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41Y1 -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41Y1
KR200488341Y1 KR2020160007466U KR20160007466U KR200488341Y1 KR 200488341 Y1 KR200488341 Y1 KR 200488341Y1 KR 2020160007466 U KR2020160007466 U KR 2020160007466U KR 20160007466 U KR20160007466 U KR 20160007466U KR 200488341 Y1 KR200488341 Y1 KR 200488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ur gear
pressing bar
ba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977U (ko
Inventor
나승협
Original Assignee
나승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협 filed Critical 나승협
Priority to KR2020160007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4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9/0406Dice-throwing devices, e.g. dice cu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사위를 굴려주는 회전판이 구비된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판에 구비된 평기어와 케이스에 결합된 가압바의 레크부가 연동되며, 상기 가압바를 누름으로써 회전판이 회전되어 회전판 상측에 위치된 주사위를 굴려지도록 한 것이며 또한, 게임자가 가압바를 누르는 힘과 누르는 거리를 이용하여 회전판의 회전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A device of rotating object}
본 고안은 보드게임에 이용하는 주사위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게임자가 케이스 일측에 구비된 가압바를 누름으로써 케이스 상측에 구비된 회전판에 의해 랜덤하게 주사위가 굴림 되어지면서 주사위를 굴리는 재미를 갖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위를 이용하여 즐기는 게임으로는 블루마블 보드게임이 있다.
이러한 보드게임은 게임자의 게임 말이 주워지는데 이러한 게임 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주사위를 굴려 나오는 숫자만큼 게임 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국내 최초의 보드게임으로, 1980년대 초반에 어린이들 사이에서 커다란 인기를 모았다. 브루마블은 푸른 구슬로 지구를 뜻하는데, 1934년에 발매된 미국의 모노폴리(mopoly)라는 부동산 보드게임과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한 지방에서 부르아 에테니스와 사라센 이크리마블이라는 농부가 주사위 모양의 짚단을 갖고 땅 빼앗기 놀이를 하던 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참고로, 게임은 전후반으로 구분되는데, 전반전은 게임판을 돌며 주권카드를 구매하고, 후반전에는 자신의 땅에 건물을 짓고 임대료를 받으면서 본격적인 게임이 시작된다. 게임의 목표는 자신의 땅에서 걷히는 임대료 수입을 통해 수익을 얻어 파산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것으로, 최후의 1명이 승자가 된다. 게임은 3회 휴식하는 무인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우주여행, 사회복지기금과 같은 비주권지역과 황금열쇠라는 액션카드가 존재하여 다양한 전략과 룰이 활용될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규칙은 블루마블식 게임에서는 모두 통용된다.
한편, 여기서 사용되는 주사위는 주로 6면체이며, 손으로 주사위를 굴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이러한 주사위를 손으로 굴리려면 주사위를 굴릴 수 있는 임의의 장소가 필요하였으며 이러한 임의의 장소는 통상적으로 보드게임판 위로 굴리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주사위를 굴리는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할 경우에는 굴려진 주사위가 보드게임의 말 또는 액션카드 등의 게임에 필요한 도구와 부딪쳐 게임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01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가 구비된 회전장치에 스위치를 눌러 온 상태가 되면 건전지의 전력이 전동모터로 전달되어 상기 전동모터는 회전하고 이러한 전동모터가 회전판을 회전시켜 회전판 상측에 위치된 주사위를 굴리도록 한 회전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장치의 경우, 전동모터가 회전판을 돌려주기 때문에 회전판의 회전비는 매번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되어 주사위에서 나오는 범위값이 한정되기 때문에 주사위에서 매번 동일한 값 또는 일정한 범위내의 값이 나오게 되고,
더욱이 게임 중에 건전지가 방전되면 더 이상 게임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단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주사위를 돌리는 긴장감이 사라지게 되어 보드게임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사위를 굴리는 재미가 없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모터 및 건전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주사위를 굴려 줄 수 있으며, 특히 회전판의 회전비를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자가 주사위를 굴리는 재미를 갖도록 한 것이다.
