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42Y1 - 바지걸이 - Google Patents

바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42Y1
KR200487242Y1 KR2020160006452U KR20160006452U KR200487242Y1 KR 200487242 Y1 KR200487242 Y1 KR 200487242Y1 KR 2020160006452 U KR2020160006452 U KR 2020160006452U KR 20160006452 U KR20160006452 U KR 20160006452U KR 200487242 Y1 KR200487242 Y1 KR 200487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lower frame
close contact
vertic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431U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2020160006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4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1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parallel trouser clamp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2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a plurality of clips integral with the hang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48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with multiple hooks for hooking the stretched waist band of garments having different width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걸이가 개시되는 것으로, 상단에 구비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에 밀착되는 상면밀착부(110)와; 상기 상면밀착부(110)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 일측면(1b)에 밀착되는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상면밀착부(110)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 타측면(1c)에 밀착되는 타측면밀착부(130)와;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하면(1d) 일측에 밀착되는 제1하면밀착부(14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하면(1d) 타측에 밀착되는 제2하면밀착부(150)와;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161) 및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와; 상기 제2하면밀착부(15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171) 및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와;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와; 상기 제1수직부(161) 및 제2수직부(171)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지걸이{pants hanger}
본 고안은 바지걸이에 관한 것으로,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 옷걸이의 하단프레임에 간단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상의 옷걸이를 이용하여 바지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바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옷걸이는 걸이봉이나 못 또는 행거에 걸어지는 걸고리가 상단에 구비되고 양측에 상의가 걸어지는 어깨 받침대로 구비되어 있으며, 어깨 받침대에 상의를 걸은 후 걸고리를 이용하여 걸이봉이나 못 또는 행거에 옷걸이를 걸어줌에 따라 상의를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상의 옷걸이는, 와이셔츠나 양복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 반면, 바지와 같은 하의를 걸어 보관하기에는 어려워 바지를 걸어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바지걸이를 사용하고 있다.
대개의 바지걸이는, 걸고리의 하단 양측에 바지를 집어 고정할 수 있는 집게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집게를 이용하여 바지의 상단 양측을 집은 후 걸고리를 걸이봉이나 못 또는 행거에 걸어줌에 따라 바지를 걸어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바지걸이의 경우 집게가 바지걸이의 하단 양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 옷걸이와 바지를 걸어 보관하는 바지걸이가 각각 따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은 물론 각각 따로 걸어 보관함에 따라 보관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 옷걸이의 하단에 구비된 하단프레임 내측으로 바지를 걸을 수 있는 돌기가 더 돌출된 옷걸이가 시중에 판매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옷걸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바지를 걸을 수 있는 돌기를 갖는 옷걸이를 추가로 구입해야 함에 따른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40582호인 바지걸이 겸용 옷걸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후크와 걸림부와 연결봉으로 구성된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좌우 양측면에 결합공과 걸림고리를 갖는 걸림부재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걸림부재의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바지를 걸어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상의를 걸어 보관하는 옷걸이의 연결봉에 걸림부재를 끼움방식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결봉(이하 옷걸이 하단프레임이라 함)이 빠지지 않는 옷걸이에는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옷걸이가 비용절감에 의해 하단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양산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걸림부재를 기존 옷걸이에 걸어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반드시 걸림부재가 하단프레임에 구비된 옷걸이를 추가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비용부담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예로, 공개특허 10-2016-0080766호인 옷걸이, 및 이 옷걸이에 탈착식으로 결합 되는 바지 걸이용 집게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부 중앙에 위치한 고리, 고리의 하부 일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 측에는 옷을 삽입할 수 있도록 수직선상에서 가로방향으로 목부분 삽입용 공간부가 형성된 어깨 걸이부, 어깨 걸이부의 양측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바지를 걸도록 수평으로 구성되며 바지 걸이용 집게가 탈착식으로 결합 되는 바지 걸이부, 어깨 걸이부 내측 상방 좌,우에 대칭으로 형성된 바지 고리 걸이부, 어깨 걸이부의 내측 상방 중앙에 사각 형태로 구성된 넥타이 걸이부, 넥타이 걸이부의 이격된 상부 중앙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또 