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652Y1 -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 Google Patents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52Y1
KR200488652Y1 KR2020170000170U KR20170000170U KR200488652Y1 KR 200488652 Y1 KR200488652 Y1 KR 200488652Y1 KR 2020170000170 U KR2020170000170 U KR 2020170000170U KR 20170000170 U KR20170000170 U KR 20170000170U KR 200488652 Y1 KR200488652 Y1 KR 200488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housing
front cover
photograph
support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195U (ko
Inventor
전영언
Original Assignee
전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언 filed Critical 전영언
Priority to KR2020170000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5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는,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 내에 마련되되 투명한 재질을 갖는 디스플레이판을 구비하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프론트 커버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내부에 사진의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리어 하우징(rear housing);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힌지의 반대편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를 상기 리어 하우징에 로킹시키는 제1 및 제2 로킹부; 상기 프론트 커버에 이웃된 상기 리어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의 수납공간에서 제일 상측에 배치되는 사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스토퍼; 및 상기 리어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진이 다수 개 수납되도록 다수의 상기 사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Picture frame with storage function}
본 고안은,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유화, 소묘, 수채화, 판화 따위의 회화작품이나 사진 등을 끼워 보관하는 것으로서, 해당 회회작품이나 사진 등에 대한 보존과 전시, 이동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단순한 구조로 된 저가형의 액자는 회화작품이나 사진 외에도 상장이나 증명서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액자는 두께가 얇은 사각형 구조의 프레임에 유리 또는 투명창으로 된 전면판이 착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사용자는 전면판을 열어 그 내부에 회화작품이나 사진, 혹은 상장(이하, 사진으로 통일함)을 끼워 넣은 후, 전면판을 닫고 벽면에 액자를 걸어둘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통상적인 액자는 전술한 것처럼 전면판을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전부라서 구조가 너무 단순하며, 이로 인해 기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액자는 액자 하나 당 사진을 한 장 넣어 전시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납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한편,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액자에 특정 사진을 넣어 전지하다가 다소 시간이 지나면 다른 사진으로 교체하여 분위기를 전환시킬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럴 때 액자 내에 다양의 사진이 수납되어 있다면 사진의 교체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하지만, 대다수는 사진을 다른 곳, 예를 들어 서랍 등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시로 사진을 교체 전시하는 작업이 불편하여 하나의 사진을 계속 전시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만약, 액자에 수납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면 액자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5-003471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738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198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5-0002623호
본 고안의 목적은,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 내에 마련되되 투명한 재질을 갖는 디스플레이판을 구비하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프론트 커버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내부에 사진의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리어 하우징(rear housing);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힌지의 반대편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를 상기 리어 하우징에 로킹시키는 제1 및 제2 로킹부; 상기 프론트 커버에 이웃된 상기 리어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의 수납공간에서 제일 상측에 배치되는 사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스토퍼; 및 상기 리어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진이 다수 개 수납되도록 다수의 상기 사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는,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사진을 지지하는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다수의 단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하우징들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는 전면에서 볼 때, 보이지 않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최상단 사진에 대한 전시날짜를 카운팅하는 전시날짜 카운터;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전시날짜로부터 미리 세팅된 시간인 듀데이(due day)가 도래될 때 발광되면서 외부로 알림을 표시하는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 및 상기 전시날짜 카운터의 입력조건과 상기 듀데이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프론트 커버가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 내지 도 3 각각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액자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프론트 커버가 열린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의 부분 분해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1 내지 도 3 각각에 대한 배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1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100)는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론트 커버(110, front cover)와 리어 하우징(120, rear housing)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사진이란 유화, 소묘, 수채화, 판화 따위의 회화작품을 비롯하여 일반 촬영 사진, 상장, 증명서 등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편의를 위해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사진이라 한다.
프론트 커버(110)는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4 및 도 5처럼 리어 하우징(1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액자(100)의 전면을 이룬다. 액자(100)가 전시될 때, 프론트 커버(110)가 보이게 된다.
이러한 프론트 커버(110)는 프론트 프레임(111)과, 프론트 프레임(111) 내에 마련되되 투명한 재질을 갖는 디스플레이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판(112)은 투명한 유리일 수도 있고 아니면 아크릴판일 수도 있다.
리어 하우징(120)은 프론트 커버(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박스(box) 타입의 구조물로서, 프론트 커버(110)보다 큰 부피를 갖는다. 이러한 리어 하우징(120) 내에 사진의 수납공간(121, 도 7 참조)이 형성된다.
도 7에는 수납공간(121)에 10장의 사진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사진의 개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 즉 50매 이상이 사진이 리어 하우징(120) 내의 수납공간(121)에 수납, 즉 보관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20)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다수의 단위 하우징(122)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위 하우징(122)은 요철 방식의 조립식일 수도 있고 아니면 접착 방식으로 미리 연결될 수도 있다. 단위 하우징(122)들이 조립식이면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4 및 도 5처럼 리어 하우징(120)에 대하여 프론트 커버(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130)가 마련된다.
