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41Y1 - Soffit concrete mold - Google Patents

Soffit concrete m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41Y1
KR200488141Y1 KR2020160003658U KR20160003658U KR200488141Y1 KR 200488141 Y1 KR200488141 Y1 KR 200488141Y1 KR 2020160003658 U KR2020160003658 U KR 2020160003658U KR 20160003658 U KR20160003658 U KR 20160003658U KR 200488141 Y1 KR200488141 Y1 KR 200488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uide portion
fastening
nu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6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0040U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3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41Y1/en
Publication of KR20180000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4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4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피트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층고를 달리하는 건축물의 시공시 기준 높이의 메인 거푸집에 보조 거푸집(소피트 거푸집)을 추가로 사용하여 다양한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벽체, 기둥, 보 등)의 시공이 가능하고, 아울러 보조 거푸집에 버팀대 등의 다른 자재를 직접 연결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한 보조 거푸집의 배부름 현상 등을 막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은, 타설면을 형성하는 본체(11),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메인 거푸집에 지지되는 연결부(12),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 안내부(14)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체결 안내부에 다른 자재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 안내부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다른 자재의 체결을 위한 클램프를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 안내부는 레일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pit form, and it is possible to use a secondary pit (small pit form) in the main form of a reference heigh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a building with a different pit height to construct a concrete structure (wall, colum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d connect other materials such as braces to the auxiliary formwork so as to prevent the complication of the auxiliary formwork due to the concrete placing pressure.
The small foot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forming a placement surface, a connection portion 12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by the main mold, and a fastening guide portion 14 formed on the main body , Whereby another material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uide porti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is formed of a pair of protrusion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fastening a clamp for fastening the other materials. The fastening guide portion is of a rail type.

Description

소피트 거푸집{SOFFIT CONCRETE MOLD}{SOFFIT CONCRETE MOLD}

본 고안은 소피트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건축 토목 구조물의 크기에 맞춰 메인 거푸집과 소피트 거푸집을 조합하여 형틀을 구성하고 소피트 거푸집에 버팀대 등의 다른 자재(거푸집의 간격유지대, 버팀대, 브레이싱 등)를 연결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한 배부름 현상 등을 막는 소피트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ld frame by combining a main mold and a small foot mold according to the size of a concrete construction structure, and forming a mold frame by using other materials such as a brace , Bracing, bracing, etc.) to prevent buckling due to concrete pouring pressure.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내측에 먼저 철근 구조물을 형성한 후, 내외면을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거푸집을 대어 형틀을 형성하고 그 외측을 프레임과 버팀목 등의 다른 자재(서포트, 브레이싱, 간격유지대 등)으로 지지시킨 다음 내측에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굳혀 벽체, 기둥, 보, 슬래브 등을 시공하고 있다.In order to construct a concrete structure, a steel structure is first formed on the inner side, a mold made of wood or a metal material is used to form a mold, and the outer side thereof is covered with another material such as a frame and a strut (support, bracing, ),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inner side, and the concrete, wall, column, beam, slab, etc. are installed.

근래에는 건축기술의 발달 및 콘크리트 건축물의 조형미를 중요시하여 한 건물 내의 실내 공간이지만 서로 다른 층고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또한 소방법의 강화에 따라 스프핑쿨러 시설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건물마다 층고가 서로 다른 실정이며, 즉 근래에는 다양한 크기의 콘크리트 토목 건축 구조물이 시공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and the importance of the beauty of the concrete buildings, the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is made up of different floors,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kling cooler is obligatory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fire fighting law. Recently, concrete construction structures of various sizes have been constructed.

