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45Y1 - 식물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45Y1
KR200488545Y1 KR2020170002419U KR20170002419U KR200488545Y1 KR 200488545 Y1 KR200488545 Y1 KR 200488545Y1 KR 2020170002419 U KR2020170002419 U KR 2020170002419U KR 20170002419 U KR20170002419 U KR 20170002419U KR 200488545 Y1 KR200488545 Y1 KR 200488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s
frame
pair
cultivatio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315U (ko
Inventor
조정열
Original Assignee
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 filed Critical 조현
Priority to KR2020170002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4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5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guided along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배베드를 수직으로 순환시키며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프레임(100)과; 재배베드가 적층되는 재배프레임(200)과; 다수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 및 이동체인(320, 320')을 통해 선회 경로를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재배프레임(200)을 선회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300, 300')와;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을 제공하는 환경조정유닛(400)과;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뼈대를 형성하며,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을 제공하는 외부프레임(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0, 300')는,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기어(311, 311') 및 제2 기어(312, 312') 한 쌍,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하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3 기어(313, 313') 및 제4 기어(314, 314') 한 쌍, 상기 제1 기어(311, 311') 및 제2 기어(312, 312')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제5 기어(315, 315') 한 쌍 및 상기 제3 기어(313, 313') 및 제4 기어(314, 314')의 하측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16) 한 쌍을 포함하여, 육각 배치 구조를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재배프레임 사이의 거리 및 수평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THE PLANT CULTIVATION DEVICE}
본 고안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베드를 수직으로 순환시키면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골고루 제공하여 식물 재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재배베드의 이동 구조를 개선하여 최대의 공간 활용을 달성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공장이라 함은 실내에서 식물의 생육환경(광, 온습도, 영양분)을 인위적으로 제어하여 계획생산이 가능한 식물 재배시스템을 일컫는다.
이러한 식물 재배시스템은 태양광을 대신하여 고효율 무전극 형광램프, 형광등, LED 등과 같은 인공 광으로 대체하고, 식물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는 탄산가스 발생장치로 생육환경을 만들어 주며, 온도는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고, 양액은 토양성분과 유사하게 여러 가지 물질을 조제하여 재배되는 작물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식물 공장으로는 재배베드들을 단층으로 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수평형 재배시스템과, 재배베드들을 여러층으로 하여 재배하는 다단식 재배시스템과, 작물 재배조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물을 재배하는 작물 수직이송 재배시스템 등이 있다.
특히,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19787호, 제1213571호, 제1275976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10303호와 같은 작물 수직이송 재배시스템은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면적을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재배베드에 생육환경을 골고루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작물 수직이송 재배시스템은 재배베드의 이동 구조가 매우 복잡하거나 재배베드의 선회 반경이 커, 장치의 설치 공간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종래 기술 중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19787호는 이동 구조가 복잡하여 장치의 설치 폭이 넓어질 수밖에 없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13571호, 제1275976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10303호는 서로 이웃한 재배베드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재배베드 사이의 공간 확보를 위해 장치의 설치 폭이 넓어질 수밖에 없고, 방향 전환점에 설치되는 스프로킷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장치의 크기 및 설치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재배베드의 방향 전환 구역의 경로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앞서 방향 전환점을 통과한 재배베드가 라운드 경로를 따라 상승하는 중 뒤따르는 재배베드가 점차 가까워져 모서리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직선상의 두 점이 곡률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 그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재배베드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거나, 재배베드의 적층 높이를 낮게 할 수 밖에 없어 공간 대비 재배 효율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197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135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59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303호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재배베드를 수직으로 순환시키면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골고루 제공하여 식물 재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재배베드의 이동 구조를 개선하여 최대의 공간 활용을 달성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바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설치프레임과; 재배베드가 적층되는 재배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 후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기어들 및 상기 다수의 기어들에 계합되어 연동하는 이동체인을 통해 선회 경로를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재배프레임을 선회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와;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면에 제1 에어공급관, 제1 조명수단 및 제1 양액공급관이 구비되고,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을 제공하는 환경조정유닛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뼈대를 형성하며, 일측면에 제2 에어공급관, 제2 조명수단 및 제2 양액공급관이 구비되고,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을 제공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각 측면들에 설치되는 측면도어 및 상면에 설치되는 천장도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 한 쌍,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3 기어 및 제4 기어 한 쌍,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제5 기어 한 쌍 및 상기 제3 기어 및 제4 기어의 하측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한 쌍을 포함하여, 육각 배치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단에는 상기 구동기어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이동체인의 텐션을 조정하는 수평조정바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조정바는, 상기 설치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바와;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를 가압하는 조정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를 사이에 둔 이동체인의 꺾임 각도는 50°내지 8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에서는, 재배프레임을 선회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다수의 기어들 및 이동체인이 육각형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동부의 육각형 이동 경로 구조에 의해, 재배프레임 중 하나가 구동기어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동안 잇따르는 재배프레임은 구동기어를 향해 하강되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된 두 재배프레임 간의 충돌이 방지된다.
