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710B1 - 집게 - Google Patents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710B1
KR101488710B1 KR20130128183A KR20130128183A KR101488710B1 KR 101488710 B1 KR101488710 B1 KR 101488710B1 KR 20130128183 A KR20130128183 A KR 20130128183A KR 20130128183 A KR20130128183 A KR 20130128183A KR 101488710 B1 KR101488710 B1 KR 101488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xtending
latching
laund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to KR2013012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D06F55/02Clothes-pegs with pivoted independent clamping me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3/00Clothes-lines; Supports therefor 
    • D06F53/02Clothes-l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가 개시되는 것으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중앙에 걸이구멍(21)이 통공된 상측부(20)와; 상기 상측부(2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부(30) 및 제2연장부(30a)와; 상기 제1연장부(30) 및 제2연장부(30a)의 하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와; 상기 상측부(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제1탄성걸림부와 제2탄성걸림부 사이에 세탁물을 끼워주면 제1탄성걸림부와 제2탄성걸림부의 탄성에 의해 끼워진 세탁물을 강하게 밀착시켜 주기 때문에 세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세탁물을 쉽고 용이하게 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집게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상측부를 서로 당겨지도록 누르지 않기 때문에 완력이 적은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원형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전혀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녹슴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게{clamp}
본 발명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각각 구비된 탄성걸림부 사이에 세탁물이나 또는 진열하고자 하는 물품을 끼워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집게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상측부를 서로 당겨지도록 누르지 않기 때문에 완력이 적은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라 함은 벌어진 상태에서 세탁물 또는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 등을 집어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세탁물 건조대 또는 빨랫줄에 널어진 세탁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집게(일명 빨래집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집게는 통상, 한 쌍의 집게편이 상호 접지되고 상측은 이격되도록 탄성부재에 탄지되어 옷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집게편의 하측 접지면에는 옷을 단단히 집을 수 있도록 요철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집게는 집게편의 상측 이격된 부분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누르면 하측이 벌어지면서 그 사이에 옷 등을 뺄 수 있고, 누르고 있는 부분을 놓게 되면 집게편의 하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해서 다시 접지되면서 옷을 집도록 작동된다.
그러나, 종래 집게는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의 탄성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금속재의 탄성부재는 시간이 지날수록 녹이 슬기 때문 세탁물에 녹물이 묻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집게는 사용자가 주로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측부를 가압하여 하측부를 벌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빨래집게의 사용이 번잡하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서로 접지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집게편이 사용 도중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흔하게 발생되어 집게의 잦은 교체에 의한 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집게편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여성들이이나 노인들과 같이 비교적 손가락의 완력이 적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32526호인 빨래 건조대용 빨래집게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빨래집게를 빨래건조대의 건조봉에 용이하게 걸어둘 수 있도록 걸고리를 구비하되, 빨래집게가 건조봉에 걸린 후에는 인위적으로 분리시키기 전에는 상기 걸고리가 건조봉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빨래집게를 편리하게 빨래건조대의 건조봉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바람이나 외부적 충격에 의해 빨래집게가 건조봉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한 쌍의 협지간을 대접시켜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동되도록 설치한 빨래집게에 있어서, 일측 협지간의 상단이 연장되어 타측 협지간 방향으로 만곡된 걸고리를 형성하되, 상기 걸고리의 단부와 타측 협지간의 상단간의 개구부의 간격이 통상적인 건조봉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손잡이부의 압압시에 건조봉이 통과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이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가압하는 종래 빨래집게와 작용이 동일하여 종래 사용자가 주로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한 쌍의 협지간을 가압하여 벌려주는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빨래집게의 사용이 번잡하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32526호(2003.10.29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42157호(2008.10.06 등록)