이처럼, 동일 건물이더라도 서로 다른 층고의 실내 공간을 시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각 실내 공간의 층고에 맞는 거푸집을 현장 제작하거나, 기존 보유하고 있는 거푸집을 연결한 후 모자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새로운 보조 거푸집을 현장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거푸집은 전용이 어렵고, 전용회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비싸지는 단점으로 작용되고 있고, 현장 제작에 따른 불편함이 많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존의 거푸집과 보조 거푸집은 상호 간에 연결없이 타이로드 등으로 설치되고, 기존 거푸집과 보조 거푸집의 폭이 동일하여 하나의 기존 거푸집 위에 하나의 보조 거푸집이 올려져 사용됨에 따라 근접되는 기존 거푸집과 보조 거푸집 등의 이음부가 취약하고, 일렬로 배열되는 기존 거푸집들이 서로 결속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압력 등에 의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도 있다.
In this way, in order to construct the interior space of different storeys even in the same building, conventionally, a dies corresponding to the storeys of each indoor space are produced on site, or a new auxiliary dies are built . Therefore, the auxiliary formwork is difficult to be dedicat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exclusive use is limited, which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 existing formwork and the auxiliary formwork are installed with a tie rod or the like without connection to each other. Since the existing formwork and the auxiliary formwork have the same width, one auxiliary formwork is placed on one existing formwork, And the auxiliary formwork are weak and the conventional formwork arranged in a row is not bonded to each other,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folding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concrete pouring pressure and the lik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761964호)은 일정 높이와 폭을 갖는 제1타설판, 상기 제1타설판의 일측면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다단의 통공이 구비된 좌우 프레임, 상기 제1타설판의 일측면 상부에 좌우 양단부가 상기 좌우 프레임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타설판의 일측면 하부에 좌우 양단부가 상기 좌우 프레임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메인 거푸집과; 제2타설판, 상기 제2타설판의 상하 좌우 둘레부에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거푸집의 상하부와 중간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면서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보조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든 층고에 맞는 크기인 메인 거푸집 위에 하나의 보조 거푸집을 추가로 설치하고, 보조 거푸집의 제2타설판을 층고에 맞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모든 층고의 벽체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지만, 다른 자재인 버팀대를 직접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자재를 메인 거푸집에만 연결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보조 거푸집 부분에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대한 버팀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atent document (Patent No. 10-0761964) which is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a first mount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width, a second mounting plat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mounting plate, A left upper frame and a lower right frame, the left and right frames being provided with through holes of the first mounting plate, the upper frame being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with the right and left frames being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frames, At least one main die made of a lower frame joined in abutment; And a frame formed on upper, lower, right and left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second placement plate, and an auxiliary die which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die and is fitted in a fitting manner to form a wall, Since it is easy to install one auxiliary mold on the main mold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loor and to easily manufacture the second installed floor of the auxiliary mold with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floor,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bracket with the material, so that the other material can only be connected to the main formwork.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concrete pouring pressure can not be secured in the auxiliary formwork part.

등록특허 제10-0761964호Patent No. 10-0761964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층고를 달리하는 건축물의 시공시 기준 높이의 메인 거푸집에 보조 거푸집(소피트 거푸집)을 추가로 사용하여 다양한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벽체, 기둥, 보 등)의 시공이 가능하고, 아울러 보조 거푸집에 버팀대 등의 다른 자재를 직접 연결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한 보조 거푸집의 배부름 현상 등을 막을 수 있는 소피트 거푸집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structure having various heights (walls, pillars, columns, etc.) by using an auxiliary formwork (small formwor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fit form that can be installed in a concrete form and directly connect other materials such as a brace to a concrete form, thereby preventing a buildup of an auxiliary form due to the concrete pouring pressure.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은, 타설면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메인 거푸집에 지지되는 연결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 안내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체결 안내부에 다른 자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ll pit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 placement surface, a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by the main mold, and a coupling guide portion formed on the main body, And the material is fastened.

상기 체결 안내부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다른 자재의 체결을 위한 클램프를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f a pair of protrusion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asten the clamp for fastening the other materials.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 안내부는 레일형이다.Preferably, the fastening guide portion is of a rail type.

