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11Y1 -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 Google Patents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11Y1
KR200489211Y1 KR2020170002382U KR20170002382U KR200489211Y1 KR 200489211 Y1 KR200489211 Y1 KR 200489211Y1 KR 2020170002382 U KR2020170002382 U KR 2020170002382U KR 20170002382 U KR20170002382 U KR 20170002382U KR 200489211 Y1 KR200489211 Y1 KR 200489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ipe
state
guid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293U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2020170002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1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2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05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f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는, 절단되기 위한 파이프가 놓여지는 베드와, 이 베드 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파이프의 절단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한 파이프 절단장치 측에 부착 상태로 사용되는 표시기로서,
상기 절단부 측에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 측에 연결 배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절단부의 파이프 절단동작과 연계하여 파이프의 외부면 상에 식별용 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MARKING DEVICE FOR PIPE CUTTING MACHINE}
본 고안은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작업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여러 개의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 시공하는 방식으로 요구되는 형태의 배관라인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파이프들의 연결 이음부위는 예를 들어, "-"자 모양이나, "T"자 모양, "L"자 모양의 분기 형태를 갖는 배관용 연결구들 측에 파이프의 단부 측이 끼워져서 압착 체결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배관라인의 안정적인 시일성과 체결성을 확보하려면, 특히 파이프의 단부 측이 배관용 연결구 측에 설계 상의 길이만큼 삽입된 상태로 체결 연결될 수 있도록 배관시공 전에 파이프들을 설계 치수(길이)대로 절단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이러한 파이프 절단작업은 대부분 디스크나 휠 타입의 절단구를 구비한 절단장치에 의해 진행되며, 이러한 절단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1389947호의 절단면 연마휠이 형성된 파이프 절단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 절단기에 의해 절단 처리된 파이프들을 배관시공 작업에 사용하면, 압착 체결을 위하여 파이프의 단부 측이 배관용 연결구 측에 끼워질 때, 파이프 단부 측의 적정 삽입 상태(깊이)를 작업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배관용 연결구 측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단부 측의 삽입 깊이가 설계 상의 정해진 치수보다 더 짧으면, 파이프의 연결 이음부위가 불안정한 체결 연결 상태가 되면서 체결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더욱이, 파이프의 연결 이음부위가 불안정한 체결 연결 상태가 되면, 시일성이 저하되어 시공 후, 누수(漏水)와 같은 심각한 시공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관 시공시 배관용 연결구 측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적정 삽입 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구현하지 못하면, 만족할 만한 시공 안정성과 작업 신뢰도를 기대할 수 없고, 시공 불량에 의한 유지보수(재시공) 등에 과다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절단작업과 연계하여 파이프 외부면 상에 배관 시공과 부합하는 상태로 식별용 선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절단되기 위한 파이프가 놓여지는 베드와, 이 베드 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파이프의 절단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한 파이프 절단장치 측에 부착 상태로 사용되는 표시기로서,
상기 절단부 측에 설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 측에 연결 배치되는 가이드대와, 이 가이드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는 이동고정구를 구비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절단부의 파이프 절단동작과 연계하여 파이프의 외부면 상에 식별용 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파이프 절단장치에 의한 파이프 절단작업과 연계하여 파이프 외부면 상에 식별용 선이 표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특히 배관 시공시 파이프와 배관용 연결구 간의 적정 연결 상태(삽입 깊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식별용 선이 파이프 절단작업과 연계하여 간편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의 세부 구조 및 작용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세부 구조 및 작용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는, 홀더(2), 가이드부(4), 및 표시부(6)를 포함하며, 파이프 절단장치(M, 이하 "절단장치"라고 함.) 측에 설치되어 이 절단장치(M)의 절단동작과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먼저, 절단장치(M)는 도 1에서와 같이 파이프(P)가 놓여지는 베드(M1)와, 이 베드(M1) 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조작되는 상태로 파이프(P)의 절단동작이 가능하게 절단부(M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M2)는 절단장치(M) 측에 일측이 힌지결합으로 연결 고정되어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태로 베드(M1) 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절단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디스크나 휠 타입의 절단구(M3)가 모터와 같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파이프(P)를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상태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홀더(2)는 절단장치(M)의 구성부 중에서 절단부(M2) 측에 연결 고정되어 이 절단부(M2)의 절단동작 방향으로 후술하는 가이드부(4)와, 표시부(6)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홀더(2)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절단장치(M)의 절단부(M2) 측을 띠 모양으로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체결부재(A)의 조임력에 의해 조여지면서 절단부(M2) 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2)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A)의 정,역 방향 회전 조작시 둘레가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상태로 조임 또는 조임 해제 동작되도록 형성된다.
