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39Y1 -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39Y1
KR200487639Y1 KR2020160005731U KR20160005731U KR200487639Y1 KR 200487639 Y1 KR200487639 Y1 KR 200487639Y1 KR 2020160005731 U KR2020160005731 U KR 2020160005731U KR 20160005731 U KR20160005731 U KR 20160005731U KR 200487639 Y1 KR200487639 Y1 KR 200487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ving part
fixing
housing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018U (ko
Inventor
김영복
오경선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인천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항만공사 filed Critical 인천항만공사
Priority to KR2020160005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3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7/00Wheels characterised by rail-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방풍우를 레일 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방풍우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FIXATION DEVICE AND RAIL TYPE SYSTEM FOR PREVENTING WIND AND RAIN THE USE OF PORT}
본 고안의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풍우란, 바람과 비를 막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여객의 승/하선이 이루어지는 항만의 경우에는, 터미널과 선착장 사이에서 이동하는 여객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만용 방풍우는, 접안 시설, 예를 들면, 터미널과 선착장 사이에 위치되는 부잔교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부잔교의 경우에는, 입출항하는 선박 등에 의하여 유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부잔교의 상면에 고정된 방풍우의 손상이 우려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보수 등을 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여 접안 시설에 설치된 방풍우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89515호(명칭: 배드민턴 코트용 터널식 바람막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0157호(명칭: 이동용 방풍막)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신속하게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방풍우를 레일 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방풍우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하 위치 및 상기 이동부에 대한 상대 각도에 따라서 상기 레일홈을 통하여 상기 레일의 내외부로 입출되거나 상기 레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회전 중심이 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기 이동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 바아; 상기 이동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바아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브라켓를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는 레버;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이동부 및 고정부 중 어느 일방에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 및 고정부 중 나머지 타방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가이드 슬롯의 양단에 접촉되는 범위까지 상기 고정부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너트; 및 상기 이동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셔; 및 상기 제1너트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상기 이동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와셔에 고정되는 스크류;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1너트;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는 제2너트; 및 상기 제1 및 제2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너트에는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에는, 상기 제1너트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산 및 상기 제2너트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일 양태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는 핸들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일 양태는, 지면에 구비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는 한쌍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풍우; 및 상기 방풍우가 상기 레일 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정 장치;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다른 양태는, 지면에 구비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는 한쌍의 레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아치 부재 및 상기 아치 부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인접하는 상기 아치 부재 및 연결 부재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 및 상기 아치 부재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홈을 따라서 구름운동하는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방풍우; 상기 아치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1너트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너트가 구비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너트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너트의 나사산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1 및 제2너트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나사산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홈을 통하여 상기 레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후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의 상면 내측에 접촉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방풍우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편하게 방풍우를 사용하여 여객을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구동 부재에 서로 반대 방향의 제1 및 제2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핸들에 의하여 제1구동 부재가 회전하면, 상대적으로 고속, 즉 제1 및 제2나사산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2배속으로 제2구동 부재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2구동 부재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가 레일에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개구의 내외부로 입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신속하게 방풍우를 이동 및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작용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1)은, 한쌍의 레일(100), 방풍우(200) 및 고정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100)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방풍우(200)는, 상기 레일(10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 장치(300)는, 상기 방풍우(200)가 상기 레일(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레일(100)은, 여객을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는 공간, 예를 들면, 부잔교와 같은 선박 접안 시설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00)에는, 상기 방풍우(200)의 이동을 위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11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방풍우(200)는, 실질적으로 여객을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방풍우(200)는, 전후단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 및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됨으로써, 그 내부를 이동하는 여객을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풍우(200)가, 프레임(210), 차폐 부재(220) 및 다수개의 롤러(2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10)은, 다수개의 아치 부재(211) 및 연결 부재(2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치 부재(211)는, 상기 레일(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212)는, 상기 아치 부재(211)를 서로 연결한다. 물론, 상기 아치 부재(211)가 별개로 성형되는 기둥 및 보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폐 부재(220)는, 인접하는 상기 아치 부재(211) 및 연결 부재(212)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한다. 상기 롤러(230)는, 상기 아치 부재(211)의 하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230)는, 상기 레일홈(110)을 따라서 구름운동함으로써, 상기 방풍우(200)가 상기 레일(100)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 장치(300)는, 상기 방풍우(200)의 일측, 실질적으로는 상기 프레임(2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 장치(300)의 개수는, 상기 방풍우(200)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장치(300)는, 하우징(310), 이동부(320), 고정부(330) 및 구동부(3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310)은, 저면이 개구되는 중공의 다면체 형상, 예를 들면, 상하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후술할 스크류(343)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31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아치 부재(21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20)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320)는,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대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부(32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310)에 닮은꼴 형상인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20)의 상면 및 저면에는, 제2 및 제3관통공(321)(3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공(321)은, 후술할 스크류(343)가 관통하는 곳이고, 상기 제3관통공(323)은, 상기 고정부(330)가 관통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320)에는 걸림 돌기(325)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 돌기(325)는, 상기 이동부(320)의 내면 하측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후술할 가이드 슬롯(336)의 양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이동부(320)에 대한 상기 고정부(3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레일(100)에 고정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방풍우(200)를 