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46Y1 -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 Google Patents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46Y1
KR200487246Y1 KR2020160004277U KR20160004277U KR200487246Y1 KR 200487246 Y1 KR200487246 Y1 KR 200487246Y1 KR 2020160004277 U KR2020160004277 U KR 2020160004277U KR 20160004277 U KR20160004277 U KR 20160004277U KR 200487246 Y1 KR200487246 Y1 KR 200487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oundation floor
fence
support
vertic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349U (ko
Inventor
최승범
Original Assignee
최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범 filed Critical 최승범
Priority to KR2020160004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4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한 기초바닥(1)의 상면에 세워져 영역을 구획하는 담장(100)에 있어서, 상기 기초바닥(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는 대구경의 PE(polyethylene)소재로 제작된 PE관(10)과; 적층된 PE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PE관(10)을 지지하여 기초바닥(1)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0)와; 기초바닥(1)에 안치된 PE관(10)의 양측 하부와 지지대의 내측 사이에 삽입되어 PE관의(10) 유동을 방지하고, 기초바닥(1)으로부터 PE관(10)의 수평을 보정하는 소구경의 보조받침관(30)과; 상기 PE관(10)의 외측 둘레부에 기워져 PE관(10)의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연결부재(40);로 구성되어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기존의 벽돌 또는 시멘트 블럭을 이용한 조적방식이 아닌 PE관을 요구하는 높이로 기초바닥에 다층으로 올리고 지지대로서 PE관을 기초바닥에 지지시켜 담장을 구축함으로써, 신속한 담장의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해체기에도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PE관, 지지대의 조합에서 이루어져 충분한 외부강도를 구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파손 및 손상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제공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Fence building structure using PE pipes}
본 고안은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담장에 대한 미감을 살리면서 담장 구축상태에서는 내구성 유지와 담장의 빠른 구축 및 해체가 용이하고, 해체에 따른 폐기물이 적으며, 해체된 폐자재는 담장의 재구축 및 그 외 다른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담장은 주택의 둘레나 일정한 장소의 주변 공간을 둘러막아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흙, 벽돌이나 시멘트 블럭 등을 요구하는 높이로 조적하여 담장을 구축한다.
대부분 벽돌이나, 시멘트 블럭 이용한 담장은 미관이 좋고 축조과정에서 기초 철근을 포함한 조적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적을 위해서는 지면으로부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기초바닥부의 형성과 더불어 기초바닥부의 상면을 기준점으로 벽돌, 시멘트 블럭을 수평, 수직 기준선에 맞추어 상호 어긋나는 형태로 조적하는 바, 축조된 상태에서 내구성을 뛰어나고 오랜 시간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담장의 조적되는 높이 및 담장에 시설되는 대문은 주택의 보안, 경비시스템이 잘 갖추어 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그 높이들이 낮게 시공되는 추세이나, 상기와 같은 담장을 일일이 조적하는 방식으로 벽돌, 혹은 시멘트 블럭을 조적하는 위치마다 운반하여야 하고, 이를 작업자가 직접 하나씩 들어올려 조적 하여야 하기 때문에 담장의 축조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멘트 관련 작업이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특히 우천시에는 작업진행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향후 담장의 노후로 인해 담장의 철거시에도 해체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폐기물 처리를 요하게 된다.
