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64Y1 - 배터리 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64Y1
KR200487164Y1 KR2020170000992U KR20170000992U KR200487164Y1 KR 200487164 Y1 KR200487164 Y1 KR 200487164Y1 KR 2020170000992 U KR2020170000992 U KR 2020170000992U KR 20170000992 U KR20170000992 U KR 20170000992U KR 200487164 Y1 KR200487164 Y1 KR 200487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vertical frame
battery module
fram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0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 및 이송하기 위한 배터리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랙 어셈블리는 케이스와,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과, 제3 수직 프레임과, 제4 수직 프레임과,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을 포함한다. 케이스는 전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2 수직 프레임은 케이스 내의 일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3 수직 프레임 및 제4 수직 프레임은 케이스 내의 타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1 수평 프레임은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의 일단을 지지한다. 제2 수평 프레임은 제3 수직 프레임과 제4 수직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의 타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은 체결부재를 통해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 각각에 전방이 고정되고,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의 후방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와 후방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랙 어셈블리{Battery Rack Assembly}
본 고안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 및 이송하기 위한 배터리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화석 에너지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전기 차량(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및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기기들의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화석 에너지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차 전지라 불리는 배터리 모듈은 고출력 및 대용량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하여 복수로 구비되어 설치 및 운반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하여 배터리 랙 내부에 적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배터리 랙 어셈블리(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 어셈블리(1)는 케이스(11) 내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수직 프레임(12)과, 수직 프레임(12)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배터리 모듈(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평 프레임(13) 상에 배터리 모듈(10)을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볼트를 이용하여 전방에 배치된 수직 프레임(12)과 배터리 모듈(10)의 전방을 체결시키면 케이스(11) 내에 배터리 모듈(10)이 고정된다. 이때, 배터리 모듈(10)의 삽입시 배터리 모듈(10)의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 수평 프레임(13) 사이의 공간은 수평 프레임(13) 상으로 삽입되는 배터리 모듈(1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처럼 각 수평 프레임(13) 사이의 공간이 배터리 모듈(1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배터리 모듈(10)과 수평 프레임(13)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터리 랙 어셈블리(1)가 이동형 에너저 저장장치(Mobile ESS)나 차량 등에 설치되어 배터리 모듈(10)로 진동이 가해지게 되면, 케이스(11) 내에 고정되지 않은 배터리 모듈(10)의 후방이 상하로 이동하며 수평 프레임(13)과 충돌하게 되고, 이러한 충돌에 의하여 배터리 모듈(10)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터리 모듈(10)의 후방이 외부의 진동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배터리 모듈(10)과 수평 프레임(13)의 체결 부위에도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배터리 모듈(10)과 수평 프레임(13)의 체결 부위가 손상되면 체결 볼트가 파손되고, 이는 수평 프레임(13)으로부터 배터리 모듈(10)의 이탈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의 과제는 외부에서 진동이 발생할 경우, 배터리 모듈이 케이스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배터리 모듈의 파손을 방지하는 배터리 랙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 및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와,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과, 제3 수직 프레임과, 제4 수직 프레임과,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을 포함한다. 케이스는 전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2 수직 프레임은 케이스 내의 일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3 수직 프레임 및 제4 수직 프레임은 케이스 내의 타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1 수평 프레임은 제1 수직 프레임과 제2 수직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의 일단을 지지한다. 제2 수평 프레임은 제3 수직 프레임과 제4 수직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의 타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은 체결부재를 통해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 각각에 전방이 고정되고,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의 후방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와 후방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평 프레임의 후방에 돌출부재를 형성하여 배터리 모듈과 수평 프레임 사이의 갭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전방만 고정하더라도 배터리 모듈의 후방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평 프레임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 모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의 이동이 방지됨에 따라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질 때 배터리 모듈과 수평 프레임의 체결 부위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터리 모듈과 수평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1 수평 프레임의 분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제1 수평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제1 수평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제1 수평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1 수평 프레임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제1 수평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10)을 수납 및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110)와, 제1 수직 프레임(120)과, 제2 수직 프레임(130)과, 제3 수직 프레임(140)과, 제4 수직 프레임(150)과,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제2 수평 프레임(170)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전방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호이스트와 같은 이송수단에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의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10)의 전방에는 케이스(1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직 프레임(120)은 케이스(110) 내의 일측 전방에 배치되고, 제2 수직 프레임(130)은 케이스(110) 내의 일측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수직 프레임(140)은 케이스(110) 내의 타측 전방에 배치되고, 제4 수직 프레임(150)은 케이스(110) 내의 타측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수직 프레임 내지 제4 수직 프레임(120, 130, 140, 150)은 케이스(110) 내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 프레임(120)은 고정부재(121)와, 제1 설치부재(122)와, 연장부재(123)와, 제2 설치부재(124)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일면이 케이스(110) 내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21)는 용접 또는 접착물을 통해 케이스(110) 내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케이스(110) 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설치부재(122)는 고정부재(121)의 전방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터리 모듈(10)이 설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삽입 홀(122a)이 형성된다.
