt; A abdomen tightening member integrally sewn arou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waist of the waist tightening belt and protruding upward and having a cushion layer embedded therein; And an adhesion belt which is provided between both upper ends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and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abdominal tight contact member and which is sewn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abdominal tight contact member and has a cushion layer wrapped around the shoulder, Two shoulder belts on both sides of which length adjustment belts are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side end portions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An upper body tightening member having a lower end integrally sewn around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cushion layer incorporated therein; A pair of upper pulling bel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tight contact member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o be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oulder belt; A side pulling belt detachably provided between the side en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and the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상기 측부 당김벨트는, 상기 길이 조정벨트를 구성하는 길이 조정띠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형 버클과,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측 단부에 고정띠로 고정되어 상기 암형 버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ide pulling belt of the "baby clo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male-type buckle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able position adjustable band for constituting the length adjusting belt, and a fixing belt fixed to the side end of the upper body tightening member And a male buckl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emale buck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상기 복부 밀착부재는,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길이조정과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아의 몸체를 감싸는 안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abdominal contact member of the "infant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eat belt which is connected between both side ends of the abdomen contact member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separable so as to enclose the infant ' s body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상기 상체 밀착부재는,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유아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of the "child infant wra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eg insertion groove formed at both lower sides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and into which a leg of the infant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상기 어깨벨트는, 양측의 상기 밀착벨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밀착부재는,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상부 내부에 전방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전방 수납포켓과, 상기 전방 수납포켓에 하단이 고정되게 수납되며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가 구비된 머리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houlder belt of the "infant wra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ing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ightening belt on both sides, and the upper body contacting member includes a front zipper And a head cover having a lower end fixedly secured to the front storage pocket and having a latching ring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by being hooked to the loo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상기 착석부는, 상기 밀착벨트의 전방에 상하 폭이 확장되게 형성된 착석판 고정부와, 상기 착석판 고정부의 상부에 재봉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쿠션층이 내장되며 둘레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착석판과, 상기 착석판 고정부의 외면의 하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재봉되는 내부 지지포켓과, 상기 내부 지지포켓과 착석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 지지포켓에는 원호형의 수직판이 유동되지 않게 삽입되며 상기 수직판의 상부에는 상기 착석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석판의 하면을 받혀주는 받침판이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착석판 고정부의 외면에 착석판 고정부를 감싸게 양측과 하부가 재봉되고 내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전후방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단의 둘레는 상기 착석판의 둘레단부와 지퍼부로 연결되는 착석판 지지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ating portion of the "infant wip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dhesion belt so as to extend in the vertical width, a protrusion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And an inner support pocket which is sewn so as to be ope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 plate fixing portion and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upport pocket and the seat plate, A support member inserted into the pocket such that an arc-shaped vertical plate does not flow, a support plat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seating plate and receiv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Both sides and the lower portion are sewn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surround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and the inside is form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widths are widen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board support pocket being connected to the zipper portion and the peripheral end of the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상기 착석부는, 상기 수직판과 착석판 고정부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판을 착석판 고정부에 고정하는 수직판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 고정부는, 상기 수직판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장홀과, 상기 수직장홀의 상부와 상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착석판 고정부의 외면에 고정되어 각각의 수직장홀에 관통되는 두 개의 고정띠와, 상기 두 개의 고정띠에 구비되어 두 개의 고정띠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길이 조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eating portion of the "infant wra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vertical plate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and fixing the vertical plate to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The vertical plate fixing portion includes a vertical hole form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and two fixed portion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hole, And a length adjusting connection part provided on the two fixing belts and detachably connecting the two fixing bel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상기 어깨벨트는, 양측의 상기 밀착벨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은,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의 외부를 감싸며 구비되고 상부 지퍼부를 통해 개폐되는 몸체커버포켓과, 상기 몸체커버포켓의 내부에 하단이 고정되게 수납되며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가 구비된 몸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houlder belt of the "infant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ing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belt on both sides, and the seating plate supporting pocket (25) And a body cover having a body cover pocket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n upper zipper portion and a body cover having a lower end fixedly installed in the body cover pocket and having hooks which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body by being hooked on the hook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는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며,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의 사이를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 밀착벨트의 내피, 상기 착석부의 상부천, 상기 복부 밀착부재의 내피, 상기 어깨벨트를 구성하는 밀착벨트의 내피, 및 상기 상체 밀착부재의 내피는 다수 겹의 망사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infant wadding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on belt which is provided between two of the shoulder belts and is located on the back of the wearer, and which connects the two shoulder belts so that separation and length adjustment are possible; Wherein the inner skin of the waist close-up belt, the upper waist of the seating portion, the inner skin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the inner skin of the adhesive belt constituting the shoulder belt, and the inner skin of the upper body tightening member are composed of multi-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착석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상체 밀착부재의 상부 양측과 양측 단부를 상부로 동시에 당겨줌에 따라 착석부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아 및 착용자의 피로감이 줄어들고 착용자의 어깨 통증이 예방되며, 착석부의 후방을 복부 밀착부재를 통해 상부로 당겨주어 유아를 안은 힘을 복부에도 분산시켜 착용자의 피로감이 좀 더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upper and both side ends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itting portion are simultaneously pulled upward, preventing the front of the sitting portion from falling downward, Thereb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infant and the wearer, preventing the shoulder pain of the wearer, and pulling the rea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upward through the abdominal contact member to disperse the force of the infant in the abdomen, thereby further reducing fatigue of the wearer.
