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33Y1 -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8333Y1 KR200488333Y1 KR2020170001282U KR20170001282U KR200488333Y1 KR 200488333 Y1 KR200488333 Y1 KR 200488333Y1 KR 2020170001282 U KR2020170001282 U KR 2020170001282U KR 20170001282 U KR20170001282 U KR 20170001282U KR 200488333 Y1 KR200488333 Y1 KR 2004883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slide groove
- cover half
- disposed
- he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하트 형상의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를 구비한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1 커버 절반부를 갖춘 제1 절반부와;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 커버 절반부를 갖추고, 제1 절반부의 일측 편평면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절반부;로 이루어져, 절반부의 회전을 통해 캡슐형상 모드와 하트형상 모드로 변경가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특히 하트(heart)형상 또는 캡슐(capsule)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액세서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 조립체는 물품 보관부와 이 물품 보관부 내부에 보관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들은 필요에 따라 전술된 액세서리 조립체를 목걸이의 펜던트(pendant)와 같이 목걸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종종 특허문헌 1과 같이 액세서리 조립체 내부에 사진을 수납하여 실용성과 함께 심미감을 갖도록 한다.
특허문헌 1은 하트형상 또는 캡슐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사진을 수납할 수 있는 공지된 액세서리 조립체 중 하나로서, 한쌍의 하트형상 절반부(lobe)를 결합수단을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피봇결합하고 있다. 결합수단은 나사체결방식으로 한쌍의 하트형상 절반부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데, 그 결합수단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나사체결방식으로 피봇결합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결합상태가 헐거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트형상 또는 캡슐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액세서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덧붙여서, 본 고안은 액세서리 조립체 내에 사진 등의 물품을 수납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하트 형상의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를 구비한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제1 절반부는 중심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과,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부를 향해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제1 홈, 및 하부와 회전축 사이에 개재된 제1 활주홈을 갖춘 편평부와, 편평부의 일단에 배치되되, 수평방향으로 내부영역을 향해 형성된 제1 안착부를 갖춘 볼록형상의 굴곡부, 편평부의 타단에 배치된 첨예부, 제1 단차부를 갖춘 상부, 및 하부로 한정된 제1 본체와; 제1 홈에 삽입되는 반원통형상의 제1 연장부를 갖추고,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1 커버 절반부;를 구비한 하트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절반부는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 수용부와,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부를 향해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제2 홈, 및 하부와 회전축 수용부 사이에 개재된 제2 활주홈을 갖춘 편평부와, 편평부의 일단에 배치된 볼록형상의 굴곡부, 편평부의 타단에 배치된 첨예부, 제2 단차부를 갖춘 상부, 및 하부로 한정된 제2 본체와; 제2 홈에 삽입되는 반원통형상의 제2 연장부를 갖추고,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 커버 절반부;를 구비한 하트 나머지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회전축은 이의 자유단에 구형상의 볼부를 구비하는 반면에, 회전축 수용부는 이의 끝단에 볼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의 두께(T)는 하부와 제1 및 제2 활주홈 사이의 이격거리(L)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제1 절반부는 제1 안착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USB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안착부는 골곡부에 오목형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및 제2 홈은 첨예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안착부는 제1 단차부 아래에서 상호 연통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좌우대칭되는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캡슐형상 모드와 하트형상 모드로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제1 절반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커버 절반부와 제2 절반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버 절반부를 구비하여, 제1 단차부 및/또는 제2 단차부에 수납된 물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2개의 사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모드 변경을 통하여 제1 커버 절반부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통하여 노출시킬 수 있는 사진을 변경하면서 노출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색다른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하트 형상으로 도해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 조립체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 조립체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의 형상 변경을 순차적으로 도해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 조립체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세서리 조립체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의 형상 변경을 순차적으로 도해한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는 하트 반쪽 형상을 갖는 제1 절반부(10)와 하트 반쪽 형상을 갖는 제2 절반부(20)로 이루어지는데,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20)는 좌우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 조립체는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2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절반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트 반쪽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 본체(100)와 이 제1 본체(100)의 상부(1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커버 절반부(160)로 이루어진다.