본 발명은 눌려 가압하지 않고도 쉽게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상측부를 서로 당겨지도록 누르지 않기 때문에 완력이 적은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형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전혀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녹슴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집게편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집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집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중앙에 걸이구멍이 통공된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의 양측으로 각각 하향 연장되어 외벽을 이루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의 하부로부터 각각 내측 상부로 일정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제1탄성걸림부 및 제2탄성걸림부와; 상기 상측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탄성걸림부 및 제2탄성걸림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탄성걸림부에는 이 제1탄성걸림부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1탄성보강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걸림부에는 이 제2탄성걸림부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2탄성보강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연장부와 제1탄성걸림부사이에는 제1연장부와 제1탄성걸림부를 연결하는 제3탄성보강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연장부와 제2탄성걸림부사이에는 제2연장부와 제2탄성걸림부를 연결하는 제4탄성보강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상측부의 상면에는 보조걸이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보조걸이부는, 상기 상측부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편과; 상기 제1수직연장편의 상부에서 제1수직연장편에 대해 수평연장되는 제1가이드편과; 상기 상측부의 상면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편과; 상기 제2수직연장편의 상부에서 제2수직연장편에 대해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1가이드편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2가이드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보조걸이부는, 상기 상측부의 상면 가로방향을 따라 수직연장되는 제3수직연장편과; 상기 제3수직연장편의 상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3가이드편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측부의 상면에 'T'형으로 수직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제1탄성걸림부와 제2탄성걸림부 사이에 세탁물을 끼워주면 제1탄성걸림부와 제2탄성걸림부의 탄성에 의해 끼워진 세탁물을 강하게 밀착시켜 주기 때문에 세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세탁물을 쉽고 용이하게 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집게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상측부를 서로 당겨지도록 누르지 않기 때문에 완력이 적은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원형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전혀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녹슴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집게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집게의 탄성걸림부가 지지부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집게의 탄성걸림부가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집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집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집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집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집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확대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집게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중앙에 걸이구멍(21)이 통공된 상측부(20)와, 상기 상측부(20)의 양측으로 각각 하향 연장되어 외벽을 이루는 제1연장부(30) 및 제2연장부(30a)와, 상기 제1연장부(30) 및 제2연장부(30a)의 하부로부터 각각 내측 상부로 일정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와, 상기 상측부(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부(20), 제1연장부(30), 제2연장부(30a), 제1탄성걸림부(40), 제2탄성걸림부(40a), 제1지지부(50), 제2지지부(5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 도중에 몸체(10)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는 상기 상측부(20), 제1연장부(30), 제2연장부(30a), 제1탄성걸림부(40), 제2탄성걸림부(40a), 제1지지부(50), 제2지지부(50a)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걸이구멍(21)에는 예를 들어 세탁물 건조대의 빨래걸이봉 또는 빨랫줄이 끼워지는 것으로 걸이구멍(21)이 세탁물 건조대의 빨래걸이봉 또는 빨랫줄에 끼워짐으로써 본 발명인 집게가 세탁물 건조대의 빨래걸이봉 또는 빨랫줄에 걸어진다.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상기 제1연장부(30) 및 제2연장부(30a)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측이 몸체(10)에 대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자체 탄성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는 서로에 대해 당기는 힘이 항상 작용되기 때문에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 사이에 세탁물을 간단하게 끼워주면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사이에 끼워진 세탁물의 양측을 강하게 눌러줌으로써 세탁물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의 상측이 상기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에 의해 걸리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의 외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달라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를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세탁물을 끼워주면 된다.
즉, 세탁물의 두께가 두꺼우면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를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의 외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세탁물을 끼우면 되고, 세탁물의 두께가 얇으면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를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의 내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세탁물을 끼우면 된다.
상기 상기 제1탄성걸림부(40)에는 이 제1탄성걸림부(40)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1탄성보강부(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걸림부(40a)에는 이 제2탄성걸림부(40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2탄성보강부(4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서로 벌어지는 힘에 대한 응력이 더욱 향상되어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서로 모아지도록 당겨지는 힘이 보강됨으로써 세탁물을 더욱 견고하게 끼워 널을 수 있다.