또한 본 발명은, 어깨벨트를 구성하는 길이조정벨트에 연결되는 측부 당김벨트의 고정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체격에 따라 상체 밀착부재와 복부 밀착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정함에 따라 유아의 체격과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sition of the side pulling belt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ing belt constituting the shoulder belt can be freely adjust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body contacting member and the abdomen contacting me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fant's physique, The effect can be used compatibly regardless of the physique.
또한 본 발명은, 유아를 착석부에 앉힌 후에 복부 밀착부재에 구비된 안전벨트로 유아를 감싼 다음, 상체 밀착부재로 유아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성이 좀 더 향상된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ant sling having an improved safety by allowing an infant to be wrapped with a seat belt provided on a abdominal contact member after the infant is seated in a seating portion, and then the infant can be stably wrapped with the upper- .
또한 본 발명은, 상체 밀착부재의 하부 양측에 다리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몸체와 밀착되게 유아를 뒤로 안을 수도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tightening member, thereby bringing the chil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wearer.
또한 본 발명은, 상체 밀착부재의 머리커버를 수납할 수 있는 전방 수납포켓을 구비함으로써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머리커버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head cover can be used at any time by using the front storage pocket capable of housing the head cover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앉는 착석부를 구성하는 착석판을 허리벨트의 전방에 유동되지 않게 연결 고정함으로써, 허리벨트에서 착석판의 유동을 막아 유아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유아를 안은 착용자의 피로감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t belt from flowing in the waist belt, thereby relieving the anxiety of the infant and reducing the fatigue of the wearer wearing the infant,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seat back plate constituting the seating part for infants to the front side of the waist belt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착석판 지지포켓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지지포켓에서 외부로 이탈시켜 유아용 포대기의 부피를 줄임에 따라, 유아용 포대기의 보관 및 운반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baby clothcloths by reducing the volume of infant clothcloths by releasing the supporting cloth provided inside the seating cloth supporting pocket from the supporting pocket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착석판 지지포켓에 몸체커버를 수납함으로써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몸체커버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body cover can be easily used at any time by storing the body cover in the seating plate supporting pock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체 밀착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를 안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를 안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벨트를 후방에서 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부를 나타낸 내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아기 포대기를 나타낸 사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swaddl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swaddling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by is h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5 is a side view of a chil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of a wais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7 is an inter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by sl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체 밀착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를 안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를 안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벨트를 후방에서 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부를 나타낸 내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conta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i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i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wais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and FIG. 9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는, 허리를 감싸며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 밀착벨트(11)를 포함하는 허리벨트(1)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착석부(2)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의 상단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복부 밀착부재(3)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상단 양측과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어깨벨트(4)와, 상기 착석부(2)의 전방 상부의 둘레에 구비된 상체 밀착부재(5)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단 양측과 상기 양측의 어깨 걸이벨트의 중간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상부 당김벨트(6)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양측의 측단부와 상기 어깨벨트(4)의 하부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부 당김벨트(7)를 포함한다.