홀더(2)의 재질은 무게가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슬립(slip)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합성수지나 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4)는 홀더(2) 측에 연결 고정되어 후술하는 표시부(6) 측이 위치 조절이 가능한 고정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4)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홀더(2) 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대(B)와, 이 가이드대(B) 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고정구(C)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대(B)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B1)이 연장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B1)의 연장구간이 절단장치(M)의 베드(M1) 측에 놓여진 파이프(P)들의 길이방향과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가이드대(B)의 길이방향 일단이 홀더(2) 측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셋팅된다.
가이드대(B)는 홀더(2) 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축선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홀더(2) 측에는 홀부(B2)가 형성되고, 이 홀부(B2) 측에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가이드대(B)의 일단에는 축부(B3)가 형성되어 홀부(B2) 측에 축부(B3)가 끼워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홀부(B2) 측에는 축부(B3) 둘레 측을 탄력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끝단이 반원 모양으로 형성된 탄성누름구(B4, 예: 판스프링)가 형성되고, 이 탄성누름구(B4)와 대응하는 상태로 축부(B3)의 둘레 측에는 걸림홈(B5)들이 간격을 띄우고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가이드대(B)가 축부(B3)를 중심으로 정,역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탄성누름구(B4)와 걸림홈(B5)의 탄력적인 접촉력에 의해 적어도 2단 이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조작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고정구(C)는 가이드대(B) 측에서 가이드홈(B1)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이동고정구(C)는 도 2에서와 같은 걸림연결구(C1)의 걸림력에 의해 가이드대(B)의 가이드홈(B1) 측에 걸려진 연결 상태로 홈 연장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연결구(C1)는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드홈(B1) 측에 걸려 질 수 있도록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이동고정구(C)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탄성부재(C2)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 측이 내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작동되도록 셋팅된다.
그러면, 이동고정구(C)는 가이드대(B)의 가이드홈(B1)의 연장구간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위치 조절 지점에 탄력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상태로 조작이 가능하게 가이드대(B) 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의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도 도 2에서와 같이 가이드대(B)의 가이드홈(B1)의 연장구간을 따라 이동고정구(C)의 이동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홀더(2)의 홀부(B2) 측에 끼워진 축부(B3)를 중심으로 가이드대(B)의 정,역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표시부(6) 측을 서로 다른 두 방향 즉, 파이프(P) 길이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표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다.
한편, 표시부(6)는 가이드부(4)의 이동고정구(C) 측에 설치된 상태로 파이프(P) 절단 동작과 연계하여 파이프(P)의 외부면 상에 식별용 선(Q)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6)는 펜(pen) 타입의 표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6)는 도 2에서와 같이 표시용 펜(D)을 구비하고, 이 표시용 펜(D)은 일단 측에 펜심(D1)이 형성되어 펜심(D1)을 통해서 잉크가 배출되는 상태로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표시용 펜(D)은 이동고정구(C)의 고정홀(C3) 측에 끼워진 상태로 펜심(D1) 측이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홀더(2), 가이드부(4), 및 표시부(6)는 도 5에서와 같이 절단장치(M)의 베드(M1) 측에 파이프(P)가 로딩된 상태에서 절단부(M2)의 상,하방향의 절단동작으로 파이프(P)를 절단할 때, 절단부(M2) 측과 함께 움직이면서 파이프(P)의 외부면 상에 절단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띄우고 식별용 선(Q)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6)는 가이드부(4)의 가이드대(B) 측에서 위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파이프(P)의 절단작업시 요구되는 작업 여건(예: 파이프 직경, 표시 위치)과 부합하는 상태로 간편하게 셋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P)의 절단작업과 연계하여 절단면으로부터 다양한 지점에 식별용 선(Q)의 표시가 가능하게 형성되면, 특히 배관 시공시 배관용 연결구(미도시) 측에 파이프(P)의 단부 측이 끼워져서 압착체결 상태로 연결될 때, 파이프(P) 단부 측의 적정 삽입상태(깊이)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배관용 연결구(미도시) 