상기 체결 안내부에 설치되어 다른 자재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lamp installed in the fastening guide and fixing other materials.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에 의하면, 층고를 달리하는 건축물의 시공시 기준 높이의 메인 거푸집에 보조 거푸집(소피트 거푸집)을 추가로 사용하여 다양한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벽체, 기둥, 보 등)의 시공이 가능하고, 아울러 보조 거푸집인 소피트 거푸집에 버팀대 등의 다른 자재를 직접 연결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의 배부름 현상 등을 막아 견고한 콘크리트 건축 토목 구조물을 시공하는 효과가 있고 소피트 거푸집의 이탈과 콘크리트의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oncrete structure (wall, column, beam, etc.) of various heights by additionally using an auxiliary form (small form form) to the main form of a reference heigh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a building having a different heigh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d also it is effective to construct a concrete concrete construction structure by preventing other phenomena such as squeeze of concrete from being pushed by concrete pouring pressure by directly connecting other materials such as braces to auxiliary pit form, It is effectiv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deviation of the form and leakage of concret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의 설치 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의 분리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에 2개의 체결 안내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이 기둥 거푸집과 함께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8은 각각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에 적용된 클램프의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ll pit d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mall pit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small foot mold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wo fastening guide portions are applied to a small pit d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mall foot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a column mold.
Figs. 6 to 18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 clamp applied to a small pit d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10)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타설면을 제공하는 본체(11), 본체(11)에 연결되는 연결부(12), 목재(20)가 수납되는 목재 수납부(13), 다른 자재(간격유지대, 브레싱, 서포트 등)가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 안내부(14)로 구성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메인 거푸집을 보 거푸집으로 하고 다른 자재를 간격유지대로 하여 보 거푸집에 연결되면서 간격유지대가 연결되면서 슬래브 거푸집과 목재(2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mall pit di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for providing a pouring surface for pouring concrete, a connecting portion 12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 And a fastening guide portion 14 for connecting other materials (a space retaining table, a bushing, a support, and the like) to each other.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main formwork is made into a formwork And the slab formwork and the wood 20 are fix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ormwork while the other material is maintained in the gap.

보와 슬래브는 대개 함께 콘크리트 타설로 시공되며, 보 거푸집(1)의 둘레부에 간격유지대(2)를 결합하여 이 결합체를 서포트를 통해 지상에 설치하고, 보 거푸집(1) 위에 슬래브 거푸집(3)을 설치하여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건축물에 따라 보의 높이가 달라지고 모든 크기의 보에 맞는 보 거푸집을 제작하여 운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손실이 있으므로 소피트 거푸집(10)을 이용하는 것이다.The beam and the slab are usually put together by concrete pouring, and the space holding bases 2 ar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beam forming pavement 1, the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rough the support, and the slab formwork 3) is installed and then concrete is poured. At this time, it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to use a beam form (10) because the height of the beam changes according to the building and the beam form suitable for all sizes of beam is manufactured and operated.

기성품인 보 거푸집(1) 위에 소피트 거푸집(10)을 설치(핀, 클램프,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하고 소피트 거푸집(10)의 목심(20)과 슬래브 거푸집(3)을 못으로 고정한다. 또한, 간격유지대(2)는 소피트 거푸집(10)의 체결 안내부(14)에 장착되는 클램프를 통해 소피트 거푸집(10)에 고정된다.A socket foot 10 is fixed on a ready-made workpiece 1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pin, a clamp, a bolt and a nut and the slit die 3 of the socket foot 10, To the nail. The gap holding table 2 is fixed to the socket mold 10 through a clamp mounted 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of the socket mold 10. [

소피트 거푸집(10)은 본체(11)와 연결부(12)와 목재 수납부(13) 및 체결 안내부(14)가 일체형인 구조로서 알루미늄 재질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압출 제작되며, 본체(11)는 평평한 판상이고, 연결부(12)는 본체(11)의 도면 기준 하단부에서 본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보 거푸집(1)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 또는 홈이 구성되며, 목재 수납부(13)는 연결부(12)의 반대쪽 즉 본체(11)의 상부에 본체(11)와 함께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본체(11)의 일측면에 성형되는 구조이다.The small pit die 10 is made of aluminum and is therefore extruded and manufact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11, the connecting portion 12, the wooden housing portion 13 and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are integrally formed. The connecting portion 12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body 11 and to form a protrusion or groove to be fitted into the formwork 1,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so that a groov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12, that is,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1 toward the upper side.

체결 안내부(14)는 클램프로서 예컨대 너트(30)가 장착되는 곳이며, 본체(11)의 일측면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너트(30)의 둘레부를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돌기(14a,14b)로 구성된다.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is a place where a nut 30 is mounted as a clamp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nd includes a pair of projections (14a, 14b).

너트(30)는 체결 안내부(14) 안에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에 평평한 플랜지가 구성될 수 있고, 물론, 체결 안내부(14)의 구조를 통해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플랜지 없이) 체결 안내부(14)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는 클램프가 볼트인 경우에도 동일하다.The nut 30 may be formed in a flat flange at one end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Of course,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guide portion 14, which is the same even when the clamp is a bolt.

