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220A - 리프트 재배기 - Google Patents

리프트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220A
KR20200112220A KR1020190032341A KR20190032341A KR20200112220A KR 20200112220 A KR20200112220 A KR 20200112220A KR 1020190032341 A KR1020190032341 A KR 1020190032341A KR 20190032341 A KR20190032341 A KR 20190032341A KR 20200112220 A KR20200112220 A KR 20200112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ft
frame
cultivato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926B1 (ko
Inventor
강창억
강성실
Original Assignee
강성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실 filed Critical 강성실
Priority to KR102019003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9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2Racks;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재배가 이루어지는 균상이 중심축에 가까이 배치되는 기어에 의해 순환 이송되어 온도와 습도조절 및 공기순환이 이루어져 균일한 생육환경이 조성되며 주변에 통로 확보가 유리하여 적은 면적으로도 수확량이 증대되고 효율적인 작업환경관리가 이루어지는 리프트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프트 재배기{Lift cultivator}
본 발명은 리프트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재배가 이루어지는 균상이 담긴 트레이가 수직으로 순환 이송되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기어를 최대한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한 복수개의 리프트 재배기를 나란히 배열하고 주변에 통로를 확보하여 적은 면적으로도 효율적인 작업환경관리가 이루어지는 리프트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식감과 향이 우수하고 다양한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는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으로 예전부터 자연에서 채취하여 식용으로 널리 사용해왔으며, 근래에는 원목, 볏집, 활성탄 및 폐솜과 같은 배지를 이용해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고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인공적인 재배방식이 개발됨에 따라 농촌의 수익을 높여줄 수 있는 고부가가치 작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버섯류는 온도와 습도변화에 취약한 특성상 지속적인 온도와 습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생육저하나 병해로 인한 수확량 감소, 품질저하가 발생하기 쉬워, 재배사의 난방, 환기 및 습도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나 고령화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실정상 인력을 이용한 관리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재배환경 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종래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제20-0201343호는 상술한 버섯재배사의 환경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섯재배사에 온도와 습도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환기와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흡기, 배기수단과 공기순환수단과 온도, 습도, CO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에 의해 흡기배기수단과 공기순환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로 이루어져 버섯재배에 적절한 실내환경이 자동으로 유지되는 환경조절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재배사 내에 배치된 버섯배지가 놓여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부분적인 온도와 습도차이를 해소해주지 못하므로 버섯의 발아와 생육이 구간별로 각각 다른 시기에 이루어져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한정된 공간에 버섯배지가 조밀하게 배치됨에 따라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성장과정에서 발생한 가스가 종균을 오염시킬 우려가 높아 품질유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제20-0201343호는 상술한 버섯재배사의 환경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섯재배사에 온도와 습도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환기와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흡기, 배기수단과 공기순환수단과 온도, 습도, CO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에 의해 흡기배기수단과 공기순환수단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로 이루어져 버섯재배에 적절한 실내환경이 자동으로 유지되는 환경조절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재배사 내에 배치된 버섯배지가 놓여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부분적인 온도와 습도차이를 해소해주지 못하므로 버섯의 발아와 생육이 구간별로 각각 다른 시기에 이루어져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한정된 공간에 버섯배지가 조밀하게 배치됨에 따라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성장과정에서 발생한 가스가 종균을 오염시킬 우려가 높아 품질유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의 한국공개특허 제2005-0010742호는 프레임에 기어를 수직 배치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 배치로 프레임 측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이 전혀 없으며, 추가적으로 측면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는 통로를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진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4960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6-0039838호 한국공개실용 제1999-0030879호 한국등록실용 제02141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은 면적에서 여러층으로 식물 등을 재배할 때 발생하는 작업 공간과 공기 순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수직 수경 재배가 가능한 리프트 