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14Y1 -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 Google Patents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14Y1
KR200488914Y1 KR2020170005560U KR20170005560U KR200488914Y1 KR 200488914 Y1 KR200488914 Y1 KR 200488914Y1 KR 2020170005560 U KR2020170005560 U KR 2020170005560U KR 20170005560 U KR20170005560 U KR 20170005560U KR 200488914 Y1 KR200488914 Y1 KR 200488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member
housing
coupling
hand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호
Original Assignee
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호 filed Critical 남정호
Priority to KR2020170005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2 고정부재를 체결공에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체결력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잠김부재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결합한 후 제2 고정부재로 고정시키므로 제2 고정부재의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좌수형 또는 우수형의 샤시문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Door lock structure of sash}
본 고안은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고정부재를 체결공에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체결력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잠김부재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결합한 후 제2 고정부재로 고정시키므로 제2 고정부재의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좌수형 또는 우수형의 샤시문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베란다의 샤시문은 대부분 벽체에 고정되는 문틀과 그 문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샤시문이 사용된다.
상기 샤시문을 문틀에서 괘,해정하기 위한 장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0597호에 창문용 잠금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창문이나 베란다 샤시 또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간편하게 개폐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잠금장치를 일체로 설치하여 안정되고 견고한 잠금작용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왼쪽에서 오른쪽방향으로 열리는 좌수형 창문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열리는 우수형 창문에는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우수형의 잠금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0597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2 고정부재를 체결공에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체결력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를 결합한 후 제2 고정부재로 고정시키므로 문틀의 레일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좌,우수형의 샤시문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능률을 극대화시키는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좌수형 또는 우수형 창문에 적용되는 도어록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잠김부재를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결합하더라도 지지턱이 회전부재에 지지되면서 수용홈과 수용면이 일치되게 하여 제2 고정부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는,
샤시문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설치공이 관통되고 양측으로는 안내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관통된 설치공으로 결합되도록 축이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손잡이와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손잡이의 축에 체결되어 회전부재를 손잡이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샤시문의 좌수형 또는 우수형에 따라 제2 고정부재를 분리시키지 않고 체결력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잠김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의 일방향에 형성되어 제2 고정부재의 헤드가 수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면; 및
상기 회전부재에 관통된 체결공에 체결되면서 잠김부재와 회전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중앙부에 관통되는 통공;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체결공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되어 잠김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잠김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결합되는 결합편;
상기 결합편의 일측으로 절곡형성되어 걸림안내부재에 걸림설정되는 걸림편;
상기 결합편에 형성되어 제2 고정부재의 헤드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홈은 결합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편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수용홈이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용면과 일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턱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잠김부재의 수용홈과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용면에 헤드가 동시에 밀착되면서 잠김부재를 회전부재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일정각도 이격되게 요입되어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유동방지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회전부재의 회전 제어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에 의하면, 제2 고정부재를 체결공에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 체결력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를 결합한 후 제2 고정부재로 고정시키므로 문틀의 레일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좌,우수형의 샤시문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능률을 극대화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에 의하면, 좌수형 또는 우수형 창문에 적용되는 도어록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에 의하면, 잠김부재를 하우징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결합하더라도 지지턱이 회전부재에 지지되면서 수용홈과 수용면이 일치되게 하여 제2 고정부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내지 도 5은 좌수형 도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잠김부재가 설치된 본 고안을 좌수형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도 6 내지 도 9는 우수형 도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잠김부재가 설치된 본 고안을 우수형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샤시문에 설치되는 하우징(110)에는 설치공(111)이 중앙에 관통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잠김부재(150)가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면서 회전부재(130)를 중심으로 잠김부재(1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공간(11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110)의 설치공(111)으로 손잡이(120)를 결합하여 축(121)을 하우징(110) 내측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손잡이(120)의 축(121)에 회전부재(130)를 결합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 판체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손잡이(120)가 결합되도록 통공(131)이 관통된다.
