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98Y1 - 케이블 언코일러 - Google Patents

케이블 언코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98Y1
KR200487598Y1 KR2020170001597U KR20170001597U KR200487598Y1 KR 200487598 Y1 KR200487598 Y1 KR 200487598Y1 KR 2020170001597 U KR2020170001597 U KR 2020170001597U KR 20170001597 U KR20170001597 U KR 20170001597U KR 200487598 Y1 KR200487598 Y1 KR 200487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late
uncoiler
cable cor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최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호 filed Critical 최준호
Priority to KR2020170001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 또는 전기공급을 위한 케이블을 시공하거나 결선 작업 등을 할 때 케이블을 풀어주기 위한 케이블 언코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앙에 마련되는 베어링유닛; 상기 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3개 이상의 브라켓; 상기 각 브라켓에 회전축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롤러; 하면이 상기 롤러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하면 센터부에 상기 베어링유닛에 연결되는 센터축이 마련되어 회전 동작하게 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에 뾰족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파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상면에 상기 케이블 코어를 눕혀서 상기 파지돌기에 의해 고정되게 한 상태로 회전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언코일러{cable uncoiler}
본 고안은 통신 또는 전기공급을 위한 케이블을 시공하거나 결선 작업 등을 할 때 케이블을 풀어주기 위한 케이블 언코일러에 관한 것이다.
굵은 직경을 갖는 케이블은 통상 케이블 코어에 롤 상으로 감아서 유통이 되고 있으며, 한 롤의 케이블은 상당한 중량을 가진다. 따라서 사람의 힘으로는 들수가 없을 정도이며, 작업자가 케이블을 풀거나 감을 때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일반적으로 나무로 제작된 케이블 코어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도 1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케이블 코어의 중심에 관통되는 샤트프홀을 마련하여 샤프트를 끼워서 케이블 코어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케이블 코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해두고서 케이블이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이 감긴 케이블 코어는 고중량이므로 샤프트에 끼워 거치되도록 하기에는 이에 상응하는 설비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설비를 갖추는데 따른 부담은 물론이고 사용상 불편함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2789호의 "판상코일의 로딩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판상코일의 로딩장치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언코일러(6)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코일카 레일(12)과, 상기 코일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코일카(13)와, 상기 코일카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라켓(16)과 체인(18)으로 연결되어 코일카를 주행시키는 모터(14)와, 상기 코일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19)과, 상기 턴테이블의 유동을 제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프레임(28)과, 상기 코일이 얹혀지며 프레임에 안내되어 실린더(3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코일 스키드(2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종래기술은 고중량인 판상코일을 언코일러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언급한 바와 같이 롤 상으로 감긴 판상코일을 풀리도록 하기 위한 복잡한 설비가 요구되는 것이다.
특히, 케이블과 같은 것은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무리 우수한 설비라도 환경이 열악한 현장에서 즉시에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2789호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고중량인 케이블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케이블이 감긴 케이블 코어를 세우지 않고 눕힌 상태에서 케이블 코어가 회전될 수 있게 하여 케이블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언코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케이블 언코일러는, 케이블 코어에 롤 상태로 감긴 케이블을 풀어내기 위한 케이블 언코일러로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앙에 마련되는 베어링유닛; 상기 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3개 이상의 브라켓; 상기 각 브라켓에 회전축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롤러; 하면이 상기 롤러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하면 센터부에 상기 베어링유닛에 연결되는 센터축이 마련되어 회전 동작하게 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에 뾰족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파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상면에 상기 케이블 코어를 눕혀서 상기 파지돌기에 의해 고정되게 한 상태로 회전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복수의 가변아암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돌기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판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언코일러는 소형이면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고중량인 케이블 코어에 감긴 케이블을 풀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케이블 언코일러는 케이블 코어를 눕혀두고 사용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여 차량에 탑재하여 이동 후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나무로 제작된 케이블 코어의 사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판상코일의 로딩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언코일러의 평면도.
