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69Y1 - toilet pot for bus - Google Patents

toilet pot for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69Y1
KR200487769Y1 KR2020170001779U KR20170001779U KR200487769Y1 KR 200487769 Y1 KR200487769 Y1 KR 200487769Y1 KR 2020170001779 U KR2020170001779 U KR 2020170001779U KR 20170001779 U KR20170001779 U KR 20170001779U KR 200487769 Y1 KR200487769 Y1 KR 200487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toilet
storage unit
us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2992U (en
Inventor
백순관
Original Assignee
백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순관 filed Critical 백순관
Priority to KR2020170001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69Y1/en
Publication of KR20180002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9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6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with continuous tubular film for receiving fa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버스용 간이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는, 버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10)와, 상면이 개방된 봉지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좌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된 용변봉지(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좌대(10)에 상기 용변봉지(20)를 결합한 후, 좌대(10)에 앉아 용변을 볼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oilet seat for a bus of a new structure which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a bus and can be easi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is provided at one side of an inside of a bus, and has a seat 10 for allowing the user to sit, a bag-shaped opening for opening the upper side, Since the user can easily see the bowl after sitting on the bed 10 after the user has joined the toilet 10 to the toilet 10 with the fixing portion 21 formed thereon, There are advantages.

Description

버스용 간이 변기{toilet pot for bus}Toilet pot for bus}

본 고안은 버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버스용 간이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oilet seat for a bus of a new structure which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a bus and can be easily used.

일반적으로, 장거리를 이동하는 관광버스나 고속버스의 경우, 필요에 따라 휴게실 등에 정차하여 승객이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sightseeing bus or a high-speed bus that travels over a long distance, the passengers are allowed to use the toilet,

그러나, 이러한 버스의 경우, 교통지체를 비롯한 다양한 이유에 의해, 필요할 때 휴게실에 정차시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bu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bus can not stop at the break room due to various reasons including traffic jam.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경우,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간이변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간이변기는 버스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것이 번거롭고, 이러한 간이변기를 이용하여 용변을 본 후 뒤처릴 하는 것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variety of simple toilet seats have been developed for use in such cases. However, such simple toilet seats are cumbersome to use inside the bus, and it is troublesome to dispose of the toilet seats after using such a simple toilet seat there wa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various methods for solving such problems have become necessary.

한편, 일반적인 버스의 경우, 전방 일측에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에는 계단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general bus, an entrance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is formed at a front side, and a step is formed at the entrance.

