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59Y1 - 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 Google Patents

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59Y1
KR200489259Y1 KR2020180005492U KR20180005492U KR200489259Y1 KR 200489259 Y1 KR200489259 Y1 KR 200489259Y1 KR 2020180005492 U KR2020180005492 U KR 2020180005492U KR 20180005492 U KR20180005492 U KR 20180005492U KR 200489259 Y1 KR200489259 Y1 KR 200489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body
fused
jig
fused portion
h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4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희
Original Assignee
김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희 filed Critical 김미희
Priority to KR2020180005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61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 B29C65/787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using conveyor belts or conveyor chain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부자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판의 유휴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열판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복수의 부자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제1 반체의 접합면이 상측를 향하도록 제1 반체를 수용하는 하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의 상측에서 제2 반체의 접합면이 제1 반체의 접합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반체를 수용하는 상부지그를 포함하여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이 맞닿도록 하여 융착하는 융착부;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 사이로 이동되어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열판이 구비된 열판부;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하부지그로 제1 반체를 공급하는 자재이송부; 및 복수 개의 제2 반체가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융착부로 제2 반체를 공급하는 자재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부는 열판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되어, 열판이 일측과 타측의 융착부로 번갈아 이동하며 각각의 융착부에 구비된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한편, 상기 자재이송부는 융착부를 중심으로 열판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자재공급부는 열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지그가 자재공급부로 이동하여 적층된 제2 반체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한 후 융착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uper fusion spli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usion splicer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ly producing a plurality of superficies by continuously using a hot plate while minimizing the idle time of the hot plate, A jig and an upper jig for receiving the second half so that the joint surface of the second half body faces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at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heet so that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half body and the second half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fused portion to be fused; A heating plate which is moved between the upper jig and the lower jig and has a heating plate for applying heat to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A material transfer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half body to the lower paper body via a conveyor; And a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semiconductors can be stacked and supplying the second semicircle to the fused portion, wherein the fused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eat plate portion, And the material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eat plate portion with the fused portion as a center, while the material supply portion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at plate portion, And the upper jig moves to the material supply part to accommodate any one of the stacked second semicircles and can supply the melt to the fusion bonding part.

Figure R2020180005492
Figure R2020180005492

Description

듀얼 자동부자융착기{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 RTI ID = 0.0 >

본 고안은 자동부자융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부자를 제작함에 있어 열판의 연속적 사용을 통해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usion spli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automatic fusion splicer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productivity through continuous use of a heating plate in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rich ones.

부자(浮子, buoy)는 해상 부유 구조물, 예를 들면 가두리 양식장이나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파력 발전장치, 해상 쓰레기 작업선 등을 위하여 강이나 바닷물에 띄우는 부체(浮體)를 통틀어서 일컫는 것으로서, 부표라 불리기도 한다.Buoy refers to floating structures in the sea such as caged fish farms, water photovoltaic devices, wave generators, marine litter work boats, etc., which are floated in the river or seawater. Buoys are buoys It is also called.

부자는 필요로 하는 부력에 따라 다양한 부피로 제작되며, 재질도 여러 가지이다. 작은 부자의 경우에는 스티로폼만으로 제작되기도 하지만, 파손되기 쉬운 스티로폼은 수질 오염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근래에는 친환경을 고려하려 스트로폼만으로 부자를 만들지는 않고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The rich are made in various volumes depending on the required buoyancy, and there are various kinds of materials. Styrofoam, which is easy to break down, has adverse effects on water pollution, so it is a tendency to manufacture plastic products instead of making rich with straw foam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그러나, 부피가 큰 부자를 사출 성형으로 한 번에 일괄 제작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사출기를 통해 부자를 반으로 잘라놓은 형태의 반체(半體)를 만든 후에 상기 반체 내부에 부력재(예로, 스티로폼) 또는 형태유지를 위한 보강재를 채운 다음 두 개의 반체를 서로 맞대어 놓고 맞닿은 부분을 가열 융착하는 방식으로 완성된 부자를 만들게 된다.However, since it is not easy to batch-manufacture a bulky bulky material at a time by injection molding, it is usually difficult to produce a bulky material (for example, a semi- Styrofoam) or stiffening for shape retention, then the two halves are put together against each other and the abutting portion is heated and fused to form the finished rich.