또한, 외부충격으로 인해 어느 부위가 파손된 경우에는 부분적인 보수를 수행할 수 있으나, 부분 보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축조시의 완성된 담장 초기상태에서 달라진 보수부위는 담장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담장에 대한 미감을 살리면서 담장 구축상태에서는 내구성 유지와 담장의 빠른 구축 및 해체가 용이하고, 해체에 따른 폐기물이 적으며, 해체된 폐자재는 담장의 재구축 및 그 외 다른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한 기초바닥의 상면에 세워져 영역을 구획하는 담장에 있어서,
상기 기초바닥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는 대구경의 대구경의 PE(polyethylene)소재로 제작된 PE관과; 적층된 PE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PE관을 지지하여 기초바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와; 기초바닥에 안치된 PE관의 양측 하부와 지지대의 내측 사이에 삽입되어 PE관의 유동을 방지하고, 기초바닥으로부터 PE관의 수평을 보정하는 소구경의 보조받침관과; 상기 PE관의 외측 둘레부에 기워져 PE관의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PE관은 직관 또는 90도 및 45도 타입 엘보관으로, 그 직경은 600mm~1000mm의 직경으로, 상기 기초바닥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기초바닥 상면에 적층되는 PE관의 양측을 좌우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게 이탈을 방지하는 4개의 수직고정대와, 상기 수직고정대의 하측에 부착되어 기초바닥 상면에 체결볼트로서 고정하기 위한 연결브라켓과, 상기 수직고정대의 상부 측에 양단이 부착되어 수직고정대 및 적층된 상부측의 PE관을 각각 4지점 지지하는 제1수평연결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수직고정대의 제1수평연결대가 부착된 상부 측에 양단이 부착 설치되어 수직고정대를 보강하는 제2수평연결대 및 제2수평연결대의 상부에 안치되어 화분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이 구비되어 담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PE관의 직경에 따라 기초바닥의 측면에 상기 수직고정대의 하부측이 연결브라켓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상기 PE관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PE관의 직경에 따라 기초바닥의 측면에 상기 수직고정대의 하부측에 지면에 매입되어 상기 PE관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PE관이 관통되는 직경으로 내측에 융착부가 구비된 이음튜브와, 이음튜브의 외측에 상호 대향되게 부착되는 조임브라켓과, 이음튜브의 수축에 의한 조임브라켓에 체결되어 조임브라켓의 간극을 조임 상태로 유지시키는 체결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PE관의 단부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는, 기존의 벽돌 또는 시멘트 블럭을 이용한 조적방식이 아닌 PE관을 요구하는 높이로 기초바닥에 다층으로 올리고 지지대로서 PE관을 기초바닥에 지지시켜 담장을 구축함으로써, 신속한 담장의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해체기에도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PE관, 지지대의 조합에서 이루어져 충분한 외부강도를 구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파손 및 손상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제공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담장이 시공된 상태를 일부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담장에서의 지지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담장에서 PE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담장의 구축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담장의 구축상태를 일 실시예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담장에 화분 및 받침판이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PE관을 이용한 담장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한 기초바닥(1)의 상면에 세워져 영역을 구획하는 담장(100)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담장(100)은,
상기 기초바닥(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는 대구경의 PE(polyethylene)소재로 제작된 PE관(10)과; 적층된 PE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PE관(10)을 지지하여 기초바닥(1)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0)와; 기초바닥(1)에 안치된 PE관(10)의 양측 하부와 지지대의 내측 사이에 삽입되어 PE관의(10) 유동을 방지하고, 기초바닥(1)으로부터 PE관(10)의 수평을 보정하는 소구경의 보조받침관(30)과; 상기 PE관(10)의 외측 둘레부에 기워져 PE관(10)의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연결부재(40);로 구성되어 축조된다.
상기 PE관(10)은 직관 또는 90도 및 45도 타입 엘보관으로, 그 직경은 600mm~1000mm의 직경으로 제작되어, 상기 기초바닥(1)의 상면에 적층된다.