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프레임의 수직축을 양측면으로 편향시키고, 기어의 위치를 프레임의 중심축으로 이전하여 공간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제조한 리프트 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 및 자동으로 재배기의 동작을 즉시 멈출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적용하여 전기적인 조작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에 트레이를 위치시켜 정지시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리프트 재배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르게는 수직 회전식 재배단 상부와 내부에 습도 및 태양광에 가까운 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노즐 형 물 분사 장치, 안개분사장치 및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프레임; 식물이 담겨진 상태로 체인에 복수개 연결되는 트레이;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 상기 기어드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가이드 기어와 텐션기어에 전달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 동력을 사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를 사선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기어; 상기 가이드 기어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기어의 회전 동력을 수직으로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텐션기어; 상기 메인기어의 중심과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기어와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브기어; 상기 기어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식 프레임은,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으로 나뉘고 일정 위치에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을 관통하는 베어링 연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손잡이; 상기 손잡이를 지지하며 일정 각도로 움직이도록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손잡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당겨질 경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모터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기어 또는 체인을 정지시키는 락 장치를 포함하여 즉시 스톱시키는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기어는 상기 기어드 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어와 동력전달기어는 동력전달부 유니트 베어링으로 상기 조립식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는 가이드 기어부 유니트 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텐션기어는 텐션부 유니트 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서브기어는 서브 유니트 베이링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리프트 재배기의 상측부에는 고압 분무기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분무기로는 버섯의 경우 안개 분사 노즐을 사용하고, 일반 식물의 경우 물 분사 노즐을 상측부, 중측부, 또는 하측부에 설치한다.
상기 리프트 재배기의 상측부와 중측부 또는 중측부와 하측부 사이에 식물 성장을 위한 식물의 영양소 증가 및 병충해 예방용 LED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상측부 꼭지점에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걸려서 요동하면서 안빠지도록 하는 상측부가 좁고 하측부가 넓은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체인의 고리가 걸린다.
상기 리프트 재배기는 2개가 한 쌍으로 조립되거나 1개만 단독으로도 제작된다.
상기 손잡이(7-1)를 당길 경우 손잡이에 연결된 일자 형상 환봉(7-5)이 손잡이 당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도 같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체인(7-4)의 체결핀과 체결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7-5)이 끼워져 바로 스톱된다.
상기 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일자 형상의 환봉은 수평 이동과 지지를 위해 수평으로 나란히 연결된 한 쌍의 수직판 내부의 한 쌍의 구멍에 일자 형상의 환봉과 "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재배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측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동일 공간에 더 많은 리프트 재배기를 선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재배 공간의 재배기 설치 시 동일공간에 유지 부지를 최소화 시켜 작업자가 작업 시 최소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동일 공간의 면적을 최소화 되도록 제공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내부공기가 자연스럽게 순환되어 성장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로 인한 버섯의 오염을 방지하여 상품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눈높이의 수동 및 자동 스위치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면서 수동으로 락을 걸어 리프트 재배기를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멈추게 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고, 비상시 즉시 멈출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재배기의 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재배기의 상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재배기의 하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재배기의 조립된 전체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재배기의 전체 프레임과 조립된 기어 등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기어를 자세히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메인 기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각 확보를 위해 중심축에 근접하도록 배치한 기어들을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기어를 더 자세히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의 