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96Y1 -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 Google Patents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96Y1
KR200488296Y1 KR2020170003896U KR20170003896U KR200488296Y1 KR 200488296 Y1 KR200488296 Y1 KR 200488296Y1 KR 2020170003896 U KR2020170003896 U KR 2020170003896U KR 20170003896 U KR20170003896 U KR 20170003896U KR 200488296 Y1 KR200488296 Y1 KR 200488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amber
oil
bending pipe
lubricating oi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홍종석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3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filtration
    • F16N2039/06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챔버의 수축/팽창시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습기 등 오염물에 의하여 윤활유가 변질될 우려가 있고 팽창시 윤활유가 안개 형태로 외부로 비산되어 유출되는 호흡적인 상황에서 오일챔버 내, 외부의 압력변화를 최소화하여 내부 윤활유에 대한 최적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재순환형 오일챔버의 호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 결합부를 나사타입으로 구성하여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한 필터가 가장 상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와 서로 연결되고 길이가 길고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굴곡관을 구성하고, 상기 굴곡관의 중간 하부위치엔 비산중 응축 포집된 윤활유가 오일챔버로 환수될 수 있도록 굴곡관의 포집부에 드레인 라인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굴곡관과 상기 드레인 라인의 하부 끝부분은 오일챔버와 서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Recycle oil chamber respiratory organ device}
본 고안은 오일챔버의 수축/팽창시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습기 등 오염물에 의하여 윤활유가 변질될 우려가 있고 팽창시 윤활유가 안개 형태로 외부로 비산되어 유출되는 호흡적인 상황에서 오일챔버 내, 외부의 압력변화를 최소화하여 내부 윤활유에 대한 최적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재순환형 오일챔버의 호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설비의 운전시에 오일챔버 내부의 각종 부품들간의 마찰열로 인하여 오일온도의 상승과 운전시 발생된 유증기를 호흡기가 포집하지 못하고 외부로 방출시켜 설비 주변이나 외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운전시간이 길어지면서 외부로 비산되는 윤활유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설비가 운전시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윤활유의 레벨유지가 힘들고 설비사고로 이어지게 되어 심대한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호흡기의 불량과 수축시에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에 의하여 열화된 윤활유 역시 설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욱이, 종래의 호흡기는 필터가 장착된 타입이 대부분인데 이 경우 운전 중에 발생된 열에 의하여 발생된 유증기의 포집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장기간 사용이 어려워 자주 교체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흡습제를 채택한 종래의 호흡기의 경우에도 호흡시 발생되는 유증기와 습기로 인하여 호흡기 내부 흡습제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여야만 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3423호(공고일자: 2001.11.16.),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제07-280282호(공개일자: 1995.10.27.)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비내부에서 발생된 안개형태의 비산 윤활유를 포집하기 위하여 비산윤활유가 통과하게 되는 통로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면서 통과하는 윤활유의 온도를 낮추어 호흡관 벽에 부딪치면서 윤활유는 온전한 형태로 응집하고 드레인을 통하여 설비로 회수될 수 있고 회수된 윤활유는 설비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교환이 필요없는 반영구적인 장치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호흡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 결합부를 나사타입으로 구성하여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한 필터가 가장 상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와 서로 연결되고 길이가 길고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굴곡관을 구성하고, 상기 굴곡관의 중간 하부위치엔 비산중 응축 포집된 윤활유가 오일챔버로 환수될 수 있도록 굴곡관의 포집부에 드레인 라인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굴곡관과 상기 드레인 라인의 하부 끝부분은 오일챔버와 서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설비의 운전시 오일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시 발생된 유증기를 본 고안인 호흡기 장치가 포집하여 설비 주변이나 외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설비가 운전시 필요로 하는 윤활유의 레벨유지가 용이하고 호흡기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윤활유의 열화를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오일필터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여 작업효율성이나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하부 결합부를 나사타입으로 구성하여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한 필터(1)가 가장 상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1)와 서로 연결되고 길이가 길고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굴곡관(2)을 구성하고, 상기 굴곡관(2)의 중간 하부위치엔 비산중 응축 포집된 윤활유가 오일챔버(5)로 환수될 수 있도록 굴곡관(2)의 포집부(20)에 드레인 라인(3)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굴곡관(2)과 상기 드레인 라인(3)의 하부 끝부분은 오일챔버(5)와 서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굴곡관(2)의 하부 끝부분과 상기 드레인 라인(3)의 하부 끝부분엔 오일챔버(5)와 서로 결합 설치하기 위하여 플랜지 형태의 연결부재(4)를 결합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4)는 오일챔버(5)와 서로 결합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부재(4)를 오일챔버(5)로부터 분리하여 유지 보수나 교환 등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좀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1)는 기존의 호흡기와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나사식으로 구성하고, 오일챔버(5) 내부의 오일이 유증기 형태로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고 오일챔버(5)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오일챔버(5) 내부의 윤활유가 기화되더라도 이를 쉽게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굴곡관(2)은 굽혀 감겨진 형태로 길이를 길게 구성하면서 오일챔버(5)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켜 오일챔버(5)의 내부온도보다 크게 낮은 온도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화된 윤활유가 굴곡관(2)을 통과하면서 액화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라인(3)은 액화된 윤활유가 굴곡관(2)의 하부에 포집되어 굴곡관(3)을 채워 막게 되면 오일챔버(5)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오일챔버(5)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굴곡관(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그리하여 설비의 운전시 오일챔버(5) 내부에 위치한 각종 부품간의 마찰열에 의하여 내부 오일의 온도 및 압력이 상승하고 운전시 발생하게 되는 오일챔버(5) 내부의 유증기는 굴곡관(2)을 거쳐 상승하게 되지만, 상기 굴곡관(2)을 거치면서 유증기는 온도가 하강하여 다시 윤활유 형태로 응집되어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굴곡관(2)의 포집부(20)에 고이게 되며, 이렇게 고여진 포집 윤활유는 드레인 라인(30을 경유하여 다시 오일챔버(5)의 내부로 회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오일챔버(5)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거나 하강함에 따라 호흡이 이루어지는 경우, 굴곡관(2) 및 필터(1)를 통하여 호흡이 이루어지면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오일챔버(5) 내부 설비의 운전시 오일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시 발생된 유증기를 본 고안인 호흡기 장치가 포집하여 오일챔버(5) 주변이나 외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오일챔버(5) 내부 설비가 운전시 필요로 하는 윤활유의 레벨유지가 용이하고 본 고안인 호흡기 장치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윤활유의 열화를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오일필터를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여 작업효율성이나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1: 필터, 2: 굴곡관,
3: 드레인 라인, 4: 연결부재,
5: 오일챔버, 20: 포집부

