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44Y1 - 지압 물병 - Google Patents

지압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44Y1
KR200488744Y1 KR2020170001991U KR20170001991U KR200488744Y1 KR 200488744 Y1 KR200488744 Y1 KR 200488744Y1 KR 2020170001991 U KR2020170001991 U KR 2020170001991U KR 20170001991 U KR20170001991 U KR 20170001991U KR 200488744 Y1 KR200488744 Y1 KR 200488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cover
main body
fixing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098U (ko
Inventor
이정모
Original Assignee
이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모 filed Critical 이정모
Priority to KR2020170001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4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85Rigid shells for receiving the bottle or part of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돌기가 끼움 삽입된 커버를 외부면에 밴딩하도록 구현한 지압 물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을 담기 위한 본체부(10); 본체부(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0)를 덮기 위한 뚜껑부(20); 복수 개의 홀(31)을 구비하며,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밴딩하여, 본체부(10)를 감싸기 위한 커버부(30); 및 홀(31) 각각에 끼움 형성되며, 지압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돌기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압 물병{Chiropractic water bottle}
본 고안은 지압 물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기가 끼움 삽입된 커버를 외부면에 밴딩하도록 구현한 지압 물병에 관한 것이다.
물병은 물이나 음료수 등과 같은 음용수를 담아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물병은 유리, 합성수지, 플라스틱, 점토, 친환경 소재, 천연 소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하여 사용 용도에 맞도록 각양각색의 크기와 형상 모양을 갖도록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병은 보통 사람이 손으로 잡아 사용 가능하며, 이 때 손의 혈액 순환이 촉진될 수 있도록 지압돌기를 갖춘 물병이 제작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2751호(2004.09.13. 등록)는 컵을 사용 도중에 손바닥을 눌러주는 지압에 의해 혈액순환의 촉진 및 피로를 풀어줄 수 있도록 한 지압기능을 갖춘 컵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음용수를 담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컵을 형성함에 있어, 컵의 외주연에 일체로 하여 손바닥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지압돌기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컵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있는 지압 돌기가 손바닥을 자극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줌은 물론, 이로 인해 피로를 풀어줄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709호(2013.03.06. 공개)는 비싼 지압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음료수를 마신 후 빈 페트병에 물을 넣어 쉽게 지압 기능을 할 수 있게 제작한 지압 페트병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페트병 본체의 중간 부분에 약간의 파지면을 형성하게 하고 파지면에 물방울 같이 지압돌기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압 물병은, 본체에 일체로 지압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종래의 물병보다 제작이 까다롭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압 물병은, 지압돌기의 탈부착이 불가능하여, 지압을 원하지 않는 사람(예를 들어, 어린이 등)이 사용 시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2751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709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돌기가 끼움 삽입된 커버를 외부면에 밴딩하도록 구현한 지압 물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물을 담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덮기 위한 뚜껑부;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밴딩하여, 상기 본체부를 감싸기 위한 커버부; 및 상기 홀 각각에 끼움 형성되며, 지압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돌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중앙 부분의 지름이 상측 또는 하측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의 하단에 끼움 삽입되기 위한 라인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뚜껑부는,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라인돌기에 끼움 삽입하기 위한 라인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뚜껑부는, 측면에 연결 형성되어,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뚜껑부는, 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끼우기 위한 끼움홈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재에 끼워져서 체결되기 위한 끼움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돌기부는, 돌기부재;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홀에 끼움 삽입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홀은, 상기 연결부재가 끼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 및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돌기부는, 복수 개의 돌기부재; 상기 커버부의 내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와 상기 고정밴드부재 사이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홀에 각각 끼움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밴드부재를 고정 형성하기 위한 고정라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 각각에 끼움 형성되어, 지압용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돌기가 