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75Y1 - 골프티 - Google Patents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75Y1
KR200487475Y1 KR2020170002025U KR20170002025U KR200487475Y1 KR 200487475 Y1 KR200487475 Y1 KR 200487475Y1 KR 2020170002025 U KR2020170002025 U KR 2020170002025U KR 20170002025 U KR20170002025 U KR 20170002025U KR 200487475 Y1 KR200487475 Y1 KR 200487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golf tee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선
Original Assignee
천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선 filed Critical 천영선
Priority to KR2020170002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2207/0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티의 내측에 위치하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골프 클럽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조사시킴으로써, 골프 클럽의 표면 상에 맺히는 빛을 통해 주, 야간에 골프 클럽 및 골프티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티{Golf tee}
본 고안은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티의 내측에 위치하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조사시킴으로써,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의 표면 상에 맺히는 빛을 통해 골퍼가 주, 야간에 골프 클럽 및 골프티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티는 골퍼로 하여금 골프공을 용이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상부에 형성되는 홈에 골프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골프티는,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켜 띄워주기 때문에, 골프장을 이루는 잔디의 간섭을 피하면서 골프공의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골프공의 비거리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골프공 및 골프 클럽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하여, 타점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한데, 골프공 및 골프 클럽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하는 것은 골퍼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루어지므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골프공 및 골프 클럽의 위치 및 방향의 조절이 어려운 경우, 타점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져, 골프공의 비거리를 증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골프티는 골프공이 날아가는 경우, 골프 클럽의 강한 타격으로 인해, 골프공과 함께 날아가게 되는데, 이때, 골프티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골프장의 잔디 사이에 떨어진 골프티를 찾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골프티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골프티의 잦은 분실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골프장에 다수의 골프티가 산재하게 되어 생태계를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9831호
본 고안의 목적은 골프티의 내측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렌즈 및 반사경을 이용하여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가 위치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 표면 상에 골프티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을 맺도록 함으로써, 주, 야간에 골프 클럽 및 골프티의 위치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골프티에서 지속적으로 빛이 방출됨으로써, 골프장의 잔디 등에 무분별하게 날아간 골프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골프티의 상부 또는 하부를 회전시켜, 골프티 내측에 위치한 광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야간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골프티의 내측으로부터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가 위치한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단하여,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 표면 상에 맺히는 상이 특정한 패턴 또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집중도를 높이거나,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표 노출과 같은 광고 제공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는, 상부에 골프공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 공간으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머리부 둘레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는 투과부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집광하고 상기 집광된 빛이 상기 투과부에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조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조사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머리부는, 빛이 투과되는 소재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주면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는, 상기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는, 상부에 골프공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몸체부 둘레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는 투과부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집광하고 상기 집광된 빛이 상기 투과부에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조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조사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투과부를 투과한 빛이 외부 물체의 표면에 패턴 또는 형상의 상을 맺도록, 투과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단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머리부 및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빛이 투과되는 소재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주면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외주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는, 상기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골프티의 내측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렌즈 및 반사경을 이용하여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가 위치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 표면 상에 골프티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맺히도록 함으로써, 주, 야간에 골프 클럽 및 골프티의 위치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골프티에서 지속적으로 빛이 방출됨으로써, 골프장의 잔디 등에 무분별하게 날아간 골프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골프티의 상부 또는 하부를 회전시켜, 골프티 내측에 위치한 광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 야간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한 골프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골프티의 내측으로부터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가 위치한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단하여,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 표면 상에 맺히는 빛이 패턴 또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집중도를 높이거나,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표 노출과 같은 광고 제공이 가능한 골프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제2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구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기재된 "빛의 방향을 유도"한다는 표현은,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빛을 굴절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골프티(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 요소들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머리부(110), 몸체부(120) 및 다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머리부(110)는, 상부에 골프공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골프티(100)가 지면에 고정되는 경우, 골프공을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몸체부(120)는 머리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공간에 광원(121), 조사부(122) 및 투과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20)는 그 구성 요소로서, 반사경(124) 및 스위치부(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20)는 머리부(110) 및 다리부(130)와 결합됨으로써, 내측 공간이 밀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측 공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먼저, 광원(121)은, 몸체부(1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빛을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광원(121)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내측 공간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향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광원(121)의 위치는 내측 공간의 상부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광원(121)은 점멸식 또는 점광식 엘이디(LED)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다음으로, 조사부(122)는 몸체부(1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집광하여 몸체부(120)의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조사부(122)는 몸체부(120)의 내측 공간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원(121)으로부터 하부에서 상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집광하여 몸체부(120)의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조사부(122)에 의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은 후술되는 투과부(123)를 투과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부(122)는 하부에 위치한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집광하고, 우측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사된 빛은 투과부(123)를 투과하여 우측 방향에 위치되는 물체(예를 들어, 골프 클럽의 클럽헤드)의 표면 상에 상을 맺을 수 있다.
