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46Y1 - 개량 거푸집 - Google Patents

개량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46Y1
KR200487746Y1 KR2020180002561U KR20180002561U KR200487746Y1 KR 200487746 Y1 KR200487746 Y1 KR 200487746Y1 KR 2020180002561 U KR2020180002561 U KR 2020180002561U KR 20180002561 U KR20180002561 U KR 20180002561U KR 200487746 Y1 KR200487746 Y1 KR 200487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hole
holes
addit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관우
Original Assignee
오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관우 filed Critical 오관우
Priority to KR2020180002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부를 구비하는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외곽 둘레를 이루는 외곽 프레임을 구비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에 추가의 타이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 거푸집{Improving Molding Case}
본 고안은, 유로폼과 인코너를 개량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다르게 타이 구멍이 추가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량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된다.
거푸집의 종류에는 목재합판, 경질섬유판, 합성수지재, 알루미늄패널, 강판 등이 있다. 그리고 거푸집의 형식에는 일반 거푸집, 유로폼(Euroform), 슬라이딩폼, 수직이동 거푸집, 테이블 거푸집, 터널식 거푸집, 와플 거푸집, 트레블링 거푸집 등이 있다.
인코너의 경우에는 철재, 플라스틱재 등이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주로 유로폼에 중심을 두고 진술하기로 한다.
이하, 일반적인 유로폼 타입 거푸집의 핸들링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일반보(석고) 작업과 테두리보(눈썹) 작업에 대하여 타이 구멍이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타이 구멍이 일치하는 경우이다.
석고의 옆가와는 유로폼을 눕혀서 연결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세워서 연결사용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석고 제작단계(아직 철근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타이를 꽂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석고 바닥에서 위로 3-5cm에 첫 철근이 놓이게 되지만 14cm(석고 바닥이 합판이 아니라 유로폼일 경우는 15cm)되는 곳에 유로폼의 첫 타이 구멍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통상적으로 철근 작업이 끝난 후 형틀공이 다시 돌아와서 타이 설치 작업을 추가로 진행해야 한다.
사다리나 파이프(후리도메 맨 것)를 밟고, 혹시 철근에 가려져있을지 모르는 구멍으로 타이를 꽂아야 하는 이 추가 작업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품이 많이 소요된다.
참고로, 보타이(타이고리)라는 제품이 있다.
석고 제작 시 유로폼에 핀으로 고정시켜 놓으면 철근 작업에 영향주지 않아서 편리하다.
다만, 보타이의 불편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철근공들과 타이밍을 맞추어 철근 작업 중 어느 한 시점에 타이를 꽂아야 한다. 같지 않은 공종이 타이밍을 맞춘다는 자체가 쉽지 않으며 일군들은 타공종이 옆에서 얼른거리는 자체를 싫어한다. 만약 철근공이 협조를 안 해줘서 철근 작업이 완성이 된 상태라면 일이 커진다.
철근 위에 엎드려서 타이 고리에 타이를 걸고 못으로 고정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맞춤하게 타이가 고리에 딱 들어가면 그나마 괜찮지만 만약 보너비가 조금 커졌다거나 하면 타이가 들어가지 않는다.
이때 촘촘한 철근 사이로 망치를 집어넣어서 두드려 꽂아 넣는 건 여간 쉬운 일이 아닌데, 잘 들어가지 않으면 양쪽에 구멍을 뚫어 볼트처리를 해야 하나 이 역시 많은 품이 소요된다.
다음으로, 타이 구멍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예컨대, 경사보, 또는 고와리가 걸리는 경우, 즉 석고의 한쪽 옆구리가 열려서 다른 석고가 걸리는 경우이다. 양쪽 옆가와의 폼이 엇갈려서 타이 구멍이 맞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눈썹의 폼은 맞은 켠(밑에서 붙여 올라온)폼과 타이 구멍이 일치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취하였다.
첫째, 양쪽의 유로폼에 구멍 2개씩 뚫어서(폼의 밑변으로부터 3-5cm 사이) 반생을 꽂아놓고 철근이 들어간 다음 추가 작업으로 사다리(혹은 시스템동바리)를 밟고 묶어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유로폼 파손의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사다리 작업의 위험성 및 비효율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구멍 뚫고 반생 꽂고 추가 작업까지 포함하면 품이 적지 않게 소요된다.
둘째, 양쪽의 유로폼에 구멍을 한 개씩 뚫어서(아래로부터 3-5cm사이) 본체볼트 + D콘 + 세파볼트 + D콘 + 본체볼트를 심고 나비와샤 및 너트로 고정하는 것이다.