힌지(130)는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120)에 결합되며, 리어 하우징(120)에 대하여 프론트 커버(1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130)는 전면에서 볼 때, 보이지 않도록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120)의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힌지(130)의 반대편에서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120)에는 제1 및 제2 로킹부(131,132)가 마련된다.
도 1 및 도 4처럼 프론트 커버(110)를 닫을 때, 프론트 커버(110)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제1 및 제2 로킹부(131,132)가 프론트 커버(110)를 리어 하우징(120)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로킹부(131,132)는 여러 형태가 가능하다. 즉 후크 방식일 수도 있고, 자석 방식일 수도 있는데,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다 하여야 할 것이다.
프론트 커버(110)에 이웃된 리어 하우징(120)의 단부에는 다수의 스토퍼(140)가 마련된다.
이러한 스토퍼(140)들은 리어 하우징(120)의 수납공간(121)에서 제일 상측에 배치되는 사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수납공간(121)에서 제일 상측에 배치되는 사진은 후술할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의 작용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 사진의 전방에 스토퍼(140)가 배치되기 때문에 최상단의 사진은 자리 이탈되지 않고 팽팽한 상태에서 전시될 수 있다. 스토퍼(140)들은 사진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사각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100)에는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가 구비된다.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는 리어 하우징(120)의 수납공간(121)에 배치되며, 사진이 다수 개 수납되도록 사진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는 사진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사진들을 스토퍼(140)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겸한다. 따라서 전시되는 최상단의 사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베이스 플레이트(151)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사진을 지지하는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와,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에 결합되어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53)와, 탄성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1)는 리어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51)는 리어 하우징(120)을 이루는 단위 하우징(122)들의 슬릿(123)에 그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51)는 움직임 없이 위치 고정된다.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는 실질적으로 사진과 접하여 사진들을 지지한다. 이러한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는 탄성부재(154)의 작용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51)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53)는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가 비뚤게 이동되거나 편심되게 사진을 지지하지 못하도록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를 평평하게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가이드 부재(153)는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의 네 코너에 하나씩 배치되어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를 가이드할 수 있다.
탄성부재(154)는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 사이에 배치되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가 베이스 플레이트(151)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54)는 비틀림코일 압축 스프링으로 적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에 마련되는 지지대(155)에 그 양단부가 배치되게 고정된다.
이에, 프론트 커버(110)를 개방한 후,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를 밀어 탄성부재(154)를 압축시켜 수납공간(121)을 확보한 다음, 이 수납공간(121)에 원하는 매수의 사진을 넣고 탄성부재(154)를 압축시켰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54)의 반발력에 의해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가 이동되면서 사진들을 스토퍼(14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개방된 프론트 커버(110)를 닫아 사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200) 역시,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120), 그리고 사진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250)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151),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 가이드 부재(153), 그리고 탄성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탄성부재(254)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판스프링(254)으로 적용되는데, 판스프링(254)이 적용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액자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3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120), 그리고 사진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300)에는 전시날짜 카운터(310),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 및 컨트롤러(330)가 더 갖춰질 수 있다.
전시날짜 카운터(310)는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최상단 사진에 대한 전시날짜를 카운팅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10장의 사진 중 제일 위쪽의 사진에 대한 전시날짜를 카운팅한다.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은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전시날짜로부터 미리 세팅된 시간인 듀데이(due day)가 도래될 때 발광되면서 외부로 알림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듀데이가 10일로 미리 세팅된 경우, 전시날짜로부터 10일이 경과하면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이 노란색, 붉은색, 파란색 등으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알림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전시된 사진을 수납된 다른 사진으로 교체할 수 있는 시점을 알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전시날짜 카운터(310)의 입력조건과 듀데이의 조건에 기초하여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즉 전시날짜로부터 카운팅하여 듀데이가 도래하면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이 온(on)되게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330)는 중앙처리장치(331, CPU), 메모리(33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33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331)는 본 실시예에서 전시날짜 카운터(310)의 입력조건과 듀데이의 조건에 기초하여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33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331)와 연결된다. 메모리(33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33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33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33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30)는 전시날짜 카운터(310)의 입력조건과 듀데이의 조건에 기초하여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330)가 전시날짜로부터 카운팅하여 듀데이가 도래하면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320)이 온(on)되게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33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33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40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커버(110)와 리어 하우징(420), 그리고 사진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150)를 이루는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152)에 히터(460)가 적용된다. 