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34Y1 - 건식 족욕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족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34Y1
KR200487734Y1 KR2020170002592U KR20170002592U KR200487734Y1 KR 200487734 Y1 KR200487734 Y1 KR 200487734Y1 KR 2020170002592 U KR2020170002592 U KR 2020170002592U KR 20170002592 U KR20170002592 U KR 20170002592U KR 200487734 Y1 KR200487734 Y1 KR 200487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ath
plate
side wall
wal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주
Original Assignee
박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주 filed Critical 박성주
Priority to KR2020170002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상측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족욕부와; 족욕부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건식 족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식 족욕장치{Foot bathing apparatus for dry}
본 고안은 건식 족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족욕부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회동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건식 족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웰빙에 따른 개인의 건강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바, 특히 족욕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인 다리부위를 일정온도의 물이 수용된 족욕장치에 담근 후 일정시간 동안 찜질을 하게 되면 혈액순환촉진으로 건강 증진을 향상시키고 질병을 예방하는 등의 많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족욕장치는, 적정 크기의 용기에 물을 채운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460431호 등에, 발열체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지 않고도 족욕을 가능하게 하는 건식 족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족욕장치는, 통체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된 상태에 찜질 등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부들이 구성된 족욕부와,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족욕부의 상측 개방부위를 개폐시키는 삽입공을 형성된 덮개부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족욕장치는, 통체 형상을 가지는 족욕부와 덮개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족욕을 위해서는 족욕부에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된 후 덮개부의 삽입공에 다리부위가 구속되는 상태로 족욕부의 상측 개방부위가 폐쇄되어야만 하는데, 족욕부의 근처에 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가질 경우 족욕부에 다리부위를 수용한 사용자가 불편한 자세에서 덮개부를 집어 올려야 하므로 그 동작에 큰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족욕부와 덮개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족욕부의 상측 개방부위와 덮개부의 해당부위에 상호간 탈부착을 위한 공지의 요철 또는 단턱 지지 구조가 적용되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족욕부에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된 후 덮개부의 삽입공에 다리부위가 구속되는 상태로 덮개부가 족욕부의 상측 개방부위에 부착되도록 하는 동작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탈부착 구조가 쉽게 파손되어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덮개부는 족욕부의 상측 개방부위에 대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착석위치와 족욕부의 거리가 멀리 이격되거나 사용자의 다리길이가 짧은 경우 종아리나 정강이 부위가 덮개부의 삽입공 내주면에 부딪치게 되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족욕부와 덮개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덮개부를 족욕부에 부착시킨 상태로 유지 보관하지 않으면 덮개부가 쉽게 분실되어 족욕부의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족욕부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회동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건식 족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측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족욕부와; 족욕부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건식 족욕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족욕부는, 소정면적의 바닥판; 바닥판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 및 기둥과 기둥 사이에 복수개가 요철구조로 적층되면서 정면, 측면 및 배면에 벽체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벽면판을 포함하며, 좌측면벽체에서 바라볼 때 정면벽체와 해당 기둥이 배면벽체와 해당 기둥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는, 소정면적을 가지고 족욕부의 배면벽체로부터 좌측면벽체와 우측면벽체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판; 소정면적을 가지고 고정판에 대하여 회동되어 족욕부 개방부위의 중앙부분이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동판; 소정면적을 가지고 족욕부의 정면벽체로부터 경사진 상태의 좌측면벽체와 우측면벽체 일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상기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경사판; 및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구속되도록 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공은, 회동판에 형성되는 제1삽입공과 경사판에 형성되는 제2삽입공이 각각 '3'자 형상의 곡률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호간 대면시 타원형상의 개구부위가 제공되도록 하며, 제2삽입공의 면적이 제1삽입공의 면적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족욕부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회동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족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건식 족욕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건식 족욕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건식 족욕장치에 있어서 피톤치드발생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족욕장치는, 상측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건식 찜질을 위한 구성부들이 설치되는 족욕부(110)와, 족욕부(110)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간편하게 하는 덮개부(120) 등을 포함한다.