하지만, 종래에는 두 개의 부자 반체를 하나로 융착시키는 작업이 보통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부 자동화가 되기는 하더라도 균일한 융착 품질을 보장하기 어려워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융착 품질이 좋지 않으면 접합면 사이의 벌어진 틈으로 물이 들어가 부자로서의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However, in the pas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a uniform welding quality even if the work of fusing two rich halves into one is performed by hand or some automation is performed. Particularly, if the quality of the fusion is poor, the water enters into the gap between the bonding surfaces and the performance as the rich is deteriorated.

또한, 부자는 무게가 가볍기는 하지만 부피가 상당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으로 취급하기에는 불편함이 있고 시야를 가려 사고의 위험이 큰데, 이는 부자 제작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weight of the rich is light, it is bulky, so it is inconvenient for a worker to handle by hand, and there is a high risk of accidents due to visibility, which lowers the productivity of rich manufactur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117호(이하, '인용고안'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인용고안은 제1 부자 반체를 수용하는 하부지그와, 제2 부자 반체를 수용하는 상부지그와, 상기 제1 부자 반체 및 제2 부자 반체에 각각 형성된 테두리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가열판과, 제1 부자 반체와 제2 부자 반체가 접합되어 완성된 부자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부자 자동 회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7301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ited design "). A heating plate for applying heat to the joining surfaces of the rims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bsidiary halves and the second subsidiary half; And a rich automatic recovery device for joining the one rich half and the second rich half to move the completed rich to the outside.

이러한 인용고안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여 접합 품질이 우수하며, 완선된 부자를 작업자가 하부지그로부터 꺼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기는 하나, 여전히 작업자가 제1 부자 반체를 하부지그에 놓아야 하고, 하나의 부자를 제작하기 위해 가열판이 사용된 후, 다음 부자를 제작하기 위해 가열판을 사용하기까지, 즉 가열판의 유휴시간이 상당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is citation design is capable of heating uniformly over the whole, so that the quality of the joint is excellent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worker has to take out the loose sewn from the bottom shee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is not greatly improved since the heating plate is used to fabricate one rich portion and then the heating plate is used to fabricate the next rich portion, that is, the idle time of the heating plate is significant.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117호 '자동식 부자 융착기'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30117 'Automatic Fusion Machin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판의 유휴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열판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복수의 부자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al automatic fusion splicer capable of rapidly producing a plurality of coins by continuously using a heating plate while minimizing the idle time of the heating pla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듀얼 자동부자융착기는 제1 반체의 접합면이 상측를 향하도록 제1 반체를 수용하는 하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의 상측에서 제2 반체의 접합면이 제1 반체의 접합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반체를 수용하는 상부지그를 포함하여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이 맞닿도록 하여 융착하는 융착부;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 사이로 이동되어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열판이 구비된 열판부;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하부지그로 제1 반체를 공급하는 자재이송부; 및 복수 개의 제2 반체가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융착부로 제2 반체를 공급하는 자재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부는 열판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되어, 열판이 일측과 타측의 융착부로 번갈아 이동하며 각각의 융착부에 구비된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한편, 상기 자재이송부는 융착부를 중심으로 열판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자재공급부는 열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지그가 자재공급부로 이동하여 적층된 제2 반체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한 후 융착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dual automatic muff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jig for receiving a first half body so that a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faces upward, and a lower jig for holding a first half body, And an upper jig for receiving the second half so as to face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and the second half body, A heating plate which is moved between the upper jig and the lower jig and has a heating plate for applying heat to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A material transfer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half body to the lower paper body via a conveyor; And a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semiconductors can be stacked and supplying the second semicircle to the fused portion, wherein the fused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eat plate portion, And the material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eat plate portion with the fused portion as a center, while the material supply portion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at plate portion, And the upper jig moves to the material supply unit to receive any one of the stacked second semicircles and then supply it to the fused portion.

본 고안에 따르면, 열판이 일측 융착부로 이동하여 해당 융착부에 위치한 제1 반체와 제2 반체의 접합면을 가열한 후, 타측 융착부로 이동하여 해당 융착부에 위치한 제1 반체와 제2 반체의 접합면을 가열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양측 융착부에서 부자가 번갈아가면서 생산되는바, 생산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plate is moved to the one fused portion to heat the fuse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located in the fused portion, and then moves to the other fused portion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semi- Since the process of heating the bonding surfaces is repeated, the rich portions are produced alternately at the fused portions at both sides,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또한, 상기 열판의 유휴시간이 최소화되므로 열판이 외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열판의 적정 융착 온도를 유지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idle time of the hot plate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t plate from being cooled by the outside air, and it is easy to maintain an appropriate fusing temperature of the hot plate.