즉, 세탁물을 널기 위해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의 사이에 세탁물을 끼울 때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서로 벌어지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제1탄성보강부(41)와 제2탄성보강부(42)에 의해 벌어짐에 대한 응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의 모아지는 힘이 보강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더욱 견고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장부(30)와 제1탄성걸림부(40) 사이에는 제1연장부(30)와 제1탄성걸림부(40)를 연결하는 제3탄성보강부(4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연장부(30a)와 제2탄성걸림부(40a) 사이에는 제2연장부(30a)와 제2탄성걸림부(40a)를 연결하는 제4탄성보강부(4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서로 벌어지는 힘에 대한 응력이 더욱 향상되어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서로 모아지도록 당겨지는 힘이 더욱 보강됨으로써 세탁물을 더욱 견고하게 끼워 널을 수 있다.
본 발명인 상기 상측부(20)의 상면에 보조걸이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걸이부(6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세탁물 건조대에 구비되는 끼움부(미도시)에 상기 보조걸이부(60)를 끼워줌으로써 본 발명인 집게를 세탁물 걸이봉은 물론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걸이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부(2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편(61)과, 상기 제1수직연장편(61)의 상부에서 제1수직연장편(61)에 대해 수평연장되는 제1가이드편(62)과, 상기 상측부(20)의 상면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편(63)과, 상기 제2수직연장편(63)의 상부에서 제2수직연장편(63)에 대해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1가이드편(62)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2가이드편(6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편(62)과 제2가이드편(64) 사이에 세탁물 건조대의 끼움부(미도시)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우면 된다.
또한, 상기 보조걸이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부(20)의 상면 가로방향을 따라 수직연장되는 제3수직연장편(65)과, 상기 제3수직연장편(65)의 상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3가이드편(66)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측부(20)의 상면에 'T'형으로 수직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세탁물 건조대에 구비되는 끼움홈(미도시)에 상기 'T'형으로 이루어진 보조걸이부(60)의 제3가이드편(66)을 끼움으로써 본 발명인 집게를 세탁물 걸이봉은 물론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집게는 세탁물 이외에 예를 들어 물품을 집어 물품을 진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인 집게의 사용성 및 활용성은 다양하게 실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의 끝단에 걸림돌기(4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에는 상기 걸림돌기(45)에 걸리는 걸림홈(55)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상기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의 내측에 위치될 때 상기 걸림돌기(45)에 상기 걸림홈(55)가 걸림으로써 상기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상기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로부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20 : 상측부
30 : 제1연장부 30a : 제2연장부
40 : 제1탄성걸림부 40a : 제2탄성걸림부
41 : 제1탄성보강부 42 : 제2탄성보강부
43 : 제3탄성보강부 44 : 제4탄성보강부
45 : 걸림돌기 50 : 제1지지부
50a : 제2지지부 55 : 걸림홈
60 : 보조걸이부 61 : 제1수직연장편
62 : 제1가이드편 63 : 제2수직연장편
64 : 제2가이드편 65 : 제3수직연장편
66 : 제3가이드편

Claims (7)

  1.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중앙에 걸이구멍(21)이 통공된 상측부(20)와;
    상기 상측부(20)의 양측으로 각각 하향 연장되어 외벽을 이루는 제1연장부(30) 및 제2연장부(30a)와;
    상기 제1연장부(30) 및 제2연장부(30a)의 하부로부터 각각 내측 상부로 일정길이를 갖고 연장되는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와;