족욕부(110)는, 상측이 개방된 통체 형상의 건식 찜질 공간을 제공하는 족욕공간 제공수단으로서, 피톤치드를 많이 배출하는 편백나무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사람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면역체계를 개선하고 해독기능을 제공하며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족욕부(110)는, 소정면적의 바닥판(111), 바닥판(111)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12) 및 기둥(112)과 기둥(112) 사이에 복수개가 요철구조로 적층되면서 정면, 측면 및 배면에 벽체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벽면판(113)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좌측면벽체(113a)에서 바라볼 때 정면벽체(113b)와 해당 기둥이 배면벽체(113c)와 해당 기둥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후술된 덮개부(120)의 경사판(123)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덮개부(120)는, 족욕부(110)의 상측 개방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간편하게 하는 덮개수단으로서, 피톤치드를 많이 배출하는 편백나무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사람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면역체계를 개선하고 해독기능을 제공하며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덮개부(120)는, 소정면적을 가지고 족욕부(110)의 배면벽체(113c)로부터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판(121), 소정면적을 가지고 고정판(121)에 대하여 회동되어 족욕부(110) 개방부위의 중앙부분이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용이하게 족욕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동판(122), 소정면적을 가지고 족욕부(110)의 정면벽체(113b)로부터 경사진 상태의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상기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하는 경사판(123) 및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의 경계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구속되도록 하는 삽입공(12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공(124)은, 회동판(122)에 형성되는 제1삽입공(124a)과 경사판(123)에 형성되는 제2삽입공(124b)이 각각 '3'자 형상의 곡률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호간 대면시 타원형상의 개구부위가 제공되도록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삽입공(124b)의 면적이 제1삽입공(124a)의 면적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110)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찜질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덮개부(120)에 의하면, 족욕부(110)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회동판(122)이 고정판(1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별도로 불편한 자세에서 덮개부(120)를 집어 올린 후 개방부위를 폐쇄시키는 것에 비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동판(122)이 족욕부(110)의 상측단 벽체부위에 지지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회동판(122)과 벽체부위에 탈부착 지지 구조가 적용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회동판(12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개방부위가 개방된 후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판(122)이 원위치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개방부위가 폐쇄시 다리부위가 구속되어 종래에 비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판(123)이 족욕부(110)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110)의 개방부위에 수직하게 삽입 및 구속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삽입공(124)의 내주면에 부딪치는 부상을 억제하고 편한 자세에서 족욕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건식 족욕장치는, 족욕부(110)에 건식 찜질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부들이 설치되는데, 족욕부(110)의 바닥판(111), 정면벽체(113b), 배면벽체(113c), 좌측면벽체(113a) 및 우측면벽체(113d)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어 원적외선과 열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패널(130), 족욕부(110)의 바닥판(111), 정면벽체(113b), 배면벽체(113c), 좌측면벽체(113a) 및 우측면벽체(113d)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어 피톤치드 등을 발생시키고 원적외선패널(13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피톤치드패널(140), 족욕부(110)의 상측 개방부위에 위치된 덮개부(120)의 고정판(121) 하면에 구성되어 족욕부(110)의 찜질공간에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원적외선램프(150), 덮개부(120)의 고정판(121)에 고정되고 원적외선패널(130)과 원적외선램프(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부가 구성되는 제어판넬(160) 및 족욕부(110)의 바닥판(111)에 위치되어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황토 성분을 포함하는 황토주머니(170) 등을 포함한다.
