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53Y1 -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 Google Patents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53Y1
KR200489353Y1 KR2020180001362U KR20180001362U KR200489353Y1 KR 200489353 Y1 KR200489353 Y1 KR 200489353Y1 KR 2020180001362 U KR2020180001362 U KR 2020180001362U KR 20180001362 U KR20180001362 U KR 20180001362U KR 200489353 Y1 KR200489353 Y1 KR 200489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fragrance
herb
fastening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유현
Original Assignee
나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유현 filed Critical 나유현
Priority to KR2020180001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향초의 형상과 아로마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향초는, 상온에서 향초분말을 융해시켜 성형되며, 기준치로 설정된 가로 폭(W1)과, 세로 폭(W2) 길이를 갖고 단면이 사각구조인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 중앙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균일하게 배열된 원기둥 형상의 체결돌기, 상기 바디의 하단으로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하는 요철 구조의 체결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근접한 두 개의 체결돌기 사이로 수직한 방향의 심지안내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심지안내 홈으로 인입 설치되는 심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수 종류의 블록형태를 갖고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향초의 모형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향초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으로 서로 다른 향을 가미시킴으로써, 향초의 모양별로 서로 상이한 발향을 제공하여 향초의 기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CANDLE OF BLOCK ASSEMBLY TYPE}
본 발명은 향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종류별 육면체의 블록구조의 향초를 구현함으로써, 임의 형상으로 조립 및 재조립이 가능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촛불은 전기 조명기구가 발명되기 이전부터 조명수단으로써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 이르러서는 다양한 형상이나 색상의 초가 개발되어 통상적인 조명수단으로써의 기능은 물론 축하 파티석상 등에서 독특한 분위기 연출수단으로써 널리 활용되게 되었다. 종래의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초는 일정형태로 정형화된 것으로서, 초의 형태를 사과형태나 동물 형상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 만들거나 색상을 부여하여 초가 색다른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하였고, 또한, 초에 각종의 향을 배합하여 향기가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축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첨가된 향도 하나의 초에 한가지 향만 배합되어 있는 것이어서 향기가 수시로 변하는 향은 발산 시킬수 없으며, 또 다른 향의 새로운 초로 바꾸지 아니 하는 한 하나의 초로써 향을 교체 하여가면서 재사용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존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된 투명용기 내에 색깔별로 각각 다른 종류의 향을 첨가한 작은 구슬형태의 초 알갱이들을 같은 종류의 향끼리 또는 여러 종류의 향을 다층별 또는 뒤섞인 상태로 충전한 다음 그 초 알갱이들 사이의 공극부를 통하여 초를 함침시킨 심지를 삽입하여 촛불을 켜면 작은 구슬형태의 초 알갱이 들이 지니고 있는 색색의 색상이 촛불에 투과되어 나와 시각적으로 특이한 장식적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첨부된 특허문헌의 도 1에서와 같이, 향을 첨가한 다 색상의 초 알갱이들로 되는 장식용 초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된 투명용기(1)와 그 투명용기(1) 내에 충전되는 작은 구슬 형태의 초 알갱이(2)들과 그 충전된 초 알갱이(2)들 사이의 공극부에 삽입되는 심지(3)로 구성된다.