제1 본체(100)는 일측 편평부(110)와, 편평부(110)의 일단에 배치되는 볼록형상의 굴곡부(120), 편평부(110)의 타단에 배치되는 한편 굴곡부(120)와 연결되는 첨예부(130), 상부(140), 및 하부(150)로 한정된다.
제1 본체(100)의 편평부(110)는 편평부의 중심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11)을 구비하는 한편 첨예부(130)에 인접하게 편평부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부를 향해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제1 홈(112)을 구비한다. 이와 더불어서, 편평부(110)는 편평부(110)의 하부와 회전축(111) 사이에 개재되되, 편평부(110)의 하부와 평행하게 배열된 제1 활주홈(113)을 구비한다. 덧붙여서, 회전축(111)의 자유단은 구형상의 볼부(111a)를 구비한다.
제1 본체(100)는 상부(140)의 내부영역에 오목한 제1 단차부(141)를 구비하는 한편, 굴곡부(120)에서 수평방향으로 내부영역을 향해 형성된 제1 안착부(121)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제1 안착부(121)는 제1 단차부(141) 아래에 상호 연통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안착부(1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USB(A;Universal Serial Bus)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USB(A)의 축결합 장착을 돕는 공간부이다. 제1 안착부(121)는 골곡부(120)에 인접하게 하방으로 형성된 오목형상부(122)를 형성하는데, 오목형상부(122)는 제1 안착부(121) 양측면과 축결합된 USB(A)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돕는다. USB(A)가 제1 안착부(121)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USB 상부면은 제1 단차부(141)와 동일 높이로 배열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절반부(10)는 제1 본체(100)의 상부(140)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커버 절반부(160)를 구비한다. 제1 커버 절반부(160)는 제1 본체(100)의 상부(140)를 덮어씌울 수 있는 하트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제1 단차부(141)에 배치될 물품, 예컨대 사진(P2)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제1 커버 절반부(160)는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신장된 반원통형상의 제1 연장부(161)를 구비하는데, 제1 연장부(161)는 제1 홈(112)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절반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반부와 좌우 대칭되는 하트 나머지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트 반쪽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2 본체(200)와 이 제2 본체(200)의 상부(2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버 절반부(260)로 이루어진다.
제2 본체(200)는 캡슐형상 모드 및/또는 하트형상 모드시 일측 편평부(110)와 면접되는 타측 편평부(210)와, 편평부(210)의 일단에 배치되는 볼록형상의 굴곡부(220), 편평부(210)의 타단에 배치되는 한편 굴곡부(220)와 연결되는 첨예부(230), 상부(240), 및 하부(250)로 한정된다.
제2 본체(200)의 편평부(210)는 편평부의 중심부에 중공(中空)의 회전축 수용부(211)를 구비하는 한편 첨예부(230)에 인접하게 편평부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부를 향해 형성된 반원형통형상의 제2 홈(212)을 구비한다. 이와 더불어서, 편평부(210)는 편평부(210)의 하부와 회전축 수용부(211) 사이에 개재되되, 편평부(210)의 하부와 평행하게 배열된 제2 활주홈(213)을 구비한다. 추가로, 회전축 수용부(211)의 끝단은 구형상의 볼부(111a)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볼 안착부(211a)를 구비한다.