상기 통공(131)의 양측에는 제1 고정부재(140)가 각각 체결되도록 체결공(13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32)의 상부에는 잠김부재(150)의 결합편(151)이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결합공간이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부재(130)가 손잡이(120)의 축(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통공(131)을 통해 축(121) 내부의 고정공(미도시)으로 제1 고정부재(140)를 체결하여 손잡이(120)에 회전부재(13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130)는 손잡이(120)의 회전시 하우징(110)의 설치공(1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외주면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80)(180a)(180b)이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된 유동방지돌기(181)에 결합되면서 회전부재(130)의 회전 제어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30)의 결합공간(133)으로 잠김부재(150)의 결합편(151)을 결합시키되, 하우징(110) 좌측의 안내공간(112)으로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좌수형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잠김부재(150)는 결합공간(133)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잠금부재(150)가 회전부재(130)에 결합되면 잠금부재(150)의 표면과 회전부재(130)의 표면이 동일선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공간(133)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잠김부재(150)의 결합편(151)을 결합하게 되면, 잠김부재(150)의 지지턱(154)이 회전부재(130)의 단부에 접촉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잠김부재(150)에 형성된 수용홈(153)이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수용면(160)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게 되어 제2 고정부재(170)의 헤드(171)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체결공(132)으로 제2 고정부재(170)를 체결한다.
상기 제2 고정부재(170)가 체결공(132)에 체결되면, 제2 고정부재(170)에 형성된 헤드(171)가 수용면(1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잠김부재(150)에 형성된 수용홈(153)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2 고정부재(170)의 헤드(171)는 잠김부재(150)의 수용홈(153)에 걸려 상기 잠김부재(150)가 회전부재(130)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120)를 90°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80a)이 유동방지돌기(181)에 걸려 회전부재(130)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어록(10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도어록(100)을 왼쪽에서 오른쪽방향으로 열리는 좌수형 창문에 설치하고,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걸리는 걸림안내부재(150')를 문틀(20)에 설치한 후, 손잡이(120)의 시계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130)가 회전함과 동시에 유동방지홈(180a)이 유동방지돌기(181)에서 이탈하고,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하우징(110)의 안내공간(112)으로 돌출되어 걸림안내부재(150')에 걸림과 동시에 유동방지홈(180)이 유동방지돌기(181)에 걸리면서 문틀(20)과 샤시(10)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2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하우징(110) 내부로 몰입되어 문틀(20)과 샤시(10)의 잠금을 해제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록(100)을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열리는 우수형 창문에 설치하려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를 90°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하우징(110) 외부에 돌출되도록 하는데, 이때, 결합편(151)은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로 제2 고정부재(17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제2 고정부재(170)가 체결공(132)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체결공(132)과의 체결력을 느슨하게 하면 제2 고정부재(170)의 헤드(171)가 잠김부재(150)의 수용홈(153)과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수용면(160)에서 이탈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잠김부재(150)를 잡아당겨 결합편(151)이 회전부재(130)의 결합공간(13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제2 고정부재(170)의 헤드(171)는 잠김부재(150)의 상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상기 결합공간(133)에서 잠김부재(150)가 분리되면, 상기 잠김부재(150)가 결합공간(133)에서 분리되는 반대방향으로 잠김부재(150)를 이동시켜 잠김부재(150)의 결합편(151)이 결합공간(133)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공간(133)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잠김부재(150)의 결합편(151)을 결합공간(133)에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17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체결공(132)에 체결하게 되면, 제2 고정부재(170)의 헤드(171)가 수용면(160)에 밀착됨과 동시에 잠김부재(150)에 형성된 수용홈(153)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부재(170)의 헤드(171)는 회전부재(130)와 잠김부재(150)의 상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2 고정부재(170)의 헤드(171)는 잠김부재(150)의 수용홈(153)에 걸려 상기 잠김부재(150)가 회전부재(1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 아니라 손잡이(120)를 90°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1)이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80a)이 유동방지돌기(181)에 걸려 회전부재(1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우수형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도어록(100)을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열리는 우수형 창문에 설치하고,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걸리는 걸림안내부재(150')를 문틀(20)에 설치한 후, 손잡이(12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130)가 회전함과 동시에 유동방지홈(180b)이 유동방지돌기(181)에서 이탈하고,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하우징(110)의 안내공간(112)으로 돌출되어 걸림안내부재(150')에 걸림과 동시에 유동방지홈(180)이 유동방지돌기(181)에서 걸리면서 문틀(20)과 샤시(10)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20)의 시계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잠김부재(150)의 잠김편(152)이 하우징(110) 내부로 몰입되어 문틀(20)과 샤시(10)의 잠금을 해제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120)의 회전에 따른 회전부재(130)는 회전부재(130)의 외주면에 요입된 유동방지홈(180)(180b)이 유동방지돌기(181)에 걸리면서 회전부재(130)의 회전 제어 및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돌기(18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미도시)의 탄력으로 출몰되면서 회전부재(13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80)(180b)(180a)에 착탈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도어록 110: 하우징