도 1은 종래 자동식 부자 융착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듀얼 자동부자융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듀얼 자동부자융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듀얼 자동부자융착기에 의해 부자가 제작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tomatic fusion splicer,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ual auto fusion spli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ual automatic fusion spli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9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bundle is manufactured by a dual automatic fusion spli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에서는 열판의 유휴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열판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복수의 부자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제1 반체의 접합면이 상측를 향하도록 제1 반체를 수용하는 하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의 상측에서 제2 반체의 접합면이 제1 반체의 접합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반체를 수용하는 상부지그를 포함하여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이 맞닿도록 하여 융착하는 융착부;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 사이로 이동되어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열판이 구비된 열판부;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하부지그로 제1 반체를 공급하는 자재이송부; 및 복수 개의 제2 반체가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융착부로 제2 반체를 공급하는 자재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부는 열판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되어, 열판이 일측과 타측의 융착부로 번갈아 이동하며 각각의 융착부에 구비된 제1 반체 및 제2 반체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한편, 상기 자재이송부는 융착부를 중심으로 열판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자재공급부는 열판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지그가 자재공급부로 이동하여 적층된 제2 반체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한 후 융착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jig for receiving a first half body so that a joint surface of a first half body faces upward so that a plurality of rich bodies can be produced quickly by continuously using a heat body while minimizing idle time of the heat body, A fused portion including an upper jig for holding the second half so that a joint surface of the second half body faces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so that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heating plate which is moved between the upper jig and the lower jig and has a heating plate for applying heat to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A material transfer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half body to the lower paper body via a conveyor; And a material supply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semiconductors can be stacked and supplying the second semicircle to the fused portion, wherein the fused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eat plate portion, And the material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eat plate portion with the fused portion as a center, while the material supply portion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at plate portion, And the upper jig moves to the material supply part to receive any one of the stacked second semicircles and then supply the molten material to the fusion bonding part.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인 듀얼 자동부자융착기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dual automatic fusion splic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attached hereto.

본 고안인 듀얼 자동부자융착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를 접합하여 부자(40)를 형성하는 융착부(100)와, 상기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를 접합함에 있어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열판(210)이 구비된 열판부(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ual auto fusion spli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sed portion 100 for joining a first half body 10 and a second half body 20 to form a bundle 40, And a heating plate 200 having a heating plate 210 for applying heat to the bonding surfaces in bonding the first half 10 and the second half 20.

본 고안에서의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는 통형의 부자(40)를 길이방향으로 나누었을 때 형성되는 2개의 몸체를 의미하며,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 중 어느 하나는 부자(40)의 상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부자(40)의 하부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제2 반체(20)가 부자(40)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며, 이러한 제2 반체(20)에는 상면에 줄이 끼워지거나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 two bodies formed when the tubular body 40 is divid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20) forms the upper part of the rich part (40), and the other part forms the lower part of the rich part (40).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half 20 forms the upper part of the rich 40, and the second half 20 may be provided with a loop on the upper surface or a loop for fixing the structure.

그리고, 상기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는 내부가 빈 상태로 상호 접합되어 내부가 빈 부자(4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가 빈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 내에 부력재(30)가 채워져 내부에 부력재(30)가 포함된 부자(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는 개방된 측의 단부, 즉 테두리가 접합면을 이룬다.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are bonded to each other in an empty state so that the hollow body 40 can be formed. The second half body 20 may be filled with the buoyancy material 30 to form the rich body 40 including the buoyancy material 30 therein. In addition,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have open ends, that is, the rim forms a joint surface.

상기 융착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그(110)와, 상부지그(120)를 포함하는데, 상기 하부지그(110)는 제1 반체(10)의 접합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제1 반체(10)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그(120)는 하부지그(110)의 상측에서 제2 반체(20)의 접합면이 제1 반체(10)의 접합면과 마주보도록 제2 반체(20)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반체(10)는 개방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부지그(110)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반체(20)는 개방된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부지그(120)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그(120)는 제2 반체(20)를 제1 반체(10)를 향해 이동시켜 접합시키고자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the fused portion 100 includes a lower jig 110 and an upper jig 120. The lower jig 110 has a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10 facing upward And the upper jig 120 is provided to receive the first half body 10 such that the upper half of the lower half body 110 faces the abutment surface of the second half body 20 And to receive the second half 20. That is, the first half body 1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jig 110 such that the opened portion thereof is directed upward, and the second half body 2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jig 120 such that the opened portion thereof is directed downward do. Needless to say, the upper jig 120 can be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half body 20 toward the first half body 10 to join them.