The
상기 허리벨트(1)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허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허리벨트(1)는, 양단부가 후방에 위치되게 허리를 감싸며 쿠션층(C)이 내장된 허리 밀착벨트(11)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양 단부의 사이에 분리가 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된 허리 연결부(12)를 포함한다.1 to 6 and 8, the
상기 허리 밀착벨트(11)는 둘레가 재봉된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며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상기 쿠션층(C)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피는 신체와 접촉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땀이 표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는 다수 겹의 망사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ist-
상기 허리 연결부(12)는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연결띠(121)와, 두 개의 연결띠(121)를 분리가 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클(B)은 하나의 연결띠(121)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121)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연결띠(121)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또한, 상기 착석부(2)는 도 3 내지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유아가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3 to 5 and FIGS. 7 and 8, 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착석부(2)는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에 상하 폭이 확장되게 형성된 착석판 고정부(21)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착석판(22)과,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 지지포켓(23)과, 상기 내부 지지포켓(23)과 상기 착석판(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석판(22)의 하면을 받혀주는 받침부재(24)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에 착석판 고정부(21)를 감싸게 양측과 하부가 재봉되고 상단의 둘레는 상기 착석판(22)의 둘레단부와 지퍼부(251)로 연결되는 착석판 지지포켓(25)을 포함한다.The
상기 착석판 고정부(21)는 상기 내부 지지포켓(23)과 착석판 지지포켓(25)을 견고하게 재봉할 수 있도록 직사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에 상하 폭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착석판(22)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ating
상기 착석판(22)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유아가 앉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착석판(22)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착석판 고정부(21)의 상부에 재봉을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석판(22)은 둘레가 재봉된 상부천(221)과 하부천(222)을 포함하고, 상부천(221)과 하부천(222)의 사이에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쿠션층(C)이 내장된다. 아울러 상기 착석판(22)의 둘레단부는 유아를 뒤로 안을 경우에 유아의 다리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상부천(221)은 유아의 엉덩이가 접촉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땀이 표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는 다수 겹의 망사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내부 지지포켓(23)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의 하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재(24)의 하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지지포켓(23)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하부의 크기와 상응되게 양측이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내부 지지포켓(23)은 양측단부 및 하부단부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양측 및 하부에 재봉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받침부재(24)는 상기 내부 지지포켓(23)과 상기 착석판(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착석판(22)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4)는 상기 내부 지지포켓(23)에 삽입되는 원호형의 수직판(241)과, 수직판(24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착석판(22)의 하면을 받치는 받침판(24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241)과 받침판(242)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아를 받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강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직판(241)의 양측 폭은 수직판(241)이 상기 내부 지지포켓(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 지지포켓(23) 내부의 양측 폭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받침판(242)은 상기 착석판(22)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착석판(22)을 받혀줄 수 있도록 상기 착석판(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판(242)의 둘레단부는 상기 착석판(22)의 동일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The
상기 수직판(241)과 받침판(242)의 사이의 각도θ은 유아가 상기 착석판(22)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90도보다 크고 140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직판(241)과 받침판(242)의 사이 각도θ을 90도 이하로 하게 되면 상기 착석판(22)이 허리벨트(1)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짐에 따라 유아가 착석판(22)에 앉은 상태에서 미끄러져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상기 수직판(241)과 받침판(242)의 사이 각도θ을 140도 이상으로 하면 유아가 착석판(22)에 앉은 상태에서 착석판(22)에서 미끄러져 후방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판(241)과 받침판(242)의 사이의 각도θ은 유아가 상기 착석판(22)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90도보다 크고 140도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angle? Between the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에 착석판 고정부(21)를 감싸게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재(24)의 받침판(242)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은 양측단부 및 하부단부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양측과 하부에 재봉으로 고정되며, 상단의 둘레는 상기 착석판(22)의 단부 둘레와 지퍼부(251)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의 둘레가 상기 받침판(242)의 돌출 단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의 지퍼부(251)를 닫은 상태에서는 착석판 지지포켓(25)의 내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전후방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을 구성하는 천이 경사져 긴장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착석판의 돌출 단부를 하부로 당겨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석판(22)의 하면과 상기 받침부재(24)의 받침판(242)의 상면이 완전히 밀착되어 들뜨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seating
상기 지퍼부(251)는 상기 착석판(22)의 단부 둘레와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의 상단둘레에 형성된 지퍼이부와, 착석판(22)의 지퍼이부와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의 지퍼이부를 상호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The