한 쌍의 돌기(14a,14b)는 본체(11)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일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본체(11)와의 사이에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는 클램프가 수용되는 것이다.The pair of protrusions 14a and 14b are composed of a vertical part protruding in parallel to the main body 11 and a horizontal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to be gathered toge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a clamp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체결 안내부(14)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클램프의 형상에 맞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shape of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shaped to fit various clamps.

또한, 체결 안내부(14)는 본체(1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클램프의 형상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조립형도 가능하다.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1, but it may be assembled so that it can b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shape of the clamp.

이러한 구조의 체결 안내부(14)는 간격유지대(2)의 조립 위치에 맞춰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레일 형태 즉 본체(11)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형태의 체결 안내부(14)는 길이방향의 양측 또는 일측이 개방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guides 14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formed in conformity with the assembling position of the spacing holder 2, but the fastening guides 14 are formed long in the rail shape, that i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 desirable. The rail-shaped fastening guide portions 14 are opened on both sides or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체결 안내부(14)의 길이방향 양측의 개방부를 통해 너트(30)를 삽입한 후 간격유지대(2)의 조립 위치로 이동시켜 다른 자재인 간격유지대(2)와 조립한다.Therefore, the nut 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and then moved to the assembling position of the spacing holder 2 to assemble the spacing holder 2, which is another material.

소피트 거푸집(10)은 보 거푸집(1)과 클램프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The small foot mold 10 can be assembled with the mold 1 through a clamp or the like.

도 4는 2개의 체결 안내부(14-1,14-2)가 2개소에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즉 체결 안내부는 1개 이상이 적용 가능한 것이다.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fastening guide portions 14-1 and 14-2 are formed at two places, that is, at least one fastening guide portion is applicable.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보 거푸집과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5와 같이 메인 거푸집을 벽체 거푸집(4)으로 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 거푸집을 기둥 거푸집으로 하여 기둥을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used with the formwork as shown in FIG. 2.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 wall by using the main formwork as the wall formwork 4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 column.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에 의한 소피트 거푸집(10)은 다른 자재인 간격유지대(2)가 직접 연결되는 것이며, 이하, 간격유지대(2)의 고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As described so far, the small pit di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pacing pads 2, which are different materials. Hereinafter, the fixing structure of the spacing pads 2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은 다른 자재로서 예컨대 간격유지대(2)의 고정을 위하여 클램프가 함께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other materials, for example, a clamp for securing the spacing holder 2.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체결 안내부(14)에는 한 쌍의 너트(30)가 체결되고 이 한 쌍의 너트(30)에 각각 볼트(31)가 나사 체결된다. 클램프는 와셔형 클램프(40)로서 각관형의 간격유지대(2)를 감싸도록 중앙부가 홈을 갖도록 절곡 성형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에 볼트관통홀이 구비되는 구조이며, 간격유지대(2)를 감싸면서 상기 볼트관통홀에 볼트(31)를 관통시킨 후 조임너트(32)를 볼트(31)에 체결함으로써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한다.As shown in FIG. 6, a pair of nuts 30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and bolts 31 are fastened to the pair of nuts 30, respectively. The clamp is a washer-type clamp 4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bolt-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bent so as to have grooves at the center so as to surround the respective tubular spacing bases 2, The bolt 31 is passed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 and the tightening nut 32 is fastened to the bolt 31 so as to clamp the gap holding base 2. [

도 7은 도 6과 같은 형태로서 타공 각관형 클램프(40-1)로서, 2개의 타공부에 볼트(31)를 관통시킨 후 조임너트(32)를 체결함으로써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한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erforated tubular clamp 40-1, in which the bolt 31 is passed through two treads, and then the tightening nut 32 is fastened to clamp the gap holding table 2 .

도 7의 타공 각관형 클램프(40-1)는 와셔형 클램프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며 단 각관형을 통해 와셔형보다 휨 변형에 대한 강성이 큰 특징이 있다.The perforated-angle tubular clamp 40-1 shown in Fig. 7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washer-type clamp, and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rigidity against the flexural deforma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washer-type through the single tubular shape.