역시 유로폼 파손의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사다리 작업의 위험성 및 비효율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구멍 뚫고 볼트 심고 파이프나 중각재(투바이포)로 볼트를 끼워서 나비와 너트를 채워서 완성되는데 소요되는 품은 위의 방법을 능가한다.
한편, 일반 폼 붙임 작업할 때 메모도와 폼 사이는 못으로 고정한다. 못 구멍이 2개 있지만(핀 구멍에도 못을 박을 수 있음) 보통 1개만 박는다. 이는, 작업자가 작업을 빠르게 하려는 마음, 혹은 습관적으로 아예 못을 박지 않는 작업자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허리타이 하나 꽂아줄 수도 있지만 해체가 힘들어지기에(메모도는 75mm공구리 못으로 고정, 빠루로 메모도를 위로 제껴서 해체해야 하는데 타이가 막고 있음) 이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공구리 작업 시 제일 큰 압력을 받는 혹은 제일 힘쓰는 것은 300mm 위치에 있는 타이이다. 타이들이 제대로 꽂혀있고 못도 제대로 박혀있어도 터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천정이 5m 이상으로 높을 때가 그렇다.
약간 부식된 핀을 사용하여 핀이 깨졌다거나 심지어 타이가 찢어지는 경우까지 있다. 물론 다수의 상황은 형틀작업자의 착오로 결론지어진다. 무슨 이유로 터졌든 비용이 많이 발생된다.
이상 설명한 사항들을 종합해볼 때, 기존 거푸집의 경우에는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개량 거푸집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317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174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1956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656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전과 다르게 타이 구멍이 추가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량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보강부를 구비하는 본체 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외곽 둘레를 이루는 외곽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에는 다수의 핀 구멍과 타이 구멍이 구비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에 추가의 타이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거푸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 구멍은 상기 개량 거푸집을 세워놓았을 때나 눕혀놓았을 때나 하단으로부터 3~5cm 이격된 위치의 상기 외곽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타이 구멍은 지름이 20×4×63mm이며, 상기 타이 구멍은 적어도 2개 이상이며, 상기 타이 구멍으로 인해 상기 개량 거푸집의 위, 아래가 형성되되 상기 타이 구멍은 상기 개량 거푸집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은 다수의 색상으로 구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과 다르게 타이 구멍이 추가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타이 구멍의 제품 이미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타이 구멍의 제품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 거푸집(100)은 종전과 다르게 타이 구멍이 추가됨(이하 추가 차이 구멍이라 칭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체 플레이트(110)와, 본체 플레이트(110)의 외곽 둘레를 이루는 외곽 프레임(120a,120b)을 포함한다.
본체 플레이트(110)는 가로 600mm, 세로 1200mm의 사이즈로 규격품으로 제작된다. 본체 플레이트(110)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본체 플레이트(110)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데 반해, 외곽 프레임(120a,120b)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사이드의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120a,120b)에는 다수의 핀 구멍(121)과 타이 구멍(12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프레임(120a,120b)은 다수의 색상으로 구별된다. 즉 총 4개의 외곽 프레임(120a,120b)이 2가지 색상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식별이 용이해질 수 있다.
외곽 프레임(120a,120b)이 금속으로 제작되어 강한 강성을 갖는데 반해 본체 플레이트(11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강성이 약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체 플레이트(110)에는 보강부(130)가 마련된다.
보강부(130)는 본체 플레이트(110)의 단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보강 리브(131~133)와, 제1 보강 리브(131)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4 보강 리브(134)와, 제3 보강 리브(133)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제5 보강 리브(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개량 거푸집(100)은 타이(tie)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거푸집 장치를 이루게 되며, 그 내부에 모래와 자갈, 시멘트가 혼합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까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타이 구멍(140)은 개량 거푸집(100)을 세워놓았을 때나 눕혀놓았을 때나 하단으로부터 3~5cm 이격된 위치의 외곽 프레임(120a,120b)에 형성된다.
추가 타이 구멍(140)은 20×4×63mm이며, 적어도 2개 이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 구멍(140)은 총 4개이다.
추가 타이 구멍(140)으로 인해 개량 거푸집(100)의 위, 아래가 형성되되 추가 타이 구멍(140)은 상기 개량 거푸집(100)의 아래에 배치된다. 즉 추가 타이 구멍(140)이 있는 방향이 개량 거푸집(100)의 아래가 된다.