참고로 상기 PE관(10)에 대해 부연하면, PE관은 일명 '주름관'으로도 불리우며, 송수, 배수, 급수용으로 사용되며, 그 외, 농업용, 공업용, 준설배관용, 해수용, 침출수 이송용, 플랜트배관 등으로 사용된다. 특수하게는 I-Beam 단면구조를 갖는 이중벽의 단면, 3중벽의 단면으로도 제작되며, 대체로 중량이 가벼워 운반과 취급이 간편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속도가 빠르고, 동절기에도 작업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종 해당 공사의 자대로 적용시 상기와 같은 특장점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PE관의 특징으로는 외부충격에 뛰어나고, 유연성이 양호한 고밀도(高密度)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소재이므로 지면에 매입시 지반침하나 외부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고, 변형에 대한 복원력이 좋고 내화학성, 내후성, 내한성이 뛰어나 주로 매입형 하수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담장을 구성하는 상기 지지대(20)는, 사각중공의 철재파이프로서, 상기 기초바닥(1) 상면에 적층되는 PE관(10)의 양측을 좌우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게 이탈을 방지하는 4개의 수직고정대(21)와, 상기 수직고정대(21)의 하측에 부착되어 기초바닥(1) 상면에 체결볼트로서 고정하기 위한 연결브라켓(22)과, 상기 수직고정대(21)의 상부 측에 양단이 부착되어 수직고정대 및 적층된 상부측의 PE관을 각각 4지점 지지하는 제1수평연결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고정대(21)의 제1수평연결대(23)가 부착된 상부 측에 양단이 부착 설치되어 수직고정대(21)를 보강하는 제2수평연결대(24) 및 제2수평연결대의 상부에 안치되어 화분(2)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3)이 구비되어 담장(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는 PE관(10)의 직경에 따라 기초바닥(1)의 측면에 상기 수직고정대(21)의 하부 측이 연결브라켓(22)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상기 PE관(10)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되어 담장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는 PE관(10)의 직경에 따라 기초바닥(1)의 측면에 상기 수직고정대(21)의 하부측이 지면에 매입되어 상기 PE관(10)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되게 담장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0)는, PE관(10)이 관통되는 직경으로 내측에 융착부(41)가 구비된 이음튜브(42)와, 이음튜브(42)의 외측에 상호 대향되게 부착되는 조임브라켓(43)과, 이음튜브(42)의 수축에 의한 조임브라켓(43)에 체결되어 조임브라켓(43)의 간극을 조임 상태로 유지시키는 체결볼트(B)와 너트(N)로 구성되어 PE관의 단부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음튜브(42)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융착부(41)는 전기발열체가 구비된 융착연결관이 내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전기발열체는 전기융착기 연결용 단자가 연결되어 전기융착기의 가동에 의해 상기 PE관과 융착연결관을 용융시켜 상호 PE관과 PE관의 부착연결이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40)는 PE관(10) 중 직관과 엘보관의 연결, PE관과 PE관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그 설치 위치는 엘보관을 제외한 직관에서는 각기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PE관을 이용한 담장의 구축 및 구축된 담장에 대한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PE관(10)은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이 쉽기 때문에 해당하는 직경의 PE관을 구입하여 현장에서 절단기를 이용한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고, 지면에 미리 만들어 놓은 기초바닥(1)에 지지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담장(100)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기초바닥(1)은 통상적으로 일부는 매입되고, 지면으로부터 100~150mm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으로, 그 상부에 상기 PE관(10)을 적어도 2층으로 적층한다.
여기에 준비된 지지대(20)를 상기 PE관(10)의 길이방향 상부로부터 씌워 하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PE관(10) 길이방향 일부가 지지대(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또는 설치하고자 하는 PE관(10)의 직경에 맞추져 제작된 상기 지지대(20)를 기초바닥(1)에 등각격으로 선 고정한 한 상태에서 상기 PE관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20)를 구성하는 수직고정대(21)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22)을 통해 체결볼트로서 기초바닥(1) 상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지지대(20)를 상기 기초바닥(1)의 길이 즉, 담장을 형성하기 위한 구간에서 각 배치된 지지대의 수직고정대 사이에 상기 PE관(10)을 1차로 통과시키고, 통과된 PE관의 상부에 또 다른 PE관(10)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2층이 되게 안치시켜 준다.
상기 수직고정대(21)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E관(10)의 직경이 큰 직경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기초바닥(1)의 측면에 수직고정대(21)의 하부가 연결브라켓(22)에 의해 체결볼트로서 부착하거나 혹은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지면 내에 상기 수직고정대(21)의 하부측이 충분히 매입되는 형태로 시공하여 상기 PE관(10)을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PE관(10)의 사용에 있어, 통상 진원으로 제작된 상기 PE관은 상기와 같이 안치되는 상태에서 적증되는 무게에 의해 진원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상기 기초바닥(1)의 상면과 지지대(20)를 구성하는 제1수평연결대(23)의 저부에 위치되어 첨부된 도 4와 같이 배치된다.
상기 PE관(10)의 적층배치와 더블어 하부측의 PE관과 상기 수직고정대(21) 사이에는 보조받침관(30)을 양측에 통과시켜 줌으로써, 기초바닥(1)의 상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 상기 PE관(10)의 수평으로 맞추어 줄 수 있게 되고, 보다 하부측에 위치한 상기 PE관의 양측을 안정되게 지지시켜 주도록 한다.