끼움 삽입된 커버를 외부면에 밴딩하도록 구현한 지압 물병을 제공함으로써, 물병의 본체 외부면에 커버를 밴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지압 기능을 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여러 종류의 물병(또는 컵)에 적용 가능하여 작은 비용으로 여러 종류의 물병(또는 컵)에 지압 기능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돌기가 끼움 삽입된 커버를 외부면에 밴딩하도록 구현한 지압 물병을 제공함으로써, 물병으로부터 돌기가 끼움 삽입된 커버를 탈착 가능하여, 지압을 원하지 않는 사람(예를 들어, 어린이 등)이 사용 시에도 불편함을 주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본체부 및 뚜껑부를 제1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뚜껑부를 제2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돌기부 및 커버부를 제1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돌기부를 제2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압 물병은, 본체부(10), 뚜껑부(20), 커버부(30), 및 돌기부(4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상단에 뚜껑부(20)를 착탈 가능함과 동시에 외부면에 커버부(30)가 밴딩되고, 내부에 물을 담아 저장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는, 원통형, 사각통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물을 담는 깊이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는, 중앙 부분의 지름이 상측 또는 하측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립감을 주어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는, 유리,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친환경 소재(예를 들어, 트라이탄 소재, BPA free PPSU 등)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부(20)는, 본체부(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0)를 덮어줌으로써 본체부(1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주며, 본체부(10)를 이동 시에 내부의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뚜껑부(20)는, 유리,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친환경 소재(예를 들어, 트라이탄 소재, BPA free PPSU 등)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뚜껑부(2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물을 담는 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커버부(30)는, 복수 개의 홀(31)을 구비하며, 홀(31) 각각에 돌기부(40)가 끼움 형성된 채로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밴딩하여, 본체부(10)를 감싸준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30)는, 종이,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탄력성을 가지며, 이에 본체부(10)에 밀착하여 밴딩될 수 있다.
돌기부(40)는, 홀(31) 각각에 끼움 형성되어, 지압용으로 사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부(40)는, 사람이 손에 지압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또한, 사람에게 지압에 따른 다이어트 효과를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부(40)는,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압 물병은, 물병의 본체부(10) 외부면에 돌기부(40)가 끼움 삽입된 커버부(30)를 밴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지압 기능을 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여러 종류의 물병(또는 컵)에 적용 가능하여 작은 비용으로 여러 종류의 물병(또는 컵)에 지압 기능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압 물병은, 물병의 본체부(10) 외부면에 돌기부(40)가 끼움 삽입된 커버부(30)를 밴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물병의 본체부(10)로부터 돌기부(40)가 끼움 삽입된 커버부(30)를 탈착 가능하여, 지압을 원하지 않는 사람(예를 들어, 어린이 등)이 사용 시에도 불편함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압 물병은, 본체부(10), 뚜껑부(20), 커버부(30), 및 돌기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커버부(30)는, 복수 개의 홀(31)을 구비하며, 홀(31) 각각에 돌기부(40)가 끼움 형성된 채로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본체부(10)를 감싸준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30)는, 내부면에 접착 수단(예를 들어, 스티커, 접착제 등)을 형성하여,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30)는, 본체부(10)의 외부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만 부착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외부면 전체에 부착 형성되어, 본체부(10)를 감싸줄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본체부 및 뚜껑부를 제1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0)는 라인돌기(11)를 포함하며, 뚜껑부(20)는, 라인홈(21), 및 손잡이부재(22)를 포함한다.
라인돌기(11)는, 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뚜껑부(20)의 하단(즉, 라인홈(21)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본체부(10)와 뚜껑부(20)를 체결할 수 있다.
라인홈(21)은, 뚜껑부(20)의 하단에 형성되어, 라인돌기(11)에 끼움 삽입하여, 본체부(10)와 뚜껑부(20)를 체결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22)는, 뚜껑부(20)의 측면에 연결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아 뚜껑부(20)를 들 수 있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재(22)는, 뚜껑부(20)의 측면에 고정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뚜껑부를 제2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뚜껑부(20)는, 라인홈(21), 손잡이부재(22), 끼움홈부재(23), 및 끼움돌기부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3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끼움홈부재(23)는, 뚜껑부(20)의 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끼움돌기부재(24)를 끼움으로써 손잡이부재(22)가 뚜껑부(20)의 측면에 연결 형성되도록 해준다.