한편,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그(110)에 제1 반체(10)를 공급하기 위한 자재이송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재이송부(300)는 제1 반체(10)가 놓여져 하부지그(110)를 향해 제1 반체(10)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310)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310)는 하부지그(110)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일단부가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컨베이어(310) 상의 제1 반체(10)가 컨베이어(310)의 일단부에서 낙하되어 하부지그(110)로 수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3,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transfer unit 300 for supplying the first half body 10 to the lower jig 110, and the material transfer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half body 10, And a conveyor 310 for moving the first half body 10 toward the lower jig 110. The conveyor 31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upper edge of the lower jig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alf body 10 on the conveyor 310 is dropped at one end of the conveyor 310 to be received in the lower jig 110.

상기 열판부(200)는 열판(210)이 융착부(100) 즉, 상부지그(120)와 하부지그(110) 사이로 이동되어 제1 반체(10) 및 제2 반체(20)의 접합면에 열을 가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는 열에 의해 접합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짐을 전제로 하며, 일 예로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판(21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전기를 공급받아 저항열을 발생할 수 있는 열선(니크롬선)과 같은 발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대략 190∼230℃ 정도의 범위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판(210)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반체(10) 및 제2 반체(20)의 접합면을 한꺼번에 가열할 수 있도록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 즉 테두리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heating plate 200 is moved between the fused portion 100 and the upper and lower jigs 120 and 1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10 and 20 Heat is applie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bonded by heat, and may be injection molded by a plastic resin, for example. The heating plate 210 may include heating means such as a heating wire (nichrome wire) capable of generating resistance heat by receiving electricity therein. The heating plate 210 may be heated to a temperature of about 190 to 230 ° C .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so that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can be heated at a time, 20, that is, a size such that the rim can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상기 열판(2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판부(200)와 융착부(100)의 상면에는 레일(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220)는 하부지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moving the heating plate 210, a rail 2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200 and the fused portion 100, as shown in FIGS. The rails 2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ji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고안인 듀얼 자동부자융착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융착부(100)가 열판부(200)를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된다. 즉, 열판부(200)의 일측에 하나의 융착부(100a)가 마련되고, 열판부(200)의 타측에 다른 하나의 융착부(100b)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열판(210)은 열판부(200)에서 일측의 융착부(100a)와 타측의 융착부(100b)로 이동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레일(220)은 일측과 타측의 융착부(100a, 100b)와 열판부(200)에 열판(210)이 하부지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dual auto fusion splic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used portion 100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eat plate portion 200. That is, one fused portion 100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t plate portion 200, and another fused portion 100b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t plate portion 200. [ Therefore, the heat plate 210 can be moved to the fused portion 100a and the fused portion 100b on the one side and the fused portion 100b on the side of the heat plate 200. For this purpose, the rail 220 has the fused portion 100a and 100b and the heat plate 200 so that the heat plate 21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ig 110. [

이에 따라, 상기 열판(210)은 일측의 융착부(100a)과 타측의 융착부(100b)로 번갈아 이동하며, 각각의 융착부(100a, 100b)에 구비된 제1 반체(10) 및 제2 반체(20)의 접합면에 열을 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판(210)은 일측 융착부(100a)로 이동하여 해당 융착부(100a)에 위치한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을 가열한 후, 열판부(200)로 이동된 다음, 타측 융착부(100b)로 이동하여 해당 융착부(100b)에 위치한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을 가열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eat plate 210 alternately moves to one fused portion 100a and the other fused portion 100b, and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0, which are provided in the fused portions 100a and 100b, Heat is applied to the joint surface of the half body (20). More specifically, the heat plate 210 moves to the one fused portion 100a to heat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10 and 20 located at the fused portion 100a,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located at the fused portion 100b may be repeatedly heated by moving to the second fused portion 100b .

따라서, 열판부(200)의 양측에 마련된 융착부(100a, 100b)는 번갈아 이에 구비된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이 맞닿으며 융착이 이루어지는바, 부자(40)가 번갈아가면서 생산되므로 생산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판(210)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열판(210)의 유휴시간이 최소화되므로 열판(210)이 외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열판(210)의 적정 융착 온도를 유지하기에 용이하다. The fused portions 100a and 100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eating plate 200 are alternately fused with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10 and 20 provided therebetween, ) Are alternately produced, so that the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Since the idle time of the heat plate 210 is minimized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the heat plate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plate 210 from being cooled by the outside air. As a result, It is easy to do.

