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01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01Y1
KR200488101Y1 KR2020180003180U KR20180003180U KR200488101Y1 KR 200488101 Y1 KR200488101 Y1 KR 200488101Y1 KR 2020180003180 U KR2020180003180 U KR 2020180003180U KR 20180003180 U KR20180003180 U KR 20180003180U KR 200488101 Y1 KR200488101 Y1 KR 200488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storage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2020180003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몸체, 상기 저장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내부덮개 및 상기 내부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몸체 및 상기 내부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힌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홀이 형성되는 외부몸체, 상기 내부용기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형성된 외부덮개 및 상기 외부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몸체 및 상기 외부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힌지부를 구비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ATIC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품 중 파운데이션, 크림, 섀도우 등의 화장료는 고분자 화합물 또는 유리 재질로 구성된 용기에 보관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신제품에 민감한 시장 특성상 용기 디자인의 형태가 변하는 일이 잦았다. 따라서 용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디자인에 맞춰 금형 등 생산 공정을 변경하는 일이 많았고, 이로 인해 공정을 새로 갖추며 소모되는 비용적, 시간적 손실을 피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외부 디자인을 결정하는 외부 용기와 실제로 화장료를 수용하는 내부 용기를 따로 생산한 뒤, 내부 용기의 외측면에 외부 용기를 결합하는 공정이 등장하였다. 이를 통해, 내부 용기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되, 외부의 용기는 디자인의 변경에 따라 변경하는 방식으로 공정 비용의 절약과 용이한 디자인 변경이라는 두 가지 장점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내부 용기의 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 구성은 분리 조립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즉, 용기 본체 및 덮개를 힌지를 통해 조립하는 조립 공정이 반드시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하고, 또 조립에 필요한 인력 및 인건비의 상승으로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내부 용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생산에 이점이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몸체, 상기 저장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내부덮개 및 상기 내부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몸체 및 상기 내부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힌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홀이 형성되는 외부몸체, 상기 내부용기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형성된 외부덮개 및 상기 외부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몸체 및 상기 외부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힌지부를 구비하는 외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는 상기 하부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하부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저장공간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벽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체결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내부덮개와 맞닿는 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덮개는 상기 결합홀과 맞닿는 면에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저장공간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저장돌기를 구비한 제1 저장벽체 및 상기 제1 저장벽체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저장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벽체 및 상기 제2 저장벽체는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덮개는 상기 내부몸체를 향한 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저장벽체의 측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밀봉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장벽체는 상기 밀봉벽체와 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저장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밀봉벽체의 돌출된 정도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덮개는 상기 내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도포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용기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 공정이 없어,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용기 내의 화장료가 모두 소모된 경우, 화장료가 저장된 새로운 내부용기로 교체하는 것으로 화장품 용기의 가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부용기 내부에 내부용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용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용기와의 결합구조를 최소화하여 생산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부덮개 및 외부몸체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1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부몸체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Ⅴ"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보았을 때, 외부덮개(100)에서 외부몸체(300)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고, 외부몸체(300)에서 외부덮개(100)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 용기(1)는 외부용기(10) 및 내부용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용기(30) 내의 화장료가 모두 소모된 경우, 화장료가 저장된 새로운 내부용기(30)로 교체하는 것으로 화장품 용기(1)의 가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용기(30)를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 공정이 없어,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결합구조를 최소화하여 조립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용기(10)는 내부에 