측에 파이프(P)의 단부 측이 비정상적인 삽입 상태로 압착 체결되면서 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시공 불량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6)는 로울러(roller) 타입의 표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6)는 도 6에서와 같이 표시용 로울러(E)와, 가이드부(4)의 이동고정구(C) 측에 고정되며 표시용 로울러(E)를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잡아주는 아암(E1)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용 로울러(E)는 로울러 둘레 측에 표시면(E2)이 형성되고, 이 표시면(E2)은 예를 들어, 잉크를 머금은 상태에서 파이프(P)의 외부면 측과 접촉에 의해 잉크가 표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암(E1)은 이동고정구(C)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 측에는 표시용 로울러(E)가 자유 회전(구름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아암(E1)은 예를 들어, 판스프링과 같이 형태 복원이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표시용 로울러(E)가 파이프(P) 둘레 측에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로울러 타입의 표시부(6) 구조에 의하면, 절단장치(M)의 절단부(M2)로 파이프(P)를 절단할 때, 도 7에서와 같이 표시용 로울러(E)가 파이프(P)의 외부면 측에 접촉되어 둘레를 따라 구름 운동되는 상태로 표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면, 표시용 로울러(E)의 표시면(E2)에 의해 파이프(P) 둘레부의 일정 구간을 따라 식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도록 연장된 상태로 식별용 선(Q)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용 로울러(E)는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아암(E1) 측에 고정되어 파이프(P)의 둘레 측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구름 운동되도록 형성되므로,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P)들 측에 식별용 선(Q)이 안정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표시부(6)는 줄 타입의 표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6)는 도 8에서와 같이 표시용 줄(F)과, 가이드부(4)의 이동고정구(C) 측에 고정되며 표시용 줄(F)을 펼쳐진 상태로 잡아주는 아암(F1)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용 줄(F)은 잉크를 머금을 수 있는 섬유 재질의 실을 사용할 수 있고, 아암(F1)은 이동고정구(C) 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아래쪽을 향하여 두 갈래로 분기된 형태의 연장부(F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용 줄(F)은 양쪽 단부 측이 아암(F1)의 연장부(F2) 측에 고정되어 줄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아암(F1) 측에 셋팅된다.
그리고, 아암(F1)의 연장부(F2)들은 예를 들어, 줄 길이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펼쳐진 상태로 표시용 줄(F)을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줄 타입의 표시부(6) 구조에 의하면, 절단장치(M)의 절단부(M2)로 파이프(P)를 절단할 때, 도 9에서와 같이 표시용 줄(F)이 파이프(P)의 둘레 측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파이프(P)의 둘레부 측에 식별용 선(Q)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2: 홀더 4: 가이드부 6: 표시부
P: 파이프 M: 절단장치 M2: 절단부
D: 표시용 펜 E: 표시용 로울러 F: 표시용 줄
Q: 식별용 선

Claims (9)

  1. 절단되기 위한 파이프가 놓여지는 베드와, 이 베드 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파이프의 절단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단부를 구비한 파이프 절단장치 측에 부착 상태로 사용되는 표시기로서,
    상기 절단부 측에 연결 고정되는 상태로 배치되며, 탄성누름구가 형성된 홀부를 구비한 홀더;
    상기 홀더의 홀부 측에 정,역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탄성누름구 측에 의해 탄력적으로 눌려지기 위한 걸림홈들이 축 둘레부 측에 간격을 띄우고 형성된 축부를 갖는 가이드대와, 이 가이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측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 조작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고정구를 구비한 가이드부; 및
    상기 절단부의 파이프 절단동작과 연계하여 파이프의 외부면 상에 식별용 선을 표시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고정구 측에 배치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고정구의 이동 조작, 및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대의 정,역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 측을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표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절단부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용 펜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용 펜은,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고정구 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용 로울러와,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고정구 측에 고정되며 상기 표시용 로울러를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잡아주는 아암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로울러는,