한편,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체(10)를 하부지그(110)로 공급하는 자재이송부(300)와 더불어, 상기 융착부(100)로 제2 반체(20)를 공급하는 자재공급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재공급부(400)는 복수 개의 제2 반체(20)가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에 제2 반체(20)를 복수 개 쌓아놓음으로써, 지속적으로 제2 반체(20)를 융착부(10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 반체(10)는 자재이송부(3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융착부(100)로 공급되고, 상기 제2 반체(20)는 자재공급부(4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융착부(100)로 공급된다.2 and 3, in addition to the material transferring unit 300 for supplying the first half body 10 to the lower jig 110, the second half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fused portion 100, And a material supply unit 400 for supplying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with the material.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half bodies 20 can be stacked and a plurality of second half bodies 20 are stacked in the space, Can be supplied to the fused portion 100. That is, the first half body 10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used portion 100 by the material transfer portion 30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used portion 100 by the material supply portion 400, .

이때, 상기 자재이송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100)를 중심으로 열판부(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자재공급부(400)는 열판부(2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자재이송부(300)에서 컨베이어(310)를 통해 하부지그(110)로 낙하하도록 공급되는 제1 반체(10)가 길이방향으로 낙하할 시, 제대로 하부지그(110) 상에 수용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바, 제1 반체(10)가 폭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제1 반체(10)가 하부지그(110) 내에 수용되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2 and 3, the material transfer unit 300 i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eat plate unit 200 with the fused portion 100 as a center, and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includes a heat plate unit 2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rst half body 10 supplied to fall down to the lower jig 110 through the conveyor 310 in the material transfer section 300 can not be properly accommodated on the lower jig 110 The height of the first half 10 is lowered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accuracy with which the first half 1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jig 110. [

또한, 상기 자재공급부(400)는 열판부(2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됨에 따라, 융착부(100)에 구비된 상부지그(120)를 통해 제2 반체(20)를 융착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재공급부(400)와 융착부(100)는 상부지그(120)가 이동하기 위한 지그레일(13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heat plate 200 so that the second half body 20 is fixed to the fused portion 100 through the upper jig 120 provided in the fused portion 100 Can supply. For this purpose, the material supplying unit 400 and the fused portion 100 may be provided with a jig rail 130 for moving the upper jig 120.

일 예로, 상기 상부지그(120)는 자재공급부(400)로 이동하여 적층된 제2 반체(20)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여, 지그레일(130)을 따라 융착부(100)로 이동하여 제1 반체(10)와의 융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체(20)는 상면에 줄이 끼워지거나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지그(120)는 제2 반체(20)의 고리를 파지함으로써 수용시키고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jig 120 moves to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and receives any one of the stacked second half bodies 20, moves along the jig rail 130 to the fused portion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sion welding work with the half body 10. The upper half of the second half 20 may be provided with a loop for fixing the structure or a line may be formed on the upper half of the second half 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and moved in a fixed state.

한편, 상기 자재이송부(300)는 제1 반체(10)를 하부지그(110)로 공급함과 더불어, 융착되는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 내에 수용되는 부력재(30)를 상기 하부지그(11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부력재(3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스티로폼 등과 같이 부력을 향상시키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transferring unit 300 supplies the first half body 10 to the lower jig 110 and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bucky material 30 accommodated in the second half body 20, Can be supplied to the lower jig 110. The buoyancy material 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that improves buoyancy.

상기 자재이송부(300)를 통해 제1 반체(10)와 부력재(30)가 공급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310) 상에 제1 반체(10)와 부력재(30)가 번갈아 놓여지도록 하고, 상기 부력재(30)가 하부지그(110)에 놓인 제1 반체(10)의 접합면이 열판(210)에 의해 가열된 후 제1 반체(10) 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력재(30)가 포함된 부자(40)를 제작함에 있어, 별도로 부력재(30)가 공급되기 위한 컨베이어를 마련할 필요가 없는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buoyancy material 30 are provided on the conveyor 310, and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buckling material 30 are provided on the conveyor 310, And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10 placed on the lower jig 110 by the buoyancy material 30 may be heated by the heat plate 210 and then supplied into the first half body 10. [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onveyor for supplying the buoyancy material 30 separately in manufacturing the buoyant 40 including the buoyancy material 30, thereby reducing the cost.