내부용기(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용기(30)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용기(30)와의 결합구조를 최소화하여 생산고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서 외부용기(10)는 컴팩트(Compact) 타입으로서, 외부몸체(300), 외부덮개(100) 및 제1 힌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용기(10)는 외부몸체(300) 및 외부덮개(100)를 제1 힌지부(400)를 매개로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몸체(300) 및 외부덮개(100)의 색이나 디자인을 변경하여 내부용기(30)와 결합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외부몸체(30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외부덮개(100)와의 결합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덮개(10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을 참고하면, 외부몸체(300)는 외부덮개(100)와 대응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몸체(300)는 하부면이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10)의 중심부에는 하부홀(311)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홀(311)의 크기는 내부용기(30)가 하부홀(3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용기(30)의 하단부 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지지부(310)의 단부에는 하부벽체(31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벽체(31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하부벽체(312)는 지지부(310)의 단부측 둘레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벽체(312)는 내부용기(30)의 하부측 외측면을 가압하여, 내부용기(30) 및 외부몸체(30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몸체(300)는 내측면에 가압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홈(320)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가압홈(320)은 외부몸체(30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압홈(320)은 후술할 내부용기(30)의 가압돌기(57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외부몸체(300)와 내부용기(30)의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몸체(300)의 상방에는 외부덮개(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덮개(100)는 외부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힌지부(400)는 힌지 암부(430) 및 힌지 숫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힌지 숫부(410)는 외부몸체(3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 암부(430)는 외부덮개(10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힌지 숫부(410) 및 힌지 암부(430)는 상호 끼움결합되어 외부덮개(100)와 외부몸체(30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부몸체(300)와 외부덮개(100)는 제1 힌지부(400)를 통해서 결합되어, 제1 힌지부(400)를 중심으로 외부덮개(100)가 외부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1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외부몸체(300)의 힌지 숫부(410)에는 힌지돌기(4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힌지 암부(430)는 힌지팔(431), 힌지훅(4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덮개(100)와 외부몸체(300)가 결합되는 경우, 힌지훅(433)의 개방된 일측으로 힌지돌기(411)를 넣어 힌지돌기(411)가 힌지훅(433)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홀(435)에 끼워지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힌지 숫부(410)와 힌지 암부(430)는 힌지결합을 하여 제1 힌지부(4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힌지부(400)는 힌지돌기(411)를 중심축으로 하여, 외부덮개(100)가 외부몸체(300)의 상방에서 회전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외부몸체(300) 및 외부덮개(100)의 타측면에는 걸림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200)는 걸림턱(210) 및 대응걸림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210)은 외부몸체(300)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대응걸림부재(230)는 외부덮개(100)의 하면에서 걸림턱(21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대응걸림부재(230)의 걸림턱(210)과 접하는 면에는 대응걸림턱(23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몸체(300)와 외부덮개(100)를 체결하는 경우, 걸림턱(210)과 대응걸림부재(230)의 대응걸림턱(231)은 상호 결합하며 외부덮개(100)가 외부몸체(300)를 밀폐하게 된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용기(30)는 외부몸체(300)의 하부홀(311)에 끼워져서 외부몸체(3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부용기(30)는 외부몸체(300) 및 외부덮개(100)를 통해서 화장품 용기(1)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휴대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몸체(300)는 내부용기(30)가 하부홀(311)에 끼워지도록 할 때, 내부용기(30)의 하부면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내부용기(30)의 하부면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몸체(300)에 소모되는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어. 공정상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용기(30)는 내부몸체(500), 내부덮개(700) 및 제2 힌지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부용기(30)는 내부용기(30) 내의 화장료가 모두 소모된 경우, 화장료가 저장된 새로운 내부용기(30)로 교체하는 것으로 화장품 용기(1)의 가용기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용기(30)를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 공정이 없어,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몸체(50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내부덮개(700)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몸체(500) 내부에 저장된 화장료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몸체(500)는 내부에 화장료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5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화장료는 파운데이션 분말을 압축하여 구성된 파운데이션 디스크(Disk) 등의 고형 화장료 또는 선크림이나 로션 등의 반고형의 크림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부몸체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몸체(500)는 제1 연장부(510) 및 제2 연장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510)는 내부몸체(500)의 하부측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부(510)의 단부에는 