도 8은 외팔보형 클램프(40-2)로서, 체결안내부(14)에 하나의 너트(30)와 볼트(31)가 체결되고, 외팔보형 클램프(40-2)는 일측에 볼트관통홀이 형성되어 이 볼트관통홀에 볼트(31)를 관통시킨 후 조임너트(32)에 의해 고정되면서 타측에 각관형의 간격유지대(2)의 3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클램핑부를 갖는다.8 shows a cantilever type clamp 40-2 in which one nut 30 and a bolt 31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and the cantilever clamp 40-2 has bolt through holes The bolt 31 is passed through the bolt through-hole and is clamped by the tightening nut 32 while being clamped to the other side so as to surround the three sides of the tubular spacing bar 2.

도 9는 도 8과 유사한 외팔보형 클램프(40-2)로서, 일측이 스프링(41)을 통해 너트(30)에 고정되어 이 스프링(41)의 탄성 변형을 통해 본체(11)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이 간격유지대(2)를 감싸면서 스프링(41)의 탄성력을 통해 본체(11)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9 is a cantilever type clamp 40-2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8, in which one side is fixed to the nut 30 via a spring 41 and is movable from the main body 11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pring 41 And the other side thereof presses and fixes the space holding base 2 to the main body 11 side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 while covering the space holding base 2.

도 10 내지 도 13은 타공홀(2a)을 갖는 간격유지대(2)에 적용되는 클램프를 도시한 것이다.Figs. 10 to 13 show clamps applied to the gap retaining table 2 having the perforation holes 2a.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끼움형 클램프(40-3)는 일측이 너트(30)에 스프링(41)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타측에 간격유지대(2)의 타공홀(2a)에 삽입 끼움되는 끼움돌기(42)가 구비되어 간격유지대(2)를 끼움식으로 클램핑한다.10, one end of the fitting clamp 40-3 is movably connected to the nut 30 through the spring 41, and the other end of the fitting clamp 40-3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2a of the spacer holder 2 And the fitting protrusions 42 to be fitted are provided so as to clamp the gap holding member 2 by fitting.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체결 안내부(14)에 한 쌍의 너트(30)와 볼트(31)가 장착되고 삽입형 클램프(40-4)는 간격유지대(2)에 일렬로 형성되는 타공홀(2a)들에 관통된 후 길이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관통홀에 볼트(31)가 관통된 후 조임너트(32)에 의해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한다.11, a pair of nuts 30 and a bolt 31 are mounted 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and the insert clamp 40-4 is provided with a perforation hole The bolts 31 are passed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the bolts 31 penetrate through the bolts 31a and 31a and then clamp the gap retaining base 2 by the tightening nuts 32. [

도 12는 너트형 클램프(40-5)로서 중앙부에 너트홀이 구비되어 간격유지대(2)의 안에 삽입된 후 볼트(31)가 체결됨으로써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한다. 너트형 클램프(40-5)는 길이방향의 양측 중 일측 이상에 간격유지대(2)의 타공홀이 걸리는 돌기 또는 홈이 구비된다.12 shows a nut type clamp 40-5 having a nut hole at the center there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ap holding bar 2 and then the bolts 31 are fastened to clamp the gap holding bar 2. The nut type clamp 40-5 has protrusions or grooves which are engaged with the perforation holes of the gap retaining bands 2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3은 두부를 갖는 볼트형의 클램프(40-6)로 직접 사용되는 것으로, 볼트(31)가 간격유지대(2)의 타공홀(2a)을 관통하면서 너트(30)에 체결되어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하는 것을 도시한 예이다.13 is directly used as a bolt type clamp 40-6 having a head portion so that the bolt 31 is fastened to the nut 30 while passing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2a of the gap retaining base 2, And clamping the band (2).

도 14는 볼트(31)가 간격유지대(2)의 타공홀을 관통하면서 체결 안내부(14)에 장착된 너트(30)에 나사 체결되고 간격유지대(2)의 외부쪽에서 조임너트(32)가 체결되어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하는 것을 보인 예이다.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lt 31 i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nut 30 mounted 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while passing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of the gap retaining band 2 and the fastening nut 32 Is clamped by clamping the gap retaining base 2. [0050] As shown in Fig.

