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41Y1 - 무대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무대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41Y1
KR200488941Y1 KR2020180001285U KR20180001285U KR200488941Y1 KR 200488941 Y1 KR200488941 Y1 KR 200488941Y1 KR 2020180001285 U KR2020180001285 U KR 2020180001285U KR 20180001285 U KR20180001285 U KR 20180001285U KR 200488941 Y1 KR200488941 Y1 KR 200488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intermediate frame
main plate
base
sci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940U (ko
Inventor
이용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8613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8894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2020180001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4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리프트에 의해 승강 가능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리프트부, 상기 베이스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사이에 중간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부는 메인 플레이트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리프트부와 베이스부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리프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리프트부는 시저힌지에 의해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시저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제1 및 제2 시저들 사이에 제3 시저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는 4개의 시저와 2개의 체인으로 구성되고, 중간 프레임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를 추가로 지지하고, 중간 프레임에 의해서 메인플레이트를 승강시킴으로써, 사용되는 체인의 양을 줄여 리프트 장치를 소형화하여 설치, 이동, 및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면서도, 스테이지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이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최소화하여, 공연자가 보다 안정감 있게 공연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용 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대용 리프트{LIFT FOR STAGE}
본 고안은 무대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연장에서 무대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승하강 속도 및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무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오페라, 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을 공연하는 공연장의 무대는 보다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무대를 만들기 위하여 스테이지 하단에 무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를 설치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하기도 한다. 이러한 승강하는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조명장치, 음향장치, 레이저 연출기 등을 승강시키기도 하고, 공연자가 움직이는 스테이지 상에서 공연을 펼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리프트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판을 승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리프트 또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상판을 승강시키는 체인 리프트가 있지만, 대부분의 공연장에서는 유압 리프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국내특허 제1099026호는 크게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위치하고 무대 설치물이 안착 고정되며 상하 이송되는 테이블과, 테이블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로 이루어지며, 승강부재는 다시 절첩링크와 절첩링크 하단에 위치하여 절첩링크를 펼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리프트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연장에서 유압 리프트를 설치하여 스테이지를 승강시키면서 공연할 경우에는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필요하게 되었으므로 전체적인 설비측면에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여러 대의 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동기화하는 것도 곤란하여 많은 제약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리프트는 스테이지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 부재에 의해서 무대가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무대의 상승 또는 하강 높이가 길수록 접철링크를 승강시키기 위한 체인이나 랙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체인 또는 랙의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리프트 자체가 대형화되어, 제조비용도 상승하고, 설치와 이동이 불편하며, 유지보수 시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중간 프레임을 이용하여 최고 높이까지 올리지 않고 중간 프레임까지만 올려 메인 프레임높이까지 올린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여, 보다 적은 양의 체인으로 충분히 높이 무대를 올릴 수 있는 무대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테이지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스테이지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이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무대 위 공연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이지의 승강 작동을 전동모터에 의해 정밀 조작함으로써, 무대의 높낮이 및 승강 속도를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관객에게 공연무대의 생동감을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나의 양상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리프트에 의해 승강 가능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리프트부, 상기 베이스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승시키는 중간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부는 메인 플레이트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리프트부와 베이스부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리프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리프트부는 시저힌지에 의해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시저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제1 및 제2 시저들 사이에 제3 시저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키고, 상기 중간 프레임에 의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 