한편, 외곽 프레임(120a)에 추가되는 총 2개 추가 타이 구멍(140)은 폼(너비) 사이즈에 상관없이 그냥 2개 추가된 것인데 반해, 외곽 프레임(120b)의 추가 타이 구멍(140)이 추가됨과 동시에 기존 타이구멍의 수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타이 구멍(140)이 철근에 막히는 것을 감안하여 외곽 프레임(120b)에 타이구멍이 최소 2개, 최대 3개 비치되어 있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유로폼의 사이즈별 허리 타이 구멍수량 조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물론, 아래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600×1200폼: 기존 3개 → 한 개 추가, 가까운 한 개 삭제, 단 핀구멍은 보류
500×1200폼: 기존 4개 → 한 개 추가, 가까운 한 개 삭제, 단 핀구멍은 보류
450×1200폼: 기존 2개 → 한 개 추가
400×1200폼: 기존 4개 → 한 개 추가, 가까운 한 개 삭제, 단 핀구멍은 보류
350×1200폼: 기존 2개 → 한 개 추가
300×1200폼: 기존 1개 → 한 개 추가
250×1200폼: 기존 2개 → 추가 없음
200×기존 2개 → 추가 없음
150×기존 1개 → 추가 없음
한편, 핀받이 구멍(150)은 추가 타이 구멍(140)에 체결되는 핀 2개 중 잠금핀은 삽입핀의 구멍을 통과하여 아래로 내리꽂히는 과정에 28mm 시점에서 프레임과 부딪히게 된다. 이때, 2개 핀은 단단히 물려져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혹시 핀이 빠질 우려가 있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에 핀받이 구멍(150)을 뚫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즈는 8×8 mm이다. 그 위치는 폼 면으로부터 34mm + 핀받이 구멍 8mm + 끝변까지 21mm = 프레임 높이63mm이다. 핀받이 구멍(미도시)부터 인접한 프레임까지의 거리는 5mm이다.
인코너(미도시)는 100×100, 100×150, 100×200, 150×150 등 그 사이즈에 상관없이 2개 프레임 하단에 각 한 개씩 추가할 수 있다.
이처럼 추가 타이 구멍(140)이 형성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 거푸집(100)을 타이(tie) 등의 결합부재를 추가 타이 구멍(140)에 끼워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거푸집 장치를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이하, 추가 타이 구멍(140)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 거푸집(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개량 거푸집(100)을 연결해서 사용함에 있어서 타이 구멍이 일치하는 경우이다.
재래식 석고를 예로 설명한다. 석고 바닥에(합판 두께 1.2cm) 스페이서(최소 유효 높이 3cm)가 놓이고 그 위에 횡단철근(ㄷ자형)이 놓이며, 그 위에 종단철근이 놓이게 된다. 횡단철근의 굵기(최소12mm)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횡단철근위(종단철근밑)까지의 최소공간높이는 4.2cm 이며, 합판 두께를 합하면 5.4cm, 즉 유로폼 밑단부터 계산하면 5.4cm 위에 첫 종단철근이 놓이게 된다. 여기서, 타이가 먼저 설치된 상황에서 철근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ㄷ자형 횡단철근은 타이를 피해서 설치하면 된다. 즉 횡단철근은 무시한다.
다시 말하면 합판 두께 12mm 위에 면목 20mm가 놓이고 면목 위에 타이 20mm가 놓이고 타이 위에 종단철근이 놓인다. 석고 바닥이 유로폼인 경우, 스페이서를 90도 돌려서 유효높이를 4cm로 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석고 제작단계(지상)에서 면목을 박아준 후, 타이를 꽂으면 한 번에 작업이 마무리된다. 즉 도리도 잡히고 후속작업 필요 없기에 상당한 품이 절약된다.
다음으로, 타이 구멍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일반 보의 경우, 한 쪽 유로폼에 구멍 한 개만 뚫어서 세파타이 + D콘 + 본체볼트를 설치한다. 즉 세파타이의 한 쪽(타이)은 추가 타이 구멍(140)에 꽂아서 핀으로 고정하고, 다른 한쪽은 D콘 및 볼트 연결하여 뚫린 구멍에 삽입하고 나비와샤 + 너트로 고정한다. 세파타이 역시 면목 위, 철근 아래에 놓이게 되며, 나비너트 체결을 포함해서 모든 작업이 석고 제작단계 즉 지상에서 한 번에 완성된다.