투명캡 안쪽에 위치한 주사위를 굴려주는 회전판이 구비된 회전장치에 있어서,
함체는 상,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부케이스 상측으로 회전판이 구비되며, 이때 회전판의 하단으로 평기어가 구비된 축이 상부케이스를 거쳐 상부케이스 내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함체 일측으로 일정한 범위로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압바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바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 누름부는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고, 누름부의 타측에 형성된 레크부는 회전판의 평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누름부가 눌려져 가압바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레크부와 맞물려 있는 회전판의 평기어를 움직여, 회전판 상측에 위치된 주사위가 자유롭게 굴려지도록 구성된 주사위 회전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압바의 끝단에 형성된 제1걸이부와 하부케이스 바닥에 형성된 제2걸이부의 사이를 탄성부재로 결합하여, 가압바를 누르면 수축 또는 팽창되는 탄성부재로 인하여 가압바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판에 구비된 평기어와, 가압바의 일측에 구비된 레크부 사이에, 기어비가 서로 다른 이단평기어가 구비되어, 가압바가 최소한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판의 상측면에 다수의 돌기테를 구비하여 회전판이 회전될 때 회전판의 상측에 위치된 주사위의 일부분이 걸림되어 주사위가 굴려지는 액션과 사운드를 창출하여 주사위를 굴리는 재미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장치에 구비된 가압바의 누름부에 엄지가 위치되고, 검지와 중지는 함체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의 양측으로 구비된 연장부에 위치되면서 한 손으로 가압바를 눌러 용이하게 주사위를 굴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드 게임을 할 때, 게임자가 가압바를 누르는 힘 또는 눌러진 거리로 인하여 회전판의 회전비를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랜덤으로 굴려지는 주사위에 의해 향상된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단면도.
도 4는 가압바의 레크부와 회전판의 평기어가 맞닿는 평면도.
도 5는 가압바가 탄성부재로 인하여 원위치로 복원되는 측단면도.
도 6은 레크부와 평기어 사이에 이단평기어가 구비된 저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장홀에 의해 이단평기어가 이동되는 평면도.
도 9는 주사위가 굴려지는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의 작동상태의 외관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회전장치의 내부구조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장치의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가압바의 레크부와 가속기어의 소기어가 맞닿아 구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가압바가 탄성부재로 인하여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레크부와 가속기어 및 회전판을 회전토록 하는 평기어가 회전을 가속시켜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 및 도8은 도6의 장홀에 의하여 가속기어가 전진과 후진시에 평기어와 맞물림과 풀림이 이루어지는 보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9는 회전판의 상면에 구비된 돌기테로 인하여 주사위가 통통 튀면서 굴려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돔형상의 투명캡이 장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체의 돔형상의 투명캡의 내부에는 주사위가 내입되어지고, 상기 주사위는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어진 회전판의 상측에 위치되어지고,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는 주사위가 회전될 수 있는 돌기테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함체(100)의 일측에는 검지와 중지가 위치되어 걸림가능토록 돌출부(110)와 그 선단으로는 연장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10)의 중앙으로는 가압바(3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바(30)는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110)에서 노출되어진 끝단에 엄지가 위치되어 누를수 있도록 누름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31)의 전방으로는 탄성부재 즉, 스프링(70)의 제1고리(72)와 결합되는 제1걸림부(32)가 형성되며, 그 측면으로는 회전판(40)에 고정된 축(43)에 연결된 평기어(42)와 맞물려 회전판(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크부(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압바(30)의 상면에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리브살(35)로 인하여 가압바(30)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리브살(35)과 상부케이스(10) 아랫면에 형성된 격벽(14)이 밀착되어 가압바(30)가 일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받쳐주면서, 또한 눌려진 가압바(30)가 늘어난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돌출부(110)의 내측벽과 가압바(30)의 아랫면에 형성된 멈춤돌기(36)가 맞닿게 되면서 멈추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케이스(20) 