상기 보조받침관(30)은 PE관(10)과 동일소재로 제작된 작은 직경으로서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PE관(10)에 대해 하부측 받침작용으로 지지대(20)가 설치된 구간에서 수평맞추기가 수월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담장(100)에 있어, PE관(10) 중 직관과 엘보관을 적절히 연결하여 틀 형태와 같이 담장을 구축할 수 있으며, 상기 PE관(10)의 단부는 직관과 직관 혹은 직관과 엘보관의 단부 사이에 연결부재(40)를 위치시킨 후 상호 이들을 이음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PE관(10)이 관통되는 여유있는 직경으로 된 이음튜브(42)를 상기 직관과 직관인 PE관(10)의 단부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이음튜브 내측에 마련된 융착부(41)를 전기융착기로 융착하여 연결한다.
즉, 상기 융착부는 전기발열체가 구비된 융착연결관으로 이는 전기융착기측으로부터 연결용 단자가 연결되어 있어 전기융착기의 가동에 의해 상기 PE관과 융착연결관을 용융시켜 상호 PE관과 PE관의 부착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융착에 의해 이음튜브(42)는 수축이 발생되어 연결부분을 조이게 되고, 이음튜브(42)의 외측에 상호 대향되게 부착된 조임브라켓(43)에는 체결볼트(B)와 너트(N)를 상호 체결하여 줌으로써, PE관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PE관의 직관과 직관, 직관과 엘보관을 상호 상기 방식으로 연결하여 담장의 형태에 맞게 연결 설치함으로써 담장을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축된 담장(100)에 있어, 지지대(20)를 구성하는 수직고정대(21)에 대해 그 상부측의 제1수평연결대(23) 및 제2수평연결대는 보다 안정되게 PE관(10)을 지지시켜 줌은 물론, 상기 제2수평연결대의 상부에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3)을 올리고, 그 상부에는 식물이 식재된 화분(2)을 올려 담장(100)의 상부측을 식물로 장식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담장(100)은 기존의 벽돌 혹은 블럭의 축조방식에 비해 짧은 시간내에 기초바닥(1)을 형성한 상태에서 PE관(1), 지지대(20), 보조받침관(30)을 이용하여 담장을 구축함으로써, 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지지대를 포함한 PE관의 자체 원형이면서 탄성력이 뛰어나며, 외력에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함은 물론, 담장의 미감을 살릴 수 있으며, 해체시에도 산업폐기물이 작게 발생하고, 폐자재는 재활용하거나 재설치가 가능하며, 부분 유지보수시에도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기초바닥 2: 화분
3: 받침판 10: PE관
20: 지지대 21: 수직고정대
22: 연결브라켓 23: 제1수평연결대
24: 제2수평연결대 30: 보조받침관
40: 연결부재 41: 융착부
42: 이음튜브 43: 조임브
B: 체결볼트 N: 너트

Claims (7)

  1.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한 기초바닥(1)의 상면에 세워져 영역을 구획하는 담장(100)에 있어서,
    상기 기초바닥(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는 대구경의 PE(polyethylene)소재로 제작된 PE관(10)과;
    적층된 PE관의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PE관(10)을 지지하여 기초바닥(1)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20)와;
    기초바닥(1)에 안치된 PE관(10)의 양측 하부와 지지대의 내측 사이에 삽입되어 PE관의(10) 유동을 방지하고, 기초바닥(1)으로부터 PE관(10)의 수평을 보정하는 소구경의 보조받침관(30)과;
    상기 PE관(10)의 외측 둘레부에 기워져 PE관(10)의 단부를 상호 이음 연결하는 연결부재(40);로 구성되어 축조되며,
    상기 지지대(20)는,
    기초바닥(1) 상면에 적층되는 PE관(10)의 양측을 좌우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게 이탈을 방지하는 4개의 수직고정대(21)와,
    상기 수직고정대(21)의 하측에 부착되어 기초바닥(1) 상면에 체결볼트로서 고정하기 위한 연결브라켓(22)과,
    상기 수직고정대(21)의 상부 측에 양단이 부착되어 수직고정대 및 적층된 상부측의 PE관을 각각 4지점 지지하는 제1수평연결대(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관(10)은 직관 또는 90도 및 45도 타입 엘보관으로, 그 직경은 600mm~1000mm의 직경으로 제작되어, 상기 기초바닥(1)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고정대(21)의 제1수평연결대(23)가 부착된 상부 측에 양단이 부착 설치되어 수직고정대(21)를 보강하는 제2수평연결대(24) 및 제2수평연결대의 상부에 안치되어 화분(2)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3)이 구비되어 담장(1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는 PE관(10)의 직경에 따라 기초바닥(1)의 측면에 상기 수직고정대(21)의 하부 측이 연결브라켓(22)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상기 PE관(10)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는 PE관(10)의 직경에 따라 기초바닥(1)의 측면에 상기 수직고정대(21)의 하부측이 지면에 매입되어 상기 PE관(10)의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PE관(10)이 관통되는 직경으로 내측에 융착부(41)가 구비된 이음튜브(42)와,
