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19Y1 - Foot Rests For Toilet Bowl - Google Patents

Foot Rests For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19Y1
KR200487119Y1 KR2020180000221U KR20180000221U KR200487119Y1 KR 200487119 Y1 KR200487119 Y1 KR 200487119Y1 KR 2020180000221 U KR2020180000221 U KR 2020180000221U KR 20180000221 U KR20180000221 U KR 20180000221U KR 200487119 Y1 KR200487119 Y1 KR 200487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in body
footrest
pedes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2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현수
Original Assignee
윤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수 filed Critical 윤현수
Priority to KR2020180000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1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사용시 마치 웅크리로 앉은 것과 유사한 자세를 유도함으로써 쾌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양변기용 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의자높이를 가지며 상단에는 평평한 시트부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개방형 양변기본체의 하부에 끼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변기 본체에 착좌한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받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대본체;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디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발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rest for a toilet bowl so as to enable a pleasant change to be achieved by inducing a posture similar to that of sitting in a crouch when using a toilet bowl. His composition is;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pedestal main body for allowing the user's foot, which is seated in the body of the toilet, to be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upwardly spaced from the ground; And a trea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oles of the user.

Description

양변기용 발받침대{Foot Rests For Toilet Bowl}{Foot Rests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용 발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양변기 사용시 마치 웅크리로 앉은 것과 유사한 자세를 유도함으로써 쾌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양변기용 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rest for a toilet bow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trest for a toilet bowl so that a pleasant feeling can be achieved by inducing a posture similar to sitting on a floor when using a toilet seat.

양변기(또는 양변기)는 가정이나 각종 공공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물품이다. 근래 각종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는 의자와 같이 앉은 자세에서 용변을 보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A toilet (or a toilet) is an article installed in a toilet of a home or various public buildings. In recent years, a toilet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has a structure such as a chair that seats in a sitting position.

이러한 양변기는 쾌변을 위하여는 바람직하지 못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 쪼그리고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화장실은 무릎관절에 좋지 않고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건강에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쾌변을 유도하는 데는 양변기 보다 더 유리하였다. Such a toilet has an undesirable structure for a pleasant condition. Conventionally, the toilet which is able to sit in a squatting position can not be good for the health because it is not good for the knee joint and obstructs the circulation of the blood, but it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toilet for guiding the refreshment.

양변기는 의자와 유사한 높이로 되어 있으며 착좌시 몸통과 무릎이 대략 직각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 배변시 변비가 있는 사용자는 대변을 보기가 더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양변기에 대한 제안이 있었다. The toilet has a height similar to that of the chair, and the body and the knee are almost at right angles when seated. In this condition, users with constipation at bowel movements are more difficult to see.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a proposal for a toilet bowl.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0000596호가 그 제안 중 하나이다. 이는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양변기로서, 변기 측면에서 보기에 우묵하게 패어진 대퇴부 내리막 기울기 유도부를 포함하는 쾌변 좌식변기를 제공한다. 이 종래기술은 대퇴부 내리막 기울기 유도부 위에 변기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 대퇴부 내리막 기울기 유도부는 유도부 시작점과 유도부 하단 점을 잇는 내리막 굽은 경사면과, 유도부 하단 점과 유도부 끝점을 잇는 오르막 굽은 경사면을 포함한다.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11-0000596 is one of the proposals. This is a toilet seat capable of inducing a refreshing effect, and provides a relaxed seat type toilet including an inclined femoral downward slope guide portion recessed in the side view of the toilet. This prior art has a toilet seat on the thigh downhill inclination guide portion. The lower thigh inclination guide include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induction portion and the lower end point of the induction portion, and an uphill inclined surface connecting the lower end point of the induction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induction portion.