사이에도 제1 및 제2 시저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제1 및 제2 시저들 사이에 제3 및 제4 시저가 상기 중간 프레임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베이스부 상에 설치된 전동모터; 상기 전도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어, 상기 리프트부가 전개되어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본 고안의 리프트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 사이의 제1 시저 및 제2 시저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시저는 한단 건너 교대로 제1 및 제2 시저의 암 힌지 아래의 하부 암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리프트가 접힌 상태에서 중간 프레임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지지 스크류를 상기 베이스부에 2개 이상의 모서리에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프트는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점을 온, 오프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작동레버, 상기 체인에 고정되어 체인의 이동으로 중간 프레임이 특정 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각 리미트 스위치 작동레버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는 4개의 시저와 2개의 체인으로 구성되고, 중간 프레임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를 추가로 지지해줌으로써, 사용되는 체인의 양을 줄여 리프트 장치를 소형화하여 설치, 이동, 및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면서도, 스테이지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승강 이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최소화하여, 공연자가 보다 안정감 있게 공연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용 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리프트는 전동서브모터에 의해 무대의 승강 작동을 동기화시켜 정밀하게 조작함으로써, 무대의 높낮이 및 승강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어, 관객에게 보다 생동감 있고 화려한 공연을 제공하여 공연 무대의 연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를 다른 방향에서 본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구동부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하단의 이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를 다른 방향에서 본 개략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개략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구동부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무대용 리프트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리프트에 의해 승강 가능한 메인 플레이트(110),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리프트부, 상기 베이스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를 구동하는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구동부(140)의 모터가 설치되고, 반대쪽 전방에는 콘트롤 박스(150)가 설치된다. 콘트롤박스(150)는 리프트부(130) 및 구동부(140)의 체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고안의 리프트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 사이에 중간 프레임(120)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부는 메인 플레이트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리프트부(121, 122)와 베이스부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리프트부(131, 132, 133, 134)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140)에 의해 중간 프레임(12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리프트부와 제2 리프트부는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시저힌지를 중심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중간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 제1 리프트부와 제2 리프트부들은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구동부에 의해 중간프레임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기 되면 실제 무대는 메인 플레이트의 높이까지 올라가는 효과가 있어, 사용되는 체인의 양을 절감하여, 리프트의 무게 및 사이즈를 그 만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리프트부는 시저힌지에 의해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시저(121)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제1 및 제2 시저들(121) 사이에 제3 시저(122)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3 시저는 제1 및 제2 시저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시저는 X자 형태로 교차되는 한 쌍의 암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X자 형태는 아니더라도 교차점이 한 쪽에 치우쳐 형성되는 비대칭적인 형상이나 y자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메인플레이트의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은 메인플레이트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각각 긴축 및 짧은 축 방향을 의미하고, 메인플레이트가 정사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각각 가로 및 세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제1 및 제2 시저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면 부호를 한 쪽만 표시하였다.
제2 리프트부(131, 132, 133, 134)는 4개의 시저-타입 링크 부재(131, 132, 133, 134)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중간 프레임(120) 사이에는 각각 시저힌지에 의해 교차되는 한 쌍의 암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시저(131, 132)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제1 및 제2 시저들 사이에 각각 X자 형태로 교차되는 한 쌍의 암으로 구성되는 제3 및 제4 시저(133, 134)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3 시저(134) 및 제4 시저(134)는 교차되는 한 쌍의 암으로 구성되기는 하지만 교차 부분에 힌지가 없어 접히는 구조가 아니고, 제1 및 제2 시저(131, 132)를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 시저(133) 및 제4 시저(134)도 정확한 X자 형태 이외에 교차점이 정중앙이 아닌 한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리프트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의 시저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시저(133) 및 제4 시저(134)는 제1 시저와 제2 시저를 연결하는 축과 제1 및 제2 시저의 시저암의 하단 암 사이에 대각선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제3 및 제4 시저(133, 134)는 각 단의 제1 및 제2 시저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한 단 건너 교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단에는 제3 시저만 형성되고, 제2 단에는 제4 시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단마다에 