아울러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은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의 외부를 감싸며 구비되고 상부 지퍼부(252a)를 통해 개폐되는 몸체커버포켓(252)과, 상기 몸체커버포켓(252)의 내부에 하단이 고정되게 수납되는 몸체커버(25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커버포켓(252)은 하부와 양측이 상기 착선판 지지포켓(25) 외측의 하부와 양측에 재봉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커버(253)의 상단 의 양측에는 후술할 상기 어깨벨트(4)에 구비된 고리(43)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254)가 구비되는 것이다.The seating
상기 몸체커버(253)는 우천시 유아를 커버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갖는 천이나 합성수지재의 유연성을 가진 판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보온 기능을 갖는 천이나 합성수지재의 유연성을 가진 판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상기 상부 지퍼부(252a)는 상기 착석판(22)의 단부 둘레와 상기 몸체커버포켓(252)의 상단둘레에 형성된 지퍼이부와, 착석판(22)의 지퍼이부와 상기 몸체커버포켓(25)의 지퍼이부를 상호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The
한편 상기 착석부(2)는 상기 수직판(241)과 수직판(241)이 밀착되는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판(241)을 착석판 고정부(21)에 고정하는 수직판 고정부(26)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수직판 고정부(26)는 상기 수직판(241)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장홀(261)과, 상기 수직장홀(261)의 상부와 상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에 고정되어 각각의 수직장홀(261)에 관통되는 두 개의 고정띠(262)와, 상기 두 개의 고정띠(262)의 사이에 구비되어 두 개의 고정띠(26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길이 조정연결부(263)를, 포함한다.The vertical plate fixing part 26 includes a
상기 길이 조정연결부(263)는, 상기 두 개의 고정띠(262)의 연결 길이를 조정하면서 두 개의 고정띠(26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하나의 고정띠(262)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상기 다른 하나의 고정띠(262)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고정띠(262)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ength adjusting
따라서 상기 수직판 고정부(26)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24)의 수직판(241)을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정연결부(263)을 구성하는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을 분리한 상태에서, 착석판 지지포켓(25)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24)를 지지포켓에서 외부로 이탈시켜 유아용 캐리어의 부피를 줄임에 따라, 유아용 캐리어의 보관 및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또한, 상기 복부 밀착부재(3)는 도 1 내지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리벨트(1)의 전방에 구비된 착석부(2)의 후방을 상부로 당겨주어 유아를 안은 힘을 복부에도 분산시켜 착용자의 피로감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1 to 5 and Figs. 7 and 8, the abdomen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복부 밀착부재(3)는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의 상단 둘레에 일체로 재봉되어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쿠션층(C)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복부 밀착부재(3)는 둘레가 재봉된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며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상기 쿠션층(C)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The abdomen
상기 내피는 신체와 접촉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땀이 표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는 다수 겹의 망사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kin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net sacks which are stacked on each other to prevent slippage by contacting with the body and to prevent perspiration from remaining on the surface.
한편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는 길이조정과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아의 몸체를 감싸는 안전벨트(3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34)는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연결띠(341)와, 두 개의 연결띠(341)를 분리가 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클(B)은 하나의 연결띠(341)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341)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연결띠(341)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
따라서 유아를 안는 과정에서, 먼저 유아를 착석부(2)에 앉힌 후에 상기 안전벨트(34)로 유아를 감싼 다음, 상기 상체 밀착부재(5)로 유아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함으로써 유아를 좀 더 안전하게 안을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course of holding the infant, the infant is first wrapped with the
또한, 상기 어깨벨트(4)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상단 양측과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어깨와 팔에 착용됨으로써,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상부 양측과 양측 단부를 상부로 당겨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부 양측을 상부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1 to 5 and 9, 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어깨벨트(4)는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상단 측부에 재봉되어 어깨에 걸치며 쿠션층(C)이 내장된 밀착벨트(41)와, 상기 밀착벨트(41)의 단부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측 단부의 사이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된 길이 조정벨트부(42)를 포함한다.The
상기 밀착벨트(41)는 둘레가 재봉된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며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상기 쿠션층(C)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피는 신체와 접촉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땀이 표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는 다수 겹의 망사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길이 조정벨트부(42)는 상기 밀착벨트(41)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띠(421)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측 단부에 구비되는 길이 조정띠(422)와, 상기 고정띠(421)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길이 조정띠(422)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절곡 관통되는 길이 조정구(4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 조정구(423)는 상기 길이 조정띠(422)가 절곡 관통되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중간이 분리판이 구비되어 "日"자의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길이 조정구(423)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ength adjusting