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양변기의 상면이 굴곡져 있게 되는데, 이 경우 피부와 접하는 시트의 제작이 어렵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변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없어 새것으로 교체를 해야 하고 앉거나 일어서기가 불편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can be bent.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sheet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the existing toilet can not be used as it is,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43920호는 양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벅지가 들어 올려지도록 받쳐주어 재래식 변기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자연스럽게 취해지도록 하고, 골반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직장의 움직임과 직장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쾌변을 유도하고, 좌대의 전방부 돌출높이와 발판의 높이를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하여 편안한 배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에 따른 쾌변을 위한 변기시트는 엉덩이를 받치는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에서 상부로 돌출 연결되어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받치는 전방부를 갖는 좌대; 상기 좌대 전방부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는 돌출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43920 relates to a toilet seat installed in a toilet and seated by a user. More specifically, the toilet seat supports the thigh to be raised so that a defecation posture such as that in a conventional toilet can be taken smoothly, And the pressure of the rectum is increased to induce a pleasant change. The height of the anterior protrusion of the left ankle and the height of the ankl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To a toilet seat. A toilet seat for a refresh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having a rear portion for supporting the buttocks and a front portion for projecting upward from the rear portion to support the thighs; And protrus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protrusion height of the left arm front portion.

본 종래기술에 의하면 구성이 복잡한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증가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problem that an apparatus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must be provided, thereby increasing the cost.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0000596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11-0000596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43920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43920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양변기 내지 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고 효과가 뛰어나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비용증가에 대한 부담이 없는 쾌변 유도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With respect to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bowl capable of inducing a refreshment and a means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toil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easant-guiding means that is simple in configuration, has excellent effects, and can use a conventional toilet bowl as it is without imposing a burden on cost increase.

위와 같은 목적은, 의자높이를 가지며 상단에는 평평한 시트부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개방형 양변기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n upper openable toilet bowl body having a seat height and a flat seat portion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양변기 본체에 착좌한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받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받침대본체;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디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발받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A pedestal main body for allowing the user's foot, which is seated in the body of the toilet, to be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upwardly spaced from the ground; And a trea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main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oles of the user.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본체는 평면상 "∩"의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양변기본체의 전방에서 밀어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main body is in the form of "∩" in a plan view, so that it can be pushed in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toilet.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딤판은 전방을 향하여 5 ~ 15°의 각도로 하향 경사져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d may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5 to 15 degrees toward the front.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딤판의 전방 가운데 부분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tread may protrude upward.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받침대는 낮은 디딤판과 높은 디딤판이 조합됨으로써 2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can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stages by combining a low tread plate and a high tread plat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그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받침대가 제공된다. 이 양변기용 발받침대에 의해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배변자세로 배변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비를 앓고 있는 사용자를 포함하여 일반 사용자도 쉽게 배변을 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발받침대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박스 형태로 하여 수납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footrest can be provided which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nventional toilet seat left untouched. The toilet seat for the toilet can be defecated in a defecation posture that can induce a pleasant change. Thus,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allowing general users, including users suffering from constipation, to easily defecate.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t low cost and can be used as a storage means in a box form, whic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발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발받침대의 사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발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발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발받침대의 측면도이다.
Fig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ootrest for a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ide view of the use state of a footrest for a toilet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trest for a toilet se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thereof.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ot support for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footrest for a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후 다른 도면을 인용하여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Fir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Other embodiments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본 고안의 양변기용 발받침대(이하, '발받침대'라 약칭한다)는 의자높이를 가지며 상단에는 평평한 시트부(4)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개방형 양변기본체(1)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필요하지 않을 때는 쉽게 치워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양변기는 물내림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물통(3)이 구비되어 있다. 시트부(4)의 상면에는 시트(2)가 고정 설치된다. A footrest for a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otres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n upper openable toilet seat body 1 having a seat height and a flat seat portion 4 at an upper end thereof, It is easy to remove it when it is time. Basically, the water closet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3) provided with a water lowering switc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4, a seat 2 is fixed.

발받침대(10)는 받침대본체(11)와 디딤판을 포함한다. 받침대본체(11)는 양변기본체(1)에 착좌한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받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받침대본체(11)는 높이를 제공하는 구조물로서 100 ~ 250mm의 평균높이(H)로 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ootrest 10 includes a pedestal body 11 and a tread. The pedestal main body 11 is for allowing the user's foot, which is seated in the toilet body 1, to be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That is, the pedestal body 11 may be a structure providing a height, and may have an average height H of 100 to 250 mm.

디딤판(12)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본체(11)의 상면에 마련되는 판체이다. 디딤판(12)은 받침대본체(1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The tread plate 12 is a plat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main body 1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user. The tread plate 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destal main body 11, but may also be provided separately as shown in Fig.

