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695Y1 - 영어 단어 학습 카드 - Google Patents

영어 단어 학습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95Y1
KR200488695Y1 KR2020170000396U KR20170000396U KR200488695Y1 KR 200488695 Y1 KR200488695 Y1 KR 200488695Y1 KR 2020170000396 U KR2020170000396 U KR 2020170000396U KR 20170000396 U KR20170000396 U KR 20170000396U KR 200488695 Y1 KR200488695 Y1 KR 200488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speech
english word
not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313U (ko
Inventor
하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엑스
Priority to KR2020170000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9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3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3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어 단어 학습 카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장을 이루는 구성 단어의 뜻과 품사를 보다 쉽게 각각 인식할 수 있고, 영어 단어의 뜻과 품사를 인식한 단어로 문장을 쉽게 구성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카드의 제1 면에 표기되는 영어 단어 및 상기 카드의 제2 면에 표기되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한글 뜻을 나타내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의미 표기부;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카드 별로 상이한 색상이 적용되어 표시되는 제1 품사 구별부; 및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기되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품사 구별부를 포함하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영어 단어 학습 카드{CARDS FOR STUDYING ENGLISH WORDS}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에 관한 것이다.
국제화 등의 영향으로 영어를 익히려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초등학교 또는 유치원에서부터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실정이나, 영어학습에 따르는 효과는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
이는 영어가 외국어이므로 생소하여 처음 접함으로써 단어와 발음, 표기는 물론 문장의 표현까지 국어와는 다르기 때문에 영어단어를 익히는 것이 쉽지 않아 흥미를 잃고 포기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같은 문제로부터 벗어나 보다 쉽고 용이하게 영어단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한 학습용 교재나 교구 등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학습용 카드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한 손에 잡기 용이한 크기로 카드베이스를 구비한다. 카드베이스의 표면 일측에는 익히고자 하는 단어의 영문자가 기재되고, 그 하단에는 영문 발음 기호와 한글 발음이 순차적으로 표시된 후 최 하단에는 한글 음자가 표시되며, 상기 단어의 측방에는 영문자의 뜻과 일치하는 그림 또는 사진을 표시하여보다 쉽게 그 뜻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학습용 카드를 구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하게 음과 뜻만으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영어단어를 익히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767715호(등록일자: 2007년10월10일)
본 고안은, 문장을 이루는 구성 단어의 뜻과 품사를 보다 쉽게 각각 인식할 수 있고, 영어 단어의 뜻과 품사를 인식한 단어로 문장을 쉽게 구성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는, 카드의 제1 면에 표기되는 영어 단어 및 상기 카드의 제2 면에 표기되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한글 뜻을 나타내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의미 표기부;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카드 별로 상이한 색상이 적용되어 표시되는 제1 품사 구별부; 및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기되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품사 구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면에 표기되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가 적용되어 표시된 단어 이미지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품사 구별부는, 상기 숫자와 상기 문자가 함께 표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에 대한 상위 종류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품사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숫자가 표기된 숫자 표기부; 및 상기 숫자 표기부의 표기 영역 다음으로 표기되되, 상기 숫자 표기부와 구분되며, 상기 숫자 표기부를 통해 1차 분류된 품사 각각에 대한 세부 종류로 2차 분류하고, 2차 분류된 품사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알파벳이 표기된 알파벳 표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품사 구별부는, 상기 문자로만 표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한글 문자가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어 의미 표기부는, 상기 제1 면에 영어 단어가 표기되는 제1 표기부; 및 상기 제2 면에 한글 단어가 표기되는 제2 표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기부 및 상기 제2 표기부는 다른 단어로 각각 교체할 수 있도록 자성을 이용하여 상기 카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문장을 이루는 구성 단어의 뜻과 품사를 보다 쉽게 각각 인식할 수 있고, 영어 단어의 뜻과 품사를 인식한 단어로 문장을 쉽게 구성하고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의 제1 품사 구별부 및 제2 품사 구별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어 단어 학습 카드에서 제2 품사 구별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가 실제 구현된 예를 각각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의미 표기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를 이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의 제1 품사 구별부 및 제2 품사 구별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어 단어 학습 카드에서 제2 품사 구별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가 실제 구현된 예를 각각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어 의미 표기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는, 단어 의미 표기부(110), 제1 품사 구별부(120) 및 제2 품사 구별부(130)를 포함한다. 더불어,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는 단어 이미지 표시부(140)와 로고 이미지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는 대략 종이로 이루어지는 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면(100A)과 제2 면(100B)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100A)은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뒷면이고, 제2 면(100B)은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앞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물론 그 반대로의 정의도 가능하다. 다만, 이와 같이 앞, 뒷면을 정의한 이유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사용 방법에 따라 제1 면(100A)에 영어 단어가 표기되고, 제2 면(100B)에 한글 단어가 표기됨에 따라 편의상 제1 면(100A)을 뒷면으로 제2 면(100B)을 앞면으로 정의한 것이다.