따라서, 잇따르는 재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동일 규모 내에 최대 개수의 재배프레임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를 사이에 둔 이동체인의 꺾임 각도가 50°내지 80°로 설치되어, 잇따르는 재배프레임 사이의 수평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설치프레임의 가로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서는 설치프레임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외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의 각 면에 설치되어 외부환경을 차단하는 측면도어 및 천장도어가 구비된다.
따라서, 식물 재배 공간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되어, 식물에 필요한 재배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각각의 식물 재배 공간별로 최적의 재배 환경을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동일 공간 대비 식물 수확량이 증가함과 더불어 다품종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기어 지지바 및 수평조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외부프레임의 외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와 외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탄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외부프레임에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기어 지지바 및 수평조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외부프레임의 외관 사시도가,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와 외부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탄낸 측면도가,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외부프레임에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크게 설치프레임(100), 재배프레임(200), 구동부(300, 300'), 환경조정유닛(400), 외부프레임(500), 측면도어(552) 및 천장도어(5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구동부(300, 300')는 육각 배치 구조의 선회 경로를 이루어 상기 재배프레임(200)을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재배프레임(200)이 이동하는 공간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프레임(100)은 상기 구동부(300, 300') 및 재배프레임(200)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와 같은 설치프레임(100)은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바(110) 및 상기 수직바(11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바(120)의 결합으로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110)는 적어도 네 개의 수직바(110)가 사각형 구조를 이루어 배치되며, 서로 이웃한 두 수직바(110) 사이에 상기 수평바(12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재배프레임(200)은 다수의 재배베드를 적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재배프레임(200)은 다수의 수납층으로 구획된 사각 선반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재배프레임(200) 다수가 상기 구동부(300, 300')를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100) 내측 공간에서 승강 및 하강하여 순환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구동부(300, 300')는 상기 재배프레임(200)을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전, 후면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재배프레임(200)의 전, 후단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동부(300, 300')는 상기 설치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과, 상기 다수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에 계합되어 연동하는 이동체인(320, 320')을 통해 선회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0, 300')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기어(311, 311') 및 제2 기어(312, 312')와,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하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3 기어(313, 313') 및 제4 기어(314, 314')와, 상기 제1 기어(311, 311') 및 제2 기어(312, 312')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제5 기어(315, 315')와, 상기 제3 기어(313, 313') 및 제4 기어(314, 314')의 하측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16)를 포함하여, 육각 배치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인(320, 320')은 상기 육각형으로 배치된 기어들(311,312,313,314,315,316)에 연동되어 순환하도록 상기 기어들(311,312,313,314,315,316)에 계합 됨으로써, 역시 육각형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상기 여섯 개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 및 이동체인(320, 320')이 결합한 구동 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전, 후면에 한 쌍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부(300, 300')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은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전, 후로 대칭되는 각각 한 쌍의 제1 기어(311, 311'), 제2 기어(312, 312'), 제3 기어(313, 313'), 제4 기어(314, 314'), 제5 기어(315, 315') 및 구동기어(3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316)는 중심축이 전달축(330)으로써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구동기어(316) 중 어느 하나는 감속모터(M)와 연결된 구동체인(C)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구동기어(316)의 회전은 상기 전달축(330)을 통해 다른 하나의 구동기어(316)로 전달된다.