원적외선패널(130)은, 전원 공급시 발열 동작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의 일면에 부착되어 면상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한방향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난연보드와, 상기 면상발열체의 타면에 부착되어 면상발열체의 발열시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 하는 숯 성분이 포함된 원적외선보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적외선은 인체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물 분자를 활성화시켜 혈액순환과 생리작용에 유익하고 살아있는 생체세포의 성장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족욕부(110)의 바닥판(111)에는 상기와 같이 면상발열체, 난연보드 및 원적외선보드를 포함하는 원적외선패널(130)이 구성되고, 정면벽체(113a), 배면벽체(113b), 좌측면벽체(113c) 및 우측면벽체(113d)에는 원적외선보드를 제외한 면상발열체와 난연보드로 구성된 원적외선패널(130)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톤치드패널(140)은, 원적외선패널(130)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열 및 음이온이 족욕부(110)의 찜질공간에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41)과, 프레임(141)의 내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복수개의 막대바(142)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막대바(142)에 원적외선과 열 발생시 음이온과 생체파동을 발생시키는 게르마늄이나 자수정 재질의 약돌(143)이 더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피톤치드패널(140)은, 해당 위치에 탈거 가능한 구조로 억지끼움되어 원적외선패널(13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건식 족욕장치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족욕부(110)의 바닥, 정면, 배면 및 좌우측부에 원적외선패널(130)과 피톤치드패널(140)이 모두 구성되는 경우, 어느 한 부분에만 구성되는 것에 비해, 원적외선과 열에 의해 음이온과 피톤치드의 발생이 최대화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족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건식 족욕장치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족욕부(110)의 바닥, 정면, 배면 및 좌우측부에 원적외선패널(130)과 피톤치드패널(140)이 모두 구성되고 족욕부(110)의 개방부위에 해당되는 덮개부(120)의 고정판(121) 하면에 원적외선램프(150)가 구성되는 경우, 족욕부(110)의 내부 찜질 공간의 모든 공간에 원적외선이 제공되고 이에, 원적외선에 노출되는 다리부위가 범위가 넓어져 족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식 족욕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족욕부(110)의 찜질 공간에 다리부위를 삽입시키기 위해서, 족욕부(110)의 상측 개방부위에 고정 설치된 덮개부(120)의 회동판(122)이 고정판(121)에 대하여 상측방으로 회동되어 족욕부(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이 개방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개방된 족욕부(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에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삽입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다리부위 중 종아리 부위가 족욕부(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판(123)에 형성된 제2삽입공(124b) 내주면에 구속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측방으로 회동된 회동판(122)이 고정판(121)에 대하여 하측방으로 회동되어 족욕부(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이 폐쇄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다리부위 중 종아리 부위에 대향되는 정강이 부위가 회동판(122)에 형성된 제1삽입공(124) 내주면에 구속된다.
이후, 족욕부(110)의 바닥, 정면, 배면 및 좌우측부 등에 구성되는 원적외선패널(130)과 피톤치드패널(140) 등에 의해 족욕부(110)의 내부 찜질 공간에 원적외선이 제공되어 건식 족욕이 진행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족욕부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회동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됨으로서, 족욕부와 덮개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에 비해 사용상 편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사판이 족욕부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의 내부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족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상측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족욕부(110)와;
    족욕부(110)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부(120)를 포함하고,
    족욕부(110)는,
    소정면적의 바닥판(111);
    바닥판(111)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12); 및
    기둥(112)과 기둥(112) 사이에 복수개가 요철구조로 적층되면서 정면, 측면 및 배면에 벽체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벽면판(113)을 포함하며,
    좌측면벽체(113a)에서 바라볼 때 정면벽체(113b)와 해당 기둥이 배면벽체(113c)와 해당 기둥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고,
    덮개부(120)는,
    소정면적을 가지고 족욕부(110)의 배면벽체(113c)로부터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판(121);
    소정면적을 가지고 고정판(121)에 대하여 회동되어 족욕부(110) 개방부위의 중앙부분이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족욕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동판(122);
    소정면적을 가지고 족욕부(110)의 정면벽체(113b)로부터 경사진 상태의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상기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경사판(123); 및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의 경계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구속되도록 하는 삽입공(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족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삽입공(124)은,
    회동판(122)에 형성되는 제1삽입공(124a)과 경사판(123)에 형성되는 제2삽입공(124b)이 각각 '3'자 형상의 곡률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호간 대면시 타원형상의 개구부위가 제공되도록 하며,
    제2삽입공(124b)의 면적이 제1삽입공(124a)의 면적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족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족욕부(110)의 바닥판(111), 정면벽체(113b), 배면벽체(113c), 좌측면벽체(113a) 및 우측면벽체(113d)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는 원적외선패널(130);
    족욕부(110)의 바닥판(111), 정면벽체(113b), 배면벽체(113c), 좌측면벽체(113a) 및 우측면벽체(113d)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는 피톤치드패널(140);
    덮개부(120)의 고정판(121) 하면에 구성되는 원적외선램프(150); 및
    덮개부(120)의 고정판(121)에 고정되는 제어판넬(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족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족욕부(110)의 바닥판(111)에 위치되는 황토주머니(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족욕장치.