상기 단어 의미 표기부(110)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표기되는 영어 단어, 그리고 제2 면(100B)에 표기되며 제1 면(100A)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한글 뜻을 나타내는 한글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어 의미 표기부(110)는 제1 표기부(111)와 제2 표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기부(111)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배치되며 영어 단어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기부(112)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2 면(100B)에 배치되며 한글 단어가 표기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한글 단어는 제1 면(100A)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한글 뜻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기부(111)에 'stethoscope'라는 영어 단어가 표기되어 있으면, 제2 표기부(112)에는 '청진기'라는 한글 단어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제1 품사 구별부(120)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에 따라 제1 면(100A)과 제2 면(100B) 중 적어도 한 면에 카드 별로 상이한 색상이 각각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의 품사는 크게 8품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명사(Noun), 대명사(Pronoun), 동사(Verb), 형용사(Adjective), 부사(Adverb), 전치사(Preposition), 접속사(Conjunction) 및 감탄사(Exclamation)로 분류될 수 있다. 이렇게 영어 단어의 품사를 상위 종류에 따라 8품사로 분류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사(Noun)는 빨간색, 대명사(Pronoun)는 주황색, 동사(Verb)는 노란색, 형용사(Adjective)는 연두색, 부사(Adverb)는 파란색, 전치사(Preposition)는 남색, 접속사(Conjunction)는 보라색 및 감탄사(Exclamation)은 검은색으로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각 카드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색상으로서 각각 적용함으로써 8품사를 미리 정해진 색상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2 품사 구별부(130)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 중 적어도 한 면에 표기된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서의 제2 품사 구별부(130)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2 면(100B) 즉 한글 단어가 표기된 앞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 모두 또는 제1 면(100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품사 구별부(130)는 숫자와 문자가 함께 표기되는 경우와 문자로만 표기되는 두 가지 경우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품사 구별부(130)가 숫자와 문자가 함께 표기되는 경우 숫자 표기부(131)와 알파벳 표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숫자 표기부(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에 대한 상위 종류로 1차 분류(예를 들어 8품사로 분류함)하고, 1차 분류된 8품사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즉, 제1 품사 구별부(120)에서는 8품사를 서로 다른 색상을 이용하여 구별하였으나, 숫자 표기부(131)는 1차 분류된 8품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숫자를 표기함으로써 각각의 품사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사는 '1'을, 대명사는 '2'를, 동사는 '3'을, 형용사는 '4'를, 부사는 '5'를, 전치사는 '6'을, 접속사는 '7'을, 그리고 감탄사는 '8'이라는 숫자를 각각 적용함으로써 8품사를 미리 정해진 숫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는, 8품사를 숫자로 구별하기 위한 일례일 뿐, 상이한 숫자를 부여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며, 이러한 상이한 숫자를 통해 상위 종류로 1차 분류된 품사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파벳 표기부(132)는, 숫자 표기부(131)의 표기 영역 다음으로 표기되되, 숫자 표기부(131)와 구분되며, 숫자 표기부(101)를 통해 1차 분류된 8품사를 세부 종류에 대하여 2차 분류하고, 2차 분류된 품사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알파벳이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품사에 대한 세부 종류로 2차 분류하면, 명사는 추상명사, 물질명사, 집합명사, 구상명사, 보통명사 및 고유명사로 분류할 수 있고, 대명사는 인칭대명사, 소유대명사, 재귀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의문대명사 및 관계대명사로 분류할 수 있고, 동사는 완전자동사, 불완전자동사, 완전타동사, 불완전타동사 및 수여동사로 분류할 수 있고, 형용사는 성상형용사, 수량형용사 및 대명형용사로 분류할 수 있고, 부사는 성분부사와 문장부사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감탄사는 감정감탄사 및 의지감탄사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분류된 각각의 품사의 세부 종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알파벳을 부여하고, 각각의 알파벳에 따라 해당 품사의 세부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상명사는 'a'를, 물질명사는 'b'를, 집합명사는 'c'를, 구상명사는 'd'를, 보통명사는 'e'를, 고유명사는 'f'를, 인칭대명사는 'g'를, 소유대명사는 'h'를, 재귀대명사는 'i'를, 지시대명사는 'j'를, 부정대명사는 'k'를, 의문대명사는 'l'를, 관계대명사는 'n'를, 완전자동사는 'o'를, 불완전자동사는 'p'를, 완전타동사는 'q'를, 불완전타동사는 'r'를, 수여동사는 's'를, 성상형용사는 't'를, 수량형용사는 'u'를, 대명형용사는 'v'를, 성분부사는 'w'를, 문장부사는 'x'를, 감정감탄사는 'y'를, 의지감탄사는 'z'를 각각 적용함으로써, 상위 종류로 1차 분류된 각 품사의 세부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이는, 8품사에 대한 세부 종류를 알파벳으로 구별하기 위한 일례일 뿐, 다양한 알파벳 조합을 부여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며, 이러한 상이한 숫자를 통해 상위 종류로 2차 분류된 8품사에 대한 세부 종류를 각각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면에서 알파벳 표기부(132)가 'n'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모두 'n'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분에 알파벳이 들어감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일례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숫자 표기부(131)와 알파벳 표기부(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픈(hyphen)('-')을 이용하여 서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례일 뿐, 슬래시(slash)('/')나 띄어쓰기 등을 이용하여 숫자 표기부(131)와 알파벳 