제3 및 제4 시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리프트에서 베이스부(100)와 중간 프레임 사이의 높이(H2)는 중간 프레임(120)에서 메인 플레이트(110)까지의 높이(H1)의 2배 내지 4배 정도의 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리프트의 승강 속도 제어 또는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3 및 제4 시저(133, 134)는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플레이트 및 리프트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리프트의 4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리프트부는 무대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승강 작동시 및 이동시에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무대 공연이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의 리프트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중간 프레임(120) 사이에 리프트부의 일단을 힌지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중간 프레임에 유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킴에 따라 리프트부의 일단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체인(10)이 형성된다. 체인(10)은 구동부(140)의 기어(143)를 통해 모터(141)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리프트부가 접힌 상태에서 감겨진 체인(10)은 베이스 프레임내의 체인박스(144)에 내장된다.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리프트부가 접힌 상태에서 중간 프레임(120)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지지 스크류(160)를 상기 베이스부상에 2개 이상의 모서리에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체인을 동시에 구동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2 개의 모터가 각각 작동하여 각각 하나의 체인을 감거나 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쪽 모터가 작동하지 않거나 힘이 약하더라도 양쪽 모두의 기어에 힘이 전달되므로 전체적으로 작동이 멈추거나, 좌우 불균일하게 힘이 작용하여 체인이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좌우 균일하게 힘이 작용하면 중간 프레임의 승강을 흔들림 없이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연 또는 강연 등을 위한 무대가 설치되는 스테이지는 메인 플레이트(110) 위에 별도로 형성되거나, 메인 플레이트 자체가 스테이지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는 무대장치와 공연자가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강화유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120)은 판상의 구조로 형성할 수는 있으나, 제1 시저 및 제2 시저를 고정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구동부(140)는 베이스부(100)로부터 중간 프레임(12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전동모터(141), 상기 전도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어(142) 및 전동모터(141)의 동력을 리프트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3)를 포함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중앙에는 전동모터(141)가 구비되고, 전동모터(141)의 동력은 동력전달부(143)에
의해 전달되어 리프트부의 제1 및 제2 시저(131, 132)를 기립시킴으로써, 중간 프레임(120)을 상승시키고, 반대로 전동모터(141)가 역회전하여 중간 프레임(12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전동모터(141)로는 변속기(transmission)를 가지는 전기 모터 또는 변속기를 가지지 않는 전기적 전력(electrically-powered) 모터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사용되는 변속기는 기어, 풀리 또는 줄의 장력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것과 같은 기계적 장치이다. 또한, 상기 풀리는 드럼(drum), 윈치(winch), 또는 상기 구동부(140)에 의한 회전에 의해 체인(1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수직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적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동모터(141)의 출력축에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미도시)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프라켓에는 상기 중간 프레임(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부를 따라 이동하는 체인(10)이 맞물려 있다. 상기 체인(10)은 베이스부(100)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간 프레임(120)을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리프트의 상기 베이스부(100)와 체인(10)에는 중간 프레임(120)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141)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모터(141)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점을 온, 오프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작동레버, 상기 체인에 고정되어 체인의 이동으로 메인 플레이트(110)가 특정 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각 리미트 스위치 작동레버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모터(141)에는 메인 플레이트(110)가 상승된 상태에서 갑작스런 전원의 오프로 메인 플레이트(110)의 급하강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공지의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150)는 무대장치 및 리프트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리프트는 공연 중에 구동부의 전동모터를 작동시켜 무대를 승강 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면에는 리프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일례로 바퀴(17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170)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베이스 프레임 내부로 밀어 넣거나, 접어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 (170)의 내부에는 무대 장치 위에 사람 및 사물의 무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서스펜션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리프트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연장의 무대는 대공연장일 경우, 관람객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다양한 무대 연출을 위해 구동부(140)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박스(150)의 제어 하에 전동모터(141)가 작동되면, 베이스부(10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재를 회전시키고, 각각의 동력전달부재(기어)의 회전은 체인(10)에 의해 리프트부(130)를 수직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기립시킨다. 구체적으로, 전동모터(141)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그 회전수가 감속기(142)에 의해 감속되어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스프라켓에 맞물린 체인(10)의 위치가 가변된다. 이와 같이 스프라켓에 맞물린 체인(10)의 위치가 가변되면 중간 프레임(120)이 승강하게 된다.