한편 상기 어깨벨트(4)는 양측의 상기 밀착벨트(4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4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리(43)는 어깨벨트(4)의 중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어깨벨트(4)를 착용하였을 때 어깨의 바로 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머리커버(53)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걸림고리(531)를 걸어 머리커버(53)를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몸체커버(253)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걸림고리(254)를 걸어 몸체커버(253)를 고정할 수도 있는데, 머리커버(53)와 몸체커버(253)의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또한, 상기 상체 밀착부재(5)는 도 1 내지 도 5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의 전방 상부의 둘레에 하단이 일체로 재봉되게 구비되어 유아의 상체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1 to 5, 7 and 8, the upper body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체 밀착부재(5)는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착석부(2)의 전방 상부의 둘레에 일체로 재봉되고 쿠션층(C)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체 밀착부재(5)는 둘레가 재봉된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며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상기 쿠션층(C)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The upper
상기 내피는 신체와 접촉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땀이 표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는 다수 겹의 망사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skin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of net sacks which are stacked on each other to prevent slippage by contacting with the body and to prevent perspiration from remaining on the surface.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하부 양측에는 유아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 삽입홈(51)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몸체와 밀착되게 유아를 뒤로 안을 수도 있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상체 밀착부재(5)는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부 내부에 전방지퍼(521)에 의해 개폐되는 전방 수납포켓(52)과, 상기 전방 수납포켓(52)에 하단이 고정되게 수납되는 머리커버(53)를 더 포함한다.The upper
상기 머리커버(53)는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모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부의 양측에는 상기 양측의 어깨벨트(4)에 구비된 고리(43)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53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머리커버(53)를 상기 전방 수납포켓(52)에 수납함으로써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머리커버(53)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e
또한, 상부 당김벨트(6)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단 양측과 상기 양측의 어깨벨트(4)의 중간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부 양측을 상부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1 to 5, the upper pulling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 당김부재는,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단 측부와 상기 어깨벨트(4)에 고정되는 두 개의 연결띠(61)와, 두 개의 연결띠(61)를 분리가 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클(B)은 하나의 연결띠(61)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61)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연결띠(61)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upper pulling member having such a func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end side portion of the upper
또한, 측부 당김벨트(7)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측 단부와 상기 길이 조정벨트부(42)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양측 단부를 상부로 잡아당겨주어 상기 착석부(2)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1 to 5, 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측부 당김벨트(7)는, 상기 길이 조정벨트부(42)를 구성하는 길이 조정띠(422)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형 버클(71)과,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측 단부에 고정띠(72)로 고정되어 상기 암형 버클(7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73)을 포함한다.The
상기 암형 버클(71)은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 조정띠(422)에 관통 고정됨에 따라 위치가 조정되는 길이 조절부(7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 조절부(711)는 상기 길이 조정띠(422)가 절곡 관통되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중간에 분리판이 구비되는 "日"자의 형태의 홀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길이 조정부(711)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길이 조정부(711)가 포함된 암형 버클(71)과 상기 수평 버클(73)도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따라서 상기 착석부(2)의 전방에 연결된 상체 밀착부재(5)의 상부 양측은 상술한 두 개의 상기 상부 당김벨트(6)를 통해 상부로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양측 단부는 두 개의 상기 측부 당김벨트(7)를 통해 상부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착석부(2)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어 유아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아울러 상기 길이 조정벨트를 구성하는 길이 조정띠(422)에 구비되는 암형 버클(71)의 고정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함으로써, 유아의 체격에 따라 상체 밀착부재(5)와 복부 밀착부재(3)의 사이 간격을 조정함에 따라 유아의 체격과 관계없이 유아용 포대기를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length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오 같이,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4)의 사이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며,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4)의 사이를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벨트(8)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벨트(8)는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4)를 착용자의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2, the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wo of 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연결벨트(8)는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4)의 밀착벨트(41)에 구비되는 두 개의 연결띠(81)와, 두 개의 연결띠(81)를 분리가 가능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클(B)은 하나의 연결띠(81)에 고정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다른 하나의 연결띠(81)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형 버클(B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B2)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각 연결띠(81)에 구비된 암형 버클(B1)과 수형 버클(B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necting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사용하여 유아를 안을 경우에는, 먼저 양측의 어깨벨트(4)의 길이를 조정한 후 양측의 어깨벨트(4)를 양 어깨에 건다.As shown in FIGS. 1 to 9, when the infant is to be held using the infant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 허리벨트(1)를 구성하는 연결부의 연결을 통해 허리벨트(1)를 허리에 고정하면서, 허리벨트(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 복부 밀착부재(3)를 복부에 밀착시킨다.The abdomen