한편, 조사부(122)는 볼록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다음으로, 투과부(123)는, 조사부(122)를 통해 조사되는 빛을 몸체부(120)의 외부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투과부(123)는, 투과되는 빛이 외부의 물체(예를 들어,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의 표면 상에 맺되, 표면 상에 맺히는 빛이 패턴 또는 형상을 갖도록, 투과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단하는 필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부(123`)가 투과부(123)의 상하좌우에 일정 넓이의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투과부(123)를 투과되는 빛은 상하좌우를 제외한 십자(十)의 형상으로 외부의 물체의 표면 상에 맺힐 수 있다.
이때, 필터부(123`)는 투과부(123)의 내측 및 외측 중 어느 하나에 탈 부착될 수 있도록 스티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3`)는 투과부(123)에 고정 가능한 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때, 필터부(123`)의 형태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20)는 내주면(120`) 및 외주면(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주면(120`)은 빛이 투과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주면(120``)은 내주면(120`)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내주면(120`)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과부(123)는 외주면(12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투과부(123)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필터부(123`)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외주면(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복수개의 빛의 형상 중에서 외부의 물체의 표면 상에 맺힐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이 조사부(122)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조사되는 경우, 외주면(120``)을 회전시켜 외주면(1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투과부(123) 중 십자(十) 형상의 필터부(123`)를 구비하는 투과부(123)를 우측 방향으로 고정시키면, 조사부(122)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십자(十) 형상의 필터부(123`)를 구비하는 투과부(123)를 투과하여 조사됨으로써, 우측에 위치되는 물체(예를 들어,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의 표면 상에 십자(十) 형상의 빛이 맺힐 수 있다.
한편, 필터부(123`)의 형상이 특정 회사 및 기업의 상표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조사부(122)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상표의 형상으로 형성된 필터부(123`)를 구비하는 투과부(123)를 투과하여 조사됨으로써, 우측에 위치되는 물체의 표면 상에 해당 상표의 형상의 빛이 맺힐 수 있다.
즉, 필터부(123`)를 통해 특정 회사 및 기업의 상표를 노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골프티(100)를 이용한 광고 노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반사경(124)은 몸체부(120)의 내측에 위치되어,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조사부(12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반사경(124)이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조사부(12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하는 것은,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조사부(12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경(124)은 몸체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위치됨으로써, 하부에 위치한 광원(121)으로부터 상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조사부(12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조사부(122)의 위치 및 반사경(124)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사부(1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위치부(125)는 후술되는 배터리(13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광원(121)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125)는 회전에 근거하여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회전식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부(125)는 몸체부(120)로부터 머리부(110) 및 다리부(130)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됨에 따라서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부(125)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식 스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25)가 터치식 스위치로 구현되는 경우, 몸체부(120)의 외측으로 스위치부(125)가 노출됨으로써, 스위치부(125)에 사용자의 신체 등에 접촉됨에 따라서 광원(121)의 온오프(On/Off)가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리부(130)는 몸체부(12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골프티(100)를 지면에 박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다리부(130)는 내측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내측 공간에 광원(121)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때, 배터리(131)가 다리부(13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131)는 몸체부(120) 또는 다리부(13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본 고안의 머리부(110)는 내측에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110)의 내측 공간에 조사부(122) 및 반사경(124)이 구비될 수 있고, 머리부(110)의 둘레의 일측에 투과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서, 반사경(124)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머리부(11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는 반사경(124)은, 몸체부(12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되는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머리부(110) 및 몸체부(120) 중 하나 이상의 내측 공간을 통해 수광하여 조사부(12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어서, 조사부(122)는 반사경(124)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머리부(110)의 둘레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과부(123)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투과부(123)가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킴으로써, 머리부(110)의 위치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본 고안의 구성 및 구조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 및 구조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구현 모습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퍼가 골프티(100)의 광원(121)을 온(On)시키고, 골프티(100)를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면, 골프티(100)는 골프티(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골프 클럽의 클럽 헤드(10)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클럽 헤드(10)의 표면 상에 골프티(100)로부터 조사된 빛의 상(像)(20)이 맺히게 되며, 이로 인해, 골퍼는 클럽 헤드(10)의 표면 상에 맺힌 상(像)(20)을 확인하여 골프 클럽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6에 나타낸 본 고안의 구현 모습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 고안의 구현 모습이 도 6에 나타낸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한편, 골프티(100)를 구성하는 광원(121), 조사부(122), 투과부(123), 반사경(124), 스위치부(125) 및 배터리(131)의 위치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각 머리부(110), 몸체부(120) 및 다리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100)는 필요에 따라, 머리부(110), 몸체부(120) 및 다리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고안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클럽 헤드