제2 본체(200)는 상부(240)의 내부영역에 오목한 제2 단차부(241)를 구비한다. 제2 단차부(241)는 물품, 예컨대 사진(P1)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제1 및 2 단차부(141,241)는 도시되었듯이 제1 및 제2 본체(100,200)의 상부(140,240)에서 편평부(110,210) 상단부까지 개구부(참조부호 없음)를 연장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41)의 상측 개구부는 USB(A)의 접근, 구체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돕는 한편 제1 단차부(141)의 일측 개구부는 캡슐형상 모드시 제2 본체부(100)의 제2 활주홈(213)과의 연통을 가능하게 하며 하트형상 모드시 제2 본체부의 제2 단차부(241)의 타측 개구부와 연통되게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절반부(20)는 제2 본체(200)의 상부(240)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커버 절반부(260)를 구비한다. 제2 커버 절반부(260)는 제2 본체(200)의 상부(240)를 덮어씌울 수 있는 하트 나머지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는 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제2 단차부(241)에 배치된 예컨대 사진(P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제2 커버 절반부(260)는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신장된 반원통형상의 제2 연장부(261)를 구비하는데, 제2 연장부(261)는 제2 홈(212)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160,260)의 두께(T)는 하부(150,250)와 활주홈(113,213) 사이의 이격거리(L)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절반부(160)는 제2 커버 절반부(260)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단차부(141,241)의 깊이는 활주홈(113,213)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트형상 모드를 기준으로 볼 때, 연통된 제1 단차부(141)와 제2 단차부(241)의 공간에 이동가능한 하나의 사진이 배치되며, 연통된 제1 활주홈(113)과 제2 활주홈(213)의 공간에 이동가능한 다른 사진이 배치된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가 캡슐형상 모드로 변형(도 4(a) 참조)된 경우에, 제2 활주홈(213)은 제1 단차부(141)와 동일 높이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한편 제1 활주홈(113)은 제2 단차부(241)와 동일 높이에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활주홈(213) 내에 수납된 물품, 예컨대 사진(P2)을 제1 단차부(141)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반대도 가능하며, 제2 단차부(241) 내에 수납된 물품, 예컨대 사진(P1)을 제1 활주홈(113)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하트형상 모드로 된 경우에(도 4(d) 참조), 제1 활주홈(113)은 제2 활주홈(213)과 동일 높이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한편 제1 단차부(141)는 제2 단차부(241)와 동일 높이에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활주홈(113) 내에 수납된 물품, 예컨대 사진(P2)을 제2 활주홈(213)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반대도 가능하며, 제1 단차부(141) 내에 수납된 물품, 예컨대 사진(P1)을 제2 단차부(241)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반대도 가능하다.
캡슐형상 모드일 때, 제1 절반부와 제2 절반부의 경계를 중심으로 액세서리 조립체를 어느 쪽으로 기울이는지에 따라 각 사진(P1,P2)은 제1 단차부와 제1 활주홈에 각각 위치하거나 제2 단차부와 제2 활주홈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걸쳐서 있는 경우에는 모드 변경이 안되므로 한쪽에 위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와 같이 각 사진이 위치하는 상태가 서로 다른 상태에서 하트형상 모드로 변경할 때에는, 제1 커버 절반부 또는 제2 커버 절반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사진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형상 모드일 때, 사진(P1)이 제1 단차부에 위치하고 사진(P2)가 제1 활주홈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 하트형상 모드로 변경하면 사진(P1)이 노출되지만, 캡슐형상 모드일 때 반대 방향으로 기울여서 사진(P1)이 제2 활주홈(제 1 단차부와 연통함)에 위치하고 사진(P2)가 제2 단차부(제1 활주홈과 연통함)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 하트형상 모드로 변경하면 사진(P2)가 노출된다.
본 고안에서는 2개의 사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모드 변경을 통하여 제1 커버 절반부 및 제2 커버 절반부를 통하여 노출시킬 수 있는 사진을 변경하면서 노출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마치 마술과도 같은 색다른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하트형상 모드로 변경하고 커버 절반부를 열어서 사진을 보이는 것은 동일한 데, 기울이는 방향의 미세한 차이만(상대방은 알기 어려움)으로 서로 다른 사진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 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의 형상 변경을 순차적으로 도해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캡슐형상 모드로서, 제1 절반부(10)의 제1 커버 절반부(160)는 제2 절반부(20)의 하부(250)와 동일 평면으로 배열되어 제1 커버 절반부(160)의 회전이동을 제한받게 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절반부(20)의 제2 커버 절반부(260)도 제1 절반부(10)의 하부(150)와 동일 평면으로 배열되어 제2 커버 절반부(260)의 회전이동을 제한받게 된다.
캡슐형상 모드에서, 본 고안은 제1 절반부(10)의 제1 활주홈(113)과 제2 절반부(20)의 제2 단차부(241)를 일렬로 상호 연통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제1 절반부(10)의 제1 단차부(141)과 제2 절반부(20)의 제2 활주홈(213)을 일렬로 상호 연통가능하게 배치된다. 사용자는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 조립체를 특정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여서 물품, 예컨대 각 사진(P1, P2)을 제1 절반부의 단차부과 활주홈에 적층배치되거나 제2 절반부의 단차부과 활주홈에 적층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b)는 변환 과정으로서, 제1 절반부(10)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배치된 제2 절반부(20)를 회전시킨다. 이는 앞서 전술된 상호 연통되게 배치된 제1 활주홈(113)과 제2 단차부(241) 그리고 제1 단차부(141)와 제2 활주홈(213)의 경로를 단절시켜 사진(P1) 및 사진(P2)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도 4(c)는 제2 절반부(20)를 180°회전하여 하트형상 모드로 변형된 모습을 도해하고 있다.
