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06Y1 -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 Google Patents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06Y1
KR200489106Y1 KR2020170001887U KR20170001887U KR200489106Y1 KR 200489106 Y1 KR200489106 Y1 KR 200489106Y1 KR 2020170001887 U KR2020170001887 U KR 2020170001887U KR 20170001887 U KR20170001887 U KR 20170001887U KR 200489106 Y1 KR200489106 Y1 KR 200489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flow
coupled
illumination unit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056U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랩 filed Critical (주)세이프랩
Priority to KR2020170001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0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light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8Artificial f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된 에기 본체; 에기 본체에 마련되어 잡힌 두족류의 도망을 방지하는 후크부;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조명부; 및 에기 본체에 결합 되어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에기 본체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ARTIFICIAL BAIT HAVING A LIGHTING PART}
본 고안은,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수단인 캐미라이트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캐미라이트에서 손실되는 빛의 양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한 번 잡힌 두족류 등이 쉽게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어낚시는 가짜 미끼인 루어를 사용하는 낚시로, 이 루어낚시에 사용하는 루어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한 예로, 루어의 한 종류인 에기(에기루어)는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낚는데 사용하고, 통상적인 에기의 구조를 보면, 새우나 물고기와 같이 생긴 몸통과, 몸통 아래쪽으로 납봉돌(싱커)이 있고, 머리쪽과 꼬리쪽에는 연결링과 훅이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몸통 양쪽으로 지느러미와 같은 깃털이 구성된다.
일례로, 국내공개특허 제2005-0056854호에는, 낚시질에 이용하는 루어를 구성하면서, 루어 본체와, 루어본체의 머리부 저면에 장착된 추 부재를 구비하고, 추 부재는, 루어 본체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와, 레일부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추와, 추를 레일부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고 있는 루어를 구성하여, 낚시꾼이 추의 긴 쪽 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루어의 침강 자세나 속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루어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에기루어를 이용한 낚시 방법의 한 예를 보면, 루어를 수중에서 낚싯대를 순간적으로 크게 챔질하듯 올려쳐, 에기루어가 뛰어오르게 한 후 다시 가라앉히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 의해서, 대상어(오징어 등의 두족류)가 에기루어를 보고 모여들고, 에기루어가 침강하는 과정에서 입질이 오게 되는데, 실제로, 수심, 수온, 대상어의 활성도 등의 상태에 따라, 에기루어의 침강 속도나 침강 자세 등을 조정하여 변화시킬 필요도 생긴다.
한편 종래의 에기에는 캐미라이트(chemi-light)는 조명 수단이 구비되어 두족류 등을 더 효율적으로 잡을 수 있는 기술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에는 에기에 조명 수단을 장착한 후 사용 중에 조명 수단의 분실이 위험이 있다.
또한 캐미라이트와 같은 조명 수단은 사용 시간이 3-4시간으로 한정 되어 있어 자주 교체해야 하는 데 종래 기술은 캐미라이트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캐미라이트에서 에기 본체로 조사되는 빛의 양이 제한 즉 에기 본체와 반대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이 많아 빛의 손실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된다.
더불어 한 번 에기 본체에 걸린 두족류 등이 쉽게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개선책도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0314호(주식회사 하이테나코리아) 2014. 07. 10.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명 수단인 캐미라이트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캐미라이트에서 손실되는 빛의 양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한 번 잡힌 두족류 등이 쉽게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된 에기 본체; 상기 에기 본체에 마련되어 잡힌 두족류의 도망을 방지하는 후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조명부; 및 상기 에기 본체에 결합 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에기 본체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왕눈이 에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결합 된 상기 조명부를 덮도록 상기 에기 본체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는 복수의 플랩이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는 상기 조명부와 상기 반사 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 되고, 상기 복수의 플랩은 상기 반사 부재를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조명부와 상기 반사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랩은 벤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에기 본체의 머리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후크; 상기 에기 본체의 머리부와 꼬리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후크; 및 상기 꼬리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3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체에 결합 되어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에기 본체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에 의해 조명부에서 손실되는 빛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에 의해 한 번 잡힌 두족류 등이 쉽게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부가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므로 조명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홈에 조명부가 결합 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홈에 조명부가 결합 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1)는, 에기 본체(10)와, 에기 본체(10)에 마련되어 잡힌 두족류의 도망을 방지하는 후크부(20)와, 에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조명부(30)와, 에기 본체(10)에 결합 되어 조명부(30)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에기 본체(10)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40)를 구비한다.
에기 본체(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물고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기 본체(10)의 바닥부에는 조명부(30)가 끼워 맞춤 결합 되는 복수의 결합홈(11)이 마련되고, 복수의 결합홈(11)에는 조명부(30)와 반사 부재(4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플랩(12)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플랩(12)은 유연성 있는 연질의 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조명부(30)와 반사 부재(40)를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에기 본체(10)의 머리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 연결고리(13)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무게추를 편리하게 걸 수 있다.
후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기 본체(10)에 마련되어 한 번 잡힌 두족류 등은 후크부(20)에 걸려 쉽게 도망갈 수 없다.
본 실시 예에서 후크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기 본체(10)의 머리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후크(21)와, 에기 본체(10)의 머리부와 꼬리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후크(22)와, 꼬리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3 후크(23)를 포함한다.