따라서, 장식용 초로 사용하는 경우 먼저, 투명용기(1) 내에 다 색상별로 다양한 향을 첨가한 초 알갱이(2)를 단일 색상의 단일 향만으로 된 것을 충전하거나, 다색상의 다양한 향이 첨가된 초 알갱이(2)를 다층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뒤섞이게 충전하고, 충전된 초 알갱이(2)들 사이의 공극부를 통하여 막대상의 심지(3)를 투명용기(1)의 바닥면까지 도달되도록 삽입한 다음에 심지(3)의 끝에 불을 붙이면, 심지(3)가 타내려 가면서 맨 상층부의 초 알갱이(2)들로부터 순차로 아래로 녹아서 타내려 가게 된다. 이와 같이 선행된 특허문헌에서는, 다양한 향이 첨가된 다 색상의 초 알갱이(2)들이 타내려 가게 되면 그 촛불에서 비쳐나오는 불빛이 색색으로 비쳐 나오기 때문에 알록달록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향초를 알갱이로 성형한 후, 다수 종류 및 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알갱이의 무분별한 혼합으로 인해 고유의 향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향초 알갱이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임의 형상에 대한 형태 구현이 불가능하여 제품의 실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향초 알갱이는 향초 심지를 수직하게 유지하기가 불편함에 따라, 향초 불꽃이 정형화되지 않아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8-068915, 공개일자 1998년 12월 05일, 고안의 명칭 '향을 첨가한 다색상의 초 알갱이들로 되는 장식용 초'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 종류의 블록형태를 갖고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향초의 모형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향초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으로 서로 다른 향을 가미시켜 향초의 발향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는, 상온에서 향초분말을 융해시켜 성형되며, 기준치로 설정된 가로 폭(W1)과, 세로 폭(W2) 길이를 갖고 단면이 사각구조인 바디, 상기 바디의 상단 중앙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균일하게 배열된 원기둥 형상의 체결돌기, 상기 바디의 하단으로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하는 요철 구조의 체결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근접한 두 개의 체결돌기 사이로 수직한 방향의 심지안내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심지안내 홈으로 인입 설치되는 심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 폭(W2)의 길이는 상기 가로 폭(W1) 길이의 정배수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정배수에 대응하는 갯 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 폭(W2)의 길이 및 가로 폭(W1)의 길이가 각각으로 상기 기준치의 정배수로 동일하게 연장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상기 정배수에 대응하는 갯 수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향초는, 상기 바디의 성형 구조에 따라 컬러를 달리하거나, 상기 바디의 성형 구조에 따라 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는, 다수 종류의 블록형태를 갖고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향초의 모형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향초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으로 서로 다른 향을 가미시킴으로써, 향초의 모양별로 서로 상이한 발향을 제공하여 향초의 기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향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초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초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향초 블록의 또 다른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초 블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향초블록(200)은 상온에서 향초분말을 융해시켜 성형되며, 기준치로 설정된 가로 폭(W1)과, 세로 폭(W2)을 갖고 단면이 사각구조인 바디(201)와, 상기 바디(201)의 상단 중앙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균일하게 배열된 원기둥 형상의 체결돌기(203)와, 상기 바디(201)의 하단으로 상기 체결돌기(203)와 대응하는 요철 구조의 체결홈(205)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돌기(203)가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201)의 일측면에는 두 개의 체결돌기(203) 사이로 수직한 방향의 심지안내홈(207)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심지안내 홈(207)으로 인입 설치되는 심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201)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 폭(W2)의 길이는 상기 가로 폭(W1) 길이의 정배수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돌기(203)는 상기 정배수에 대응하는 갯 수로 구성되거나, 상기 세로 폭(W2)의 길이 및 가로 폭(W1)의 길이가 각각으로 상기 기준치의 정배수로 동일하게 연장되고, 상기 체결돌기(203)는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상기 정배수에 대응하는 갯 수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정배수는 자연수에 의한 배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향초 블록(200)은 상기 가로 폭(W1) 및 세로 폭(W2)을 기준치의 1배수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체결돌기(203) 및 체결홈(205)이 형성된 육면체 구조로 성형되며, 상기 세로 폭(W2)이 가로 폭(W1)의 2배수로 구성되는 경우, 단면이 직사각형 구조의 육면체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돌기(203) 및 체결홈(205)은 2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향초 블록(200)은 상기 가로 폭(W1) 및 세로 폭(W2)을 기준치의 2배수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 체결돌기(203) 및 체결홈(205)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으로 2개씩 배열되어 총 4개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향초 블록(2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육면체로 구성되거나, 가로 폭(W1) 및 세로 폭(W2)이 동일한 정사각형 단면의 육면체로 구성되거나, 가로 폭(W1) 및 세로 폭(W2)이 상호 배수 관계를 갖는 사각 단면의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향초 블록(200)이 모양과 크기가 상이하도록 다수 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돌기(203) 및 체결홈(205)에 의해 서로 다른 향초블록(200)이 결합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향초블록(200)은 블록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조립된 후, 어느 하나의 향초블록으로 구비된 심지안내 홈(207)으로 심지를 인입 설치함으로써, 개인 취향에 따른 블록 구조의 향초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 심지안내 홈(207)은 단면이 반구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향초 블록을 조립하는 경우, 상기 심지안내 홈(207)이 조립된 향초 블록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함에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심지안내 홈(207)으로 심지가 인입 설치될 때, 심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한편, 체결돌기(203)가 하나만 구성된 육면체 구조의 향초블록(200)은 별도의 심지안내 홈(207)을 구성하지 않으며, 상기 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향초블록 사이로 지지되도록 함이 적절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203)가 하나만 구성된 향초블록(200)은 각 모서리를 필렛 처리함으로써, 다수 개의 향초블록(200)이 수평하게 밀집되는 경우, 필렛 처리된 모서리들 사이로 심지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심지의 직립 설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향초 블록을 일 실시 예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폭(W1) 및 세로폭(W2)이 동일 길이를 갖는 향초블록(200: 200a ~ 200d)을 평면상에서 밀착시킨 구조이며, 각 향초블록이 밀착된 중앙에 심지(301)를 인입시킨 상태이다. 상기 향초블록(200)은 소이왁스를 융해시키고 적정한 색소 및 아로마 오일을 첨가하여 성형한다.
