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71Y1 - 스노우체인 - Google Patents

스노우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71Y1
KR200487271Y1 KR2020170001777U KR20170001777U KR200487271Y1 KR 200487271 Y1 KR200487271 Y1 KR 200487271Y1 KR 2020170001777 U KR2020170001777 U KR 2020170001777U KR 20170001777 U KR20170001777 U KR 20170001777U KR 200487271 Y1 KR200487271 Y1 KR 200487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friction member
friction
ring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순관
Original Assignee
백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순관 filed Critical 백순관
Priority to KR2020170001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involving lugs or rings taking up wear, e.g. chain links, chain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의 외주면에 결합고정되는 새로운 구조의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체인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상기 배수홈(2)에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마찰부재(10)와,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10)에 고정되어 상기 마찰부재(10)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10)에는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구(13)가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10)를 상기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감은 후 상기 고정구(13)를 이용하여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타이어(1)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를 감도록 배치되어, 타이어(1)가 회전될 때 지속적으로 도로에 밀착됨으로,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종래의 스노우체인과 달리, 마찰부재(10)가 지면에 충돌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스노우체인은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1)의 배수홈(2)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게 지지됨으로, 지름이 큰 타이어(1)에 고정하기 적합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노우체인{snow chain}
본 고안은 타이어의 외주면에 결합고정되는 새로운 구조의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빙판에서 차량의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노우체인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마찰부재(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마찰부재(3)의 단부에 상호 연결하는 내외측 케이블(4,5)로 구성되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3)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밀착되는 밀착부(3a)와, 상기 밀착부(3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내외측 연장부(3b,3c)로 구성된다.
상기 내외측 케이블(4,5)은 강도가 높은 금속제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마찰부재(3)와 내측 연장부(3b)와 외측연장부(3c)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마찰부재(3)가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내외측 케이블(4,5)의 단부에는 내측케이블(4)의 양단과 외측케이블(5)의 양단을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부재(3)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내측케이블(5)과 외측케이블(5)의 양단을 상호 결합하면, 상기 마찰부재(3)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3)는 상기 타이의 둘레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스노우체인의 구조는 등록실용신안 20-017286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스노우체인은 상기 마찰부재(3)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되어, 타이어(1)의 둘레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됨으로, 차량이 전진되어 타이어(1)가 회전되면, 상기 마찰부재(3)가 반복적으로 도로에 충돌하여 심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스노우체인은 지름이 작은 승용차용 타이어(1)에는 적합하지만, 지름이 큰 화물차 또는 버스에 적용하기에는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타이어(1)의 둘레면에는 배수홈(2)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홈(2)은 타이어(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이 적게 발생되며 지름이 큰 타이어(1)에 사용하기 적합한 새로운 구조의 스노우체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배수홈(2)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타이어(1)에 결합되는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감겨진 상태로 상기 배수홈(2)에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마찰부재(10)와,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10)에 고정되어 상기 마찰부재(10)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10)에는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구(13)가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10)를 상기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감은 후 상기 고정구(13)를 이용하여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타이어(1)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체인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재(10)는 장원형태로 구성된 금속제의 제1 및 제2 링체(11,12)를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링체(11)와 제2 링체(12)는 양측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링체(11)의 일측이 상기 타이어(1)의 배수홈(2)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링체(12)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체인이 체인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20)은 측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수단(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부재(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체인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10)에 연결되는 인장수단(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고정한 후 상기 인장수단(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체인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체인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상기 배수홈(2)에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마찰부재(10)와,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10)에 고정되어 상기 마찰부재(10)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10)에는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구(13)가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10)를 상기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감은 후 상기 고정구(13)를 이용하여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타이어(1)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를 감도록 배치되어, 타이어(1)가 회전될 때 지속적으로 도로에 밀착됨으로,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종래의 스노우체인과 달리, 마찰부재(10)가 지면에 충돌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스노우체인은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1)의 배수홈(2)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게 지지됨으로, 지름이 큰 타이어(1)에 고정하기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노우체인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스노우체인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체인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체인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체인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체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체인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타이어(1)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배수홈(2)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노우체인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감겨진 상태로 상기 배수홈(2)에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마찰부재(10)와,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10)에 고정되어 상기 마찰부재(10)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0)과,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10)에 고정되어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인장수단(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찰부재(10)는 장원형태로 구성된 금속제의 제1 및 제2 링체(11,12)를 반복적으로 연결한 체인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링체(11)와 제2 링체(12)는 강도가 높은 금속제로 구성된 것으로, 양측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링체(1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일측, 즉, 상기 타이어(1)를 향하는 쪽이 상기 타이어(1)의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링체(12)는 양측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타이어(1)를 향하는 쪽 면이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매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마찰부재(10)는 상기 제2 링체(12)가 양단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10)의 일측단부에는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마찰부재(10)가 원형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고정구(1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와이어를 C자 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마찰부재(10)를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감은 후, 상기 고정구(13)의 양단을 상기 마찰부재(10)의 양단에 구비된 제2 링체(12)에 걸어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20)은 측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다.