    이음튜브(42)의 외측에 상호 대향되게 부착되는 조임브라켓(43)과,
    이음튜브(42)의 수축에 의한 조임브라켓(43)에 체결되어 조임브라켓(43)의 간극을 조임 상태로 유지시키는 체결볼트(B)와 너트(N)로 구성되어 PE관의 단부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KR2020160004277U 2016-07-26 2016-07-26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KR200487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77U KR200487246Y1 (ko) 2016-07-26 2016-07-26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77U KR200487246Y1 (ko) 2016-07-26 2016-07-26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49U KR20180000349U (ko) 2018-02-05
KR200487246Y1 true KR200487246Y1 (ko) 2018-08-27

Family

ID=6128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77U KR200487246Y1 (ko) 2016-07-26 2016-07-26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987A (zh) * 2018-12-17 2019-03-29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非牛顿流体临时封闭围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15Y1 (ko) * 2000-06-02 2000-11-01 주식회사그룹원 난간 레일용 연결구
JP2002168007A (ja) * 2000-11-30 2002-06-11 Okada Sangyo Kk 支柱カバーおよび支柱カバーを取り付けたh型支柱を用いたフェン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880A (ja) * 1995-04-21 1996-11-05 Hiroshi Kitagawa 埋設管体の位置規制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15Y1 (ko) * 2000-06-02 2000-11-01 주식회사그룹원 난간 레일용 연결구
JP2002168007A (ja) * 2000-11-30 2002-06-11 Okada Sangyo Kk 支柱カバーおよび支柱カバーを取り付けたh型支柱を用いたフェ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49U (ko)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222924T3 (en) MODULAR BUILDING
CN104563384A (zh) 一种结构保温装饰一体化大型预制外挂墙板及其制作方法
CN104153579B (zh) 一种非标准层结构的浇筑模板结构及施工方法
CN110158394A (zh) 一种混凝土超平地坪免切缝施工结构
KR200487246Y1 (ko) Pe관을 이용한 담장 구축구조
KR101572245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1360288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절토부 보강토 옹벽 설치공법
KR20090029927A (ko) 수직부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
CN215406119U (zh) 一种高大边坡光面支护结构
CN204059943U (zh) 一种非标准层结构的浇筑模板结构
CN108412033B (zh) 建筑体外垂直森林外挑阳台结构及其施工方法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CN105507475A (zh) 一种连续交替半圆锥面形屋面及其施工方法
KR102038505B1 (ko) 구조물용 받침대 및 그 시공 방법
AU727665B3 (en) A void former for a waffle slab foundation
CN219710759U (zh) 立柱及装配式建筑
ITRE20090074A1 (it) Sistema modulare di pavimentazione
CN211173006U (zh) 用于结构边缘构造柱的施工构件
US20220090400A1 (en) Modular pool
KR20120133871A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1852497B1 (ko) 폭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pc 암거용 배근 구조물
CN210177842U (zh) 装配式施工工作梯
CN114033215B (zh) 一种支撑装置及施工方法
CN214531897U (zh) 一种装配式预应力空心板楼盖施工支承系统
KR100381792B1 (ko) 사일로의 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