한편, 본 고안은 융착부(100), 열판부(200), 자재이송부(300), 자재공급부(400)와 더불어, 완제품송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제품송출부(500)는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가 융착되어 제작된 부자(40)가 놓이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ished product delivery unit 500 in addition to the fusion unit 100, the heat plate unit 200, the material transfer unit 300, and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are fused to each other and the manufactured rich body 40 is placed.

이러한 완제품송출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100) 및 자재공급부(3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지그(120)에 의해 부자(40)가 융착부(100)에서 완제품송출부(50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완제품송출부(500), 자재공급부(400) 및 융착부(100)는 상부지그(120)가 이동하기 위한 지그레일(130)이 구비될 수 있다. 2, the finished product dispenser 500 is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used portion 100 and the material supply portion 300 so that the fingertip 40 is separated from the fused portion 100 by the upper jig 120, To the finished product dispensing unit 500. The jig rail 130 for moving the upper jig 120 may be provided in the finished product dispenser 500, the material supplier 400 and the fused portion 100.

상술한 본 고안인 듀얼 자동부자융착기에 의해, 열판부(200)의 양측에 마련되는 융착부(100a, 100b)에서 번갈아가며 부자(40)가 제작되는 과정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며, 일측 융착부(100a)에서 부자(40)가 제작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process of fabricating the bundle 40 alternately at the fused portions 100a and 100b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eat plate portion 200 by the dual auto fusion splicer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rocess of fabricating the superfluorescent material 40 on the substrate 100a will be mainly described.

먼저, 상부지그(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공급부(400)로 이동하여 자재공급부(400)에 적층되어 있는 제2 반체(20) 중 하나를 수용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100)로 이동한다. 이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그(120)는 수용된 제2 반체(20)가 하부지그(110)에 수용된 제1 반체(10)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하강한다. 즉, 상기 제1 반체(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그(120)가 하강하기에 앞서, 하부지그(110)에 수용된다. 4A, the upper jig 120 moves to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to receive one of the second half bodies 20 stacked on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and as shown in FIG. 4B And moves to the fused portion 100 as well. 5A, the accommodated second half 20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half 10 accommodated in the lower jig 110, as shown in FIG. 5A. That is, the first half body 1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jig 110 before the upper jig 120 is lowered, as shown in FIG. 5A.

다음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판부(200)에 위치한 열판(210)이 상기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 사이로 이동하고,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이 열판(210)과 맞닿도록 상기 상부지그(120)가 더 하강하여,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에 열을 가한다.Next, as shown in FIG. 5D, the heat plate 210 located in the heat plate 200 mov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10 and 20, and as shown in FIG. 6E, The upper jig 120 further descends so that the joining surfaces of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abut against the heat plate 210 and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Lt; / RTI >

이후, 제작하는 부자(40)에 부력재(30)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부력재(30)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상부지그(120)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고, 열판(210)은 열판부(200)로 이동한다. 상기 부력재(30)는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그(110)에 수용된 제1 반체(10) 내부로 투입된다. 6F, when the buoyancy material 30 is included in the body 40 to be manufactured, the upper jig 120 is lifted to insert the buoyancy material 30, (200). The buoyancy material 30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alf body 10 accommodated in the lower jig 110 as shown in FIG. 7G.

다음으로,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그(120)는 다시 하강하여 제2 반체(20)와 제1 반체(10)의 접합면이 맞닿으며 융착이 이루어져, 부자(40)가 제작된다. 만약, 부자(40)에 부력재(30)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판(210)에 의해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이 가열된 이후, 상기 상부지그(120)가 상승하여 열판(210)이 열판부(200)로 이동한 다음, 상기 상부지그(120)가 다시 하강하여 부자(40)가 제작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7H, the upper jig 120 is lowered again so that the joining surfaces of the second half 20 and the first half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usion is performed to produce the second half 40 . 6E, if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is heated by the heat plate 210 after the boiled material 30 is not included in the rich body 40, The upper jig 120 is lifted to move the heating plate 210 to the heating plate 200 and then the upper jig 120 is lowered again to manufacture the richer 40. [

제작된 부자(40)는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그(120)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송출부(500)로 이동되어, 도 9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그(12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상기 상부지그(120)는 다시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며 부자(40)를 지속적으로 제작한다.The manufactured jig 40 is lifted by the upper jig 120 as shown in Fig. 8I and is moved to the finished product delivery portion 500 as shown in Fig. 8J, And is separated from the jig 120. Thereafter, the upper jig 120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to continuously manufacture the jig 40.