끼움돌기부재(24)는, 손잡이부재(22)에 고정 형성되어, 끼움홈부재(23)에 끼워져서 체결됨으로써, 손잡이부재(22)가 뚜껑부(20)의 측면에 연결 형성되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끼움돌기부재(24)는, 끼움홈부재(23)와 체결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잡이부재(22)가 뚜껑부(20)의 측면에서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돌기부 및 커버부를 제1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돌기부(40)는, 돌기부재(41), 고정부재(42), 및 연결부재(43)를 포함하며, 커버부(30)는 홀(31)을 구비한다.
돌기부재(41)는, 연결부재(43)를 통해 고정부재(42)와 연결 형성되며, 돌출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때 지압 효과를 줄 수 있다.
고정부재(42)는, 연결부재(43)를 통해 돌기부재(41)와 연결 형성되며, 커버부(30)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돌기부재(41)가 커버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준다.
연결부재(43)는, 돌기부재(41)와 고정부재(42) 사이를 연결 형성하며, 홀(31)에 끼움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홀(31)은, 관통공(311), 및 고정홈(312)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311)은, 연결부재(43)가 끼움 삽입되어, 연결부재(43)가 돌기부재(41)와 고정부재(42) 사이를 연결 형성하도록 해준다.
고정홈(312)은, 고정부재(42)를 삽입하여, 고정부재(42)를 커버부(30)에 고정시켜 준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돌기부를 제2 실시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돌기부(40)는, 복수 개의 돌기부재(41), 고정밴드부재(44), 및 복수 개의 연결부재(43)를 포함하며, 커버부(30)는 홀(31)을 구비한다.
돌기부재(41)는, 연결부재(43)를 통해 고정밴드부재(44)와 연결 형성되며, 돌출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때 지압 효과를 줄 수 있다.
고정밴드부재(44)는, 연결부재(43)를 통해 돌기부재(41)와 연결 형성되며, 커버부(30)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돌기부재(41)가 커버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준다.
연결부재(43)는, 돌기부재(41)와 고정밴드부재(44) 사이를 연결 형성하며, 홀(31)에 각각 끼움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30)는, 고정라인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라인홈(미도시)은, 홀(3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고정밴드부재(44)를 고정 형성함으로써, 돌기부(40)가 커버부(3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해준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압 물병은, 본체부(10), 뚜껑부(20), 커버부(30), 및 돌기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돌기부(40)는, 본체부(10)의 외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홀(31) 각각에 끼움 형성되어, 지압용으로 사용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는 본 고안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지압 물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지압 물병은, 본체부(10), 뚜껑부(20), 커버부(30), 및 돌기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압 물병은, 돌기부(40)가 홀(31)에 삽입되는 개수를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며, 또한, 복수 개의 돌기부(40)가 홀(31)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돌기부(40) 간의 사이 간격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압 물병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0)가 홀(31)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돌기부(40)가 커버부(30)에 삽입된 전체 모양이 외관상 일자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압 물병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0)가 홀(31)의 일부분에 삽입될 때, 커버부(30)의 중앙측 홀(31)에 삽입되어, 사람이 커버부(30)의 중앙 부분을 손으로 잡을 때 지압 효과를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압 물병은,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0)가 홀(31)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돌기부(40)가 커버부(30)에 삽입된 전체 모양이 외관상 사선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X자 모양, S자 모양, 회사의 로고 모양, 캐릭터 모양, 사람의 얼굴 모양, 글자 모양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b, c: 지압 물병
10: 본체부
11: 라인돌기
20: 뚜껑부
21: 라인홈
22: 손잡이부
23: 끼움홈부재
24: 끼움돌기부재
30: 커버부
31: 홀
311: 관통공
312: 고정홈
40: 돌기부
41: 돌기부재
42: 고정부재
43: 연결부재
44: 고정밴드부재

Claims (5)

  1. 내부에 물을 담기 위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를 덮기 위한 뚜껑부(20);
    복수 개의 홀(31)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밴딩하여, 상기 본체부(10)를 감싸기 위한 커버부(30); 및
    상기 홀(31) 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31)에 끼움 형성되며, 지압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돌기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3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를 밀착하여 밴딩하되, 상기 본체부(10)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기부(40)는,
    돌기부재(41);
    상기 커버부(30)의 내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2); 및
    상기 돌기부재(41)와 상기 고정부재(42) 사이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홀(31)에 끼움 삽입되기 위한 연결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물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31)은,
    상기 연결부재(43)가 끼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311); 및
    상기 고정부재(42)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홈(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물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40)는,
    복수 개의 돌기부재(41);
    상기 커버부(30)의 내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부재(44); 및
    상기 돌기부재(41)와 상기 고정밴드부재(44) 사이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홀(31)에 각각 끼움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 물병.