다른 옷걸이 걸이용 전방돌출부, 옷이나 바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깨 걸이부와 바지 걸이부에 구비된 논슬립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바지걸이용 집게를 기존 옷걸이 하단프레임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옷걸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바지걸이용 집게가 집게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기존 집게를 그대로 옷걸이에 장착하는 것과 유사함에 따라 외관상 좋지 않으며 집게의 손잡이가 서로 벌어지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손잡이에 의해 옷걸이로부터 바지걸이용 집게가 크게 벗어나 돌출되어 옷걸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집게방식으로 바지걸이용 집게를 양산함에 따른 비용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상의를 걸어 보관할 수 있는 옷걸이를 그대로 이용하여 바지를 걸어 보관하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한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탈착의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지걸이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40582호(2004.01.26.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80766호(2016.07.08. 공개)
본 고안은 옷걸이의 하단프레임에 간단한 끼움방식으로 쉽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옷걸이로부터 쉽게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한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에 의해 옷걸이의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함은 물론, 아울러 옷걸이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옷걸이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바지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바지걸이는, 상단에 구비되어 옷걸이의 하단프레임 상면에 밀착되는 상면밀착부와; 상기 상면밀착부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 일측면에 밀착되는 일측면밀착부와; 상기 상면밀착부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 타측면에 밀착되는 타측면밀착부와; 상기 일측면밀착부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 하면 일측에 밀착되는 제1하면밀착부와; 상기 타측면밀착부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 하면 타측에 밀착되는 제2하면밀착부와; 상기 제1하면밀착부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 및 상기 제1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와; 상기 제2하면밀착부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와; 상기 일측면밀착부와 상기 타측면밀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와;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일측면밀착부와 상기 일측면밀착부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1하면밀착부와 상기 제1하면밀착부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와, 상기 타측면밀착부와 상기 타측면밀착부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2하면밀착부와 상기 제2하면밀착부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수용공간부 및 끼움공간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모아졌다가 옷걸이의 하단프레임이 상기 끼움공간부측으로 끼워질 때 벌어진 후 옷걸이의 하단프레임이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되면 다시 모아지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는, 상기 제1수직부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는, 상기 제2수직부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는, 상기 제1수직부로부터 반원형으로 호형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직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는, 상기 제2수직부로부터 반원형으로 호형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기존 사용해왔던 옷걸이의 하단프레임에 바지걸이를 탄성에 의해 쉽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옷걸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바지걸이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 전체 옷걸이의 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바지걸이가 옷걸이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옷걸이가 차지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바지걸이를 이용하여 바지가 걸어진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바지걸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바지걸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실시예가 옷걸이에 걸어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일실시예가 옷걸이에 걸어지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다른 실시예가 옷걸이에 걸어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에 걸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바지걸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걸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바지걸이는, 상면밀착부(110)와, 일측면밀착부(120), 타측면밀착부(130), 제1하면밀착부(140), 제2하면밀착부(150), 제1걸이부(160), 제2걸이부(170),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 및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상면밀착부(110)는, 상단에 구비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에 밀착된다.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는, 상기 상면밀착부(110)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 일측면(1b)에 밀착된다.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는, 상기 상면밀착부(110)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 타측면(1c)에 밀착된다.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는,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하면(1d) 일측에 밀착된다.
상기 제2하면밀착부(150)는,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하면(1d) 타측에 밀착된다.