도 15는 탄성식 볼트형 클램프(40-7)로서, 볼트형 클램프(40-7)은 체결 안내부(14)에 결합되는 판, 상기 판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고정되는 볼트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봉에 간격유지대(2)가 결합된 후 조임너트의 체결에 의해 간격유지대(2)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15 is an elastic bolt type clamp 40-7. The bolt type clamp 40-7 includes a plate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portion 14, a spring provided on the plate, and a bolt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And the space retaining base 2 is coupled to the bolt rod, and then the space retaining base 2 is installed by tightening the tightening nut. Such a method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도 16은 레버형 클램프(40-8)는 일측의 볼트부와 타측의 회동식 레버(43)를 갖는 형태이며 체결 안내부(14)에 장착된 너트(30)에 상기 볼트부가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회동식 레버(43)가 간격유지대(2)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젖혀짐으로써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한다.16 shows that the lever-type clamp 40-8 has a bolt on one side and a pivoting lever 43 on the other side and the bolt is screwed to the nut 30 mounted 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14, So that the pivoting lever 4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gap retaining base 2, thereby clamping the space retaining base 2.

도 17은 도 6의 와셔형 클램프(40)로서, 한 쌍의 너트(30)와 볼트(31)가 적용되고 와셔형 클램프(40)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볼트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31)가 관통된 후 조임너트(32)에 의해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한다.Fig. 17 is a washer-type clamp 40 of Fig. 6, in which a pair of nuts 30 and bolts 31 are applied and a washer-type clamp 40 is formed with bolt through- The clamping nut 2 is clamped by the tightening nut 32. Then, as shown in Fig.

도 18은 핀형 클램프(40-9)로서 핀(44)은 일측 단부의 플랜지가 체결 안내부(14)에 장착되고 타측이 간격유지대(2)의 타공홀을 관통하며 이 타측에 형성된 핀홀에 웨지핀(45)이 쐐기식으로 끼워져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하거나, 이 타측에 형성된 볼트부에 조임너트(32)가 나사 체결되어 간격유지대(2)를 클램핑한다.
18 shows the pin clamp 40-9 as a pin 44 in which a flange at one end is mounted to the fastening guide 14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hole in the spacer 2, The wedge pin 45 is wedged to clamp the gap maintaining base 2 or the tightening nut 32 is screwed to the bol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o clamp the gap maintaining base 2.

1 : 보 거푸집, 2 : 간격유지대
3 : 슬래브 거푸집, 10 : 소피트 거푸집
11 : 본체, 12 : 연결부
13 : 목재 수납부, 14 : 체결 안내부
20 : 목재, 30 : 너트
40,40-1,,,40-9 : 클램프,
1: boss die, 2: spacer stand
3: Slab form, 10: Small form form
11: main body, 12: connection portion
13: wooden receiving part, 14: fastening guide part
20: wood, 30: nut
40, 40-1, 40-9: Clamp,

Claims (12)