조명부(30)는, 에기 본체(10)에 마련된 결합홈(11)에 끼워 맞춤 결합 되며, 복수의 조명부(30)에서 조사되는 빛은 반사 부재(40)에 의해 에기 본체(10)의 내부로 반사되어 투명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에기 본체(10)는 빛의 손실을 최소로 하면서 밝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조명부(30)는 캐미라이트(chemi-light)를 포함한다.
반사 부재(40)는, 결합홈(11)에 결합된 조명부(30)의 저면부에 배치되도록 결합홈(11)에 결합되며, 복수의 플랩(1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반사 부재(40)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은박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반사 부재(40)는 결합홈(11)에 조명부(30)가 결합 되는 경우 에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의 조명부(30)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조명부(30)가 단면상 원형 형상을 갖는 경우 반사 부재(40)는 결합홈(11)에 수용된 조명부(30)를 반원 형태로 덮되 에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조명부(30)에 결합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본체에 결합 되어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에기 본체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에 의해 조명부에서 손실되는 빛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에 의해 한 번 잡힌 두족류 등이 쉽게 도망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부가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므로 조명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10 : 에기 본체
20 : 후쿠부
30 : 조명부
40 : 반사 부재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된 에기 본체;
    상기 에기 본체에 마련되어 잡힌 두족류의 도망을 방지하는 후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조명부; 및
    상기 에기 본체에 결합 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에기 본체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결합 된 상기 조명부를 덮도록 상기 에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는 복수의 플랩이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는 상기 조명부와 상기 반사 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 결합 되고, 상기 복수의 플랩은 상기 반사 부재를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조명부와 상기 반사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복수의 플랩은 벤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에기 본체의 머리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후크, 상기 에기 본체의 머리부와 꼬리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후크 및 상기 꼬리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3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에기 본체는 투명하고 내부가 비어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눈이 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1887U 2017-04-14 2017-04-14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KR200489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87U KR200489106Y1 (ko) 2017-04-14 2017-04-14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87U KR200489106Y1 (ko) 2017-04-14 2017-04-14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56U KR20180003056U (ko) 2018-10-24
KR200489106Y1 true KR200489106Y1 (ko) 2019-05-03

Family

ID=6404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887U KR200489106Y1 (ko) 2017-04-14 2017-04-14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471B1 (ko) 2020-07-15 2021-08-20 주식회사 나크 에기
KR20220077295A (ko) 2020-12-01 2022-06-09 이기영 낚시용 led 에기 축광장치
KR20230000619A (ko) 2021-06-25 2023-01-03 박공희 두족류 감지 진동 에기 장치
KR20230018922A (ko) 2021-07-30 2023-02-07 박공희 태엽형 두족류 감지 에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22B1 (ko) 2019-12-17 2021-11-12 김기태 오징어낚시용 축광루어
KR200496621Y1 (ko) 2020-04-21 2023-03-16 김기태 오징어낚시용 루어
KR20230056933A (ko) 2021-10-21 2023-04-28 김기태 오징어 낚시용 광변색 루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변색 루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3890A (ja) 2004-05-27 2005-12-08 Shimano Inc ルア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1839A (en) * 1984-05-04 1986-04-15 Mattison Robert N Illuminated fishing lure
JP3474751B2 (ja) * 1998-01-16 2003-1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発光ルアー
KR101420314B1 (ko) 2013-12-20 2014-07-18 주식회사 하이테나코리아 밑 걸림 방지용 외부 싱커를 구비한 에기
KR20170001071U (ko) * 2015-09-14 2017-03-22 강영두 발광체 모듈을 구비한 낚시용 루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3890A (ja) 2004-05-27 2005-12-08 Shimano Inc ルア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471B1 (ko) 2020-07-15 2021-08-20 주식회사 나크 에기
KR20220077295A (ko) 2020-12-01 2022-06-09 이기영 낚시용 led 에기 축광장치
KR20230000619A (ko) 2021-06-25 2023-01-03 박공희 두족류 감지 진동 에기 장치
KR20230018922A (ko) 2021-07-30 2023-02-07 박공희 태엽형 두족류 감지 에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56U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06Y1 (ko) 조명부가 구비된 왕눈이 에기
US8898951B2 (en) Double fishing lure
US20110035986A1 (en) Jig fishing lure
KR101875827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437549A (en) Artificial bait
US20190045764A1 (en) Fishing lure having a curved plate
US5063704A (en) Fishing fly with sliding treble hook
US7059080B2 (en) Fishing lure system
JP4753350B2 (ja) 魚型ルアー
US3040466A (en) Fish hook weed guard
US20110035987A1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US2843966A (en) Depth regulator for fish lure
US6237276B1 (en) Levitating bait weedless fishing lure
US5934007A (en) Fishing lure system
US2507454A (en) Fishing lure
KR200488213Y1 (ko) 조명부가 구비된 루어
US9339019B2 (en) Fishing lure device
KR200166747Y1 (ko) 플러그루어
KR102261100B1 (ko) 낚시용 루어
US2680321A (en) Double hook fish lure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JP2015019600A (ja) 釣り用ルアー
US2604718A (en) Artificial bait
GB2269517A (en) Fish lure.
CN212260212U (zh) 一种夜间发光引诱假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