도 4(d)는 하트형상 모드로서, 각각의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160,260)를 제1 및/또는 제2 본체(100,200)의 상부에서 회동시킨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버 절반부(160,260)가 제1 및 제2 본체의 상부 상에서 회동되어, 각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단차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작업자는 하트 모드에서 커버 절반부를 회동시켜 단차부 내부으로의 접근을 허용하여 USB(A)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제2 절반부는 제2 단차부에 수납된 사진(P1)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e)는 하트 모드에서, USB(A)를 제1 절반부(10)의 제1 안착부(121)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시켜 별도의 USB 포트(미도시)에 인입시켜 사용할 수 있는 모드를 도해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제1 절반부,
100 ----- 제1 본체, 111 ----- 회전축,
111a ----- 볼부, 112 ----- 제1 홈,
113 ----- 제1 활주홈, 121 ----- 제1 안착부,
141 ----- 제1 단차부, 160 ----- 제1 커버 절반부,
20 ----- 제2 절반부,
200 ----- 제2 본체, 211 ----- 회전축 수용부,
211a ----- 볼 수용부, 212 ----- 제2 홈,
213 ----- 제2 활주홈, 241 ----- 제2 단차부,
260 ----- 제2 커버 절반부.
100 ----- 제1 본체, 111 ----- 회전축,
111a ----- 볼부, 112 ----- 제1 홈,
113 ----- 제1 활주홈, 121 ----- 제1 안착부,
141 ----- 제1 단차부, 160 ----- 제1 커버 절반부,
20 ----- 제2 절반부,
200 ----- 제2 본체, 211 ----- 회전축 수용부,
211a ----- 볼 수용부, 212 ----- 제2 홈,
213 ----- 제2 활주홈, 241 ----- 제2 단차부,
260 ----- 제2 커버 절반부.
Claims (8)
-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하트 형상의 제1 절반부(10)와 제2 절반부(20)를 구비한 액세서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부(10)는,
중심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11)과, 제1 하부(150)와 상기 회전축(111)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하부(150)와 평행하게 배열된 제1 활주홈(113)을 갖춘 제1 편평부(110)와, 제1 단차부(141)를 갖춘 제1 상부(140)를 포함하는 제1 본체(100)와; 상기 제1 상부(140)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1 커버 절반부(160);를 구비한 하트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절반부(20)는,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 수용부(211)와, 제2 하부(250)와 상기 회전축 수용부(211)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하부(250)와 평행하게 배열된 제2 활주홈(213)을 갖춘 제2 편평부(210)와, 제2 단차부(241)를 갖춘 제2 상부(240)를 포함하는 제2 본체(200)와; 상기 제2 상부(240)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 커버 절반부(260);를 구비한 하트 나머지 반쪽 형상으로 형성되며,
캡슐형상 모드시 상기 제1 단차부(141)와 상기 제2 활주홈(213)이 연통되고 상기 제2 단차부(241)와 상기 제1 활주홈(113)이 연통되며,
하트형상 모드시 상기 제1 단차부(141)와 상기 제2 단차부(241)가 연통되고 상기 제1 활주홈(113)과 상기 제2 활주홈(213)이 연통되며,
하트형상 모드를 기준으로 볼 때, 연통된 상기 제1 단차부(141)와 상기 제2 단차부(241)의 공간에 이동가능한 제1 사진이 배치되며, 연통된 상기 제1 활주홈(113)과 상기 제2 활주홈(213)의 공간에 이동가능한 제2 사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삭제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100)는,
상기 제1 상부(140)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 하부를 향해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제1 홈(112), 상기 제1 편평부(110)의 일단에 배치되되, 수평방향으로 내부영역을 향해 형성된 제1 안착부(121)를 갖춘 볼록형상의 제1 굴곡부(120), 및 상기 제1 편평부(110)의 타단에 배치된 제1 첨예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 절반부(160)는,
상기 제1 홈(112)에 삽입되는 반원통형상의 제1 연장부(161)를 갖추며,
상기 제2 본체(200)는,
상기 제2 상부(240)에서 수직방향으로 제2 하부를 향해 형성된 반원통형상의 제2 홈(212), 및 상기 제2 편평부(210)의 일단에 배치된 볼록형상의 제2 굴곡부(220), 및 상기 제2 편평부(210)의 타단에 배치된 제2 첨예부(23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커버 절반부(260)는,