타설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본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메인 거푸집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 또는 홈을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목재가 수납되는 목재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안내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를 상기 메인 거푸집에 붙여 고정하고 상기 체결 안내부에 다른 자재를 체결하는 구조이고,
상기 체결 안내부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다른 자재의 체결을 위한 클램프가 수용되도록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는 한 쌍의 돌기로서 상기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 형태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피트 거푸집.
A plate-like main body forming a placement surface,
A connecting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body and including protrusions or grooves fitted to the main mold,
A wooden housing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and housing wood therein;
And a fastening guide portion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astening guide portion fastening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main die and fastening another material to the fastening guide porti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is formed as a pair of projection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groove that opens toward one side so as to receive a clamp for fastening the other material, Wherein the frame is a rail-shaped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다른 자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 안내부에 상호 간에 거리를 두고 직접 또는 너트를 이용한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볼트 및 다른 자재를 감싸거나 다른 자재에 삽입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기 볼트에 관통된 후 조임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다른 자재를 클램핑하는 와셔형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피트 거푸집.The clamp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clamp comprises a bolt and other material indirectly installed by using a direct or a nut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with the other material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washer-type clamp is a washer-type clamp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lt on both sides and then clamped by the tightening nut to clamp the other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체결안내부에 장착되는 너트 또는 볼트, 일측이 상기 너트 또는 볼트에 고정되면서 타측이 상기 다른 자재를 감싸거나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클램핑하는 외팔보형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피트 거푸집.The c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 is a cantilever-type clamp that is fastened to the nut or bolt,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fastening guide, and the other side is a cantilever- Cow feet mol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체결 안내부에 설치되는 너트, 상기 다른 자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너트홀을 갖는 너트형 클램프, 상기 너트형 클램프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피트 거푸집.The c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 comprises: a nut provided 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a nut-type clamp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 the other material and having a nut hole; a bolt screwed on the nut-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체결 안내부에 장착되는 너트, 상기 다른 자재의 타공홀을 관통하면서 일측이 상기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타측에 회동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른 자재의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다른 자재를 클램핑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형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피트 거푸집.2. The bolt of claim 1, wherein the clamp comprises: a nut mounted on the fastening guide portion; a bolt threaded on one side of the nut, passing through the hole of the other material; And a lev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peripheral portion of the lever and clamps the other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일측이 상기 체결 안내부에 장착되며 상가 다른 자재를 관통하는 핀, 상기 핀의 타측에 쐐기식으로 끼움되는 웨지핀 또는 상기 핀의 타측에 나사 체결되는 조임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핀형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피트 거푸집.The c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 comprises: a pin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coupling guide portion and passing through another material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a wedge pin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pin in a wedge-like manner or a combination of a tightening nut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n Wherein the clamp is a pin clam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체결 안내부에 설치되는 판, 상기 판에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고정되는 볼트봉에 의한 탄성식 볼트형 클램프이며, 상기 볼트봉에 다른 자재가 결합된 후 조임 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다른 자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피트 거푸집.
The bolt-type c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amp is an elastic bolt-type clamp with a plate provided on the coupling guide portion, a spring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plate, and a bolt ro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And the other material is installed by fastening the tightening nut.
삭제delete
KR2020160003658U 2016-06-24 2016-06-24 Soffit concrete mold KR2004881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58U KR200488141Y1 (en) 2016-06-24 2016-06-24 Soffit concrete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58U KR200488141Y1 (en) 2016-06-24 2016-06-24 Soffit concrete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0U KR20180000040U (en) 2018-01-04
KR200488141Y1 true KR200488141Y1 (en) 2018-12-18

Family

ID=6127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658U KR200488141Y1 (en) 2016-06-24 2016-06-24 Soffit concrete mo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41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31Y1 (en) * 2006-01-20 2006-05-03 주식회사 퍼스폼 Soffit Form and Soffit Form Set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761964B1 (en) * 2007-02-22 2007-10-01 서보산업 주식회사 A mold for constructing wall of concrete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931A (en) * 1995-02-01 1996-08-13 Nisso Giken:Kk Beam-receiving bearing structure of concrete fo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31Y1 (en) * 2006-01-20 2006-05-03 주식회사 퍼스폼 Soffit Form and Soffit Form Set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761964B1 (en) * 2007-02-22 2007-10-01 서보산업 주식회사 A mold for constructing wall of concrete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0U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417B1 (en) System Formwork for FSM
KR102143636B1 (en)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using form-pa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2038061B1 (en)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1817962B1 (en) Safety support device module
KR100722403B1 (en) Working deck prefabricated for mold
KR101783034B1 (en) Spacer for Stripping Deck Plate And Stripping Deck, Wall Form, Girder Form, Column Form
KR200226626Y1 (en) Bracket for Supporting Flooring Slab Form of Bridge
KR200488141Y1 (en) Soffit concrete mold
KR200445310Y1 (en) Clamp for fixing footstool in a climbing typed construction frame
JP5645334B2 (en) Structure dismantling system
KR102102214B1 (en) Safety handrail for beam table form
JP6690909B2 (en) Scaffolding pressing member and scaffolding unit
KR10094619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and coupling forms
KR20120003729U (en) System support Head
JP3646575B2 (en) Temporary support method and temporary support device
KR100655243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concreat mold on ceiling
KR20100041459A (en) Building panel-unit and beam form system using the same
KR102554569B1 (en) Column fixing band for slab mold installation
KR200375139Y1 (en) Lower Part Fixing Structure of Gang Form
JP3347937B2 (en) Method of assembling concrete formwork, formwork fixing tool used for this method, and positioning tool for level adjustment material
KR101138334B1 (en) Frame for mold panel
KR102491586B1 (en) variable type detachable beam deck
KR100668457B1 (en)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concrete slab form
KR100763000B1 (en) Reinforcement beam for slab form
KR102596698B1 (en) Layout for panel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