KR2020170002592U 2017-05-26 2017-05-26 건식 족욕장치 KR200487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92U KR200487734Y1 (ko) 2017-05-26 2017-05-26 건식 족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92U KR200487734Y1 (ko) 2017-05-26 2017-05-26 건식 족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34Y1 true KR200487734Y1 (ko) 2018-10-29

Family

ID=6404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92U KR200487734Y1 (ko) 2017-05-26 2017-05-26 건식 족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34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944U (ja) * 2009-03-19 2009-06-04 株式会社ニーヴァンス 足浴器
KR100943000B1 (ko) * 2009-07-10 2010-02-18 이태구 무릅족욕기
KR20110008501U (ko) * 2010-02-26 2011-09-01 정재홍 건식 족욕기
KR20140004827U (ko) * 2013-02-20 2014-08-28 박수환 족훈기
KR101524011B1 (ko) * 2013-05-23 2015-05-29 장성군 족부 온열장치
KR101535920B1 (ko) * 2014-05-22 2015-07-10 피엘에이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오일 마사지가 가능한 건식사우나기
KR20170017569A (ko) *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선호의료기 좌훈 겸용 건식 족욕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944U (ja) * 2009-03-19 2009-06-04 株式会社ニーヴァンス 足浴器
KR100943000B1 (ko) * 2009-07-10 2010-02-18 이태구 무릅족욕기
KR20110008501U (ko) * 2010-02-26 2011-09-01 정재홍 건식 족욕기
KR20140004827U (ko) * 2013-02-20 2014-08-28 박수환 족훈기
KR101524011B1 (ko) * 2013-05-23 2015-05-29 장성군 족부 온열장치
KR101535920B1 (ko) * 2014-05-22 2015-07-10 피엘에이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오일 마사지가 가능한 건식사우나기
KR20170017569A (ko) *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선호의료기 좌훈 겸용 건식 족욕기
KR101721568B1 (ko) * 2015-08-07 2017-03-30 주식회사 선호의료기 좌훈 겸용 건식 족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1284A (en) Sauna support bed
KR200421951Y1 (ko) 반신욕 사우나기
KR20140024612A (ko) 훈증기겸용 온열치료기
KR20090010990U (ko) 건식 족욕기
KR200487734Y1 (ko) 건식 족욕장치
KR200418387Y1 (ko) 좌욕 겸용 반신 사우나 장치
JP2006150057A (ja) カプセル式サウナ
JPH08112302A (ja) 人体の極限温度維持可能な温熱装置
KR20130000029U (ko) 담열기와 뜸질좌욕기가 구비된 원적외선 방출 반신욕기
JP3143851U (ja) パーソナルサウナ室
CN203483753U (zh) 远红外线理疗仪
RU2061515C1 (ru) Тепловая камера
JP2007307282A (ja) 温石浴装置
KR200352633Y1 (ko) 찜질기
JP2008054755A (ja) ミストサウナ装置
KR101435097B1 (ko) 척추 조사 기능을 부가한 근육통 완화 및 혈행 개선 근적외선 온열 좌욕기
JP2949470B2 (ja) 枕装置
CN217724354U (zh) 用于室温桑拿和局部辐射治疗的医疗保健仪器
KR100877424B1 (ko) 쿠션 있는 돌 매트리스 침대
KR102573635B1 (ko) 개인용 건식 원적외선 사우나 부스
KR101721568B1 (ko) 좌훈 겸용 건식 족욕기
KR102631320B1 (ko) 다기능 좌훈장치
KR102473852B1 (ko) 이동식 건강 찜질기
KR200165892Y1 (ko) 침대
KR200463937Y1 (ko) 화상방지 및 이동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건식 족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