구조를 자세히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구조를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드 모터를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를 보여주는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섯 재배 이외의 다양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예 : 트레이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 프레임(5), 트레이(6), 기어드 모터(geared motor; 1), 메인기어(10), 가이드 기어(20), 텐션기어(30), 서브기어(40), 컨트롤러(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조립식 프레임(5)은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상측 프레임(5-1)과 하측 프레임(5-2)으로 나뉘는 데, 일정 위치에 메인기어(10), 가이드 기어(20), 텐션기어(30), 서브기어(40)를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관들을 관통하는 연결홀들(10-2, 20-2, 30-2, 4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상기 기어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메인기어(10), 가이드 기어(20), 텐션기어(30), 서브기어(40)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각틀 형상으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프레임을 크게 상측과 하측 프레임으로 분리하여 생산한 후 조립할 수도 있지만, 다시 상측과 하측을 좌우로 나눠 4 부분의 프레임으로 분리 생산하여 보관성을 높이면서 조립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어(10)의 축이 장착될 수 있는 메인기어 연결홀(10-2)이 상측 프레임(5-1)에 형성되고, 가이드 기어(20), 텐션기어(30), 및 서브기어(40)의 축이 장착될 수 있는 가이드 기어 연결홀(20-2), 텐션기어연결홀(30-2), 및 서브기어 연결홀(40-2)이 하측 프레임(5-2)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조립식 프레임(5)은 양측면에 한 쌍의 메인기어(10)를 장착할 수 있는 데, 메인기어(10)가 장착되는 제1 중심축 프레임관(5-3)과 제3 중심축 프레임관(5-5)을 제2 중심축 프레임관(5-4)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5)은 도 4와 같이 2개가 한 쌍으로 조립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2개가 아닌 1개만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심축 프레임관(5-3)은 좌측으로 제3 중심축 프레임관(5-5)은 우측으로 일정 간격 편향되게 조립하여, 한 편의 제1 중심축 프레임관(5-3)에 조립되는 메인기어(10), 가이드 기어(20), 텐션기어(30), 및 서브기어(40)가 다른 편의 제3 중심축 프레임관(5-5)에 조립되는 메인기어(10), 가이드 기어(20), 텐션기어(30), 및 서브기어(40)와 만드는 공간에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트레이(6)는 식물이 담겨진 상태로 체인에 복수개 연결되는 절단면이 다각형 형상이고 길이 방향으로 식물이나 버섯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꼭지점에는 체인의 고리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고리에 걸려서 요동하면서 안빠지도록 하는 상측부가 좁고 하측부가 넓은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체인의 고리가 걸린다.
상기 트레이(6) 중 최상단 트레이의 상측부에는 고압 분무기의 노즐을 안개가 분사하도록 개조한 안개 분사 노즐과 물 분사 노즐(미도시) 등을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섯의 경우 안개 분사 노즐을 사용하고, 일반 식물의 경우 물 분사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성장을 위한 식물의 영양소 증가, 병충해 예방 LED(미도시) 등을 더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식물 광합성에 도움을 주는 400nm ~ 500nm 파장의 청색 빛과 640nm ~ 700nm파장의 적색 빛을 이용하여 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 재배기의 상측부에는 고압 분무기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분무기로는 버섯의 경우 안개 분사 노즐을 사용하고, 일반 식물의 경우 물 분사 노즐을 상측부, 중측부, 또는 하측부에 설치한다.
상기 리프트 재배기의 상측부와 중측부 또는 중측부와 하측부 사이에 식물 성장을 위한 식물의 영양소 증가 및 병충해 예방용 LED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LED는 식물이 필요한 태양광과 같은 파장을 사용하거나 소독에 필요한 파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기어드 모터(1)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7-4)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로서 리미트 스위치 등의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특히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7-1)에 의해 기어드 모터(1)의 동력을 오프하여 리프트 재배기를 신속하게 정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드 모터(1)는 조립식 프레임(1)의 상측부에 사선으로 설치된 지지대(1-1)에 의해 지지되며, 관리자들이 통행할 때 바닥에서 걸리거나 물건에 부딪혀 파손될 위험을 방지하며 통행로의 공간 확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메인기어(10)는 상기 기어드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가이드 기어(20)와 텐션기어(30)에 전달하는 기어로서, 외경이 커질수록 한 쌍의 가이드 기어(20) 등과 만들어 내는 측면 공간이 넓어져서 관리자가 통과하거나 리프트 재배기를 관리하기 편리하며, 따로 관리자에게 필요한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 좁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기어(20)는 상기 메인기어(10)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 동력을 사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를 사선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기어로서 만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기어(20)가 상기 메인기어(10)의 하측부에 수직으로 위치한다면 측면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관리자에게 필요한 공간을 따로 제공해야 해 공간 활용성이 떨어진다.
한 쌍의 텐션기어(30)는 상기 가이드 기어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기어의 회전 동력을 수직으로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기어로서, 상기 측면 공간을 수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에게 필요한 공간을 따로 제공해야 할 필요가 없다.