바닥면에는 스프링(70)의 제2고리(74)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24)가 형성되며, 제2걸림부(24) 양측으로 이격공간(23)을 갖는 격벽(22)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23)에는 스프링(70)이 수용되는 되고, 또한 격벽(22)이 가압바(30)의 아랫면을 받쳐 줌으로써 가압바(30)가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하부케이스(20)와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0)는 하부케이스(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홈(25)과 결합되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15)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면에 투명캡(50)이 안착되는 내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내입부(11)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12)에 투명캡(50)의 고정돌기(52)가 걸림되어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입부(11)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에 회전판(40) 하단에 구비된 축(43)이 끼워지고 상부케이스(10) 내측에서 돌출되어진 축(43)에 평기어(42)가 결합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회전판(40)에 구비된 평기어(42)와 가압바(30)의 일측에 구비된 레크부(31) 사이에 기어비가 서로 다른 이단평기어(60)가 구비되며, 이때 레크부(31)는 이단평기어(60)의 직경이 작은 1단기어(61)와 맞물리고, 상기 1단기어(61)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1단기어(61)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2단기어(62)는, 회전판(40)과 결합된 평기어(42)와 맞물려 구동되도록 한 것이다.
즉, 함체(100) 일측에 구비된 가압바(30)가 최소한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회전판(40)을 빠르게 회전시켜 주사위에 많음 힘이 전달되어 빠르게 굴려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케이스(10)와 하부게이스(20)에 가압바(30)의 전,후방향과 평행하도록 각각 제1장홀(16)과 제2장홀(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장홀(16)과 제2장홀(26)에 이단평기어(60) 축(63)이 각각 결합되어 가압바(30)가 눌렸을 때 레크부(31)와 연동된 1단기어(61)로 인하여 이단평기어(60)가 전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1단기어(61)와 일체로 이루어진 2단기어(62)가 회전판(40)의 평기어(42)와 연동되는 순간 이단평기어(60)의 이동이 멈추면서 이단평기어(6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이단평기어(60)와 연동된 평기어(42)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바(30)의 누름부(3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면 가압바(30)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후단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바(30)의 레크부(31)와 맞물린 이단평기어(60)도 같이 후단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판(40)에 전달되던 구동력이 차단하게 되면서 회전중이던 회전판(40)은 관성법칙에 인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40)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테(41)를 구비하여 회전판(40)이 회전될 때 회전판(40)의 상측에 위치된 주사위(200)의 일부분이 걸림되어 주사위(200)가 통통 튀면서 굴려지도록 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주사위 회전장치의 특징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주사위: 200
함체: 100 돌출부:110
연장부: 120
상부케이스: 10 내입부: 11
절개홈: 12 관통공: 13
격벽: 14 결합돌기: 15
제1장홀16
하부케이스: 20 격벽: 22
이격공간: 23 제2걸림부: 24
결합홈: 25 제2장홀: 26
가압바: 30 레크부: 31
제1걸림부: 32 누름부: 34
리브살: 35 멈춤돌기: 36
회전판: 40 돌기테: 41
평기어: 42 축: 43
투명캡: 50 고정돌기: 52
이단평기어: 60 1단기어: 61
2단기어: 62 축: 63
스프링: 70 제1고리: 72
제2고리: 74

Claims (8)

  1. 함체(100)의 내부에 위치되어지는 주사위를 다수의 돌기테(41)를 구비한 회전판(40)의 상면에 위치토록 하여 회전판이 회전되면서 주사위를 굴려주게 되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100)는 투명캡이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10,20)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0)에는 상측으로 회전판(40)이 축(43)에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투명캡(50)에 의하여 상면이 노출되고, 하측으로는 회전판에 연결된 축에 평기어(42)가 축과 연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평기어는 하부케이스에 장착되는 이단평기어의 2단기어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이단평기어는 하부케이스의 바닥에 형성된 제2걸이부에 일단이 걸려진 상태에서 타단은 가압바(30)의 끝단에 형성된 제1걸이부(32)에 연결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바의 반복적인 작동에 의하여 회전토록 되고,
    상기 가압바의 일측변으로는 레크부가 구비되어져 이단평기어(60)의 직경이 작은 1단기어(61)와 맞물리고,