등록특허 10-1426037호,10-1426037,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버스용 간이 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with a new structure which is provided inside a bus and can be easily u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10)와, 상면이 개방된 봉지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좌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된 용변봉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s system comprising: a base (10) provided at one side of a bus and capable of being seated by a user; a bag-shaped top opening; (20) having a fixing portion (21) formed thereon.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10)는 상기 버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2)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변봉지(20)는 방수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에 용변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21)는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21)를 상기 좌대(10)의 연장부(12) 외측에 끼움결합하여 용변봉지(20)를 좌대(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form 10 is configured to have a support 11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us and an extension 12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11, (2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heet having a waterproof property and is capable of storing the inside thereof, and the fixing part (21)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fixing part (21) (10) so that the toilet seat (20) can be fixed to the seat (10) by being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extended portion (12) of the seat (10).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스트립의 중간부를 하측으로 접은 후 상기 연장스트립의 단부를 연장스트립의 하단 또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에 접착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21 folds down the middle portion of the extending strip upward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eformable bag 20, Or the upper end of the toilet bag (20).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스의 내측면 일측에는 상기 용변봉지(20)를 저장하는 저장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는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32)가 형성되어, 용변을 본 후, 상기 용변봉지(20)의 입구부분을 밀폐하여, 상기 투입구(32)를 통해 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30 for storing the companion bag 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us, and a door 3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Wherein the mouth of the mouthpiece is sealed and the mouthpiec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inlet port after the mouthpiece has been used. A simple toilet is provide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대(10)는 상기 버스의 내측면 일측에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힌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동시켜 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입구(32)는 상기 좌대(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는 배기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33)는 상기 투입구(32)에 하측으로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대(10)와 도어(33)는 연결바(3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대(1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펴면 상기 연결바(34)에 의해 도어(33)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투입구(32)를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냄새를 상기 저장부(30)로 흡입한 후 배기구(31)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ets (10) are pivotal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us so that they can be pivoted downward in a folded state. The buckets (32) And an exhaust port 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The door 33 is configured to pivot downward to the loading port 32 to be opened, And the door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bar 34 so that when the user rotates the platform 10 downwardly, the door 33 is pivoted downward by the connection bar 34, So that the odor generated when the user looks at the toilet can be sucked into the storage part 3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exhaust port 31. [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fan (40) that is connected to the bus The toilet is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는, 버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10)와, 상면이 개방된 봉지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좌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된 용변봉지(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좌대(10)에 상기 용변봉지(20)를 결합한 후, 좌대(10)에 앉아 용변을 볼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is provided at one side of an inside of a bus, and has a seat 10 for allowing the user to sit, a bag-shaped opening for opening the upper side, Since the user can easily see the bowl after sitting on the bed 10 after the user has joined the toilet 10 to the toilet 10 with the fixing portion 21 formed thereon,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의 변형에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reference views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reference views showing deformation of a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은 고안에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버스의 전방 일측에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1)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1)에는 계단(2)이 형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1 to 7 show a simplified toilet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ntrance 1 is formed at a front side of the bus by a door, and a step 2 is formed at the entrance 1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그리고, 본 고안 따른 버스용 간이 변기는 버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10)와, 상면이 개방된 봉지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좌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된 용변봉지(20)로 구성된다.The simple toilet for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us and has a seat 10 for allowing the user to sit down, a bag-shaped opening for opening the upper side, And a garbage bag 20 in which a fixing portion 21 is formed.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좌대(10)는 상기 계단(2)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벽(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동시켜 접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시켜 펼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float 1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3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p 2, 6, it is configur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be turned horizontally to the lower side

이를 위해, 상기 좌대(10)는 경첩에 의해 상기 버스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2)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latform 10 includes a support 11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bus by a hinge in a vertical direction, an extension 12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support 11, .

이러한 좌대(10)의 구성은 일반적인 변기에 사용되는 좌대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at 10 is the same as that of a seat used in a general toile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용변봉지(20)는 방수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에 용변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mpanion bag 2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heet having waterproof property, and can store the inside of the compartment.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스트립의 중간부를 링형태를 이루도록 하측으로 접은 후 상기 연장스트립의 단부를 연장스트립의 하단 또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 둘레부에 접착고정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portion 21 folds down the middle portion of the extending strip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arbage bag 20 to form a ring shape and then attaches the end portion of the extending strip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ding strip, 20).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대(10)를 수평을 이루도록 하측으로 회동시켜 펴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변봉지(20)의 고정부(21)를 상기 연장부(12)의 외측에 결합함으로써, 좌대(10)에 용변봉지(20)를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base 10 is pivoted downward so as to be horizontal, and the fixing portion 21 of the toilet pouch 20 is extended from the extension portion 12, it is possible to fix the companion bag 20 to the seat 10.

이때, 상기 수직벽(3)의 내부에는 상기 용변봉지(20)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저장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는 버스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배기구(31)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storage unit 30 is formed in the vertical wall 3 so as to store the companion bag 20. An exhaust port 31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bu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Is formed

그리고, 상기 수직벽(3)에는 상기 저장부(30)와 연통되는 투입구(32)가 상기 좌대(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32)에는 투입구(32)를 개폐하는 도어(33)가 구비된다.The vertical wall 3 is formed with a charging port 32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3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bed 10. The charging port 32 is provided with a door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harging port 32, (33).