  5. 삭제
KR2020170001991U 2017-04-20 2017-04-20 지압 물병 KR200488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91U KR200488744Y1 (ko) 2017-04-20 2017-04-20 지압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91U KR200488744Y1 (ko) 2017-04-20 2017-04-20 지압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98U KR20180003098U (ko) 2018-10-30
KR200488744Y1 true KR200488744Y1 (ko) 2019-03-13

Family

ID=6404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91U KR200488744Y1 (ko) 2017-04-20 2017-04-20 지압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4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50928Y (zh) 1995-12-22 1997-04-02 张松茂 磁化按摩保健容器
KR200287361Y1 (ko) 2002-05-28 2002-08-30 김신 지압용 양말
WO2015038541A1 (en) * 2013-09-10 2015-03-19 Taylor Lani Self-massage roller and bottle
KR101583529B1 (ko) * 2014-08-07 2016-01-08 이영수 지압기능을 갖는 손 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핸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751Y1 (ko) 2004-06-08 2004-09-22 송현정 지압기능을 갖춘 컵
KR200457241Y1 (ko) 2010-01-28 2011-12-12 김병구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 저장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50928Y (zh) 1995-12-22 1997-04-02 张松茂 磁化按摩保健容器
KR200287361Y1 (ko) 2002-05-28 2002-08-30 김신 지압용 양말
WO2015038541A1 (en) * 2013-09-10 2015-03-19 Taylor Lani Self-massage roller and bottle
KR101583529B1 (ko) * 2014-08-07 2016-01-08 이영수 지압기능을 갖는 손 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98U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996B2 (ja) シリコン哺乳瓶
US20120318288A1 (en) Infant toothbrush and method
US20060169707A1 (en) Nose top
JP6376670B2 (ja) 飲用の液体をエアレーションするためのエアレーター装置および方法
US8920059B2 (en) Diaper rash cream applicator
KR101214048B1 (ko) 샘플 립스틱 용기
KR200488744Y1 (ko) 지압 물병
KR100454385B1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CN107530229B (zh) 便于组装及拆卸的硅胶奶瓶
JP4724401B2 (ja) 洗眼器および洗眼セット
CN105819084A (zh) 一种不会污染使用者的容器
KR101527729B1 (ko) 손잡이가 구비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US9833089B2 (en) Weaning clip
KR200469347Y1 (ko)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20000007501U (ko) 이중구조의 무공해 포유병
JP6108777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US20100326945A1 (en) Separate type nursing bottle
JP3146257U (ja) 洗浄ブラシ装置
CN111824582A (zh) 杯盖组
JP2004041543A (ja) 乳首付きキャップ
CN213405651U (zh) 一种安全环保的水杯
WO2017148143A1 (zh) 一种立体标识及容器
CN210095352U (zh) 一种便于拆卸的双层水杯
KR200383323Y1 (ko) 페트병 손잡이
TWM531939U (zh) 飲料杯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