상기 레일(100) 상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330)가, 고정 브라켓(331), 연결 바아(333), 고정 부재(335) 및 레버(337)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브라켓(331)은,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31)은,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상하 위치 및 상기 이동부(320)에 대한 상대 각도에 따라서 상기 레일홈(110)을 통하여 상기 레일(100)의 내외부로 입출되거나 상기 레일(1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부(320)에 대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상대 각도에 따라서 상기 레일홈(110)을 통한 상기 레일(100)의 내외부로 입출이 선택적으로 허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레일홈(110)의 폭 초과의 장변 및 상기 레일홈(110)의 폭 미만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단변이 상기 레일홈(110)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홈(110)을 통하여 상기 레일(100)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레일(10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장변이 상기 레일홈(110)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레일(100)의 상면 내측에 접촉 또는 상기 레일(100)의 상면 내측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연결 바아(333)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연결 바아(333)의 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바아(333)의 상단은 상기 제3관통공(323)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320)의 내부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335)는, 상기 이동부(32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바아(333)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335)에는, 가이드 슬롯(33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롯(336)은, 상기 고정 부재(335)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330)가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돌기(325)가 상기 가이드 슬롯(336)의 양단에 접촉되는 범위까지 상기 고정부(33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한편 상기 레버(337)는, 상기 고정 브라켓(331)을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버(337)는, 상기 고정 브라켓(331),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바아(333)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40)는, 상기 이동부(320)를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340)가, 너트(341A), 와셔(341B), 스크류(343) 및 핸들(347)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너트(341A)는, 상기 제1관통공(31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341B)는, 상기 이동부(32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크류(343)는, 그 상단이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 즉 상기 제1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스크류(343)의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341A)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34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43)의 하단은 상기 이동부(320)의 상면, 즉 상기 제2관통공(321)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320)의 내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와셔(341B)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343)가 회전하면,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기 스크류(343)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크류(34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이동부(320)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347)은, 상기 스크류(343)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347)은, 상기 스크류(343)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작용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레일(100)을 따라서 이동하는 방풍우(200)를 레일(100)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킨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이동부(320)에 대하여 고정부, 즉, 고정 브라켓(331)이 레일홈(110)을 통한 레일(100)의 내외부로의 입출이 허용되는 각도로 회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상기 이동부(320)에 대한 회전은, 작업자가 레버(337)를 파지한 후 이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것이다. 이때 상기 레버(337)에 의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회전은, 걸림 돌기(325)가 가이드 슬롯(336)의 일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에 접촉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3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레일홈(110)을 통하여 상기 레일(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작업자가 핸들(347)을 파지하고,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핸들(347)에 고정된 스크류(343)가 회전하고, 이에 나사 결합된 너트(341A)가 상기 스크류(34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크류(343)가 하우징(31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크류(343)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이동부(320)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레일홈(110)을 통한 상기 레일(100)의 내외부로의 입출이 제한되는 각도, 즉 상기 레일(100)의 상면 내측에 접촉 가능한 각도로 회전된다.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레버(337)를 파지한 후 상기 레버(337)를 도 4의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동부(32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브라켓(331)이 상기 레일(100)의 상면 내측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는, 작업자가 도 5의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핸들(347)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2)에서는, 구동부(340)가, 제1 및 제2너트(342A)(342B), 스크류(345), 및 핸들(34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는 각각 하우징(310)의 상면 및 이동부(3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45)는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 및 이동부(320)의 상면을 각각 관통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크류(345)는 제1관통공(311)과 제2관통공(321)을 관통할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에는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345)에는, 상기 제1너트(342A)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산(346A) 및 상기 제2너트(342B)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나사산(346B)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345)를 매개로 하우징(310) 및 이동부(320)가 상호 이격 또는 인접되도록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상하 이동을 위한 상기 스크류(345)의 회전수, 즉 핸들(347)의 회전수가 절감되고, 이로 인한 작업 시간의 절감 및 작업자의 작업량의 감소가 기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레일 110: 레일홈
200: 방풍우 210: 프레임
220: 차폐 부재 230: 롤러
300: 고정 장치 310: 하우징
320: 이동부 330: 고정부
340: 구동부

Claims (10)

  1. 레일(100)을 따라서 이동하는 방풍우(200)를 레일(100) 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300)는,
    상기 방풍우(200)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320);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10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330); 및
    상기 이동부(320)를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4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상하 위치 및 상기 이동부(320)에 대한 상대 각도에 따라서 상기 레일홈(110)을 통하여 상기 레일(100)의 내외부로 입출되거나 상기 레일(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1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정 브라켓(331);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회전 중심이 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331)의 상면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상기 이동부(3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 바아(333);
    상기 이동부(32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바아(333)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335); 및
    상기 고정 브라켓(331)을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파지하는 레버(337); 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20) 및 고정부(330) 중 어느 일방에는, 걸림 돌기(325)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320) 및 고정부(330) 중 나머지 타방에는, 상기 걸림 돌기(325)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 슬롯(33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330)가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돌기(325)가 상기 가이드 슬롯(336)의 양단에 접촉되는 범위까지 상기 고정부(33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는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40)는,
    상기 하우징(310)에 고정되는 너트(341A);
    상기 이동부(3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셔(341B); 및
    상기 너트(341A)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상기 이동부(32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와셔(341B)에 고정되는 스크류(343); 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40)는,
    상기 하우징(310)에 고정되는 제1너트(342A);
    상기 이동부(320)에 고정되는 제2너트(342B); 및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345); 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에는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345)에는, 상기 제1너트(342A)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산(346A) 및 상기 제2너트(342B)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나사산(346B)이 형성되는 고정 장치.