상기 도어(33)는 하단이 상기 투입구(32)의 하측둘레부에 힌지결합되어 상단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투입구(32)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연결바(34)에 의해 상기 좌대(10)에 연결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대(1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접으면 상기 도어(33)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투입구(32)를 밀폐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대(1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펴면 상기 도어(33)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투입구(32)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The lower end of the door 33 is hinged to the low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let 32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oor 33 can be rotated downward to open the inlet 32. The connection bar 34 allows the upper e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upright 10 is folded upward, the door 33 is rotated upward to close the inlet 32, and as shown in Fig. 6, The door 33 is pivoted downward to open the loading port 32 when the float 10 is rotated downward to be unfolded.

또한,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는 배기팬(4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n exhaust fan 40 is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30.

상기 배기팬(40)은 상기 도어(33)와 연동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3)가 개방되면 작동되어 투입구(32)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31)를 통해 버스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The exhaust fan 40 is interlocked with the door 33 and operates when the door 33 is opened as shown in FIG. 6 so as to suck air in front of the inlet port 32 to pass through the exhaust port 31 To the outside of the bus.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좌대(10)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33)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투입구(32)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팬(40)을 구동시키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용변봉지(20)의 고정부(21)를 상기 좌대(10)의 연장부(12)에 끼워 고정한 후, 상기 좌대(10)에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다.6, when the user rotates the platform 10 downward, the door 33 is rotated downward to open the inlet 32 and to drive the exhaust fan 40 , The user holds the fixing portion 21 of the toilet seat 20 in the extended portion 12 of the seat 10 and fixes the seat 10 on the seat 10 as shown in FIG. .

그리고, 용변이 끝나면, 용변봉지(20)를 좌대(10)에서 분리하고, 용변의 상단부를 묶어 밀폐한 후, 상기 투입구(32)를 통해 저장부(30)의 내부로 투입한 후, 상기 좌대(1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33)가 상승되어 투입구(32)를 밀폐한다.After the end of use, the padded bag 20 is separated from the padding 10, the upper end of the padding is bundled and sealed, and the padded bag 20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portion 30 through the padding 32, The door 33 is raised so as to close the inlet port 32. [0051]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구성된 버스용 간이 변기는, 버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10)와, 상면이 개방된 봉지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좌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된 용변봉지(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좌대(10)에 상기 용변봉지(20)를 결합한 후, 좌대(10)에 앉아 용변을 볼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simple toilet bowl for a b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eat 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us and seated by a user, a seal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nd an upper end surrounding the seat 10, Since the user can sit on the seat 10 to see the toilet after the user has joined the seat 10 to the seat 10 by using the toilet seat 20 with the door 21 formed thereon, .

그리고, 상기 좌대(10)는 상기 버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2)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변봉지(20)는 방수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에 용변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21)는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21)를 상기 좌대(10)의 연장부(12) 외측에 끼움결합하여 용변봉지(20)를 좌대(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ase 10 is configured to have a support 11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us and an extension 12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11, The fixing part 21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fixing part 21 is fixed to the extension part of the base 10 12 to be fixed to the seat 10 by engaging with the outer side of the seat 10. [

따라서, 상기 용변봉지(20)를 좌대(10)에 고정하거나, 좌대(10)에 고정된 용변봉지(20)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very easy to fix the padded bag 20 to the padding 10 or to separate the padded bag 20 fixed to the padding 10.

특히,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스트립의 중간부를 하측으로 접은 후 상기 연장스트립의 단부를 연장스트립의 하단 또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에 접착고정하여 구성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fixing portion 21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extending strip upwardly from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arbage bag 20 downwardly, and then attaching the end portion of the extending strip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ding strip, And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strength is high

또한, 상기 버스의 내측면 일측에는 상기 용변봉지(20)를 저장하는 저장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는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32)가 형성되어, 용변을 본 후, 상기 용변봉지(20)의 입구부분을 밀폐하여, 상기 투입구(32)를 통해 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storage unit 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us so as to store the companion bag 20. An inlet 3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33 So that the mouth portion of the mouthpiece 20 can be sea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through the inlet 32. [

따라서, 용변을 마친 후, 용변봉지(20)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fter the use of the toilet, the mouthpiece 20 can be easily handled.

