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48Y1 -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48Y1
KR200488348Y1 KR2020180003495U KR20180003495U KR200488348Y1 KR 200488348 Y1 KR200488348 Y1 KR 200488348Y1 KR 2020180003495 U KR2020180003495 U KR 2020180003495U KR 20180003495 U KR20180003495 U KR 20180003495U KR 200488348 Y1 KR200488348 Y1 KR 200488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in body
handle
case
kno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준
Original Assignee
이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준 filed Critical 이후준
Priority to KR2020180003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48Y1/ko
Priority to PCT/KR2019/003082 priority patent/WO20200226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위치에서는 상기 본체의 면적 내에 위치하고, 제2위치에서는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면적으로부터 벗어나 위치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Case for mobile appliance}
본 고안은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기기들은 스마트폰 개발 후, 현재 가장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기술분야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와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전화의 기능은 물론이며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갖추고 있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인터넷 쇼핑이나 뱅킹 등이 가능하다. TV와 라디오 청취 등의 방송 서비스와 카메라, 캠코더, MP3 기능, 무전기 기능까지 갖추고 있으며 워드프로세서나 엑셀 등과 같은 문서작성도 가능하다. Wi-Fi 기능을 활용해 음성패킷망(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도 할 수 있다. 다양한 단말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기능 복합단말기'라고도 부른다.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또는 전용 운영 체제(OS)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크기는 다양한데, 대부분 소위 어른 손바닥만한 것들이 대부분으로 주머니나 지갑, 가방 등에 넣고 다니기도 하고, 그냥 손으로 들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스마트폰은 형태적인 디자인 측면에서, 거의 얇은 직사각형 판재 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통상 전면의 대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식과 버튼식을 조합 하여 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스마트폰은 저가보다는 고가에 속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생활기스나 파손을 방지하고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또는 외관의 미려하게 하거나 개인 취향대로 꾸미기 위하여 또는 기능상의 효과를 위하여 케이스를 조립하는 경우가 있다.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경우에는 쿠션 재질의 케이스를 후면을 포함하여 전면은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조립되고, 지갑형태의 케이스는 케이스 부분이 스마트폰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면을 덮도록 커버가 케이스에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지갑의 경우에는 카드나 현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후방에 소위 고리 형태의 손잡이 등을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즉 고리 형태의 손잡이를 양면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부착한 다음, 손가락 삽입하고 그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손잡이는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폰을 다루는데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스를 조립한 경우에는 단순히 케이스를 결합시킨 것으로 없는 상태와 거의 동일하게 양손을 써서 사용해야 하고, 고리형 손잡이를 구비한 경우에는 한쪽 손은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제약이 생기게 된다.
등록특허 10-1810443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지 또는 이동 중에도 양손 또는 한 손으로 케이스를 잡아 고정할 수 있어 게임이나 동영상 감상이 편리한 여러 각도로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위치에서는 상기 본체의 면적 내에 위치하고, 제2위치에서는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면적으로부터 벗어나 위치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서로 대칭되는 3가지 각도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상기 제1위치에서 끝단 일부가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는 회전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삽입부에는 일정각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회전판의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홈에 삽입되는 각도조절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고안은 손잡이가 접이식으로 되어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그립감이 좋다.
(2) 본 고안은 손잡이를 펼쳐 양 손으로 잡게 되면 게임, 영화(tv시청) 시 보다 안정감 있고 편리한 사용을 할 수 있다.
(3) 본 고안은 걸어 다니며 핸드폰을 사용해 게임 및 영화 및 tv시청 시에도 떨어뜨릴 염려가 확연히 줄어든다.
(4) 본 고안은 평상시 손에 들고 걸어 다닐 때 역시 그립감이 있어 떨어뜨릴 확률이 줄어든다.