111: 설치공 112: 안내공간
120: 손잡이 121: 축
130: 회전부재 131: 통공
132: 체결공 133: 결합공간
140: 제1 고정부재 150: 잠김부재
151: 결합편 152: 잠김편
153: 수용홈 154: 지지턱
160: 수용면 170: 제2 고정부재
171: 헤드 180: 유동방지홈

Claims (7)

  1. 샤시문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설치공이 관통되고 양측으로는 안내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관통된 설치공으로 결합되도록 축이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중앙부에 관통되는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통되어 잠김부재의 결합편이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손잡이와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손잡이의 축에 체결되어 회전부재를 손잡이에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결합되는 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편의 일측으로 절곡형성되어 걸림안내부재에 걸림설정되는 잠김편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2 고정부재의 헤드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편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이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용면과 일치하도록 회전부재의 단부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지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샤시문의 좌수형 또는 우수형에 따라 제2 고정부재를 분리시키지 않고 체결력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회전부재의 결합공간에 좌측에서 우측방향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잠김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의 일방향에 형성되어 제2 고정부재의 헤드가 수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면; 및
    상기 회전부재에 관통된 체결공에 체결되며 잠김부재의 수용홈과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용면에 헤드가 동시에 밀착되면서 잠김부재와 회전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일정각도 이격되게 요입되어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유동방지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회전부재의 회전 제어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KR2020170005560U 2017-10-30 2017-10-30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KR200488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60U KR200488914Y1 (ko) 2017-10-30 2017-10-30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560U KR200488914Y1 (ko) 2017-10-30 2017-10-30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14Y1 true KR200488914Y1 (ko) 2019-04-04

Family

ID=6610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560U KR200488914Y1 (ko) 2017-10-30 2017-10-30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1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97Y1 (ko) 2000-08-23 2001-01-15 합자회사 모든창호산업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82712Y1 (ko) * 2005-01-31 2005-04-22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도어록의 래치 결합구조
KR101701439B1 (ko) * 2016-01-04 2017-02-03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창호 시스템의 도어록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97Y1 (ko) 2000-08-23 2001-01-15 합자회사 모든창호산업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82712Y1 (ko) * 2005-01-31 2005-04-22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도어록의 래치 결합구조
KR101701439B1 (ko) * 2016-01-04 2017-02-03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창호 시스템의 도어록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245B2 (en) Door lock
US20110167883A1 (en) Side hung type door or window handle lock
KR20100043426A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0488914Y1 (ko) 샤시문의 도어록 구조
US20170306654A1 (en) Mortise device
KR200491312Y1 (ko)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KR101701439B1 (ko) 창호 시스템의 도어록 설치구조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CN210164360U (zh) 门锁紧机构及箱体
KR20180040772A (ko) 잠금부가 구비된 크리센트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200477204Y1 (ko) 창문용 록 장치
KR200210597Y1 (ko) 창문용 잠금장치
KR100886036B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200452139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0634876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CN220184836U (zh) 拉手式门锁
KR102560909B1 (ko) 시스템 창호용 핸들 조립체
KR2014000048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82679Y1 (ko) 조립용 지그를 갖춘 창호용 핸들장치
KR20180034018A (ko) 도어록의 설정된 잠금 유지장치
KR200415837Y1 (ko) 창문용 크리센트
JP2009062750A (ja) 扉用ピボットヒンジ及びこれを備えた扉
KR101521380B1 (ko) 자동 유리도어용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