그리고, 상기 좌대(10)는 상기 버스의 내측면 일측에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힌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동시켜 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입구(32)는 상기 좌대(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는 배기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33)는 상기 투입구(32)에 하측으로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대(10)와 도어(33)는 연결바(3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대(1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펴면 상기 연결바(34)에 의해 도어(33)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투입구(32)를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냄새를 상기 저장부(30)로 흡입한 후 배기구(31)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사용자가 별도로 투입구(32)의 도어(33)를 개폐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latform 10 is pivotal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us so that the platform 10 can be pivoted downwardly in a folded state. The slot 3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form 10, A door 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and the door 33 is pivoted downward to the loading port 32 and the door 33 is opened The door 3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34 by the user so that the door 33 is pivoted downward by the connection bar 34 when the user rotates the platform 10 downward to open the inlet 32, The user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30 to suck the odor generated when the user looks at the toilet bowl into the storage unit 30 and then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exhaust port 31. Thus, It is not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door 33 of the door 32, When a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odor generated, there are more convenient to use advantages.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기팬(40)은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수직벽(3)에 별도의 배기구(31)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구(31)에 상기 배기팬(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fan 40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30.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eparate exhaust port 31 in the vertical wall 3, And the exhaust fan 40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좌대(10)는 상기 수직벽(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좌대(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벽(3)에 형성된 관통공(4)을 통해 수직벽(3)의 내부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ase 10 is pivo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3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base 10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vertical wall 3, as shown in FIG. 8, It can be configured to be housed in the vertical wall 3 through the hole 4.

그리고, 상기 좌대(10)는 상기 수직벽(3) 이외에, 상기 계단(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단(3)에 수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vertical wall 3, the buckle 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tep 2 in a vertical direction, or is coupled to the step 3 in such a manner that it can be retracted It is also possible.

이때, 상기 계단(2)에는 상기 좌대(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기구(31)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31)에는 배기팬(40)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exhaust port 31 is formed in the step 2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platform 10, and an exhaust fan 40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ort 31.

또한, 상기 버스의 내부 일측에 용변시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재생장치와, 향기물질을 분사하는 방향제분사장치 등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music reproducing device for reproducing the music upon use at the one side of the bus, and a fragrance spraying device for spraying the fragrance material.

10. 좌대 20. 용변봉지
30. 저장부 40. 배기팬
10. Floats
30. Storage 40. Exhaust fan

Claims (5)