연장부재(123)는 고정부재(121)의 후방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설치부재(122)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2 설치부재(124)는 연장부재(123)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 수평 프레임(160)이 설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삽입 홀(124a)이 형성된다.
한편, 제2 수직 프레임 내지 제4 수직 프레임(130, 140, 150)은 제1 수직 프레임(12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2 수직 프레임 내지 제4 수직 프레임(130, 140, 1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수평 프레임(160)은 제1 수직 프레임(120)과 제2 수직 프레임(13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10)의 일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 수평 프레임(170)은 제3 수직 프레임(140)과 제4 수직 프레임(15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10)의 타단을 지지한다. 즉, 제1 수평 프레임(160)의 상부에 배터리 모듈(10)의 일단이 지지되고, 제2 수평 프레임(170)의 상부에 배터리 모듈(10)의 타단이 지지된다.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제2 수평 프레임(17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10) 또한 복수로 구비되어 케이스(110) 내에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 프레임(160)은 걸림부재(161)와, 안착부재(162)를 포함한다.
걸림부재(161)는 일면에 제2 설치부재(124)의 제2 삽입 홀(124a)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161a)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수평 프레임(160)의 전방은 제1 수직 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후방은 제2 수직 프레임(130)에 고정되므로, 돌기(161a)는 제1 수직 프레임(120)과 제2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제2 삽입 홀(124a)과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걸림부재(161)에 돌기(161a)가 형성됨에 따라, 돌기(161a)를 제2 삽입 홀(124a)에 삽입시키면 걸림부재(161)가 제2 설치부재(124)에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안착부재(162)는 걸림부재(161)의 하측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터리 모듈(10)을 지지한다. 즉, 안착부재(162)는 배터리 모듈(10)이 직접적으로 안착되는 부위이다.
제2 수평 프레임(170)은 제1 수평 프레임(16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제1 수평 프레임(16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수평 프레임(170)이 제1 수평 프레임(16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2 수평 프레임(17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배터리 모듈(1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제1 수직 프레임(120) 및 제3 수직 프레임(140)에 각각 전방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모듈(10)의 전방 양측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길게 장공(20a)이 형성된 브라켓(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20)의 장공(20a)과 제1 삽입 홀(122a)에 볼트를 삽입시킨 후 체결하게 되면, 배터리 모듈(10)의 전방은 제1 수직 프레임(120) 및 제3 수직 프레임(140)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처럼 제1 수직 프레임(120) 및 제3 수직 프레임(140)에 배터리 모듈(10)의 전방만 고정됨에 따라,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지게 되면 배터리 모듈(10)의 후방은 배터리 모듈(10)과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배터리 모듈(10)과 제2 수평 프레임(170) 사이에 형성된 갭(G)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배터리 모듈(10)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져 배터리 모듈(1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제2 수평 프레임(170)은 후방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돌출부재(163) 및 제2 돌출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배터리 모듈(10)의 후방 일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재(163) 및 제2 돌출부재를 통해 배터리 모듈(10)과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배터리 모듈(10)과 제2 수평 프레임(170) 사이에 형성된 갭(G)을 없앰으로써 배터리 모듈(10)의 후방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재(163)는 제1 수평 프레임(160)의 후방 일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1 수평 프레임(160)의 후방 일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재(163)가 배터리 모듈(10)이 배치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재(163)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모듈(10)이 케이스(110) 내로 삽입될 때, 배터리 모듈(10)과 제1 돌출부재(163)가 접촉하더라도 제1 돌출부재(163)의 탄성력으로 인해 배터리 모듈(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돌출부재(163)는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재(163)는 제1 수평 프레임(160)의 후방 및 중앙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돌출부재(163)가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배터리 모듈(10)과의 접촉부위가 넓어져 배터리 모듈(10)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돌출부재는 제1 돌출부재(163)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형성되어 제1 돌출부재(163)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평 프레임(160)과 제2 수평 프레임(170) 후방에 각각 제1 돌출부재(163)와 제2 돌출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모듈(10)과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배터리 모듈(10)과 제2 수평 프레임(170) 사이의 갭(G)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의 전방만 고정하더라도 배터리 모듈(10)의 후방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제2 수평 프레임(17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 