20: 상(像)
100: 골프티
110: 머리부
120: 몸체부
120`: 내주면
120``: 외주면
121: 광원
122: 조사부
123: 투과부
123`: 필터부
124: 반사경
125: 스위치부
130: 다리부
131: 배터리

Claims (10)

  1. 상부에 골프공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 공간으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골프티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빛이 투과되는 소재의 내주면;
    상기 내주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주면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외주면;
    상기 머리부 둘레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는 투과부;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집광하고 상기 집광된 빛이 상기 투과부에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조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조사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투과부를 투과한 빛이 외부 물체의 표면에 패턴 또는 형상의 상을 맺도록, 투과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머리부 및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5. 삭제
  6. 상부에 골프공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골프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빛이 투과되는 소재의 내주면;
    상기 내주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주면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외주면;
    상기 내측 공간으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몸체부 둘레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는 투과부;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집광하고 상기 집광된 빛이 상기 투과부에 조사되도록 하며, 상기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조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조사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투과부를 투과한 빛이 외부 물체의 표면에 패턴 또는 형상의 상을 맺도록, 투과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측 공간에 상기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머리부 및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10. 삭제
KR2020170002025U 2017-04-21 2017-04-21 골프티 KR200487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25U KR200487475Y1 (ko) 2017-04-21 2017-04-21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25U KR200487475Y1 (ko) 2017-04-21 2017-04-21 골프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75Y1 true KR200487475Y1 (ko) 2018-09-20

Family

ID=6370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25U KR200487475Y1 (ko) 2017-04-21 2017-04-21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087B1 (ko) * 2020-07-10 2021-04-02 함용주 회수 용이 구조의 골프티
KR20220001920U (ko) 2021-01-29 2022-08-05 정기호 골프공 안착부가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골프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26B1 (ko) * 2008-01-16 2009-06-05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엘이디 캡슐을 구비한 골프 티
KR101029706B1 (ko) * 2010-12-30 2011-04-18 주식회사 아이덱스 골프용 티
WO2012176811A1 (ja) * 2011-06-24 2012-12-27 有元 浩世史 ゴルフティー
KR101279831B1 (ko) 2012-11-27 2013-06-28 채락진 골프티
KR200469940Y1 (ko) * 2013-06-10 2013-11-14 이정열 시인성이 우수한 야광 골프티
KR20150106886A (ko) * 2012-12-12 2015-09-22 이형석 가이드라인 시현 기능을 가지는 골프 티
KR101637943B1 (ko) * 2015-08-10 2016-07-08 권오석 방향 표시 광 모듈이 내장된 골프 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26B1 (ko) * 2008-01-16 2009-06-05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엘이디 캡슐을 구비한 골프 티
KR101029706B1 (ko) * 2010-12-30 2011-04-18 주식회사 아이덱스 골프용 티
WO2012176811A1 (ja) * 2011-06-24 2012-12-27 有元 浩世史 ゴルフティー
KR101279831B1 (ko) 2012-11-27 2013-06-28 채락진 골프티
KR20150106886A (ko) * 2012-12-12 2015-09-22 이형석 가이드라인 시현 기능을 가지는 골프 티
KR200469940Y1 (ko) * 2013-06-10 2013-11-14 이정열 시인성이 우수한 야광 골프티
KR101637943B1 (ko) * 2015-08-10 2016-07-08 권오석 방향 표시 광 모듈이 내장된 골프 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087B1 (ko) * 2020-07-10 2021-04-02 함용주 회수 용이 구조의 골프티
KR20220001920U (ko) 2021-01-29 2022-08-05 정기호 골프공 안착부가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골프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6587B2 (ja) 遊技機の発光構造
KR200487475Y1 (ko) 골프티
JP4557384B2 (ja) レーザービームの変更装置およびレーザービームの変更方法
JP6042638B2 (ja) 近赤外線投光器
ATE532162T1 (de) Spielautomat
ATE519187T1 (de) Spielgerät
TW200702885A (en) Illuminating apparatus and projector
CN104964229A (zh) 车辆用灯具单元
AU2018219865B2 (en) Laser diode reticule illumination
ATE557312T1 (de)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WO2008126830A1 (ja)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10042238B1 (en) Projector
SG10201900798WA (en) Inspection system and game token
US6939245B1 (en) Training aid for golfers
CN105813529A (zh) 用于照射物体的系统及方法
ES2683297T3 (es) Aparato oftalmoscópico
KR101489412B1 (ko) 차량용 램프
JP5622388B2 (ja) レーザー光発生素子を用いたレチクル照明装置
JP2019213812A5 (ko)
JP2004061258A (ja) レーザー墨出し器の防塵カバー
EP1389747A3 (en) Lithographic projection apparatus and reflector asembly for use in said apparatus
TW200712554A (en) Light control apparatus and slit structure used therefor
JP5769102B2 (ja) 医療用照明装置
US20030146706A1 (en) Headlamp
JP2019117755A (ja) 調光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