또한, 전, 후로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이동체인(320, 320') 사이에는 연결봉(34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봉(340)은 상기 재배프레임(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이동체인(320, 320')에 각각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340)은 다수가 상기 이동체인(320, 320')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연결봉(340) 각각에는 상기 재배프레임(20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316)를 사이에 둔 상기 이동체인(320, 320')의 꺾임 각도는 50°내지 80°로 이루어짐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체인(320, 320')의 꺾임 각도가 50°내지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체인(320, 320')을 따라 상승하는 상기 재배프레임(200)의 상승 높이 변화량이 적어, 뒤이어 따라오는 재배프레임(200)과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재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넓게 두어야 하므로 상기 이동체인(320, 320')을 따라 배치되는 재배프레임(200)의 개수를 줄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구동기어(316)를 사이에 둔 상기 이동체인(320, 320')의 꺾임 각도를 50°내지 80°로 설정하여, 잇따르는 재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동일 규모 내에 최대 개수의 재배프레임(200)을 배치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316)는 상기 수직바(110)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조정바(350)에 설치된다.
상기 수평조정바(350)는 상기 구동기어(316)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이동체인(320, 320')의 텐션을 조정하는 것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바(110)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352)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35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바(354)와, 상기 브라켓(3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354)를 가압하는 조정볼트(35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352)에는 상기 지지바(354)를 볼팅 결합하기 위한 장공(358)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장공(358)에는 상기 지지바(354)를 관통하는 고정볼트(359)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52)의 상면에는 상기 조정볼트(356)가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을 관통상 조정볼트(356)의 종단은 상기 지지바(354)의 상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볼트(356)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지지바(354)의 설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경조정유닛(400)은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환경조정유닛(400)은 사각형 프레임(410)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1 에어공급관(420)과, 상기 프레임(410) 일측면에 수평으로 일정 간격 배치되는 제1 조명수단(430) 및 제1 양액공급관(4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조명수단(430)은 청색광, 적생광, 백색광, 녹색광을 발광하는 각각의 조명등으로 구성되며, 식물의 종류 및 성장 과정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 조명등이, 설정된 기간동안 설정된 시간으로 점등된다.
다음으로, 외부프레임(500)은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뼈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외부프레임(500)은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바(512) 및 상기 세로바(512)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바(514)의 결합으로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외부프레임(500)에는,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2 에어공급관(520)과, 상기 외부프레임(500) 일측면에 수평으로 일정 간격 배치되는 제2 조명수단(530) 및 제2 양액공급관(5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조명수단(530)은 청색광, 적생광, 백색광, 녹색광을 발광하는 각각의 조명등으로 구성되며, 식물의 종류 및 성장 과정에 맞추어 미리 설정된 조명등이, 설정된 기간동안 설정된 시간으로 점등된다.
또한, 상기 제2 조명수단(530)으로는 자외선 램프가 더 구비되어, 상기 외부프레임(500) 및 제2 에어공급관(520), 제2 양액공급관(540) 등을 살균, 클리닝 한다.
한편, 상기 외부프레임(500)은 상기 직육면체 프레임 구조가 내, 외로 이격 된 이중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각 측면에는 측면도어(552)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상면에는 천장도어(55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면도어(552)에는 내부를 살필 수 있는 관찰창(556)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프레임(500)은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저면에는 이동바퀴(5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100) 측으로 상기 외부프레임(500)이 이동될 때 이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가이드롤러(564)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564)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566)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100)에 다수의 재배프레임(200)이 설치되며, 기어들(311,312,313,314,315,316) 및 이동체인(320, 320')으로 구성된 구동부(300, 300')에 의해 상기 다수의 재배프레임(200)이 이동하면서 일정한 경로로 순환된다.
먼저, 도 1과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감속모터(M)가 작동되면, 상기 감속모터(M)의 구동력이 구동체인(C)을 통해 구동기어(316)로 전달된다. 이에, 상기 구동기어(316)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체인(320, 320')과 함께 제1 내지 제5 기어(315, 315')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인(320, 320')에 결합 된 상기 재배프레임(200)이 상기 이동체인(320, 320')을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100) 내에서 선회한다.