즉, 상기 지지수단(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외측단이 상기 제2 링체(12)에 용접결합되며 내측단에는 나사산(21a,22a)이 형성된 제1 및 제2 나사축(21,22)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나사축(21,22)이 나사결합되는 결합공(23a)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나사축(21,22)에 형성된 나사산(21a,22a)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나사축(21)의 나사산(21a,22a)은 우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축(22)이 나사산(22a)은 좌나사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재(23)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나사산(21a,22a)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나사축(21,22)이 상호 인접방향으로 당겨지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감으로써, 지지수단(20)의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구비된 여러개의 지지수단(20)의 길이를 동일하게 조절하면, 상기 마찰부재(10)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조절된다.
상기 인장수단(30)은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블록(31)과, 상기 지지블록(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블록(31)의 상면으로 연장된 스템(32a)이 구비된 피니언기어(32)와, 상기 지지블록(3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에 상호 반대측면에서 치합되며 외측단이 상기 마찰부재(10)의 제2 링체(12)에 용접결합되는 한 쌍의 랙기어(33)와, 상기 피니언기어(32)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32)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고정하는 래칫부재(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템(32a)은 렌치를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봉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래칫부재(34)는 탄성부재(34a)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32)의 둘레면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으로, 상기 랙기어(33)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진되는 방향(도면의 경우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상기 래칫부재(34)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블록(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푸쉬바(34b)가 연결되어, 푸쉬바(34b)를 누르면 상기 래칫부재(34)가 회동되면서 피니언기어(32)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러한 래칫부재(3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노우체인을 타이어(1)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0)의 연결부재(23)를 회전시켜 지지수단(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마찰부재(10)의 간격이 상기 타이어(1)에 형성된 배수홈(2)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10)가 일직선으로 펼쳐지도록 스노우체인을 바닥면에 배치한 후, 차량의 타이어(1)가 상기 스노우체인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부재(10)의 제1 링체(11)가 타이어(1)의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구(13)를 이용하여 상기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고정함으로써, 상기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감싸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10)가 이루는 원의 지름은 상기 타이어(1)의 외경에 비해 약간 큰 원을 이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인장수단(30)의 스템(32a)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칫부재(34)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면서 상기 밀착부재의 중간부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10)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아져서,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면에 강하게 밀착고정된다.
그리고, 타이어(1)에 결합된 스노우체인을 분리할 대는 상기 래칫부재(34)에 구비된 손잡이를 당겨 상기 피니언기어(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피니언기어(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래칫부재(34)가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마찰부재(1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구(13)를 분리함으로써, 스노우체인을 타이어(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노우체인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상기 배수홈(2)에 삽입고정되는 한 쌍의 마찰부재(10)와,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마찰부재(10)에 고정되어 상기 마찰부재(10)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10)에는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구(13)가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10)를 상기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감은 후 상기 고정구(13)를 이용하여 마찰부재(1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타이어(1)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를 감도록 배치되어, 타이어(1)가 회전될 때 지속적으로 도로에 밀착됨으로,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종래의 스노우체인과 달리, 마찰부재(10)가 지면에 충돌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스노우체인은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1)의 배수홈(2)에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게 지지됨으로, 지름이 큰 타이어(1)에 고정하기 적합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마찰부재(10)는 장원형태로 구성된 금속재의 제1 및 제2 링체(11,12)를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링체(11)와 제2 링체(12)는 양측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링체(11)의 일측이 상기 타이어(1)의 배수홈(2)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링체(12)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됨으로, 강도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타이어(1)의 둘레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20)은 측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수단(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부재(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 배수홈(2)의 간격이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타이어(1)에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1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된 인장수단(30)이 구비되어, 상기 마찰부재(10)가 상기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고정한 후 상기 인장수단(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고정할 수 있음으로, 스노우체인을 타이어(1)의 둘레부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마찰부재(10)에는 인장수단(30)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인장수단(30)의 구조를 생략하고, 상기 지지수단(20)중에 어느 하나를 다른 지지수단(20)과 길이가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인장수단(30)의 기능을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10)는 제1 링체(11)와 제2 링체(12)가 연결된 체인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마찰부재(10)의 재질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3)는 C자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구(13)는 S자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의 링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20)과 인장수단(30)의 구조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마찰부재 20. 지지수단
30. 인장수단