다음 상기와 같이 유아용 포대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안으면서 유아의 엉덩이를 상기 착석부(2)에 밀착되게 앉힌다. 그리고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구비된 안전벨트(34)로 유아의 몸체를 감싸 유아의 추락을 예방한다. Next,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sling is worn as described above, the hip of the infant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다음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부 양측과 양측 어깨벨트(4)의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의 상부 당김벨트(6)를 연결한다. Next, two upper pulling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양측 단부와 상기 양측 어깨벨트(4)의 하부에 위치된 길이 조정띠(422)의 사이에 구비되는 두 개의 측부 당김벨트(7)를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아기를 안을 수 있는 것이다.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two
따라서 본 발명의 유아용 포대기는 착석부(2)의 전방에 연결된 상체 밀착부재(5)의 상부 양측을 두 개의 상기 상부 당김벨트(6)를 통해 상부로 당겨주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양측 단부를 두 개의 상기 측부 당김벨트(7)를 통해 상부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착석부(2)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의 상체가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아용 포대기는 상기 착석부(2)의 전방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유아 및 착용자의 피로감을 줄임과 동시에 착용자의 어깨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baby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lls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of the upp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허리벨트
11 : 허리 밀착벨트
12 : 허리 연결부
121 : 연결띠
2 : 착석부
21 : 착석판 고정부
22 : 착석판
221 : 상부천 222 : 하부천
23 : 내부 지지포켓
24 : 받침부재
241 : 수직판 242 : 받침판
25 : 착석판 지지포켓
251 : 지퍼부 252 : 몸체커버포켓
252a : 상부지퍼부 253 : 몸체커버
254 : 걸림고리
26 : 수직판 고정부
261 : 수직장홀 262 : 고정띠
263 : 길이 조정연결부
3 : 복부 밀착부재
34 : 안전벨트
341 : 연결띠
4 : 어깨벨트
41 : 밀착벨트
42 : 길이 조정벨트부
421 : 고정띠 422 : 길이 조정띠
423 : 길이 조정부
43 : 고리
5 : 상체 밀착부재
51 : 다리 삽입홈
52 : 전방 수납포켓
521 : 전방지퍼
53 : 머리커버
531 : 걸림고리
6 : 상부 당김벨트
61 : 연결띠
7 : 측부 당김벨트
71 : 암형 버클
711 : 길이 조절부
72 : 고정띠
73 : 수형 버클
8 : 연결벨트
81 : 연결띠
B : 버클
B1 : 암형 버클
B2 : 수형 버클
P1 : 내피
P2 : 외피
C : 쿠션층 1: Waist belt
11: Waist tightening belt
12: waist connection
121: connecting strip
2:
21:
22: seating plate
221: Upper Bucheon 222: Ha Bucheon
23: inner support pocket
24: Support member
241: vertical plate 242:
25: seating plate support pocket
251: zipper part 252: body cover pocket
252a: upper zipper part 253: body cover
254: Clasp ring
26:
261: vertical hole 262: fixed band
263:
3: abdomen contact member
34: Seat belt
341: Connection strip
4: Shoulder belt
41:
42: length adjusting belt portion
421: fixed band 422: length adjusting band
423:
43: Ring
5: Body contact member
51: Leg insertion slot
52: Front storage pocket
521: Front zipper
53: Head cover
531: Clasp ring
6: Upper pulling belt
61: connecting strip
7: side pulling belt
71: Female buckle
711:
72: Fixed band
73: Male buckle
8: Connecting Belt
81: Connection strip
B: Buckle
B1: Female buckle
B2: Male buckle
P1: Endothelium
P2: Sheath
C: Cushion layer
Claims (9)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착석부(2)와;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전방의 상단 둘레에 일체로 재봉되어 상부로 돌출되고 쿠션층(C)이 내장된 복부 밀착부재(3)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상단 양측과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상단 측부에 재봉되어 어깨에 걸치며 쿠션층(C)이 내장된 밀착벨트(41)를 포함하며, 밀착벨트(41)의 단부와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측 단부의 사이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길이 조정벨트부(42)가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어깨벨트(4)와;
상기 착석부(2)의 전방 상부의 둘레에 하단이 일체로 재봉되고 쿠션층(C)이 내장된 상체 밀착부재(5)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단 양측과 상기 양측의 어깨 걸이벨트의 중간 사이에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 두 개의 상부 당김벨트(6)와;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양측의 측 단부와 상기 길이 조정벨트부(42)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측부 당김벨트(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And a waist belt (11) having a cushion layer (C) wrapped around the waist with both ends thereof positioned behind, and a waist belt (12) having a waist connection part (12) 1);
A seating portion 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waist tightening belt 11;
A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integrally sewn around the front upper end of the waist tightening belt 11 and protruding upward and incorporating a cushion layer C;
A cushion layer C is provided between the both upper ends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and both side ends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and is sewn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And a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42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s provide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tightening belt 41 and the side end portion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The length of the shoulder belt 41, (4);
An upper body tightening member 5 having a lower end integrally sewn around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2 and having a cushion layer C built therein;
Two upper pulling belts (6)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5) so as to be separable and adjustable in length between the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body contact member (5) and the middle of the shoulder belt on both sides;
A side pulling belt 7 detachably provided between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5 and the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42;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ant crotch.