히터(460)의 발열강도는 그리 크지 않으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이처럼 히터(460)가 마련되어 간헐적으로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동될 경우, 여러 장 겹쳐 있는 사진들 사이에 잔존 가능한 습기를 제거할 수 있어서 사진들이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장기간 보관된 사진들이 습기 등으로 인해 서로 붙게 되면 잘 떨어지지 않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붙은 사진들을 버릴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사진들을 장기간 겹쳐두어도 붙지 않게 하는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히터(460)와는 달리 사진들의 측부에 수동 조작식 에어튜브(47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수동 조작식 에어튜브(470)의 단부는 리어 하우징(420)의 단위 하우징(422)의 벽체(423)에 형성되는 개구(424)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수동 조작식 에어튜브(470)를 A 방향으로 누르면 그 힘으로 B 방향으로의 바람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바람이 사진들 사이사이로 전달됨으로써 사진들이 서로 붙어 안 떨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1의 경우, 히터(460)와 수동 조작식 에어튜브(470) 모두를 개시하였으나 히터(460)와 수동 조작식 에어튜브(470) 중 어느 하나만 적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2개 모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연의 전시 기능 외에도 수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활용범위를 대폭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납된 사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액자 110 : 프론트 커버
111 : 프론트 프레임 112 : 디스플레이판
120 : 리어 하우징 121 : 수납공간
122 : 단위 하우징 123 : 슬릿
130 : 힌지 131,132 : 제1 및 제2 로킹부
140 : 스토퍼 150 :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
151 : 베이스 플레이트 152 :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
153 : 가이드 부재 154 : 탄성부재
155 : 지지대

Claims (4)

  1.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 내에 마련되되 투명한 재질을 갖는 디스플레이판을 구비하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프론트 커버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내부에 사진의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리어 하우징(rear housing);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를 회전시키는 힌지;
    상기 힌지의 반대편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를 상기 리어 하우징에 로킹시키는 제1 및 제2 로킹부;
    상기 프론트 커버에 이웃된 상기 리어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하우징의 수납공간에서 제일 상측에 배치되는 사진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스토퍼; 및
    상기 리어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진이 다수 개 수납되도록 다수의 상기 사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리어 하우징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사진을 지지하는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와;
    수납 사진용 탄성지지부를 이루는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히터와;
    하우징의 단위 하우징에 설치하여 사진들이 서로 붙어 안 떨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로 한 수동 조작식 에어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다수의 단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하우징들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사진 지지용 이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는 전면에서 볼 때, 보이지 않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최상단 사진에 대한 전시날짜를 카운팅하는 전시날짜 카운터;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리어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전시날짜로부터 미리 세팅된 시간인 듀데이(due day)가 도래될 때 발광되면서 외부로 알림을 표시하는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 및
    상기 전시날짜 카운터의 입력조건과 상기 듀데이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듀데이 표시용 조명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KR2020170000170U 2017-01-09 2017-01-09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KR200488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70U KR200488652Y1 (ko) 2017-01-09 2017-01-09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70U KR200488652Y1 (ko) 2017-01-09 2017-01-09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95U KR20180002195U (ko) 2018-07-18
KR200488652Y1 true KR200488652Y1 (ko) 2019-06-11

Family

ID=6304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70U KR200488652Y1 (ko) 2017-01-09 2017-01-09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5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092Y1 (ko) * 1999-12-03 2000-06-15 김순옥 개폐식 액자
JP2001147656A (ja) * 1999-11-22 2001-05-29 Toyama Prefecture 掲示物用展示装置
JP2016179173A (ja) * 2015-03-06 2016-10-13 シンプルヒューマン・エルエルシー バニティミラ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92Y1 (ko) 2008-01-17 2010-03-24 칭-후이 쿠오 새들 주행궤도를 방해하지 않게 칩이 용기내로 떨어지도록배열된 선반
KR20150001985U (ko) 2013-11-18 2015-05-2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수동 롤러 가이드 슈
KR20150002623U (ko) 2013-12-26 2015-07-06 케스웰 인코포레이티드 멀티 포트형 광섬유 네트워크 카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7656A (ja) * 1999-11-22 2001-05-29 Toyama Prefecture 掲示物用展示装置
KR200185092Y1 (ko) * 1999-12-03 2000-06-15 김순옥 개폐식 액자
JP2016179173A (ja) * 2015-03-06 2016-10-13 シンプルヒューマン・エルエルシー バニティ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195U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652Y1 (ko) 수납 기능을 제공하는 액자
US20060242876A1 (en) Display frame
US7681350B2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holding structure for thin insertions
US6826858B1 (en) Photograph and card display device
JPH0248863Y2 (ko)
KR200258268Y1 (ko) 양면 액자
EP2989626A1 (en) Quick attach information element to be connected on a graphic surface
JP2009282435A (ja) 表示装置
KR20150118288A (ko) 서랍식 수납공간을 갖는 액자
KR200245967Y1 (ko) 액자
CN212788057U (zh) 一种基于oled的透明展示柜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CN210540394U (zh) 一种四面展示组合框
KR200440181Y1 (ko) 앨범 보관용 액자
CN216520505U (zh) 显示设备和智能门
KR20150097900A (ko) 액자
KR102522389B1 (ko) 액자 프레임
CN220731143U (zh) 一种挂图展示宣传装置
CN215502267U (zh) 分体式展存售卖机
CN212307396U (zh) 一种盲盒及展示柜
CN216184146U (zh) 一种多功能装饰画框架装裱
KR20240063426A (ko) 액자
US20080016741A1 (en) Display panel
RU2676568C1 (ru) Рамка для картины или фотографии
KR200483866Y1 (ko) 집게형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