이때 상기 재배프레임(200)의 상단은 상기 이동체인(320, 320')에 결합된 연결봉(3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재배프레임(200)이 선회하는 동안 자중에 의해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재배프레임(200)에 설치된 재배베드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재배프레임(200)은 상기 구동기어(316)를 지나 제4 기어(314, 314'), 제2 기어(312, 312') 및 제5 기어(315, 315')를 차례로 통과하는 동안 상승하고, 상기 제5 기어(315, 315')를 지나 제1 기어(311, 311'), 제3 기어(313, 313') 및 구동기어(316)를 차례로 통과하는 동안 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0, 300')는 육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재배프레임(200) 중 하나가 상기 구동기어(316)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동안 잇따르는 재배프레임(200)은 구동기어(316)를 향해 하강되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된 두 재배프레임(200) 간의 충돌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316)의 높이는 상기 구동기어(316)를 지지하는 수평조정바(35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수평조정바(350)에서, 먼저 브라켓(352)에 구비된 장공 및 고정볼트(359)를 통해 상기 수평조정바(3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조정볼트(356)를 조작하여 상기 수평조정바(350)의 높이 및 수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수평조정바(350)를 통해 상기 구동기어(316)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동체인(320, 320')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100) 내측에는 환경조정유닛(400)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환경조정유닛(400)은 제1 에어공급관(420), 제1 조명수단(430) 및 제1 양액공급관(440)을 구비하고 있어, 외측으로 에어, 양액, 광원을 사전 설정된 대로 자동 공급하여, 식물의 최적 재배 환경을 조성한다.
상기 재배프레임(200)은 상기 환경조정유닛(400)의 주변을 선회함으로써, 상기 재배프레임(200)에 식재된 식물에 골고루 재배 환경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외측에는 외부프레임(500)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5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프레임(500)을 상기 설치프레임(100) 측으로 이동시켜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외부프레임(500)에는 제2 에어공급관(520), 제2 조명수단(530) 및 제2 양액공급관(540)이 구비되어 있어, 내측으로 에어, 양액, 광원을 사전 설정된 대로 자동 공급하여, 식물의 최적 재배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각 측면 및 상면에는 각각 측면도어(552) 및 천장도어(554)가 설치되어,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내부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외부프레임(500)에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프레임(500) 및 이에 설치된 각 구성 장치들을 살균 및 클리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구동기어(316)를 사이에 둔 상기 이동체인(320, 320')의 꺾임 각도가 50°내지 80°로 설치되어, 잇따르는 재배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동일 규모 내에 최대 개수의 재배프레임(200)을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잇따르는 재배프레임(200) 사이의 수평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설치프레임(100)의 가로폭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설치프레임 : 100 수직바 : 110
수평바 : 120 재배프레임 : 200
구동부 : 300, 300' 제1 기어 : 311, 311'
제2 기어 : 312, 312' 제3 기어 : 313, 313'
제4 기어 : 314, 314' 제5 기어 : 315, 315'
구동기어 : 316 이동체인 : 320, 320'
전달축 : 330 연결봉 : 340
수평조정바 : 350 브라켓 : 352
지지바 : 354 조정볼트 : 356
장공 : 358 고정볼트 : 359
환경조정유닛 : 400 프레임 : 410
제1 에어공급관 : 420 제1 조명수단 : 430
제1 양액공급관 : 440 외부프레임 : 500
세로바 : 512 가로바 : 514
제2 에어공급관 : 520 제2 조명수단 : 530
제2 양액공급관 : 540 측면도어 : 552
천장도어 : 554 관찰창 : 556
이동바퀴 : 562 가이드롤러 : 564
가이드레일 : 566

Claims (3)

  1. 다수의 수직바(110) 및 수평바(120)로 이루어진 설치프레임(100)과;
    재배베드가 적층되는 복수의 재배프레임(200)과;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전, 후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 및 상기 다수의 기어들(311,312,313,314,315,316)에 계합되어 연동하는 이동체인(320, 320')을 통해 선회 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재배프레임(200)들을 선회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300, 300')와;
    상기 설치프레임(100) 내의 중앙측 부위에 설치되며, 제1 에어공급관(420), 제1 조명수단(430) 및 제1 양액공급관(440)이 구비되어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을 제공하는 환경조정유닛(400)과;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뼈대를 형성하며, 내면에는 제2 에어공급관(520), 제2 조명수단(530) 및 제2 양액공급관(540)이 구비되어 식물 성장에 필요한 공기, 빛, 양액이 제공되도록 이루어진 외부프레임(500)과;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각 측면들에 설치되는 측면도어(552) 및 상면에 설치되는 천장도어(554)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외측에는 설치프레임(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가이드롤러(564)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프레임(500)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564)를 지지하는 가이드레일(56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 300')는,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 