여러 대의 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각 리프트 간의 동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공연자가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도 발생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리프트는 여러 대의 리프트를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전동모터에 의해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정확하게 동기화하여 오차 없이 정확하게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메인 플레이트
120; 중간 프레임 130: 리프트부
140: 구동부 150: 콘트롤박스
160: 중간 프레임지지 스크류
170: 이동수단

Claims (8)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 가능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리프트부, 상기 베이스부내에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무대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메인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승시키는 중간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부는 메인 플레이트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리프트부와 베이스부와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리프트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리프트부는 시저힌지에 의해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시저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제1 및 제2 시저들 사이에 제3 시저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 사이에, 리프트부의 일단을 힌지 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중간 프레임에 유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체인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 내에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와 제1 및 제2 리프트부가 접힌 상태에서 감겨진 체인이 수납되는 체인박스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2개 이상의 모서리에는 상기 리프트부가 접힌 상태에서 중간 프레임을 지지하는 중간 프레임 지지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고, 구동부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에 의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키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중간 프레임에 의해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 사이에 제1 및 제2 시저가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제1 및 제2 시저들 사이에 제3 시저 및 제4 시저가 상기 중간 프레임의 단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베이스부 상에 설치된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어, 및 상기 리프트부가 전개되어 중간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 사이의 제1 시저 및 제2 시저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시저는 한단 건너 교대로 제1 및 제2 시저의 암 힌지 아래의 하부 암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시저는 제1 및 제2 시저를 연결하는 축과 상기 제1 및 제2 시저의 하부 암들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는 상기 무대용 리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리프트.

KR2020180001285U 2018-03-23 2018-03-23 무대용 리프트 KR200488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85U KR200488941Y1 (ko) 2018-03-23 2018-03-23 무대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85U KR200488941Y1 (ko) 2018-03-23 2018-03-23 무대용 리프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216 Division 201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40U KR20180002940U (ko) 2018-10-12
KR200488941Y1 true KR200488941Y1 (ko) 2019-07-11

Family

ID=6386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85U KR200488941Y1 (ko) 2018-03-23 2018-03-23 무대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670B1 (ko) * 2019-09-06 2020-02-07 최재구 수직 리프팅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35B1 (ko) * 2019-04-26 2020-08-24 이종묵 치합식 직립체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CN110434514A (zh) * 2019-08-02 2019-11-12 南京斯杩克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可全方位调节的焊接机器人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965A (ja) * 2005-03-25 2006-10-05 Daifuku Co Ltd リフタ装置
JP2009269751A (ja) * 2008-05-12 2009-11-19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KR101426703B1 (ko) * 2014-03-31 2014-08-07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대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891Y2 (ko) * 1985-06-10 1992-06-12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965A (ja) * 2005-03-25 2006-10-05 Daifuku Co Ltd リフタ装置
JP2009269751A (ja) * 2008-05-12 2009-11-19 Tsubakimoto Chain Co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KR101426703B1 (ko) * 2014-03-31 2014-08-07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670B1 (ko) * 2019-09-06 2020-02-07 최재구 수직 리프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40U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941Y1 (ko) 무대용 리프트
KR101123480B1 (ko) 하물 상승 장치
US3785462A (en) Scissor lift and drive mechanism therefor
CN207726650U (zh) 一种可移动升降式作业平台
KR101392702B1 (ko) 공연장 무대장치
CN1526634A (zh) 剪刀式起重设备
CN10859723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便于收纳的稳定型移动式信号灯
CN109319687A (zh) 一种升降机构
KR20090040201A (ko) 음향 반사판을 겸한 이동형 조명브리지
CN100494041C (zh) 牵拉驱动剪叉伸缩升降机构
KR100745157B1 (ko)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JP3018710U (ja) リフト付台車
US20050045428A1 (en) Elevator with a scissor lift assembly and a central drive mechanism
JP7019382B2 (ja) 昇降装置
KR100530267B1 (ko) 원판그래스의 마크로 검사장치
KR200330649Y1 (ko) 조명차
EP1512654A1 (en) Elevator with a scissor lift assembly and a central drive mechanism
JPH04250272A (ja) 床構造
KR200364298Y1 (ko) 모니터 승강장치
KR20080005573U (ko) 테이블용 모니터 승강장치
KR200219047Y1 (ko) 무대소품 승강장치
CN2399601Y (zh) 升降式灯架装置
KR20120109904A (ko) 리프터
CN218248510U (zh) 一种用于舞台对开幕的联动式升降系统
JP2024055503A (ja) 集中制御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048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131

Effective date: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