여기서, 향초블록(200)은 임의 컬러 및 향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향초블록(200)의 종류 또는 향초블록 간의 조립을 통해 특유의 향을 발산시키거나, 향초의 미려함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향초블록(200)은 각 모서리를 필렛 처리하고 있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가로폭(W1) 및 세로폭(W2)이 기준치로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경우 향초블록은 별도의 심지안내 홈(207)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심지(301)는 다수 개의 향초블록을 밀착시킨 후, 향초블록이 밀착되어 필렛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심지(301)를 직립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심지(301)는 면 재질로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나무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향초블록(200)은 심지(301)를 통해 발화가 될 때, 향초블록(200)이 발화열에 의해 용해되고, 용해된 소이왁스 용액이 심지(301)로 유입되어 발화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향초의 발화 유지 과정에서, 아로마 오일이 휘발됨에 따라 고유의 향이 발산되어 본 고안에 따른 향초의 원초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다수 형상의 향초블록을 조립한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인지되는 바와 같이, 다수 형상의 향초블록(200 : 210a ~ 210c)은 가로폭(W1) 및 세로폭(W2)이 기준치 길이의 1배수로 동일하고 체결돌기(203)가 하나인 향초블록(210c)과, 세로폭(W2)이 가로폭(W1) 대비 3배수이고, 체결돌기(203)가 세 개인 향초블록(210b)과, 가로폭(W1) 및 세로폭(W2)이 기준치 길이의 2배수로 동일하고 체결돌기(203)가 네 개인 향초블록(210a) 두 개를 활용하여 조립되고 있다.
즉, 상기 향초블록(210a)의 상단에 마련된 다수 개의 체결돌기(203) 상으로, 향초블록(210b, 210c)의 저면에 구성된 체결홈(205)을 끼움 결합한 것으로, 각 블록을 상향으로 쌓아 올리거나, 수평으로 나열된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이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 형상으로 조립 가능한 것으로, 다수 종류의 컬러로 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향초블록(210a, 210b)의 측면에는 체결돌기(203) 사이로 수직하게 성형된 심지안내 홈(207)이 구비되고 있으며, 다수 개의 향초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심지(301)의 위치를 고려하여 심지안내 홈(207)의 위치 선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심지(301)를 설치할 위치에 상기 심지안내 홈(207)이 위치하도록 각각의 향초블록의 방향을 선택하여 조립함으로써, 향초의 형상과 심지(301)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준치 길이를 갖는 가로폭(W1) 및 세로폭(W2)의 배율 구조에 따라 다수 종류의 향초블록을 성형하고, 향초블록의 상단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체결돌기(203)와, 향초블록의 하단으로 체결돌기(203)와 대응하는 체결홈(205)을 구비토록 함으로써, 다수 형상의 향초블록으로 자유로운 조립이 가능하여 제품의 기능성과 확장성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제품으로 다수 종류의 인테리어 제품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향초블록의 설치 장소에 따른 형상 구현 및 향 발산이 가능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200, 200a ~ 200d, 210a ~ 210c : 향초블록
201 : 바디 203 : 체결돌기
205 : 체결홈 207 : 심지안내 홈
301 : 심지

Claims (4)

  1. 상온에서 향초분말을 융해시켜 성형되고, 기준치로 설정된 가로 폭(W1) 및 세로 폭(W2)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사각구조인 바디(201);
    상기 바디(201)의 상단 중앙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균일하게 배열된 원기둥 형상의 체결돌기(203);
    상기 바디(201)의 하단에 상기 체결돌기(203)와 대응하는 요철 구조로 형성되는 체결홈(205);
    상기 체결돌기(203)가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근접한 두 개의 체결돌기(203) 사이에서 상기 바디(201)의 일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단면이 반구 형태인 심지안내 홈(207); 및
    상기 심지안내 홈(207)으로 인입 설치되는 심지(301)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201)의 가로 폭(W1) 및 세로 폭(W2)이 기준치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경우,