서브기어(40)는 상기 메인기어(10)의 중심과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기어(30)와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기어로서 상기 한 쌍의 텐션기어(30)와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여기에서 측면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해 상기 메인기어(10)와 가이드 기어(20) 간의 간격이 가이드 기어(20)와 텐션기어(30)의 간격보다 크고, 가이드 기어(20)와 텐션기어(30)의 간격이 텐션기어(30)와 서브기어(40)의 간격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큰 사람이 서서 작업 하더라도 충분한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기어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메인기어의 중심축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 유니트 베어링과, 상기 가이드 기어의 가이드 기어부 유니트 베어링과, 상기 텐션기어의 텐션부 유니트 베어링에 의해 회전 운동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손잡이(7-1), 상기 손잡이(7-1)를 지지하며 일정 각도로 움직이도록 결합된 결합부(7-3)로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7-1)가 당겨질 경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모터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기어 또는 체인을 정지시키는 락 장치를 포함하여 즉시 스톱시키는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리프트 재배기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프레임관으로 결합된 상측 프레임(5-1)과 하측 프레임(5-2)을 따로 제조한다.
이 때 상측 프레임(5-1)과 하측 프레임(5-2)을 좌우로 더 나눠 4 부분의 프레임으로 분리 생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하측 프레임(5-2) 위에 상측 프레임(5-1)을 볼트 체결 또는 용접으로 결합한 후 메인기어(10), 가이드 기어(20), 텐션기어(30), 서브기어(40)를 준비한다.
상기 조립식 프레임(5)의 메인기어 연결홀(10-2)에 메인기어(10)를 조립한 후, 하측 프레임(5-2)의 가이드 기어 연결홀(20-2)에 가이드 기어(20)를 조립하고, 텐션기어연결홀(30-2)에 텐션기어(30)를 조립하며, 서브기어 연결홀(40-2)에 서브기어(40)의 축을 장착한다.
그리고 조립식 프레임(5)의 상측부에 설치된 지지대(1-1)에 기어드 모터(1)를 조립한다.
그리고 기어드 모터(1)의 축에 체인을 걸어 메인기어(10)의 앞단에 위치한 동력전달기어(12)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메인기어(10)의 접선 중 사선이 되는 부분에 가이드 기어(20)를 위치시켜 수직 접선 부분에 위치시키는 것 보다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다시 가이드 기어(20)와 수직 접선 부분에 텐션기어(30)를 위치시키고, 사선이 되는 접선 부분에 마지막 서브기어(4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각 기어들(10, 20, 30, 40)과 기어드 모터(1)가 체인으로 최종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기어(10)와 가이드 기어(20)가 형성하는 사선 접선 부분과 가이드 기어(20)와 텐션기어(30)가 형성하는 수직 접선 부분이 확보한 통로에 작업자가 오가며 수확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드 모터(1)를 작동시키는 전력 장치와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수직 회전식 리프트 재배기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고압 분사기와 LED를 통해 습도 및 원하는 조도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식물 또는 버섯을 담은 트레이(6)를 체인(7-4)의 고리에 걸어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리프트 재배기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기어드 모터(1)가 작동해야 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기어드 모터(1)를 멈추기 위해 즉각적으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작동이 수행되는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7)는 작업자가 본인이 원하는 높이에 트레이를 위치시키거나, 작업 중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순간 찾기 어려운 전기적 스위치 보다 눈에 띄기 쉬운 공간에 작업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된다.