일측의 융착부(100a) 측에서 위와 같은 과정으로 부자(40)를 제작할 시, 타측의 융착부(100b) 측에서도 위와 같은 과정으로 부자(40)를 제작한다. 다만, 본 고안에서 열판(210)은 일측 융착부(100a)와 타측 융착부(100b)로 번갈아가며 이동하게 되므로, 융착부(100a, 100b)는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이한 작업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bundle 40 is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on the side of the fused portion 100a on one side, the fused portion 4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used portion 100b on the other sid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heat plate 210 alternately moves to the one fused portion 100a and the other fused portion 100b, the fused portions 100a and 100b do not perform the same operation, .

일 예로,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융착부(100a)에서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융착이 이루어져 열판(210)이 열판부(200)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열판(210)은 일측 융착부(100a)와 상이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타측 융착부(100b)로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어,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의 접합면을 가열할 수 있다. 7H, when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are fusion-bonded in the single fused portion 100a and the heat plate 210 is located on the heat plate portion 200, The heat plate 210 is moved as shown in FIG. 8I to the other fused portion 100b which is performing a work different from the one fused portion 100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10 and It is possible to heat the bonding surfaces of the bimetals 20.

10 : 제1 반체 20 : 제2 반체
30 : 부력재 40 : 부자
100(100a, 100b) : 융착부
110 : 하부지그 120 : 상부지그
130 : 지그레일
200 : 열판부 210 : 열판
220 : 레일
300 : 자재이송부 310 : 컨베이어
400 : 자재공급부
500 : 완제품송출부
10: first half 20: second half
30: buoyancy material 40: rich
100 (100a, 100b): Fused portion
110: lower jig 120: upper jig
130: jig rail
200: heat plate part 210:
220: Rail
300: Material transfer 310: Conveyor
400: Material supplier
500: Finished product delivery section

Claims (5)

제1 반체(10)의 접합면이 상측를 향하도록 제1 반체(10)를 수용하는 하부지그(110)와, 상기 하부지그(110)의 상측에서 제2 반체(20)의 접합면이 제1 반체(10)의 접합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반체(20)를 수용하는 상부지그(120)를 포함하여 제1 반체(10) 및 제2 반체(20)의 접합면이 맞닿도록 하여 융착하는 융착부(100);
상기 상부지그(120)와 하부지그(110) 사이로 이동되어 제1 반체(10) 및 제2 반체(20)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열판(210)이 구비된 열판부(200);
컨베이어(310)를 통해 상기 하부지그(110)로 제1 반체(10)를 공급하는 자재이송부(300); 및
복수 개의 제2 반체(20)가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융착부(100)로 제2 반체(20)를 공급하는 자재공급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부(100)는 열판부(200)를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되어, 열판(210)이 일측과 타측의 융착부(100a, 100b)로 번갈아 이동하며 각각의 융착부(100a, 100b)에 구비된 제1 반체(10) 및 제2 반체(20)의 접합면에 열을 가하는 한편,
상기 자재이송부(300)는 융착부(100)를 중심으로 열판부(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자재공급부(400)는 열판부(2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지그(120)가 자재공급부(400)로 이동하여 적층된 제2 반체(20)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한 후 융착부(10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
A lower jig 110 for receiving the first half body 10 so that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10 faces upward and a lower jig 110 for supporting the first half body 10, And an upper jig 120 accommodating the second half 20 facing the bonding surface of the half 10 so that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half 10 and the second half 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used A fused portion 100;
A heating plate 200 which is moved between the upper jig 120 and the lower jig 110 and has a heating plate 210 which applies heat to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bodies 10 and 20;
A material transfer unit 300 for supplying the first half body 10 to the lower jig 110 through a conveyor 310; And
And a material supply unit 400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half bodies 20 can be stacked and supplying the second half body 20 to the fused portion 100,
The fused portion 100 i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eat plate portion 200 so that the heat plate 210 is alternately moved to the fused portions 100a and 100b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is mounted on the fused portions 100a and 100b Heat is applied to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The material transfer unit 300 is provi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eat plate unit 200 with the fused portion 100 as a center and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is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eat plate unit 200, 120 can be moved to the material supply unit 400 to accommodate any one of the stacked second half bodies 20 and supply the same to the fused portion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210)은 제1 반체(10) 및 제2 반체(20)의 접합면을 한꺼번에 가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열판부(200)와, 열판부(200) 양측에 마련된 각각의 융착부(100a, 100b)에는 상기 열판(210)이 하부지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2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plate 210 is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heating the bonding surfaces of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second half body 20 at a time,
A rail 220 is provided on the heat plate 200 and fused portions 100a and 100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eat plate 200 so that the heat plate 21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ig 11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utomatic fusion splic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이송부(300)는 융착되는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 내에 수용되는 부력재(30)를 상기 하부지그(110)로 공급가능하되,
상기 부력재(30)는 제1 반체(10)와 함께 컨베이어(310) 상에 번갈아 놓여져. 하부지그(110)에 놓인 제1 반체(10)의 접합면이 열판(210)에 의해 가열된 후 제1 반체(10) 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terial transfer unit 300 is capable of supplying the first half body 10 and the bucky material 30 accommodated in the second half body 20 to the lower jig 110,
The buoyancy material (30) is placed on the conveyor (310) alternately with the first half body (10). Wherein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half body (10) placed on the lower jig (110) is heated by the heating plate (210) and then fed into the first half body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체(10)와 제2 반체(20)가 융착되어 제작된 부자(40)가 놓이는 완제품송출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완제품송출부(500)는 융착부(100) 및 자재공급부(3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지그(120)에 의해 부자(40)가 융착부(100)에서 완제품송출부(500)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자동부자융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nished article dispenser 500 in which the superstructures 10 and the second half 20 are fused to each other and the superstructures 40 are placed thereon,
The finished product dispenser 500 is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used portion 100 and the material dispensing portion 300 so that the rich portion 40 is separated from the fused portion 100 by the upper jig 120, To the first and second automatic joining apparatuses.
삭제delete
KR2020180005492U 2018-11-28 2018-11-28 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KR2004892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92U KR200489259Y1 (en) 2018-11-28 2018-11-28 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92U KR200489259Y1 (en) 2018-11-28 2018-11-28 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59Y1 true KR200489259Y1 (en) 2019-05-24