    로울러 둘레부 측에 잉크를 머금은 상태로 형성되는 표시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용 줄과,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고정구 측에 고정되며 상기 표시용 줄을 줄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잡아주는 아암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줄은,
    잉크를 머금을 수 있는 섬유 재질의 실을 사용하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이동고정구 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아래쪽을 향하여 두 갈래로 분기된 형태의 연장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 연장부 측에 상기 표시용 줄의 양쪽 단부 측이 고정되어 줄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KR2020170002382U 2017-05-15 2017-05-15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KR200489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82U KR200489211Y1 (ko) 2017-05-15 2017-05-15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82U KR200489211Y1 (ko) 2017-05-15 2017-05-15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93U KR20180003293U (ko) 2018-11-23
KR200489211Y1 true KR200489211Y1 (ko) 2019-05-16

Family

ID=6455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82U KR200489211Y1 (ko) 2017-05-15 2017-05-15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09Y1 (ko) 2020-01-21 2021-06-07 조재훈 파이프 절단장치용 라인마킹기
KR200494908Y1 (ko) 2020-08-18 2022-01-20 조재훈 파이프 절단장치용 라인마킹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0941U1 (de) * 2019-02-19 2019-02-25 Wiegel Gebäudetechnik GmbH Markierungsvorrichtung zum Anbringen einer Markierung an der Außenseite eines Rohrleitungsstücks
KR102233410B1 (ko) 2019-07-29 2021-03-30 정일테크(주)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장치 및 이 표시장치를 갖는 파이프 절단장치
CN110560775B (zh) * 2019-08-22 2021-04-16 宁波灏钻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器水管的切割划线一体机
CN110815372B (zh) * 2019-11-19 2021-08-06 河北莫特美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pc中空板成型加工装置及成型加工方法
CN111896365B (zh) * 2020-07-08 2022-01-11 天津大学 一种海底管道试验除锈测量标定一体的试验方法
KR102474742B1 (ko) * 2020-12-22 2022-12-29 반포 주식회사 파이프 절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88217Y (zh) * 2006-11-28 2007-12-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划线装置
CN201109111Y (zh) 2007-12-24 2008-09-03 天津市华之阳特种线缆有限公司 半自动划线装置
CN102101289A (zh) * 2010-12-14 2011-06-22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单人操作墨斗的弹线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491A (ko) * 2012-04-30 2013-11-07 주식회사 조인탑 마킹 기능을 갖는 파이프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88217Y (zh) * 2006-11-28 2007-12-1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划线装置
CN201109111Y (zh) 2007-12-24 2008-09-03 天津市华之阳特种线缆有限公司 半自动划线装置
CN102101289A (zh) * 2010-12-14 2011-06-22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单人操作墨斗的弹线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09Y1 (ko) 2020-01-21 2021-06-07 조재훈 파이프 절단장치용 라인마킹기
KR200494908Y1 (ko) 2020-08-18 2022-01-20 조재훈 파이프 절단장치용 라인마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93U (ko)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11Y1 (ko) 파이프 절단장치용 표시기
CN103153156B (zh) 内窥镜的弯曲操作装置、内窥镜
CN101821067B (zh) 用于手持式电机驱动工具的附接装置及手持式电机驱动工具
KR20120099237A (ko) 하우징형 관 조인트
KR200494979Y1 (ko)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CN102684132A (zh) 多关节型缆线类保护引导装置
KR101484440B1 (ko) 튜브 마커
US5615893A (en) Split face mechanical sealing rings and their use
JP5738717B2 (ja) 防護管挿入機
JP2021520472A (ja) チューブの微細な位置調整が可能な接続チューブを作製するための継手装置
EP0069098B1 (en) Tubular connector
KR101917821B1 (ko) 배관 이음 장치 및 방법
CN105090673A (zh) 对钢管的深孔中部进行截断密封的装置和方法
US3889986A (en) Hose coupling
JP4002580B2 (ja) ドクター角度設定方法および同設定具
JP6873806B2 (ja) フィレットシール成形装置
KR200493809Y1 (ko) 파이프 절단장치용 라인마킹기
JP2017089885A (ja) クランプ装置
JP5491876B2 (ja) ソケット溶接用治具
JP2009115167A (ja) クランプ
JP2006142433A (ja) マーキング治具
KR101516398B1 (ko) 파이프계측용 타겟장치
KR101989513B1 (ko) 링가스켓 부착툴
WO2020026463A1 (ja) シリンダ装置のグリス止め
JP5260039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