  7. 지면에 구비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110)이 형성되는 한쌍의 레일(100);
    상기 레일(10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풍우(200); 및
    상기 방풍우(200)가 상기 레일(100) 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정 장치(300); 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8. 지면에 구비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110)이 형성되는 한쌍의 레일(100);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아치 부재(211) 및 상기 아치 부재(211)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 부재(212)를 포함하는 프레임(210), 인접하는 상기 아치 부재(211) 및 연결 부재(212)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220), 및 상기 아치 부재(211)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홈(110)을 따라서 구름운동하는 다수개의 롤러(230)를 포함하는 방풍우(200);
    상기 아치 부재(211)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1너트(342A)가 구비되는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너트(342B)가 구비되는 이동부(320);
    상기 이동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10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330); 및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346A)(346B)이 형성되는 스크류(345);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홈(110)을 통하여 상기 레일(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32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후 상기 하우징(310)에 대한 상기 이동부(320)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레일(100)의 상면 내측에 접촉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의 나사산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346A)(346B)은 상기 제1 및 제2너트(342A)(342B)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나사산(346A)(346B)을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10. 삭제
KR2020160005731U 2016-10-05 2016-10-05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KR200487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31U KR200487639Y1 (ko) 2016-10-05 2016-10-05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731U KR200487639Y1 (ko) 2016-10-05 2016-10-05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18U KR20180001018U (ko) 2018-04-13
KR200487639Y1 true KR200487639Y1 (ko) 2018-10-17

Family

ID=6196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731U KR200487639Y1 (ko) 2016-10-05 2016-10-05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39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617B2 (ja) * 1996-03-08 1999-04-12 小松ウオール工業株式会社 間仕切りパネルの傾き防止装置
KR20140147217A (ko) * 2013-06-19 2014-12-30 배병태 접이식 구조물
KR101533602B1 (ko) 2013-06-24 2015-07-06 대한민국 누에 면역반응 유도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면역이 유도되어 항균활성이 부가된 누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18U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72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울타리
US10618786B2 (en) Aerial lift platform and aerial lift equipped with such a platform
KR200487639Y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용 레일식 방풍 시스템
KR100571702B1 (ko) 교각 점검을 위한 가시설 설치구조
KR102120026B1 (ko) Gis용 기재의 설치, 철거 및 운반용 체인 블록 지그장치
KR20190058525A (ko) 유연성과 복원력을 갖는 차단장치
US11060954B2 (en) Safety fence and vehicle testing device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2497U (ko) 케이블가이드
KR20180037549A (ko) 선박 기관실용 크레인 수리를 위한 비상 접근용 대차
CN107421479B (zh) 一种车门检测装置
US10882459B2 (en) Apparatus for fixing vehicle roof bar
KR20140035110A (ko) 핸드그립이 구비된 맨홀
KR20150001224U (ko) 추락 방지용 간이 구조물
CN215853040U (zh) 一种罐箱用紧凑型扶手
US20180079349A1 (en) Quick release hook device for trailers
KR20200009445A (ko) 바이패스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전선 이선 방법
CN215164706U (zh) 一种建筑桥梁安全施工用防护装置
KR101497392B1 (ko) 선박용 작업대
KR101546684B1 (ko) 바람막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N220117802U (zh) 一种尺寸可调节的洞口防护装置
US9688291B1 (en) Safety gate for rail car
KR200476499Y1 (ko) 이동식 시트
KR200382479Y1 (ko) 안전난간
KR200356961Y1 (ko)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안전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