(5) 본 고안은 손잡이를 활용해 사진을 찍을 시 보다 여러 각도의 확장과 안전성 있게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제1위치에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손잡이부의 체결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작동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작동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의 작동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케이스(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 및 한 쌍의 손잡이(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도 1 내지 도를 참고하면, 모바일기기인 스마트폰(1)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때, 상기 본체(20)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 스마트폰(1)의 배면,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고, 유연한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때, 상기 본체(20)에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판(3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삽입부(21)의 입구는 상기 회전판(3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삽입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고, 삽입 시에는 상기 회전판(31)이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21)의 입구 부분이 약간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상기 삽입부(21)의 입구의 경도는 적절히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부(21)의 입구 주위에는 인접하여 원호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각도조절용 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용 홈(21a)은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한 각도들에 형성되어 손잡이(30)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조력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본체(2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본체(20)의 후방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의해 상기 손잡이(30)의 회전 반경이 정해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20)의 양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20)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위치에서는 상기 본체(20)의 면적 내에 위치하고, 제2위치에서는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본체(20)의 면적으로부터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각 손잡이(30)는 서로 다른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는 서로 대칭되는 3가지 각도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는 하나의 각도조절용 돌기(21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21)에 각도조절용 홈(21a)이 일정각도마다 3개를 형성하게 되면 3가지 각도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보다 많은 수의 각도조절용 홈(21a)을 형성하면 더 다양한 각도에서 고정이 가능하게 되나, 그 각도마다 홈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홈의 크기와 손잡이(30)의 쓰이는 각도를 고려한 최적의 수를 설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는 회전판(31)의 회전축 중심에 가까울수록 폭을 크게 설계함으로써 회전 안정성을 추구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에는 회전판(3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회전판(3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1)와 회전판(31)의 형상은 회전을 위한 형태이기 때문에 원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21)는 내부에 회전판(31)이 삽입된 다음 빠지지 않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 직경이 상기 회전판(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회전판(3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어느 정도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손잡이에는 원판형의 베이스(32) 상면에 상기 회전판(31)이 상기 손잡이(30)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21) 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연결부(33)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32)에 고정 형성된다.
이때,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상기 본체(20)의 삽입부(21)에는 일정각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용 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의 회전판(31)의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홈(21a)에 삽입되는 각도조절용 돌기(31a)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30)는 본체(20)에 대하여 일정각도 회전한 다음 각도조절용 돌기(31a)가 각도조절용 홈(21a)에 삽입되면 그 부분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10)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모바일기기인 스마트폰(1)에 케이스 본체(20)가 씌워져 있고, 상기 손잡이(30)가 본체(2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서로 대칭으로 회전되어 있는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30)의 각도조절용 돌기(31a)가 상기 본체(20) 삽입부(21)의 각도조절용 홈(21a)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손잡이(30)는 힘을 주지 않은 이상 회전하지 않고 그 각도로 고정되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1)을 사용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 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과 손으로 상기 손잡이(30)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면서 게임, 동영상 시청, 채팅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웬만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양 손으로 손잡이(30)를 잡고 있기 때문에 놓치지 않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손잡이(30)를 착탈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때 상기 손잡이(30)의 회전판(31)이 본체 삽입부(21)에 삽입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비틀어 힘을 주아 당기면 빠질 수도 있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위치에 손잡이(30)가 위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손잡이(30)는 회전되어 상기 본체(20) 배면 면적 내에 위치하게 되고, 손잡이(3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손잡이(30)의 회전판(31)이 상기 손잡이(3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옆에 각각 하나씩 각도조절용 돌기(31a)가 형성된 것도 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손잡이(30)가 본체(20)의 삽입부(21)에 결합된 상태를 자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30)에는 회전판(31)과 각도조절용 돌기(31a)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판(31)은 연결부(32)를 매개로 손잡이(3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31)의 끝단부는 상기 삽입부(21)의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삽입부(21) 내부에 안착되어 있고, 각도조절용 돌기(31a)는 각도조절용 홈(21a)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손잡이(30)를 원하는 서로 다른 