표기부(132)가 구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품사 구별부(130)가 문자로만 표기되는 경우,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한글 문자가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사는 '가'를, 대명사는 '나'를, 동사는 '다'를, 형용사는 '라'를, 부사는 '마'를, 전치사는 '바'를, 접속사는 '사'를, 그리고 감탄사는 '아' 라는 문자를 각각 적용함으로써 8품사를 미리 정해진 문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단어 이미지 표시부(140)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표기되며, 제1 면(100A)에 표기된 영어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는 'stethoscope'라는 영어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140)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100A)에는 'carpenter'라는 영어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14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어 단어와 관련되며 해당 영어 단어를 유추할 수 있는 이미지가 삽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영어 단어를 자연스럽게 유추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로고 이미지 표시부(150)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2 면(100B)에 표기되며,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프로젝트 로고가 적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2 면(100B)에는 '스푸키즈 일글리쉬'라는 프로젝트 로고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단어 의미 표기부(110)의 제1 및 제2 표기부(111, 112)는, 각 카드로부터 다른 단어가 교체될 수 있도록 각 카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기부(111)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1 면(100A)에 각각 마련된 홈에 삽입되고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표기부(112)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제2 면(100B)에 각각 마련된 홈에 삽입되고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의 내부 중 제1 및 제2 표기부(111, 112)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 표기부(111, 112)가 각각 자성을 통해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에 탈부착되도록 소정의 자성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101)가 생략되는 경우 제1 및 제2 표기부(111, 112)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 표기부(111, 112)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 상에서 함께 상호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를 이용하여 문장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단어 학습 카드(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S)+동사(V)'로 구성되는 1형식의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S)+동사(V)+보어(C)로 구성되는 2형식 문장을 만들 수 있고, '주어(S)+동사(V)+목적어(O)'로 구성되는 3형식 문장을 만들 수 있고,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로 구성되는 4형식 문장을 만들 수 있으며,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보어(OC)'로 구성되는 5형식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카드의 색상이나 숫자 및 알파벳, 또는 문자에 따라 해당 품사를 쉽게 구별함으로써, 품사 공부와 더불어 영문 어순과 형식 맞는 문장을 쉽게 만들어 학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영어 단어 학습 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영어 단어 학습 카드
100A: 제1 면
100B: 제2 면
110: 단어 의미 표기부
111: 제1 표기부
112: 제2 표기부
120: 제1 품사 구별부
130: 제2 품사 구별부
131: 숫자 표기부
132: 알파벳 표기부
133: 문자 표기부
140: 단어 이미지 표시부
150: 로고 이미지 표시부

Claims (5)

  1. 카드의 제1 면에 표기되는 영어 단어 및 상기 카드의 제2 면에 표기되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한글 뜻을 나타내는 한글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의미 표기부;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카드 별로 상이한 색상이 적용되어 표시되는 제1 품사 구별부; 및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기되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품사 구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품사 구별부는, 상기 숫자와 상기 문자가 함께 표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에 대한 상위 종류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품사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숫자가 표기된 숫자 표기부; 및
    상기 숫자 표기부의 표기 영역 다음으로 표기되되, 상기 숫자 표기부와 구분되며, 상기 숫자 표기부를 통해 1차 분류된 품사 각각에 대한 세부 종류로 2차 분류하고, 2차 분류된 품사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알파벳이 표기된 알파벳 표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숫자 표기부의 숫자와 상기 알파벳 표기부의 알파벳은 하이픈 또는 슬래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분하고,
    상기 단어 의미 표기부는,
    상기 제1 면에 영어 단어가 표기되는 제1 표기부; 및
    상기 제2 면에 한글 단어가 표기되는 제2 표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는
    상기 제1 표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홈;
    상기 제2 표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홈; 및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인 상기 카드의 내부에 형성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기부 및 상기 제2 표기부는 다른 단어로 각각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홈, 상기 제2 홈 및 상기 자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표기되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가 적용되어 표시된 단어 이미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품사 구별부는,
    상기 문자로만 표기되는 경우, 상기 제1 면에 표기된 영어 단어의 품사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한글 문자가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단어 학습 카드.