체결벽체(5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몸체(500)와 체결벽체(550) 사이에는 체결홈(5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서 하부벽체(312)가 체결홈(551)에 끼워지는 끼움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Ⅴ"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홈(551)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553)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돌기(553)의 단부는 복수개의 하부벽체(312)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하부벽체(312)의 상부면과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체결돌기(553)는 하부벽체(312)가 의도한 위치보다 체결홈(551)의 내부로 밀려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장부(530)는 체결벽체(550)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530)의 단부에는 외곽벽체(57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외곽벽체(57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몸체(30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외부몸체(300)와 내부몸체(5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곽벽체(570)는 외부몸체(300)의 가압홈(320)과 접하는 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57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가압돌기(571)는 가압홈(320)에 끼움결합을 하며 외부몸체(300) 및 내부용기(3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곽벽체(57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외곽벽체(57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외곽벽체(570)가 서로 이격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외곽홈부(57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외부에서 충격을 받아 외부몸체(300) 및 외곽벽체(570)로 충격이 전해지는 경우, 외곽홈부(573)를 통해 외곽벽체(57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충격을 받은 외곽벽체(570)에서 다른 외곽벽체(570)로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제2 연장부(530)는 복수개의 외곽벽체(570)의 사이에 제1 연결면(574), 제2 연결면(575) 및 제3 연결면(57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면(574), 제2 연결면(575) 및 제3 연결면(576)은 각각 제1 힌지부(400), 제2 힌지부(800), 걸림부(200)와 접하며, 제1 힌지부(400), 제2 힌지부(800) 및 걸림부(200)가 복수개의 외곽벽체(57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몸체(500)의 상방에는 내부덮개(7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덮개(700)는 내부몸체(500)의 상부에 형성된 저장공간(5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을 참고하면, 내부덮개(700) 및 내부몸체(500)와 접하는 면에는 결합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는 결합홀(630) 및 결합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덮개(700)는 내부몸체(500)와 접하는 면에 하면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부몸체(500)는 결합부재(610)와 접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6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홀(630)은 결합부재(61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결합부재(610)가 결합홀(630)에 끼워지도록 하여, 내부몸체(500)와 내부덮개(7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공간(501)에 저장된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외부덮개(100)와 외부몸체(300)의 걸림부(200)를 개방한 뒤, 내부덮개(700)와 내부몸체(500)의 결합부(600)를 개방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저장공간(501)을 이중으로 밀폐하여, 화장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힌지부(800)는 내부용기(3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내부덮개(700)가 제2 힌지부(800)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힌지부(800)는 나비힌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힌지부(800)가 나비힌지로 형성되는 경우, 내부몸체(500), 내부덮개(700) 및 제2 힌지부(800)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할 수 있어, 별도의 힌지 구조가 없어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제2 힌지부(800)는 통상적인 힌지 결합과 다르게, 축이나 축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장치 등의 구조 없이도 중앙부가 접혔다 펴지며 구동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내부용기(30)를 생산하는 사출금형을 내부몸체(500), 내부덮개(700) 및 제2 힌지부(800)를 한 번에 생산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단일 금형으로도 내부용기(30)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몸체(500), 내부덮개(700) 및 제2 힌지부(800)를 구비한 내부용기(3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힌지부(800), 내부몸체(500) 및 내부덮개(700)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제2 힌지부(800)의 반복된 구동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화합물은 내화성이 강하고 반응성이 낮아 내부몸체(500)의 저장공간(101)에 저장된 화장료와 반응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화장료를 장기간 저장공간(101)에 저장하더라도 화장료가 화학적으로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몸체(50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고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고리(900)는 저장공간(50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고리(900)는 저장공간(501)에 저장된 화장료(2)를 가압하여, 내부에 저장된 고형의 화장료(2)가 저장공간(501)에서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고리(900)는 수평부(930) 및 수직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부(930)는 내부몸체(500)의 상방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수직부(910)는 수평부(930)의 외측 단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부(910)는 후술할 제1 저장홈(522)에 끼워지는 끼움결합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고리(9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910)에서 제1 저장벽체(521)와 맞닿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911)를 포함할 수 있고, 수평부(930)의 화장료(2)와 맞닿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고정돌기(9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몸체(500)는 