즉,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움 연결되는 과정에서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측으로 상기 상면밀착부(110)가 위치되어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에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상면밀착부(110)가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움 연결되는 과정에서 옷걸이 하단프레임(1) 일측면(1b)과 타측면(1c)에 각각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와 타측면밀착부(130)가 밀착되고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의 하면(1d)에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와 제2하면밀착부(150)가 밀착되기 때문에,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에 대해 견고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대해 틀어지거나 회전되지 않아 상기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가 옷걸이 하단프레임(1)의 하부측으로 위치될 수 있어 바지를 걸을 때 편의성 및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고안의 제1걸이부(160)는,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제2걸이부(170)는, 상기 제2하면밀착부(15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가 각각 제1수직부(161)와 제2수직부(171)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를 이용하여 바지를 걸을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바지 상단에 구비되는 벨트걸이부를 상기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에 걸어 바지를 걸어줌에 따라 바지가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는,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는, 상기 제1수직부(161) 및 제2수직부(171) 사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는,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워질 때 옷걸이 하단프레임(1)이 상기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 내측에 위치되는 공간이고, 상기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는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워진 후 옷걸이 하단프레임(1)이 인입되어 수용되는 공간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인 바지걸이는, 옷걸이 하단프레임(1)의 상면(1a)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옷걸이 하단프레임(1)측으로 본 고안인 바지걸이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쉽게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옷걸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함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1하면밀착부(140)와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161)와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2하면밀착부(150)와 상기 제2하면밀착부(15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171)와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수용공간부(180) 및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에 의해 서로에 대해 모아졌다가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이 상기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측으로 끼워질 때 벌어진 후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이 상기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에 수용되면 다시 모아지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 상부측에 상기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 사이에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이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상면밀착부(110)를 옷걸이 하단프레임(1)측으로 눌러주면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이 상기 끼움공간부(190)측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게 되어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이 상기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에 인입되어 수용된다.
또한, 옷걸이 하단프레임(1)이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에 수용되면, 상기 서로에 대해 벌어진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가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모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면밀착부(110)는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에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는 옷걸이 하단프레임(1) 일측면(1b)에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는 옷걸이 하단프레임(1) 타측면(1c)에 각각 밀착되어 본 고안인 바지걸이가 옷걸이 하단프레임(1)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인 바지걸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부측방향으로 본 고안의 바지걸이의 걸이부가 위치되도록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워 보관하여 바지걸이에 대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지걸이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옷걸이 하단프레임(1)으로부터 본 고안인 바지걸이를 빼내면 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상기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를 각각 서로에 대해 벌린 상태에서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부측으로 밀어내면 쉽게 빠질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1하면밀착부(140)와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161)와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2하면밀착부(150)와 상기 제2하면밀착부(15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171)와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면밀착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되어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가 자체적인 탄성을 갖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는, 상기 제1수직부(161)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는, 상기 제2수직부(171)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이부(160) 및 제2걸이부(170)는 걸어진 바지의 혁대걸이부가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면밀착부(110)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는,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반원형으로 호형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는,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반원형으로 호형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의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바지에 구비되는 혁대걸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이면 본 고안의 제1걸이부(160)와 제2걸이부(17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측면밀착부(120)와 타측면밀착부(130)가 밀착되는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는, 상기 일측면밀착부(120) 및 