    상기 가압바(30)는 상기 함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엄지로 누름되어지는 누름부(31)가 구비되고, 그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는 함체(100)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110)의 선단에 구비된 연장부(120)에 걸림되게 위치되면서 한 손으로 가압바(30)를 반복적으로 눌러 줌을 용이토록 하고,
    상기 상,하부케이스(10,20)에는 각각 장홀(16,26)이 구비되어 이단평기어(60)의 축(63)이 각각 결합되어 가압바(30)의 동작시 이단평기어(60)가 레크부(31)를 따라서 장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단평기어의 2단기어가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평기어(42)와 맞물림되거나 혹은 이격되면서 회전판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30)의 상면에 장방향으로 길게 리브살(35)을 형성하여 가압바(30)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리브살(35)과 상부케이스(10) 아랫면에 형성된 격벽(14)이 밀착되어 가압바(30)가 일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받쳐주고,
    또한 눌려진 가압바(30)가 늘어난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돌출부(110)의 내측벽과 가압바(30)의 아랫면에 멈춤돌기(36)를 형성하여 전후작동을 단속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닥면에는 스프링(70)의 제2고리(74)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24)가 형성되며, 제2걸림부(24) 양측으로 이격공간(23)을 갖는 격벽(22)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23)에는 스프링(70)이 수용되고, 또한 격벽(22)이 가압바(30)의 아랫면을 받쳐 줌으로써 가압바(30)가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KR2020160007466U 2016-12-22 2016-12-22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KR200488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66U KR200488341Y1 (ko) 2016-12-22 2016-12-22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66U KR200488341Y1 (ko) 2016-12-22 2016-12-22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77U KR20180001977U (ko) 2018-07-02
KR200488341Y1 true KR200488341Y1 (ko) 2019-04-10

Family

ID=6290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66U KR200488341Y1 (ko) 2016-12-22 2016-12-22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53A (ko) 2020-01-17 2021-07-27 김승원 주사위 손 굴림 및 보관 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08B1 (ko) 2015-06-05 2016-09-0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고형 비누 슬라이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0781A (ja) * 1996-02-20 1997-09-05 Miwa Tec:Kk サイコロ学習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08B1 (ko) 2015-06-05 2016-09-0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고형 비누 슬라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77U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714B2 (en) Action figure game piece and method of playing action figure game
US7841599B2 (en) Home-use crane game machine
GB2430631A (en) Wagering Game with Episodic-Game Feature for Payoffs
WO2008057323A3 (en) Wagering game with episodic feature determined by player
KR200488341Y1 (ko) 주사위 놀이용 회전장치
US4244575A (en) Pinball game having active targets
US20080076526A1 (en) Symbol-based game machine
US4773643A (en) Picture matching game
US4286785A (en) Tennis game board
US4570938A (en) Board game having pieces with pivotal arm
EP2418007B1 (en) Game toy
US11717743B2 (en) Method for playing a skill-based strategy game
CN201625403U (zh) 用于对战玩耍的立体棋子
US4054287A (en) Toy amusement arcade
JP2013128597A (ja) 遊技機
US20060239658A1 (en) Multiple disc changer video game
JP2012228494A (ja) 飛び上り玩具
JP3236244U (ja) ボードゲーム
KR200479955Y1 (ko) 팽이를 발사하는 완구
JP3082469U (ja) コマ玩具遊戯台
JP7305149B2 (ja) 家庭用クレーンゲーム機
US200802462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numbers from zero up to 59 using dice
US202000941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betting and bluffing card games with strategy board game mechanics
JP6683927B2 (ja) 雀球遊技機
JP200404154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