상기 제2 홈(212)에 삽입되는 반원통형상의 제2 연장부(262)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1)은 상기 회전축(111)의 자유단에 구형상의 볼부(111a)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수용부(211)는 상기 회전축 수용부(211)의 끝단에 볼 안착부(21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절반부(160)의 두께(T)는 상기 제1 하부(150)와 상기 제1 활주홈(113) 사이의 이격거리(L)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커버 절반부(260)의 두께(T)는 상기 제2 하부(250)와 상기 제2 활주홈(213) 사이의 이격거리(L)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반부(10)는, 상기 제1 안착부(121)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USB(A)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부(121)는 상기 제1 굴곡부(120)에 오목형상부(122)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안착부(121)는 상기 제1 단차부(141) 아래에 상호 연통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삭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홈(112)은 상기 제1 첨예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홈(212)은 상기 제2 첨예부(2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282U KR200488333Y1 (ko) | 2017-03-17 | 2017-03-17 |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282U KR200488333Y1 (ko) | 2017-03-17 | 2017-03-17 |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770U KR20180002770U (ko) | 2018-10-01 |
KR200488333Y1 true KR200488333Y1 (ko) | 2019-01-15 |
Family
ID=6386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282U KR200488333Y1 (ko) | 2017-03-17 | 2017-03-17 |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8333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7705Y1 (ko) * | 2007-06-05 | 2007-12-21 | 박용우 | 펜던트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42631A (en) | 1983-11-16 | 1985-09-24 | Esser Iii William L | Jewelry and the like adapted to define a plurality of objects or shapes |
KR101081666B1 (ko) * | 2010-04-14 | 2011-11-09 | 유재오 | 스마트카드 |
-
2017
- 2017-03-17 KR KR2020170001282U patent/KR20048833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7705Y1 (ko) * | 2007-06-05 | 2007-12-21 | 박용우 | 펜던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770U (ko) | 201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25098A (en) | Portable, folding receptacle or box wallet form made from a plastic material | |
US4776457A (en) | Compartmented display container with pivoted cover support | |
CN1306891C (zh) | 儿童安全容器 | |
US5347424A (en) | Tilting mechanism having rotatable extension, for information inputting apparatus | |
EP1827162B1 (en) | Show-shade cosmetic case | |
JP2008132355A (ja) | 変形可能な玩具 | |
KR102433695B1 (ko) | 화장품 용기 | |
US20090001116A1 (en) | Driver bit container | |
JP3211325U (ja) | 保護ケース | |
WO2006080703A1 (en) | Rotation tray type cosmetic case | |
EP3530140B1 (fr) | Boîtier interactif pour produit cosmétique, notamment de maquillage | |
US11318370B2 (en) | Yoshimoto cube and polyhedron | |
KR200488333Y1 (ko) | 형상 변형가능한 액세서리 조립체 | |
US6397633B1 (en) | Decorative cosmetic case | |
US10185358B1 (en) | Electronic tablet protective carrying case and display stand | |
KR102043106B1 (ko) | 회전식 용기 | |
US20040065574A1 (en) | Tool case with a hinged cover that slides | |
USD501138S1 (en) | Portion of a plug and container cap | |
USD968149S1 (en) | Jug | |
US8098874B2 (en) | Hanging type earphone with a hinge unit | |
JP3070727U (ja) | 装飾品型化粧ケ―ス | |
JP2003170980A (ja) | メモリーカード用ケース | |
USD512314S1 (en) | Container assembly | |
USD1016754S1 (en) | Plug and socket combination | |
KR200155213Y1 (ko) | 반짇고리 보관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