버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10)와, 상면이 개방된 봉지 형태로 구성되며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좌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21)가 형성된 용변봉지(20)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의 내측면 일측에는 상기 용변봉지(20)를 저장하는 저장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는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32)가 형성되어, 용변을 본 후, 상기 용변봉지(20)의 입구부분을 밀폐하여 상기 투입구(32)를 통해 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버스용 간이 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대(10)는 상기 버스의 내측면 일측에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힌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동시켜 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입구(32)는 상기 좌대(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는 배기구(3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33)는 상기 투입구(32)에 하측으로 회동시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대(10)와 도어(33)는 연결바(3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좌대(10)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펴면 상기 연결바(34)에 의해 도어(33)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투입구(32)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냄새를 상기 저장부(30)로 흡입한 후 배기구(31)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
A toilet seat (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us and capable of being seated by a user, a bag-shaped bag (22)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fixing part (21) fixed to the seat 20,
A storage unit 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us so as to store the toilet pouch 20. An inlet 3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for opening and closing by the door 33, The user can easily store the opening portion of the toilet bag 20 in the storage portion 30 through the inlet 32 after the toilet is seen,
The buckle (10) is pivotal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bus so that the buckle (10)
The input port 3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form 10,
An exhaust port 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The door (33) is configured to pivot downwardly to the loading port (32)
When the user pushes the platform 10 downward, the platform 33 and the door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bar 34. When the user pushes the platform 10 downward, And is configured to open the inlet 32,
An exhaust fan 40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unit 30 for sucking the odor generated when the user feels the urge into the storage unit 30 and discharging the odo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exhaust port 3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oilet seat for the b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10)는
상기 버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2)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변봉지(20)는 방수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어 내부에 용변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21)는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21)를 상기 좌대(10)의 연장부(12) 외측에 끼움결합하여 용변봉지(20)를 좌대(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ets (10)
A support portion 11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us,
And an extension 12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support 11,
The toilet seat 20 is made of a waterproof synthetic resin sheet and is configured to store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20,
The fixing portion 21 is formed in a ring shape,
Wherein the fixing part is adapted to fit the fixing part to the out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base to fix the side cover to the bas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스트립의 중간부를 하측으로 접은 후 상기 연장스트립의 단부를 연장스트립의 하단 또는 상기 용변봉지(20)의 상단에 접착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간이 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part 21 folds down the middle part of the extending strip upwardl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mouthpiece 20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ding strip, And the second toilet seat is attached to the second toilet sea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70001779U 2017-04-10 2017-04-10 toilet pot for bus KR2004877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79U KR200487769Y1 (en) 2017-04-10 2017-04-10 toilet pot for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79U KR200487769Y1 (en) 2017-04-10 2017-04-10 toilet pot for 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92U KR20180002992U (en) 2018-10-18
KR200487769Y1 true KR200487769Y1 (en) 2018-10-30

Family

ID=6404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79U KR200487769Y1 (en) 2017-04-10 2017-04-10 toilet pot for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69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083B2 (en) * 1990-08-28 2000-02-28 松下電工株式会社 switch
JP2006081595A (en) * 2004-09-14 2006-03-30 Aono:Kk Foldable chair with toilet sea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083U (en) * 1995-01-23 1995-08-29 株式会社日本テクマ Storage toilet
KR101210681B1 (en) * 2010-07-23 2012-12-10 한일이화주식회사 Arm rest structure having child toilet stool of vehicles
KR101426037B1 (en) 2013-01-29 2014-08-01 이세형 Portable toile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5083B2 (en) * 1990-08-28 2000-02-28 松下電工株式会社 switch
JP2006081595A (en) * 2004-09-14 2006-03-30 Aono:Kk Foldable chair with toilet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92U (en)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8045B2 (en) Waste-disposal device
US7828168B2 (en) Vacuum-operated trash receptacle
US20090272327A1 (en) Cat litter box
CN106175391A (en) For posting packing material that is to be sent or that receive or the container of small packet
US5778462A (en) Device in separation-type toilet systems
US20080128422A1 (en) Vehicle trash system
CN106185121B (en) A kind of Odourproof refuse receptacle
JP4882660B2 (en) Western-style toilet device
KR200487769Y1 (en) toilet pot for bus
US8991914B2 (en) Pop-up lounge arm room for watercraft
CN106185120B (en) Odourproof refuse receptacle
US20160206158A1 (en) Toilet seat cover with foldable side flaps
JP2000053203A (en) Refuse container
JP6066242B1 (en) Garbage can
US20120297528A1 (en) Portable flushing child's toilet
US1050435A (en) Cabinet-closet.
KR200487228Y1 (en) Infant combination both sides flag cover
KR20150002613U (en) Trash can for standard trash bag
JP2005304796A (en) Folding type portable toilet
US1119574A (en) Dry closet.
US3951446A (en) Car trunk litter receptacle
US11684223B1 (en) Toilet
KR101524912B1 (en) portable toilet
EP0135458A1 (en) Foldable accommodation unit to be mounted on the roof of a motor vehicle
JP2012152258A (en) Portable toil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