상기 측부 당김벨트(7)는,
상기 길이 조정벨트를 구성하는 길이 조정띠(422)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형 버클(71)과,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측 단부에 고정띠(72)로 고정되어 상기 암형 버클(7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형 버클(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pulling belt (7)
A female type buckle 71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on the length adjusting belt 422 constituting the length adjusting belt,
A male buckle 73 fixed to the side end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5 by a fixing band 72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emale buckle 7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ant crotch.
상기 복부 밀착부재(3)는,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길이조정과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아의 몸체를 감싸는 안전벨트(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A seat belt 34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so as to be adjustable and detachable so as to surround the infant body,
Further comprising an infant wrapper.
상기 상체 밀착부재(5)는,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유아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 삽입홈(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5)
(5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5) and into which the infant's legs are inserted,
Further comprising an infant wrapper.
상기 어깨벨트(4)는, 양측의 상기 밀착벨트(4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체 밀착부재(5)는,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상부 내부에 전방지퍼(521)에 의해 개폐되는 전방 수납포켓(52)과,
상기 전방 수납포켓(52)에 하단이 고정되게 수납되며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고리(43)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531)가 구비된 머리커버(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ulder belt (4) further includes a ring (43)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hesion belt (41) on both sides,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5)
A front storage pocket 52 opened and closed by a front zipper 521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ight contact member 5,
Further comprising a head cover (53) having a lower end fixedly secured to the front storage pocket (52) and having an engagement ring (531) secured to the ring (43) The swaddling.
상기 착석부(2)는,
상기 밀착벨트(41)의 전방에 상하 폭이 확장되게 형성된 착석판 고정부(21)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상부에 재봉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쿠션층(C)이 내장되며 둘레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착석판(22)과,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의 하부에 상부가 개방되게 재봉되는 내부 지지포켓(23)과,
상기 내부 지지포켓(23)과 착석판(22)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 지지포켓(23)에는 원호형의 수직판(241)이 유동되지 않게 삽입되며 상기 수직판(241)의 상부에는 상기 착석판(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석판(22)의 하면을 받혀주는 받침판(242)이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재(24)와,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에 착석판 고정부(21)를 감싸게 양측과 하부가 재봉되고 내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전후방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단의 둘레는 상기 착석판(22)의 둘레단부와 지퍼부(251)로 연결되는 착석판 지지포켓(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ortion (2)
A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21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width of the front side of the adhesion belt 41,
A seating plate 22 that is se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21 and protrudes outwardly, a cushion layer C is embedded, and a peripheral end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22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 inner support pocket 23 which is sew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21 so as to be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arcuate vertical plate 24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pport pocket 23 and is not inserted into the inner support pocket 23 and the vertical support 241 A supporting member 24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eating plate 22 and protruding from a supporting plate 242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22,
Both sid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21 are se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21 so as to surround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21. The inside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ortion 21 is widened in width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 seat plate supporting pocket 25 connected to the peripheral edge of the seat plate 25 by a zipper 25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ant crotch.
상기 착석부(2)는, 상기 수직판(241)과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판(241)을 착석판 고정부(21)에 고정하는 수직판 고정부(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 고정부(26)는,
상기 수직판(241)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장홀(261)과,
상기 수직장홀(261)의 상부와 상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착석판 고정부(21)의 외면에 고정되어 각각의 수직장홀(261)에 관통되는 두 개의 고정띠(262)와,
상기 두 개의 고정띠(262)에 구비되어 두 개의 고정띠(26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길이 조정연결부(2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ating section 2 includes a vertical plate fixing section 26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241 and the seating plate fixing section 21 and fixes the vertical plate 241 to the seating plate fixing section 21 ), ≪ / RTI >
The vertical plate fixing portion 26,
A vertical hole 261 vert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241,
Two fixing belts 262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fixing part 21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rectifying hole 261 and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rectifying holes 261,
And a length adjusting connection part (263) provided on the two fixed straps (262) and detachably connecting the two fixing straps (262).