    상기 상측부(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걸림부(40)에는 이 제1탄성걸림부(40)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1탄성보강부(4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탄성걸림부(40a)에는 이 제2탄성걸림부(40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는 제2탄성보강부(4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30)와 제1탄성걸림부(40) 사이에는 제1연장부(30)와 제1탄성걸림부(40)를 연결하는 제3탄성보강부(4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연장부(30a)와 제2탄성걸림부(40a) 사이에는 제2연장부(30a)와 제2탄성걸림부(40a)를 연결하는 제4탄성보강부(4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20)의 상면에는 보조걸이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부(60)는,
    상기 상측부(2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편(61)과;
    상기 제1수직연장편(61)의 상부에서 제1수직연장편(61)에 대해 수평연장되는 제1가이드편(62)과;
    상기 상측부(20)의 상면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편(63)과;
    상기 제2수직연장편(63)의 상부에서 제2수직연장편(63)에 대해 수평연장되되 상기 제1가이드편(62)과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제2가이드편(6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걸이부(60)는,
    상기 상측부(20)의 상면 가로방향을 따라 수직연장되는 제3수직연장편(65)과;
    상기 제3수직연장편(65)의 상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3가이드편(66)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측부(20)의 상면에 'T'형으로 수직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걸림부(40) 및 제2탄성걸림부(40a)의 끝단에 걸림돌기(4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50) 및 제2지지부(50a)에는 상기 걸림돌기(45)에 걸리는 걸림홈(55)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KR20130128183A 2013-10-27 2013-10-27 집게 KR10148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183A KR101488710B1 (ko) 2013-10-27 2013-10-27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183A KR101488710B1 (ko) 2013-10-27 2013-10-27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710B1 true KR101488710B1 (ko) 2015-02-04

Family

ID=5259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8183A KR101488710B1 (ko) 2013-10-27 2013-10-27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59A1 (ko) * 2015-11-18 2017-05-26 이승환 집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5694U (ko) * 1978-12-27 1980-07-02
JP2006230973A (ja) 2005-02-21 2006-09-07 Masamitsu Osako 洗濯はさみ
JP2010012202A (ja) 2008-07-03 2010-01-21 Tanaka Sachiko 洗濯ばさみ
JP2011172897A (ja) 2010-02-25 2011-09-08 Yoshihito Yoshikawa 洗濯物留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5694U (ko) * 1978-12-27 1980-07-02
JP2006230973A (ja) 2005-02-21 2006-09-07 Masamitsu Osako 洗濯はさみ
JP2010012202A (ja) 2008-07-03 2010-01-21 Tanaka Sachiko 洗濯ばさみ
JP2011172897A (ja) 2010-02-25 2011-09-08 Yoshihito Yoshikawa 洗濯物留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659A1 (ko) * 2015-11-18 2017-05-26 이승환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58463A (ja) 折畳み式ハンガー
KR101488710B1 (ko) 집게
US9080281B2 (en) Fabric pin
KR20200063930A (ko) 기능성 옷걸이
KR101488709B1 (ko) 개량 집게
US20120305721A1 (en) Multifunction Peg
KR101635953B1 (ko) 빨래 건조대의 건조봉에서 위치 고정이 가능한 세탁물 고정집게
KR101227054B1 (ko) 사용이 편리한 옷걸이
KR20090116997A (ko) 작물의 덩굴 지지구
JP4556914B2 (ja) 衣料用ハンガー
KR101635952B1 (ko) 빨래 건조대용 세탁물 고정집게
US6792936B2 (en) Barbecue grill shelf with opposed tool hangers
JP3169664U (ja) ハンガーの構造
JP4348711B2 (ja) 傘の柄
KR101804754B1 (ko) 폭 조절 가능한 인출식 옷장 집게
KR20130007306U (ko) 집게 바지걸이
KR200476240Y1 (ko) 옷걸이
CN211212495U (zh) 一种方便撑取和钩取衣架的衣叉
KR200485082Y1 (ko) 곶감 건조용 클립
KR200359797Y1 (ko) 신발 보관용 구두주걱
KR100887701B1 (ko) 넥타이 행거
CN208167361U (zh) 一种多功能夹子及具有该夹子的挂烫机
CN209789435U (zh) 一种可调节的伸缩晾衣架
KR200450656Y1 (ko) 넥타이 걸이장치
KR20140095714A (ko) 침이 설치된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