제1 저장벽체(521) 및 제2 저장벽체(5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장벽체(521) 및 제2 저장벽체(525)는 제1 연장부(510)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벽체(521)는 내부몸체(500)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저장벽체(525)는 제1 저장벽체(521)와 제2 연장부(530) 사이에서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저장벽체(525)는 제1 저장벽체(521)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저장벽체(521) 및 제2 저장벽체(525) 사이에는 제1 저장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고하면, 제1 저장벽체(521)는 고정고리(900)의 제1 고정돌기(911)와 맞닿는 면에 고정홈(5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벽체(521)는 고정홈(523)의 상부측에 제1 저장돌기(52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저장홈(522)에 고정고리(900)의 수직부(910)가 끼워지는 경우, 제1 고정돌기(911)는 고정홈(523)에 걸려서 제1 저장벽체(521)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돌기(524) 수직부(910)의 외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즉, 제1 저장벽체(521)와 수직부(910)는 상호 이중으로 가압하며 결합하게 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수평부(9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931)는 저장공간(501)에 저장된 고형의 화장료(2)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화장료(2)가 내부몸체(500)에서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저장벽체(525)와 제2 연장부(530) 사이에는 제2 저장홈(5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덮개(700)는 제2 저장홈(526) 및 제2 저장벽체(525)와 맞닿는 면에 밀봉벽체(7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밀봉벽체(7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 밀봉벽체(711) 및 제2 밀봉벽체(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벽체(711)와 제2 밀봉벽체(713)는 제2 저장벽체(525)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내부덮개(700)와 내부몸체(5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밀봉벽체(713)는 제2 저장벽체(525)를 내측 방향으로 밀고, 제1 밀봉벽체(711)는 고정고리(900) 및 제2 저장벽체(525) 사이와 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덮개(700)와 내부몸체(5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내부덮개(700)를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켜 내부몸체(500)에 밀폐시키는 경우, 제1 밀봉벽체(711) 및 제2 밀봉벽체(713) 또한 내부덮개(700)와 같이 회전하면서 제2 저장벽체(525)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밀봉벽체(711)의 돌출된 길이를 제2 밀봉벽체(713)와 동일하거나 제2 밀봉벽체(713)보다 크게 구성하는 경우, 제2 밀봉벽체(713)가 제2 저장벽체(525)와 접하기도 전에 제1 밀봉벽체(711)가 먼저 제2 저장벽체(525)와 접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밀봉벽체(711) 및 제2 저장벽체(525)에서 작용하는 반발력으로 인해 내부덮개(700)는 더 이상 밑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결국 제1 밀봉벽체(711)의 길이로 인해 내부용기(30)는 밀폐되지 못한다.
반대로, 제1 밀봉벽체(711)를 제2 밀봉벽체(713)보다 적은 길이로 구성할 경우, 내부몸체(500)가 회전하더라도 제1 밀봉벽체(711)가 내부몸체(500)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안항, 제1 밀봉벽체(711) 및 제2 밀봉벽체(713)가 용이하게 제2 저장벽체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1 밀봉벽체(711) 및 제2 밀봉벽체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용기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벽체(525)는 제2 밀봉벽체(713)와 접하는 면에 제2 저장돌기(52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저장돌기(527)는 제2 밀봉벽체(713)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제2 저장벽체(525) 및 제2 밀봉벽체(713)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덮개(700)는 도포벽체(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포벽체(730)는 내부덮개(700)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저장공간(501)에 화장료(2)가 저장되는 경우, 화장료(2)를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해서 스폰지 또는 천으로 구성된 도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포부재(3)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와 함께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포부재(3)는 도포벽체(730) 내부에서 내부덮개(700)의 상부면에 놓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도포부재(3)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포가 끝난 도포부재(3)를 다시 화장품 용기(1)의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덮개(100)는 도포부재(3)와 마주보는 내측면에 반사부재(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부재(4)는 빛을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도록 폴리싱 처리된 금속 재질 또는 표면에 금속 코팅이 된 고분자 화합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반사부재(4)를 통해 얼굴 등 화장료(2)의 도포가 필요한 장소를 확인하며 피부의 상태 또는 화장료(2)를 도포하며 화장료(2)의 도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몸체(500)의 상부에 도포부재(3)를 배치할 수 있는 도포벽체(730) 및 반사부재(4)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화장품 용기 2 : 화장료
3 : 도포부재 4 : 반사부재
10 : 외부용기 30 : 내부용기
100 : 외부덮개 200 : 걸림부
210 : 걸림턱 230 : 대응걸림부재
231 : 대응걸림턱 300 : 외부몸체
310 : 지지부 311 : 하부홀
312 : 하부벽체 320 : 가압홈
400 : 제1 힌지부 410 : 힌지 숫부
411 : 힌지돌기 430 : 힌지 암부
431 : 힌지팔 433 : 힌지훅
435 : 힌지홀 500 : 내부몸체
501 : 저장공간 510 : 제1 연장부
521: 제1 저장벽체 522 : 제1 저장홈
523 : 고정홈 524 : 제1 저장돌기
525 : 제2 저장벽체 526 : 제2 저장홈
527 : 제2 저장돌기 530 : 제2 연장부
550 : 체결벽체 551 : 체결홈
553 : 체결돌기 570 : 외곽벽체
571 : 가압돌기 573 : 외곽홈부
574 : 제1 연결면 575 : 제2 연결면
576 : 제3 연결면 600 : 결합부
610 : 결합부재 630 : 결합홀
700 : 내부덮개 710 : 밀봉벽체
711 : 제1 밀봉벽체 713 : 제2 밀봉벽체
730 : 도포벽체 800 : 제2 힌지부
900 : 고정고리 910 : 수직부
911 : 제1 고정돌기 930 : 수평부
931 : 제2 고정돌기

Claims (6)