모듈(1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10)의 이동이 방지됨에 따라 외부에서 진동이 가해질 때 배터리 모듈(10)과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제2 수평 프레임(170)의 체결 부위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배터리 모듈(10)과 제1 수평 프레임(160) 및 배터리 모듈(10)과 제2 수평 프레임(170)을 각각 체결하는 체결 볼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있어서, 제1 수평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 어셈블리(200)의 제1 돌출부재(263)는 제1 수평 프레임(160)의 후방 일면에 형성된 절개 홀(162a)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263a)와, 상기 제1 돌출부(263a)의 하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263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 프레임(160), 보다 구체적으로 안착부재(162)의 일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한 후, 절개한 부위를 '└'자 형태로 절곡하여 제1 돌출부(263a) 및 제2 돌출부(263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263a)와 제2 돌출부(263b) 사이에는 제1 돌출부(263a) 및 제2 돌출부(263b)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제1 돌출부(263a)의 길이가 배터리 모듈(10)과 제1 수평 프레임(160) 간의 갭(G) 보다 크더라도 제1 돌출부(263a) 및 제2 돌출부(263b)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10)이 케이스(110) 내로 삽입될 때 제2 돌출부(263b)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돌출부재는 제2 수평 프레임(170)의 후방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제 1 돌출부재(263)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어셈블리의 내측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제1 수평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 어셈블리 (300)의 제1 돌출부재(363)는 제1 수평 프레임(160)의 후방 일면에 형성된 절개 홀(162a)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363a)와, 제1 돌출부(363a)의 하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363b)를 포함하며, 제2 돌출부(363b)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기울기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돌출부(363b)가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배터리 모듈(10)에 가해지는 제2 돌출부(363b)의 가압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2 돌출부(363b)를 통해 배터리 모듈(10)의 상부를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되므로, 배터리 모듈(1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돌출부재는 제2 수평 프레임(170)의 후방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제 1 돌출부재(363)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모듈 20.. 브라켓
110.. 케이스 120.. 제1 수직 프레임
121.. 고정부재 122.. 제1 설치부재
123.. 연장부재 124.. 제2 설치부재
130.. 제2 수직 프레임 140.. 제3 수직 프레임
150.. 제4 수직 프레임 160.. 제1 수평 프레임
161.. 걸림부재 162.. 안착부재
163, 263, 363.. 제1 돌출부재 170.. 제2 수평 프레임

Claims (9)

  1.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 및 이송하기 위한 배터리 랙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스 내의 일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케이스 내의 타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 제3 수직 프레임 및 제4 수직 프레임;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3 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4 수직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 각각에 전방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의 후방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돌출부재 및 제2 돌출부재와 후방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은
    일면이 상기 케이스 내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이 설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삽입 홀이 형성된 제1 설치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후방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설치부재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이 설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삽입 홀이 형성된 제2 설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제2 설치부재의 제2 삽입 홀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하측 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을 지지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재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후방 일면에 형성된 절개 홀의 일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상기 안착부재의 일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한 후 상기 절개한 부위를 'ㄴ'자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길이가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간의 갭(G) 보다 크더라도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배터리 랙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프레임 및 제2 수평 프레임은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배터리 랙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재는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후방 일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형성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재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기울기가 커지게 형성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재는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된 배터리 랙 어셈블리.