각도로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각도조절용 돌기(31a)가 홈(21a)에 안착되면 그 위치에서 어느 정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바일기기용 케이스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본체(120)와 한 쌍의 손잡이(130)로 이루어지는 것은 전번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손잡이(130)는 상기 제1위치에서 끝단 일부가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30)와 본체(120)에 걸림돌기(120a,130a)를 형성하여 각각의 걸림돌기(120a,130a)에 손잡이(3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1위치의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손잡이(3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손잡이가 함부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술은 각도조절용 돌기와 홈을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30)가 본체(220)의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손잡이의 겹치는 부분에 한쪽 손잡이에는 고정용 돌기(231)를, 다른 한쪽에서 손잡이에는 고정용 홈(232)을 형성하여 제1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스마트폰
10 : 케이스 20 : 본체
21 : 삽입부 21a : 각도조절용 홈
30 : 손잡이 31 : 회전판
31a : 각도조절용 돌기 32 : 연결부

Claims (7)

  1. 모바일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의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본체의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위치에서는 상기 본체의 면적 내에 위치하고, 제2위치에서는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면적으로부터 벗어나 위치하는 한 쌍의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상기 제1위치에서 끝단 일부가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가 상기 본체의 제1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의 겹치는 부분에 한쪽 손잡이에는 고정용 돌기가, 다른 한쪽 손잡이에는 고정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홈에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어 제1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서로 대칭되는 3가지 각도에서 각각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는 회전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삽입부에는 일정각도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회전판의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홈에 삽입되는 각도조절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KR2020180003495U 2018-07-27 2018-07-27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KR200488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95U KR200488348Y1 (ko) 2018-07-27 2018-07-27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PCT/KR2019/003082 WO2020022604A1 (ko) 2018-07-27 2019-03-18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95U KR200488348Y1 (ko) 2018-07-27 2018-07-27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48Y1 true KR200488348Y1 (ko) 2019-01-16

Family

ID=6526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95U KR200488348Y1 (ko) 2018-07-27 2018-07-27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8348Y1 (ko)
WO (1) WO20200226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67Y1 (ko) * 2019-02-13 2020-03-12 주식회사 협력 단말기용 케이스
KR102215715B1 (ko) 2020-09-21 2021-02-16 이선웅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34B1 (ko) * 2013-11-15 2015-04-09 박홍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5071775A1 (en) * 2013-11-14 2015-05-21 Htp S.R.L. Protective casing for a mobile phone
KR20160040637A (ko) * 2013-08-06 2016-04-14 폴 앤서니 에를란센 스트레인지 휴대폰 또는 유사 기기용 케이스
KR20170024511A (ko) * 2015-08-25 2017-03-07 구현우 휴대전화 케이스
KR101810443B1 (ko) 2016-02-26 2017-12-19 전대형 액세서리를 구비한 핸드폰용 보호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58Y1 (ko) * 2016-02-01 2018-03-22 이근성 망원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637A (ko) * 2013-08-06 2016-04-14 폴 앤서니 에를란센 스트레인지 휴대폰 또는 유사 기기용 케이스
WO2015071775A1 (en) * 2013-11-14 2015-05-21 Htp S.R.L. Protective casing for a mobile phone
KR101510634B1 (ko) * 2013-11-15 2015-04-09 박홍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70024511A (ko) * 2015-08-25 2017-03-07 구현우 휴대전화 케이스
KR101810443B1 (ko) 2016-02-26 2017-12-19 전대형 액세서리를 구비한 핸드폰용 보호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67Y1 (ko) * 2019-02-13 2020-03-12 주식회사 협력 단말기용 케이스
KR102215715B1 (ko) 2020-09-21 2021-02-16 이선웅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604A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6483B1 (en) Mobile terminal
US84946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50716B2 (en) Mobile terminal
US7516933B2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US714619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housings connected by cylindrical hinge
US7440783B2 (en)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8126519B2 (en) Hous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construction to slide and pivot into multiple positions
US7610067B2 (en) Sw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843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8032192B2 (en)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swing-type cradling apparatus thereof
US20060211460A1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20050287853A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736306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488348Y1 (ko) 모바일기기용 케이스
US20060225249A1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20080274774A1 (en) Multi-step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20210016236A (ko)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6856792B2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04308872A (ja)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880750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US20080070644A1 (en) Flip-up type mobile phone
US2007014210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keypads and main body thereof
KR20050023450A (ko) 전자 장치용 자가 개방 기구
KR200487167Y1 (ko) 보호 커버
KR200373821Y1 (ko)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