만일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7)를 작업자가 당기면 바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모터의 전원이 끊어지며, 일직선 축(7-5)에 연결된 락 장치에 기어(10, 20, 30, 40) 또는 체인(7-4)이 끼워져 정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긴급 상황에서 손잡이(7-1)를 당길 경우 손잡이에 연결된 일자 형상 환봉(7-5)이 손잡이 당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도 같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체인(7-4)의 체결핀과 체결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7-5)이 끼워져 바로 스톱 될수 있다. 이 때 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일자 형상의 환봉은 수평 이동과 지지를 위해 수평으로 나란히 연결된 한 쌍의 수직판 내부의 한 쌍의 구멍에 일자 형상의 환봉과 "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이 끼워진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7)는 전기 스위치 조작에 익숙치 않는 노인이나 농부들에게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장에서 작업하기 편리한 높이에 위치시키거나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기어드 모터(1)의 제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1 : 기어드 모터
5-1 : 상측 프레임
5-2 : 하측 프레임
5 : 조립식 프레임
6 : 트레이
7 :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
7-1 : 손잡이
7-2 : 지지대
7-3 : 힌지
7-4 : 체인
7-5 : "ㄷ"자형 환봉
10 : 메인기어
10-2 : 메인기어 연결홀
20 : 가이드 기어
20-2 : 가이드 기어 연결홀
30 : 텐션기어
30-2 : 텐션기어연결홀
40 : 서브기어
40-2 : 서브기어 연결홀

Claims (10)

  1. 조립식 프레임(1);
    식물이 담겨진 상태로 체인에 복수개 연결되는 트레이(6);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1);
    상기 기어드 모터(1)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가이드 기어(20)에 전달하는 메인기어(10);
    상기 메인기어(10)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 동력을 사선으로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를 사선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 기어(20);
    상기 가이드 기어(20)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기어의 회전 동력을 수직으로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텐션기어(30);
    상기 메인기어(10)의 중심과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기어(30)와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서브기어(40);
    상기 기어드 모터(1)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리프트 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프레임(5)은,
    상측 프레임(5-1);과 하측 프레임(5-2);으로 나뉘고 일정 위치에 상측 프레임(5-1);과 하측 프레임(5-2);을 관통하는 베어링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7-1);
    상기 손잡이(7-1)를 지지하며 일정 각도로 움직이도록 결합된 결합부(7-3);
    상기 결합부(7-3)와 힌지 결합되어 손잡이(7-1)를 지지하는 지지부(7-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7-1)가 당겨질 경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모터의 전원을 오프하고 상기 기어 또는 체인(7-4)을 정지시키는 락 장치를 포함하여 즉시 스톱시키는 수동 자동 겸용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10)는 상기 기어드 모터(1)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기어(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기어(10)와 동력전달기어(12)는 동력전달부 유니트 베어링으로 상기 조립식 프레임(1)과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20)는 가이드 기어부 유니트 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텐션기어(30)는 텐션부 유니트 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서브기어(40)는 서브 유니트 베이링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재배기의 상측부에는 고압 분무기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분무기로는 버섯의 경우 안개 분사 노즐;을 사용하고, 일반 식물의 경우 물 분사 노즐;을 상측부, 중측부, 또는 하측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재배기의 상측부와 중측부 또는 중측부와 하측부 사이에 식물 성장을 위한 식물의 영양소 증가 및 병충해 예방용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6)의 상측부 꼭지점(6-1)에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걸려서 요동하면서 안빠지도록 하는 상측부가 좁고 하측부가 넓은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체인의 고리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재배기는 2개가 한 쌍으로 조립되거나 1개만 단독으로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7-1)를 당길 경우 손잡이에 연결된 일자 형상 환봉(7-5)이 손잡이 당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도 같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체인(7-4)의 체결핀과 체결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7-5)이 끼워져 바로 스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일자 형상의 환봉은 수평 이동과 지지를 위해 수평으로 나란히 연결된 한 쌍의 수직판 내부의 한 쌍의 구멍에 일자 형상의 환봉과 "ㄷ"자형으로 이어 붙어진 다른 일자 형상의 환봉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재배기.