    상기 바디(201)는 각 모서리가 필렛 처리되며, 다수 개의 상기 바디(201)를 수평으로 밀집시키는 것에 의해 필렛 처리된 모서리들 사이에 상기 심지(301)가 인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01)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 폭(W2)의 길이는 상기 가로 폭(W1) 길이의 정배수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돌기(203)는 상기 정배수에 대응하는 갯 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01)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 폭(W2)의 길이 및 가로 폭(W1)의 길이가 각각으로 상기 기준치의 정배수로 동일하게 연장되고, 상기 체결돌기(203)는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상기 정배수에 대응하는 갯 수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초는 상기 바디(201)의 성형 구조에 따라 컬러를 달리하거나, 상기 바디(201)의 성형 구조에 따라 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KR2020180001362U 2018-03-29 2018-03-29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KR200489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62U KR200489353Y1 (ko) 2018-03-29 2018-03-29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62U KR200489353Y1 (ko) 2018-03-29 2018-03-29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53Y1 true KR200489353Y1 (ko) 2019-06-05

Family

ID=6681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62U KR200489353Y1 (ko) 2018-03-29 2018-03-29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5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15U (ko) 1998-09-22 1998-12-05 김성수 향을 첨가한 다색상의 초 알갱이들로 되는 장식용 초
EP0719855B1 (fr) * 1994-12-28 1999-05-06 Kaarsenfabriek HAUTEKIET N.V. Procédé de production de bougies et produits obtenus
JP2006111673A (ja) * 2004-10-13 2006-04-27 Feisu:Kk 装飾用ろうそく成型品の製造方法
KR200428530Y1 (ko) * 2006-07-26 2006-10-13 주식회사 파티앤벌룬코리아 양초
KR20100040541A (ko) * 2008-10-10 2010-04-20 이상동 조립식 양초
US20120315415A1 (en) * 2011-06-10 2012-12-13 Dean Lavallee Shipping structur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9855B1 (fr) * 1994-12-28 1999-05-06 Kaarsenfabriek HAUTEKIET N.V. Procédé de production de bougies et produits obtenus
KR19980068915U (ko) 1998-09-22 1998-12-05 김성수 향을 첨가한 다색상의 초 알갱이들로 되는 장식용 초
JP2006111673A (ja) * 2004-10-13 2006-04-27 Feisu:Kk 装飾用ろうそく成型品の製造方法
KR200428530Y1 (ko) * 2006-07-26 2006-10-13 주식회사 파티앤벌룬코리아 양초
KR20100040541A (ko) * 2008-10-10 2010-04-20 이상동 조립식 양초
US20120315415A1 (en) * 2011-06-10 2012-12-13 Dean Lavallee Shipping structur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4628A1 (en) Continuous Fragrance and Illumination Device with Replaceable Fragrance Refills
US6033210A (en) Paraffin/petrolatum candl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20102187A1 (en) Sectioned fragrance candle
US20010005492A1 (en) Decorative can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113732A1 (en) Candle Warming Image Display Lamp
KR101400411B1 (ko) 양초
US20020108297A1 (en) Shimmering candle cream
US20150017071A1 (en) Modular multifunction fragrance emitter
US6171102B1 (en) Decorative candle display
US7637738B2 (en) Scented candle with multiple scent components
US20050214704A1 (en) Candle with central core and stacked rings
KR200489353Y1 (ko) 조립형 블록 구조를 갖는 향초
US6461014B1 (en) Ornamental device with thermal cycle of flame
KR101514993B1 (ko) 양초등
CN201044706Y (zh) 供香
US20140134554A1 (en) Stackable Segmented Candle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50232959A1 (en) Item with decorative voids
AU783090B2 (en) Transparent elastic and free standing compound for the manufacture of candles and the free standing candle obtained with the said compound
KR200403470Y1 (ko) 장식용 양초
US20070122759A1 (en) Mix and match stackable candle
TWM515619U (zh) 水蠟燭燈焰噴泉裝置
KR20170011267A (ko) 스노우볼 양초
DE102004008214B3 (de) Dekorationsanordnung für Teelichte oder für einen Teelichtbehälter
JP3201603U (ja) 積層構造キャンドル
KR19980068915U (ko) 향을 첨가한 다색상의 초 알갱이들로 되는 장식용 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