KR2020170000992U 2017-03-02 2017-03-02 배터리 랙 어셈블리 KR200487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92U KR200487164Y1 (ko) 2017-03-02 2017-03-02 배터리 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92U KR200487164Y1 (ko) 2017-03-02 2017-03-02 배터리 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164Y1 true KR200487164Y1 (ko) 2018-08-14

Family

ID=6320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92U KR200487164Y1 (ko) 2017-03-02 2017-03-02 배터리 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6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530A (ko) 2019-05-08 2020-11-19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운반용 랙
WO2021194146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에 배터리 팩을 적재시키는 이송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랙 적재방법
KR102351343B1 (ko) 2021-08-09 2022-01-17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충방전 공정용 트레이
EP4207449A3 (en) * 2021-12-30 2023-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and energy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KR102684390B1 (ko) * 2023-12-28 2024-07-12 (주)백산테크놀로지 구조 개선된 전동기제어반용 외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2543A1 (en) * 1998-11-17 2002-12-19 C&D Charter Holding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KR20030038773A (ko) * 2000-09-27 2003-05-16 엑사이드 테크놀로지즈 내지진용 배터리 랙 시스템
US20050259404A1 (en) * 2001-05-30 2005-11-24 Andrew Marraffa Battery rack and system
KR20150113688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배터리 랙 조립체
US20150333303A1 (en) * 2012-11-06 2015-11-19 Nec Engineering, Ltd. Rack Structure,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Rack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2543A1 (en) * 1998-11-17 2002-12-19 C&D Charter Holding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KR20030038773A (ko) * 2000-09-27 2003-05-16 엑사이드 테크놀로지즈 내지진용 배터리 랙 시스템
US20050259404A1 (en) * 2001-05-30 2005-11-24 Andrew Marraffa Battery rack and system
US20150333303A1 (en) * 2012-11-06 2015-11-19 Nec Engineering, Ltd. Rack Structure,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Rack Structure
KR20150113688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배터리 랙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530A (ko) 2019-05-08 2020-11-19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운반용 랙
WO2021194146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랙에 배터리 팩을 적재시키는 이송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랙 적재방법
CN114342165A (zh) * 2020-03-25 2022-04-12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将电池组装载到电池架上的转移治具和使用该转移治具的电池架装载方法
KR102351343B1 (ko) 2021-08-09 2022-01-17 주식회사 에스아이티 배터리 충방전 공정용 트레이
EP4207449A3 (en) * 2021-12-30 2023-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and energy storage system using the same
KR102684390B1 (ko) * 2023-12-28 2024-07-12 (주)백산테크놀로지 구조 개선된 전동기제어반용 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164Y1 (ko) 배터리 랙 어셈블리
US11431049B2 (en) Battery module mounting tray
KR101942653B1 (ko) 자동차의 트랙션 배터리의 배터리 하우징
KR101601568B1 (ko)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 유닛
US11515593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0916749B2 (en) Battery module in-vehicle installation structure
US11522245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hook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apparatus
US9345162B2 (en) Mounting structure for circuit board
US20140293553A1 (en) Modular solar box
US11394071B2 (en) Battery assembly structure
US8572906B2 (en) Solar cell module
JP6828977B2 (ja) ケーブル管理装置
KR102088975B1 (ko) 전력 저장 장치
US11404739B2 (en) Highly integrated mobile energy storage system
KR10201988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22641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20190267937A1 (en) Pv module power electronics mounting system with compression spring
CN107492606B (zh) 电池包箱体及具有其的车辆
KR102033722B1 (ko)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KR102544785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6175270A1 (ja) 蓄電装置および補強構造
US10349550B2 (en) Guiderail for a cabinet, chassis and cabinet
JP7258376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40051017A (ko)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7354734B2 (ja) 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