Family

ID=6665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492U KR200489259Y1 (en) 2018-11-28 2018-11-28 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59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72Y1 (en) * 2001-06-18 2001-10-31 주영용 A heat-joining press
KR101730117B1 (en) 2016-11-04 2017-05-12 금강산전 주식회사 Automated heat fusion machine for buo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472Y1 (en) * 2001-06-18 2001-10-31 주영용 A heat-joining press
KR101730117B1 (en) 2016-11-04 2017-05-12 금강산전 주식회사 Automated heat fusion machine for bu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117B1 (en) Automated heat fusion machine for buoy
US4572753A (en) Method of ultrasonic welding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87627B1 (en) Thermoplastic prepreg and laminate
KR200489259Y1 (en) Dual automatic heat fusion apparatus for buoy
EP0176385B1 (en) Transformable mould, for instance for the realisation of a ship's hull,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2022019885A (en) Sheet welding device
EP3015247B1 (en) Device for forming handle-equipped container
GB1600902A (en) Method and a machine for producing cellular latticework structures
KR102107221B1 (en) EPP material eco-friendly large buoy manufacturing method and eco-friendly large buoy manufactured by this method
JP2010001066A (en) Plastic sheet-made box body, its production method, production device and corner member for stacking plastic sheet-made box body
JP2012046269A (en) Repair method and repair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travel handrail
US201300492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By Thermoforming
KR102083370B1 (en) Heat welding apparatus for joining upper and lower cap of float, and float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23797B1 (en) Buoy manufacturing equipment
AU716385B2 (en) Cable tie bandoliers for use with automatic tools
JPS5952612A (en) Bending method for thermoplastic resin-made corrugated board
US20090181586A1 (en) Surfboard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e
JPS60189419A (en) Heating method of sheet material of molded resin sheet
KR101838192B1 (en) Heat bonding system for synthetic resin buoy
JP656612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ber reinforced plastic
JP2017094516A (en) Press-working device of composite sheet material, and press-working method of composite sheet material
CN205835831U (en) A kind of rubber-coating module assistant formation structure
KR20170112447A (en) Disposable Cup Sleeve Manufacturing Appartus And Method Of It
JP6615734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JP2008296512A (en) Sheet material mold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