  1. 화장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몸체, 상기 저장공간을 덮도록 형성된 내부덮개 및 상기 내부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몸체 및 상기 내부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힌지부를 구비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홀이 형성되는 외부몸체, 상기 내부용기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형성된 외부덮개 및 상기 외부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몸체 및 상기 외부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힌지부를 구비하는 외부용기 및
    상기 저장공간의 상방에서 상기 내부용기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와 접하는 면에 제1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화장료와 접하는 면에 제2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화장료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고정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몸체는 상기 하부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저장공간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벽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체결벽체 및 상기 하부벽체의 상부면과 접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일체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는 상기 내부덮개와 맞닿는 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덮개는 상기 결합홀과 맞닿는 면에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저장공간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저장돌기를 구비한 제1 저장벽체 및 상기 제1 저장벽체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저장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저장벽체 및 상기 제2 저장벽체는 이격되어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덮개는 상기 내부몸체를 향한 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저장벽체의 측면을 가압하는 복수개의 밀봉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장벽체는 상기 밀봉벽체와 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저장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밀봉벽체의 돌출된 정도는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덮개는,
    상기 내부덮개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도포벽체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80003180U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KR200488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80U KR200488101Y1 (ko)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80U KR200488101Y1 (ko)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01Y1 true KR200488101Y1 (ko) 2018-12-12

Family

ID=6466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80U KR200488101Y1 (ko) 2018-07-11 2018-07-11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01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359B1 (ko) * 2012-08-21 2013-06-07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101318467B1 (ko) * 2013-03-26 2013-10-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리필 케이스를 갖는 화장품용기
KR101366466B1 (ko) * 2012-11-20 2014-02-21 최민철 이중 화장품 용기
KR101481544B1 (ko) * 2013-08-09 2015-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결합형 화장품 용기
KR20150011189A (ko) * 2013-07-22 2015-01-30 정규열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527694B1 (ko) * 2014-12-23 2015-06-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KR20160123518A (ko) *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지엘피코리아 내용기의 이중밀폐구조를 구비한 콤팩트용기
KR20170091812A (ko) * 2016-02-01 2017-08-10 (주)아모레퍼시픽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359B1 (ko) * 2012-08-21 2013-06-07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101366466B1 (ko) * 2012-11-20 2014-02-21 최민철 이중 화장품 용기
KR101318467B1 (ko) * 2013-03-26 2013-10-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리필 케이스를 갖는 화장품용기
KR20150011189A (ko) * 2013-07-22 2015-01-30 정규열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481544B1 (ko) * 2013-08-09 2015-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결합형 화장품 용기
KR101527694B1 (ko) * 2014-12-23 2015-06-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KR20160123518A (ko) *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지엘피코리아 내용기의 이중밀폐구조를 구비한 콤팩트용기
KR20170091812A (ko) * 2016-02-01 2017-08-10 (주)아모레퍼시픽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5829B2 (ja) 製品、特に化粧品の格納用パッケージ
JP6514339B2 (ja) 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JP5989010B2 (ja) 容器、特に化粧製品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535808B2 (ja) 行程距離の短いポンプと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JP2001258636A (ja) 気密容器
KR20130048518A (ko) 기밀 화장품용기
KR101481544B1 (ko) 결합형 화장품 용기
KR200474225Y1 (ko) 화장품 용기
US20190200724A1 (en) Structurally simple compact container improved in cosmetic material-filling process
JP2005503295A (ja) 注入可能な物質を保持する容器に用いるディスペンスクロージャー
US6186152B1 (en) Makeup box having a sealing member held by a support piece
KR20048908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8101Y1 (ko) 화장품 용기
KR101876732B1 (ko) 용기구조체
KR20160002694U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11213107B2 (en) Cushion compact container
KR100486945B1 (ko) 화장용기밀콤팩트용기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00520U (ko) 화장품 용기
JP3747960B2 (ja) 蓋付き密封容器
KR102423782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JP2001258635A (ja) 気密容器
KR102029097B1 (ko) 힌지결합부가 내측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JP2515192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