Claims (3)

  1. 하부 결합부를 나사타입으로 구성하여 호환성이 가능하도록 한 필터(1)가 가장 상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1)와 서로 연결되고 길이가 길고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굴곡관(2)을 구성하고, 상기 굴곡관(2)의 중간 하부위치엔 비산중 응축 포집된 윤활유가 오일챔버(5)로 환수될 수 있도록 굴곡관(2)의 포집부(20)에 드레인 라인(3)을 연결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굴곡관(2)과 상기 드레인 라인(3)의 하부 끝부분은 오일챔버(5)와 서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굴곡관(2)은 굽혀 감겨진 형태로 길이를 길게 구성하면서 오일챔버(5)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켜 오일챔버(5)의 내부온도보다 크게 낮은 온도차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화된 윤활유가 굴곡관(2)을 통과하면서 액화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3896U 2017-07-26 2017-07-26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KR200488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96U KR200488296Y1 (ko) 2017-07-26 2017-07-26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96U KR200488296Y1 (ko) 2017-07-26 2017-07-26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96Y1 true KR200488296Y1 (ko) 2019-01-09

Family

ID=6501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96U KR200488296Y1 (ko) 2017-07-26 2017-07-26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9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282A (ja) 1994-04-12 1995-10-27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H07280182A (ja) * 1994-04-06 1995-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油ミスト分離器
KR200253423Y1 (ko) 2001-05-10 2001-11-16 성세제 휴대용 탱크의 거치 구조를 갖는 호흡용 공기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182A (ja) * 1994-04-06 1995-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油ミスト分離器
JPH07280282A (ja) 1994-04-12 1995-10-27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KR200253423Y1 (ko) 2001-05-10 2001-11-16 성세제 휴대용 탱크의 거치 구조를 갖는 호흡용 공기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914210B1 (pt) Conjunto para um filtro
DE4438878A1 (de) Dichtungssystem für eine vertikal angeordnete Welle
KR200488296Y1 (ko) 재순환형 오일챔버 호흡기 장치
DE102017011874A1 (de) Abscheidevorrichtung zur Abscheidung eines Fluids aus Gas sowie Abscheideelement und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diesbezügliche Abscheidevorrichtung
US10782077B2 (en) Refrigerant outlet device of a condenser
WO2013158243A1 (en) Polish rod seal
KR102228032B1 (ko) 상용차용 스크류 압축기
ITPD20130091A1 (it) Separatore olio con elemento integrato denominato elemento separatore olio retex inverter formato da un tubo con taglio o fori, lana metallica, rete metallica
US1759447A (en) Internal-combustion-engine oil strainer
CN108278383B (zh) 一种强制密封球阀及其注脂清洗方法
CN105673824A (zh) 轻轨齿轮箱通气器装置
KR20160121557A (ko) 밸브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
CN104667595B (zh) 一种过滤器的油量自动调节结构
KR20200014374A (ko) 오일 필터/액체 표시기 어셈블리
US1678731A (en) Lubricator
CN205578681U (zh) 一种轻轨齿轮箱通气器装置
DE202016004440U1 (de) Druckausgleichsvorrichtung mit zwei Trennelementen
CN206055176U (zh) 自动变速箱清洗换油机
DE102016007199B4 (de) Kondensatbrücke
BR102014010752A2 (pt) Filtro desaerador de fluido hidráulico
CN204563705U (zh) 工业用油过滤调节结构
DE102015102231A1 (de) Verbrennungsmotor
WO2018054866A1 (de) Schraubenkompressor für ein nutzfahrzeug
CN211648272U (zh) 一种便于清理的发动机用油底壳
US676667A (en) Drainer for vertical steam-cylin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