상기 어깨벨트(4)는, 양측의 상기 밀착벨트(41)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은,
상기 착석판 지지포켓(25)의 외부를 감싸며 구비되고 상부 지퍼부(252a)를 통해 개폐되는 몸체커버포켓(252)과,
상기 몸체커버포켓(252)의 내부에 하단이 고정되게 수납되며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고리(43)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리(254)가 구비된 몸체커버(2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houlder belt (4) further includes a ring (43)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hesion belt (41) on both sides,
The seating plate support pocket (25)
A body cover pocket 252 which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seating plate support pocket 25 and opens and closes through the upper zipper part 252a,
A body cover 253 having a bottom e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dy cover pocket 252 and having a hooking ring 254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cover pocket 25 by the hook 43,
Further comprising an infant wrapper.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4)의 사이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등에 위치되며, 두 개의 상기 어깨벨트(4)의 사이를 분리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벨트(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 밀착벨트(11)의 내피, 상기 착석부(2)의 상부천(221), 상기 복부 밀착부재(3)의 내피 및 상기 상체 밀착부재(5)의 내피는 다수 겹의 망사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belt 8 provided between two of the shoulder belts 4 and located on the back of the wearer for connecting the two shoulder belts 4 so as to be separable and adjustable in length; Further included,
The inner skin of the waist close-up belt 11, the upper skin layer 221 of the seating portion 2, the inner skin of the abdomen tight contact member 3, and the inner skin of the upper body tightening member 5 are composed of multi- Wherein the inflatable cushion is fol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265A KR101426751B1 (en) | 2012-11-27 | 2012-11-27 | Baby c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265A KR101426751B1 (en) | 2012-11-27 | 2012-11-27 | Baby carr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0778A KR20140070778A (en) | 2014-06-11 |
KR101426751B1 true KR101426751B1 (en) | 2014-08-06 |
Family
ID=5112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5265A KR101426751B1 (en) | 2012-11-27 | 2012-11-27 | Baby carr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75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6580B1 (en) | 2015-09-11 | 2017-03-15 | 김관영 | Baby carr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14113B1 (en) * | 2015-01-15 | 2016-04-19 | Lisbeth Hals Lehan |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
CN106263837B (en) * | 2016-10-26 | 2019-05-28 | 苏州伊宝做贸易有限公司 | Facilitate the lumbar stool of wearing |
KR102349031B1 (en) * | 2017-03-14 | 2022-01-10 | (주)에센루 |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114Y1 (en) | 2002-03-30 | 2002-07-13 | 장영학 | A baby holding apparatus |
KR200346812Y1 (en) | 2003-12-31 | 2004-04-06 | 박희태 | Baby's bedding |
KR20090131902A (en) * | 2008-06-19 | 2009-12-30 | 오성자 | Wadded baby wrapper for infant multifunction |
KR20100002191U (en) * | 2008-08-21 | 2010-03-04 | 이진섭 | Baby carrier |
-
2012
- 2012-11-27 KR KR1020120135265A patent/KR10142675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1114Y1 (en) | 2002-03-30 | 2002-07-13 | 장영학 | A baby holding apparatus |
KR200346812Y1 (en) | 2003-12-31 | 2004-04-06 | 박희태 | Baby's bedding |
KR20090131902A (en) * | 2008-06-19 | 2009-12-30 | 오성자 | Wadded baby wrapper for infant multifunction |
KR20100002191U (en) * | 2008-08-21 | 2010-03-04 | 이진섭 | Baby carri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6580B1 (en) | 2015-09-11 | 2017-03-15 | 김관영 | Baby carr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0778A (en) | 2014-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48713B2 (en) | Convertible infant carrier | |
US9949575B2 (en) | Child carrier | |
JP3856625B2 (en) | Face-to-face and forward-looking baby carrier | |
US8272546B2 (en) | Baby carrier support belt | |
JP2019088891A (en) | Baby carrier | |
JP5753712B2 (en) | Baby carrier | |
US9038868B2 (en) | Twin baby carrier | |
US20140231472A1 (en) | Strap-on child carrier with support seating element | |
TWI665992B (en) | Baby carrier | |
KR101359888B1 (en) | Hip seat carrier | |
JP2004529732A (en) | Equipment for carrying infants | |
EP2755527A1 (en) | Child carrier | |
WO2012079787A1 (en) | Child carrier | |
KR101426751B1 (en) | Baby carrier | |
JP6718167B2 (en) | Babysitter | |
JP3161851U (en) | Baby carrier | |
US20190350379A1 (en) | Adjustable child carrier | |
WO2013037514A1 (en) | Child carrier | |
US20190116990A1 (en) | Child carrier | |
KR20140050139A (en) | A carrier for an infant | |
KR20100044985A (en) | The bend for baby carrying | |
JP3148444U (en) | Baby carrier | |
KR20150004498U (en) | Variable width multi-functional sling blanket | |
GB2550613A (en) | Garment | |
JP3131283U (en) | Baby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