기어(311, 311') 및 제2 기어(312, 312') 한 쌍,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하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3 기어(313, 313') 및 제4 기어(314, 314') 한 쌍, 상기 제1 기어(311, 311') 및 제2 기어(312, 312')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제5 기어(315, 315') 한 쌍 및 상기 제3 기어(313, 313') 및 제4 기어(314, 314')의 하측 중앙에 설치되는 구동기어(316) 한 쌍을 포함하여 육각 배치 구조를 이루고,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하단에는 상기 구동기어(316)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기어(316)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이동체인(320, 320')의 텐션을 조정하는 수평조정바(350)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조정바(350)는,
    상기 설치프레임(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352)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35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바(354)와;
    상기 브라켓(3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354)를 가압하는 조정볼트(35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316)를 사이에 둔 이동체인(320, 320')의 꺾임 각도는 50°내지 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KR2020170002419U 2017-05-17 2017-05-17 식물 재배 장치 KR200488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19U KR200488545Y1 (ko) 2017-05-17 2017-05-17 식물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419U KR200488545Y1 (ko) 2017-05-17 2017-05-17 식물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15U KR20180003315U (ko) 2018-11-27
KR200488545Y1 true KR200488545Y1 (ko) 2019-02-18

Family

ID=6455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419U KR200488545Y1 (ko) 2017-05-17 2017-05-17 식물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220A (ko) * 2019-03-21 2020-10-05 강성실 리프트 재배기
KR102214546B1 (ko) 2019-08-01 2021-02-09 이제욱 육묘 재배장치
WO2021141275A1 (ko) * 2020-01-06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및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76B1 (ko) * 2021-11-03 2022-07-15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식물 재배장치용 구동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009B2 (ja) 1991-03-27 2000-06-0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紙容器乃びその製造に用いられる積層体
JP5392556B2 (ja) * 2009-07-30 2014-01-22 株式会社ネットワークテクノス 栽培システム
KR101483391B1 (ko) * 2014-03-18 2015-01-15 신용관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87B1 (ko) 2010-05-24 2013-01-11 대한민국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213571B1 (ko) 2010-06-21 2012-12-18 주식회사 필라이트솔루션 식물 재배 장치
KR101275976B1 (ko) 2011-01-14 2013-06-18 이금철 회전타워 식물 재배장치
US20160016258A1 (en) 2014-07-17 2016-01-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eld for differential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009B2 (ja) 1991-03-27 2000-06-0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紙容器乃びその製造に用いられる積層体
JP5392556B2 (ja) * 2009-07-30 2014-01-22 株式会社ネットワークテクノス 栽培システム
KR101483391B1 (ko) * 2014-03-18 2015-01-15 신용관 회전식 재배기 및 이를 갖는 온실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220A (ko) * 2019-03-21 2020-10-05 강성실 리프트 재배기
KR102321926B1 (ko) * 2019-03-21 2021-11-04 강성실 리프트 재배기
KR102214546B1 (ko) 2019-08-01 2021-02-09 이제욱 육묘 재배장치
WO2021141275A1 (ko) * 2020-01-06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및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15U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545Y1 (ko) 식물 재배 장치
CN102511342B (zh) 一种光源移行的温室补光装置
WO2016072042A1 (ja) 水耕栽培システム
US10299442B2 (en) Rotary plant growing apparatus
WO200507955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O2013129003A1 (ja) 栽培装置
WO2013072990A1 (ja) 栽培システム及び栽培方法
CN105028169A (zh) 具有多层循环结构的水培养系统
US11083141B2 (en) Growing system
KR102069432B1 (ko) 하이브리드 조명이 가능한 회전식 식물재배 장치
KR101317974B1 (ko) 식물 재배장치
US11350576B2 (en) Growing system
US11678621B2 (en) Growing system
CN104855291B (zh) 组培系统
KR20150000057U (ko) 다층작물재배장치
CN204670057U (zh) 组培瓶输送装置、led灯光培养箱和组培系统
KR20120117088A (ko) 모노레일식 식물자원 생산시스템
KR200481257Y1 (ko) 다층작물재배장치
KR20200140747A (ko) 코코배지를 활용한 다단형 식물재배기
KR20160015888A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CN217364141U (zh) 一种移动式育苗工厂
WO2020074861A1 (en) Apparatus for high density, automated cultivation
KR102580059B1 (ko) 식물 재배장치
CN204742126U (zh) 组培系统
CN204678171U (zh) 平面发光装置、led灯光培养箱和组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