타측면밀착부(130)가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밀착된 후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돌부(2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고정돌부(200)는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의 상면(1a)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의 일측면(1b) 및 타측면(1c)에 모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의 일측면(1b) 및 타측면(1c)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돌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간격이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의 가로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위치고정돌부(20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인 바지걸이를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움 연결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위치고정돌부(200)에 의해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끼움 연결된 바지걸이가 좌우측으로 이동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상면밀착부 120 : 일측면밀착부
130 : 타측면밀착부 140 : 제1하면밀착부
150 : 제2하면밀착부 160 : 제1걸이부
161 : 제1수직부 170 : 제2걸이부
171 : 제2수직부 180 :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
190 : 끼움공간부 200 : 위치고정돌부

Claims (5)

  1. 상단에 구비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상면(1a)에 밀착되는 상면밀착부(110)와; 상기 상면밀착부(110)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 일측면(1b)에 밀착되는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상면밀착부(110)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연장되고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 타측면(1c)에 밀착되는 타측면밀착부(130)와;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하면(1d) 일측에 밀착되는 제1하면밀착부(14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옷걸이 하단프레임(1) 하면(1d) 타측에 밀착되는 제2하면밀착부(150)와;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161) 및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와; 상기 제2하면밀착부(15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171) 및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와;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프레임 수용공간부(180)와; 상기 제1수직부(161) 및 제2수직부(171) 사이에 구비되는 하단프레임 끼움공간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면밀착부(120)와 상기 일측면밀착부(120)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1하면밀착부(140)와 상기 제1하면밀착부(14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1수직부(161)와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와 상기 타측면밀착부(130)로부터 수평연장되는 제2하면밀착부(150)와 상기 제2하면밀착부(150)로부터 수직연장되는 제2수직부(171)와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는,
    상기 수용공간부(180) 및 끼움공간부(190)에 의해 서로에 대해 모아졌다가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이 상기 끼움공간부(190)측으로 끼워질 때 벌어진 후 옷걸이의 하단프레임(1)이 상기 수용공간부(180)에 수용되면 다시 모아지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는,
    상기 일측면밀착부(120) 및 타측면밀착부(130)가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밀착된 후 상기 옷걸이 하단프레임(1)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돌부(2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걸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는, 상기 제1수직부(161)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는, 상기 제2수직부(171)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절곡되는 제1걸이부(160)는, 상기 제1수직부(161)로부터 반원형으로 호형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되는 제2걸이부(170)는, 상기 제2수직부(171)로부터 반원형으로 호형 절곡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걸이.
  5. 삭제
KR2020160006452U 2016-11-04 2016-11-04 바지걸이 KR200487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52U KR200487242Y1 (ko) 2016-11-04 2016-11-04 바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52U KR200487242Y1 (ko) 2016-11-04 2016-11-04 바지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1U KR20180001431U (ko) 2018-05-14
KR200487242Y1 true KR200487242Y1 (ko) 2018-08-27

Family

ID=6216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452U KR200487242Y1 (ko) 2016-11-04 2016-11-04 바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4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29Y1 (ko) 2001-07-20 2001-11-17 김근수 세탁물용 집게
KR200345248Y1 (ko) * 2003-12-22 2004-03-18 손문학 옷걸이
JP2016010610A (ja) * 2014-06-30 2016-01-2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物干し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269U (ko) * 1999-01-28 2000-08-25 윤인규 옷걸이용 홀더
KR200340582Y1 (ko) 2003-10-25 2004-02-05 권민재 바지걸이 겸용 옷걸이
KR20160080766A (ko) 2014-12-30 2016-07-08 박계영 옷걸이, 및 이 옷걸이에 탈착식으로 결합 되는 바지 걸이용 집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929Y1 (ko) 2001-07-20 2001-11-17 김근수 세탁물용 집게
KR200345248Y1 (ko) * 2003-12-22 2004-03-18 손문학 옷걸이
JP2016010610A (ja) * 2014-06-30 2016-01-2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物干し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1U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9807A (en) Garment hanger
EP1707086A1 (en) Two piece design for coordinate loop hanger
KR101809164B1 (ko) 탈착가능한 회전형 집게부를 갖는 옷걸이
US5765888A (en) Removable clip device for bottle attachment
JP3113984U (ja) スカート吊りクリップ
KR200487242Y1 (ko) 바지걸이
JPH021061Y2 (ko)
US20070029354A1 (en) Garment hanger
US2888725A (en) Garment holder
KR200487243Y1 (ko) 바지걸이
US11980308B2 (en) Hanger and hanger arrangement
KR101732229B1 (ko) 다기능 옷걸이
US2891705A (en) Garment retainer
KR200485082Y1 (ko) 곶감 건조용 클립
KR101488709B1 (ko) 개량 집게
US6422438B1 (en) Garment hanger having one piece molded pinch clip with clip protection
US7815080B2 (en) Releasably lockable pinch grip hanger
KR20070062469A (ko) 자동차의 손잡이에 거는 옷걸이
US2485455A (en) Tie rack
KR200476240Y1 (ko) 옷걸이
KR101488710B1 (ko) 집게
KR200185100Y1 (ko) 옷걸이
JP3047112U (ja) スカートハンガー
KR200487244Y1 (ko) 개량형 옷걸이
JPS5833972Y2 (ja) 挾持ハン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