도 4는 케이블 언코일러의 정면도.
도 5는 케이블 언코일러의 단면도.
도 6은 케이블 언코일러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언코일러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언코일러의 평면도이며, 도 4는 케이블 언코일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케이블 언코일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케이블 언코일러의 사용 상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언코일러는 케이블 코어(10)에 롤 상태로 감긴 케이블(20)을 풀어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코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무로 제작된 케이블 코어(10)를 갖는 케이블의 언코일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구체적인 구성요소로 본 고안은 바닥판(100), 베어링유닛(200), 브라켓(300), 롤러(400), 상판(500) 및 파지돌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판(100)은 원형의 판상체이며, 바닥판(100)의 상면 중앙에 베어링유닛(200)이 마련된다.
베어링유닛(200)은 회전동작을 위한 것으로서, 부싱(210)과 부싱(210)에 내장되는 베어링(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220)의 외륜이 부싱(210)의 내경면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바닥판(1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3개 이상의 브라켓(300)이 설치된다. 브라켓(300)은 최소 3개가 적합하며 4개 이상이 사용될 수 도 있다.
브라켓(300)은 이격거리를 두고 두 개의 지지체(310)가 바닥판(100)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이며, 후술될 롤러(400)의 설치를 위한 축홀(320)이 형성된다.
브라켓(300)에 형성된 축홀(320)을 통해 회전축(410)이 끼워지게 되며, 회전축(410)에 롤러(400)가 조립된다. 즉, 회전축(41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롤러(400)는 회전축(4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롤러(400)는 일반적인 베어링을 이용할 수 있다.
바닥판(100) 위에 상판(500)이 마련되는데, 상판(500)의 하면은 복수의 롤러(400)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판(500)의 하면 센터부에 베어링유닛(200)에 연결되는 센터축(510)이 마련되고, 센터축(510)이 베어링유닛(200)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판(5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센터축(510)이 베어링유닛(200)에 끼워짐으로써 결합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판(500)의 가장자리는 복수의 롤러(4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회전 동작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판(500)의 상면에 복수의 파지돌기(600)가 구비된다. 파지돌기(600)들은 뾰족하게 돌출되는 것들이며, 상판(500)의 상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파지돌기(600)는 끝단이 뾰족하기 때문에 고중량인 케이블 코어(10)를 눕힌 상태로 상판(500) 위에 내려놓게 되면 그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파지돌기(600)가 케이블 코어(10)를 파고들면서 위치를 잡아 고정시켜주게 된다.
파지돌기(600)에 의해 케이블 코어(10)가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 동작하여도 케이블 코어(10)는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파지돌기(600)들은 상판(50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상판(500)의 일단에는 손잡이(52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520)는 좌우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동시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판(500)에는 가변아암(5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변아암(530)은 등간격을 이루면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케이블 코어(10) 자체가 상판 사이즈에 비해 크기 때문에 가변아암(530)을 이용하여 케이블 코어(10)를 지지하도록 하면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사용상 위험성을 줄일 수도 있다.
가변아암(530)은 고정된 채널(531) 내부에 출몰되는 아암(532)이 삽입되게 하여 필요에 따라 아암(532)을 빼내어 전체적인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언코일러의 사용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현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케이블 언코일러를 차량에 싣고 이동한 후 편평한 바닥 위에 내려 놓도록 한다.
그 다음 시공을 할 케이블(20)이 감긴 케이블 코어(10)를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케이블 언코일러의 상판(500) 위에 내려 놓도록 한다. 물론 이때에는 가급적 케이블 코어(10)의 센터가 상판(500)의 센터와 근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코어(10)는 나무로 제작된 것이므로 상판(500) 위에 눕혀진 상태로 내려놓게 되면 자연스럽게 중량에 의해 케이블 코어(10)는 상판(500)에 돌출 형성된 파지돌기(600)에 의해 구속이 되는 상태가 된다. 즉, 파지돌기(600)가 목재인 케이블 코어(10)를 파고들면서 자리를 잡아 고정되게 한다.
상판(500) 위에 케이블 코어(10)를 올려두면 상판(500)과 함께 케이블 코어(10)는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케이블 코어(10)에 감긴 케이블(20)의 일단을 잡고 당기게 되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고중량의 케이블 코어(10)가 회전되면서 자연스럽게 케이블(20)이 풀리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언코일러는 케이블 시공 작업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기술이다.
100 : 바닥판
200 : 베어링유닛
210 : 부싱 220 : 베어링
300 : 브라켓
310 : 지지체 320 : 축홀
400 : 롤러
410 : 회전축
500 : 상판
510 : 센터축 520 : 손잡이
530 : 가변아암 531 : 채널
532 : 아암
600 : 파지돌기
10 : 케이블 코어
20 : 케이블