  5. 삭제
KR2020170000396U 2017-01-20 2017-01-20 영어 단어 학습 카드 KR200488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396U KR200488695Y1 (ko) 2017-01-20 2017-01-20 영어 단어 학습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396U KR200488695Y1 (ko) 2017-01-20 2017-01-20 영어 단어 학습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313U KR20180002313U (ko) 2018-07-30
KR200488695Y1 true KR200488695Y1 (ko) 2019-03-07

Family

ID=6304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396U KR200488695Y1 (ko) 2017-01-20 2017-01-20 영어 단어 학습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989B1 (ko) * 2022-10-06 2023-04-14 주식회사 코택트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도구 및 이를 포함한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060B1 (ko) * 2011-05-11 2012-09-25 (주)큰소리영어 영어학습교재 및 영어학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15B1 (ko) 2005-10-05 2007-10-17 하원복 영어단어 학습용 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060B1 (ko) * 2011-05-11 2012-09-25 (주)큰소리영어 영어학습교재 및 영어학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989B1 (ko) * 2022-10-06 2023-04-14 주식회사 코택트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도구 및 이를 포함한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4075945A1 (ko) * 2022-10-06 2024-04-11 주식회사 코택트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도구 및 이를 포함한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313U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yrd et al. On the other hand: Lexical bundles in academic writing and in the teaching of EAP
Matthiessen Halliday on language
Crosthwaite et al. Less is more? The impact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on corpus-assisted L2 error resolution
Zaki Corpus‐based teaching in the Arabic classro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Kazeminejad et al. Creating lexical resources for polysynthetic languages—The case of Arapaho
Shaalan et al. Analysis and feedback of erroneous Arabic verbs
Gonzalez et al. Nominal agreement in the interlanguage of Dutch L2 learners of Spanish
McGrath et al. A corpus-assisted analysis of grammatical metaphors in successful student writing
KR200488695Y1 (ko) 영어 단어 학습 카드
Ackerman et al. Patterns and discriminability in language analysis
Hamilton The contribution of systemic functional grammar to the error analysis framework
KR102162109B1 (ko) 색채 구분에 의하여 쉽게 이해되는 영문이 포함된 인쇄물
Purinanda et al. Morphosyntax Errors in Undergraduate Research Articles from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Hyland Corpora, innovation and English language education
Marcellino Seniority in writing studies: A corpus analysis
Roberts et al. Visualising Collocation for Close Writing.
Muslikhati 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in Bahasa Inggris by Utami Widiati Textbook for the First Grade of Senior High School in the First Semester (A research on readability, level of comprehension and lexical density of reading text)
KR20120078453A (ko) 직독직해를 위한 영어교육 방법과 시스템
KR20160088041A (ko) 영어 학습교재
KR20080010727A (ko) 외국어 해석 표시방법
Mahyoob et al. Towards Developing a Morphological Analyzer for Arabic Noun Forms
KR102112954B1 (ko) 영어 학습 제공 방법
Viana Corpora in and for TESOL
Lukeš et al. Building a phonics engine for automated text guidance
Rocha et al. Designing augmented reality cards as an educational resource to teach Portuguese Sign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