KR1020190032341A 2019-03-21 2019-03-21 리프트 재배기 KR102321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41A KR102321926B1 (ko) 2019-03-21 2019-03-21 리프트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41A KR102321926B1 (ko) 2019-03-21 2019-03-21 리프트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20A true KR20200112220A (ko) 2020-10-05
KR102321926B1 KR102321926B1 (ko) 2021-11-04

Family

ID=7280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341A KR102321926B1 (ko) 2019-03-21 2019-03-21 리프트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92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173A (ko) * 1996-11-18 1998-08-05 정관선 승하강구조의 다단식 동물사육을 겸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
KR19990030879A (ko) 1997-10-07 1999-05-06 윤종용 무선 전송 장치
KR100214168B1 (ko) 1991-12-19 1999-08-02 리패치 고신뢰도 위상동기 루프
JP2003117901A (ja) * 2001-10-12 2003-04-23 Komatsu Zenoah Co チェンソーの制動装置
KR20050049602A (ko) 2003-11-21 2005-05-27 윤정섭 버섯 종균접종기리프트 겸용 재배사의 배지 자동입상 및폐상장치와 그를 이용한 버섯 종균접종기리프트 겸용재배사의 배지 자동입상 및 폐상공정
KR20060039838A (ko) 2004-11-03 2006-05-09 정의호 다단 균상 순환이송식 버섯재배장치
KR20130037973A (ko) * 2011-10-07 2013-04-17 박규식 식물 재배장치
KR101653600B1 (ko) * 2016-04-15 2016-09-02 신호특장공업(주) 회전식 식물재배장치
KR20170050438A (ko) * 2015-10-30 2017-05-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송이가 풍차식 버섯재배장치
KR200488545Y1 (ko) * 2017-05-17 2019-02-18 조현 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168B1 (ko) 1991-12-19 1999-08-02 리패치 고신뢰도 위상동기 루프
KR19980037173A (ko) * 1996-11-18 1998-08-05 정관선 승하강구조의 다단식 동물사육을 겸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
KR19990030879A (ko) 1997-10-07 1999-05-06 윤종용 무선 전송 장치
JP2003117901A (ja) * 2001-10-12 2003-04-23 Komatsu Zenoah Co チェンソーの制動装置
KR20050049602A (ko) 2003-11-21 2005-05-27 윤정섭 버섯 종균접종기리프트 겸용 재배사의 배지 자동입상 및폐상장치와 그를 이용한 버섯 종균접종기리프트 겸용재배사의 배지 자동입상 및 폐상공정
KR20060039838A (ko) 2004-11-03 2006-05-09 정의호 다단 균상 순환이송식 버섯재배장치
KR20130037973A (ko) * 2011-10-07 2013-04-17 박규식 식물 재배장치
KR20170050438A (ko) * 2015-10-30 2017-05-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송이가 풍차식 버섯재배장치
KR101653600B1 (ko) * 2016-04-15 2016-09-02 신호특장공업(주) 회전식 식물재배장치
KR200488545Y1 (ko) * 2017-05-17 2019-02-18 조현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926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8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KR101240249B1 (ko) 식물재배시스템
US20180035624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US9078404B2 (en) Automatic agricultural cultivating equipment with a loading unit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JP2022523126A (ja) 作物を栽培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式ユニッ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栽培カラム
CN101502231B (zh) 作物全过程屏蔽式生长方法及生长站
JP4880082B1 (ja) カプセル型野菜栽培装置
KR101740578B1 (ko) 수경재배장치
KR102138481B1 (ko) 스마트 팜 큐브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JP2016150001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システム
KR101259674B1 (ko) 유닛화된 농작물 재배용 부스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472548B1 (ko) 코코배지를 활용한 다단형 식물재배기
KR102321926B1 (ko) 리프트 재배기
CN109561658B (zh) 容纳垂直农场的罐
KR102436031B1 (ko) 회전식 식물 재배기
KR101248986B1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내 재배부의 이송장치
JP6489602B2 (ja) 建物緑化構造体及び建物緑化システム
CN104012343B (zh) 植物栽培装置
CN206294603U (zh) 一种草莓越夏育苗大棚
KR102436030B1 (ko) 회전식 식물 재배기
KR102457286B1 (ko) 식물과 버섯 겸용 재배장치
KR20180003682U (ko) 천정 녹화 시스템
CN215380253U (zh) 一种可以自动调温的温室大棚
JP5032375B2 (ja) 建造物の緑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