Claims (5)

  1. 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배수홈(2)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타이어(1)에 결합되는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장원형태인 금속재의 제1 및 제2 링체(11,12)를 양측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체인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링체(11)의 일측은 상기 타이어(1)를 향하는 쪽이 배수홈(2)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링체(12)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이어(1)의 둘레면 양측에서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감겨지는 한 쌍의 마찰부재(10);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양단이 양측의 상기 마찰부재(10)측 상기 제2 링체(12)에 용접결합되고, 내측단에는 나사산(21a,22a)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나사축(21,2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나사축(21,22)은 양단에 결합공(23a)을 형성하는 연결부재(23)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23)를 회전시켜 상기 마찰부재(10)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하면서 상기 제1 링체(11)가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찰부재(10)에는 상기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감겨지도록 한 양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C자형태 또는 S자형태의 고정구(13)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체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찰부재(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양단이 한 쌍의 상기 마찰부재(10)에 연결되는 인장수단(30)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20)에 의해 상기 마찰부재(10)가 배수홈(2)에 삽입되도록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수단(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부재(10)가 타이어(1)의 둘레부에 강하게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체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30)은,
    한 쌍의 상기 마찰부재(10)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블록(31)과,
    상기 지지블록(31)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블록(31)의 상면으로는 스템(32a)이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피니언기어(32)와,
    상기 지지블록(31)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의 상호 반대측면에 치합되면서 외측단이 상기 마찰부재(10)의 제2 링체(12)에 용접결합되는 한 쌍의 랙기어(33)와,
    상기 피니언기어(32)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탄성부재(34a)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되면서 푸쉬바(34b)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래칫부재(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체인.
KR2020170001777U 2017-04-10 2017-04-10 스노우체인 KR200487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77U KR200487271Y1 (ko) 2017-04-10 2017-04-10 스노우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77U KR200487271Y1 (ko) 2017-04-10 2017-04-10 스노우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71Y1 true KR200487271Y1 (ko) 2018-08-29

Family

ID=6340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77U KR200487271Y1 (ko) 2017-04-10 2017-04-10 스노우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7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587A (ko) * 2004-02-07 2006-12-19 콘폰 에이지 하나의 폐쇄된 링크 체인의 2개의 체인 링크를 공구 없이상이한 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및/또는손상된 링크 체인을 수리하기 위한 장치
US9409456B1 (en) * 2015-05-28 2016-08-09 Reynaldo Mariansky Vehicle tire chai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587A (ko) * 2004-02-07 2006-12-19 콘폰 에이지 하나의 폐쇄된 링크 체인의 2개의 체인 링크를 공구 없이상이한 간격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및/또는손상된 링크 체인을 수리하기 위한 장치
US9409456B1 (en) * 2015-05-28 2016-08-09 Reynaldo Mariansky Vehicle tire chai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456B1 (en) Vehicle tire chain apparatus
US10179486B2 (en) Traction aid
US9981511B2 (en) Tire traction devices
MY183836A (en) Deformable wheel assembly
US10124637B2 (en) Tire traction device
KR200487271Y1 (ko) 스노우체인
US20150151570A1 (en) Irrigation Wheel Traction Lug
WO2018186304A1 (ja) 滑り止め具、滑り止め具キットおよび滑り止め具に備えられるサイドフック
US3122192A (en) Traction device
US3232679A (en) Endless tractor track
US1957905A (en) Wrench
US10807423B2 (en) Ice and snow cleats for automobile and truck tires
US20160311277A1 (en) Tire anti-slip device
JP6982749B1 (ja) ねじ込み式滑り止め装置
EP2170632B1 (en) Snow chain with dampening inserts between the links
CN107076276A (zh) 张紧装置
KR101329417B1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FR2906783B1 (f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plancher avec un longeron, procede de fabrication du plancher associe
US1273887A (en) Cushion-tire.
KR101303431B1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US20120112430A1 (en) Bicycle tire t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16508467A (ja) 滑り止め円形フランジ
FR3067689B1 (fr) Vehicule automobile avec batteries de traction derriere la planche a talon renforcee
EP2050593A1 (en) Anti-skid device with chain length adjustment system
US2177279A (en) Chain appl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