눈썹의 경우, 일반 석고와 달리 공중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며 세파타이 + D콘 + 본체볼트의 설치방법은 유사하다. 세파타이를 이용한 눈썹 작업이 비록 사다리를 타고 볼트를 채워야하는 번거로움을 모두 없애지는 못했지만 본체볼트 + D콘 + 세파볼트 + D콘 + 본체볼트를 이용한 방법보다 볼트작업량을 반으로 줄였으므로 역시 바람직하다 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반 폼 붙임 작업할 때, 개량 거푸집(100)의 추가 타이 구멍(140)에 체결된 타이는 300mm 위치의 타이가 받던 압력의 상당한 부분을 분담하게 되며 공구리가 터지는 것을 거의 100% 피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인코너에 추가된 추가 타이 구멍(140)의 사용방법 및 작용은 유로폼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다르게 추가 타이 구멍(140)이 추가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기존제품에 추가 타이 구멍(140)을 2개 내지 4개 추가함으로 인한 원가상승은 유통과정에 발생되는 여러 비용에 비교하면 거의 무시할만한 정도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개량 거푸집 110 : 본체 플레이트
120 : 외곽 프레임 121 : 핀 구멍
122 : 타이 구멍
130 : 보강부 131 : 제1 보강 리브
132 : 제2 보강 리브 133 : 제3 보강 리브
134 : 제4 보강 리브 135 : 제5 보강 리브
140 : 추가 타이 구멍

Claims (2)

  1. 보강부(130)를 구비하는 본체 플레이트(110)와, 상기 본체 플레이트(110)의 외곽 둘레를 이루는 외곽 프레임(120a, 120b)이 구비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120a, 120b)에는 다수의 핀 구멍(121)과 타이 구멍(122)이 구비된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120a, 120b)에 추가 타이 구멍(140)을 형성하되,
    상기 추가 타이 구멍(140)은 개량된 상기 거푸집(100)을 세워놓았을 때나 눕혀놓았을 때나 하단으로부터 3~5cm 이격된 위치의 상기 외곽 프레임(120a, 120b)에 형성되며,
    상기 추가 타이 구멍(140)은 크기가 20×4×63mm이며,
    상기 추가 타이 구멍(140)은 적어도 2개 이상이며,
    상기 추가 타이 구멍(140)으로 인해 개량 거푸집(100)의 위, 아래가 형성되되 상기 추가 타이 구멍(140)은 개량 거푸집(100)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120a, 120b)은 식별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색상으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거푸집.
  2. 삭제
KR2020180002561U 2018-06-12 2018-06-12 개량 거푸집 KR200487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61U KR200487746Y1 (ko) 2018-06-12 2018-06-12 개량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61U KR200487746Y1 (ko) 2018-06-12 2018-06-12 개량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46Y1 true KR200487746Y1 (ko) 2018-12-28

Family

ID=6495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561U KR200487746Y1 (ko) 2018-06-12 2018-06-12 개량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4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003A (ja) * 1995-05-10 1996-11-19 Nsp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50031761A (ko) 2003-09-30 2005-04-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KR20060017461A (ko) 2004-12-14 2006-02-23 양원동 나노 실버로 코팅된 신발
KR20060019568A (ko) 2003-06-16 2006-03-03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산성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20090006565U (ko) 2007-12-27 2009-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의 자동이득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003A (ja) * 1995-05-10 1996-11-19 Nsp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
KR20060019568A (ko) 2003-06-16 2006-03-03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산성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KR20050031761A (ko) 2003-09-30 2005-04-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KR20060017461A (ko) 2004-12-14 2006-02-23 양원동 나노 실버로 코팅된 신발
KR20090006565U (ko) 2007-12-27 2009-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의 자동이득제어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57279U (zh) 后浇带混凝土临时支撑柱
CN206189647U (zh) 一种新型填充墙砌体拉结筋构造
CN110593311A (zh) 一种后浇带混凝土临时支撑柱
US10544583B2 (en) Prefabricated masonry walls
US2627100A (en) Form for progressively molding concrete walls
KR200487746Y1 (ko) 개량 거푸집
CN208578325U (zh) 一种现浇混凝土柱模板
CN107190781B (zh) 大空间地下室顶板后浇带增设水平缝防水施工方法
CN108952148A (zh) 一种支模加固体系及其施工方法
CN106285001B (zh) 一种小面积分段快速交叉流水施工方法
CN102121313B (zh) 砌体施工免植筋支模方法及其装置
CN208618661U (zh) 基于空心砌体的构造柱结构
KR102105771B1 (ko) 거푸집 일체형 지수재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CN112360149A (zh) 一种柱模板防漏浆加固施工方法
CN202467169U (zh) 配筋砌体的支模结构
CN208534032U (zh) 一种支模加固体系
KR10161044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거푸집 장치
EP0183805A1 (en) Building system and portable masonry plant suitable therefor
CN110541520A (zh) 建筑工程墙体二次结构水平构件施工方法
CN205476459U (zh) 一种高支模小角度清水斜面的模板加固体系
KR20070035184A (ko) 마감판부착 트러스 벽
KR200490981Y1 (ko) 보거푸집의 지지대의 팀버프레임용 브래킷
US2648116A (en) Method of making hollow monolithic concrete slabs
JP2979203B2 (ja) コンクリート打込型枠用アンカープレ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