Claims (3)

  1. 케이블 코어에 롤 상태로 감긴 케이블을 풀어내기 위한 케이블 언코일러로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앙에 마련되는 베어링유닛;
    상기 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3개 이상의 브라켓;
    상기 각 브라켓에 회전축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롤러;
    하면이 상기 롤러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하면 센터부에 상기 베어링유닛에 연결되는 센터축이 마련되어 회전 동작하게 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면에 뾰족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파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판의 상면에 상기 케이블 코어를 눕혀서 상기 파지돌기에 의해 고정되게 한 상태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상판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반경 방향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한 복수의 가변아암;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언코일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돌기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판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언코일러.


KR2020170001597U 2017-03-31 2017-03-31 케이블 언코일러 KR200487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97U KR200487598Y1 (ko) 2017-03-31 2017-03-31 케이블 언코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97U KR200487598Y1 (ko) 2017-03-31 2017-03-31 케이블 언코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98Y1 true KR200487598Y1 (ko) 2018-10-11

Family

ID=6386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597U KR200487598Y1 (ko) 2017-03-31 2017-03-31 케이블 언코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9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66U (ja) * 1991-12-21 1993-07-09 昌 鈴木 可撓性線状体用リール
KR0122789Y1 (ko) 1994-12-22 1998-08-17 정문창 판상코일의 로딩장치
KR101271983B1 (ko) * 2012-04-18 2013-06-05 이종국 케이블 드럼 회전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66U (ja) * 1991-12-21 1993-07-09 昌 鈴木 可撓性線状体用リール
KR0122789Y1 (ko) 1994-12-22 1998-08-17 정문창 판상코일의 로딩장치
KR101271983B1 (ko) * 2012-04-18 2013-06-05 이종국 케이블 드럼 회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6260A (en) Transportable cable reel
KR101027732B1 (ko) 드럼 케이블의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
JP4953127B2 (ja) Pc鋼より線の供給装置及び敷設方法
CN107645143A (zh) 一种用于电缆铺设的牵引装置
CN105692324A (zh) 一种自走自放线式线缆滚运车
CN211056364U (zh) 一种电缆放线架
KR101244370B1 (ko) 무대장치
KR200487598Y1 (ko) 케이블 언코일러
CN206511738U (zh) 自动化电缆放线架操作台
CN203808610U (zh) 便捷式围护装置
CN203922326U (zh) 导线收放装置
FI123198B (fi) Voimansiirtolaite ja voimansiirtomenetelmä
EP1586524A2 (en) Cable unroller
JPH02190594A (ja) 穿岩装置用ホースおよびケーブルリール構造体
KR101428963B1 (ko) 유류호스 권취장치
CN211169668U (zh) 一种起重式钢丝绳解绳装置
CN205452973U (zh) 一种新型电缆敷设架
KR100616239B1 (ko) 배관 테이핑장치
CN213874329U (zh) 一种工程测量放线装置
JP2008222425A (ja) ケーブルドラム支持装置
CN211198152U (zh) 一种接地线绕线器
CN210312856U (zh) 一种电缆放卷装置
KR101516547B1 (ko) 케이블 포설용 캐리지
CN107147047B (zh) 一种电力隧道施工中的电缆敷设装置
KR101425617B1 (ko) 로터리타입 케이블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