디딤판(12)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요철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딤판(12)의 상면에는 약간의 쿠션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카펫과 같이 발바닥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매트가 덮일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plate 12 can be provided with a concave / convex portion for preventing slipping and for pressing the sole. The top surface of the tread 12 may have a slight cushion and may be covered with a mat, such as a carpet, which can warm the sole.

발받침대(10)는 성인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footrest 10 is rigid enough to support an adult's body weight and can be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Further, it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받침대본체(11)는 평면상 "∩"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본체(1)의 전방에서 밀어 끼울 수 있게 된다. 필요가 없을 때에는 양변기본체(1)에서 분리하여 한쪽으로 치워놓으면 된다. 발받침대(10)는 바닥에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main body 11 is in the form of "∩" in a plan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it can be pushed in front of the body 1 of the toilet. When it is not necessary,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1 of the toilet and removed to one side. The footrest 10 can be configured to stand on the floor for storage.

본 고안의 발받침대(10)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양변기본체의 전방에 발을 내려놓을 수 있다. 즉 발받침대(10)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필요한 사용자만 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받침대(10)가 양변기본체(1)의 저부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되기 때문이다. 발받침대(10)의 형태는 양변기본체(1)의 하부(5)의 형태와 일체감을 갖도록, 즉 그의 곡면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oot can be lowered to the front of the body of the toilet body even with the foot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That is, only the necessary user can use the footrest 10 even when the footrest 10 is installed. This is because the footrest 10 is installed using the bottom space of the toilet body 1. The shape of the footrest 10 can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lower portion 5 of the toilet body 1, that is,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curved surface thereof.

사용자가 양변기본체(1)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디딤판(12) 위에 올려놓으면 도 3의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몸무게를 발받침대(10)로 옮기게 되면 배변에 유리한 자세가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몸무게를 발받침대(10)와 양변기본체(1)에 적당히 배분하면서 배변을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uts his / her foot on the tread plate 12 while sitting on the toilet body 1, the state shown in FIG. 3 is obtaine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moves his / her weight to the footrest 10, The user can defecate while appropriately distributing his / her weight to the footrest 10 and the toilet body 1.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딤판(12)은 전방을 향하여 5 ~ 15°의 각도(A)로 하향 경사져 있다. 이는 발받침대(10)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발목이 심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디딤판의 선단부(13)는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손가락으로 걸어 발받침대(10)를 잡아빼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신체의 무게중심이 지나치게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read 12 is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A) of 5 to 15 degrees toward the front. This is to prevent the ankle from being bent excessively while the footrest 10 is being used. The tip end portion 13 of the tread plate may be inclined upward. This is for facilitating the pulling-out of the foot pedestal 10 by walking with the fingers, and also for preven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from leaning too far forward.

그리고 받침대본체(11)의 전방 또는 양 측방에는 손잡이홈(16)이 마련될 수 있다. 한손으로 발받침대(10)를 설치하거나 치워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 knob groove 1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pedestal main body 11. So that the footrest 10 can be installed or removed with one hand.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본체(11)의 내부공간(15)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받침대본체(11)는 속이 빈 상부 개방형 케이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디딤판(12)을 제공하는 덮개(14)는 받침대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14)에는 끼움돌기(14a)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대본체(11)에는 끼움돌기(14a)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안착턱이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덮개(14)는 힌지식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받침대본체(11)에 경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space 15 of the pedestal main body 11 is utilized as a storage space. The pedestal body 11 is in the form of a hollow open top case and the lid 14 providing the tread 12 can be joined to the top of the pedestal body 11. [ To this end, the lid 14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14a protruding downward, and the pedestal main body 11 is provided with a seating protrusion 14a o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14a is fitted. Although not shown, the lid 14 may be hinged to the pedestal body 11 such that it can be hingedly opened.

받침대본체(11)의 내부공간(15)에는 휴지, 여분의 치약, 칫솔, 면도날, 비누 등을 보관할 수 있다. A toilet seat, an extra toothpaste, a toothbrush, a razor blade, a soap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pedestal main body 11. [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a)는 정상상태를, 도 7(b)과 도 7(c)는 구조를 변화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7 (a) shows a steady state, and Fig. 7 (b) and Fig. 7 (c) show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chang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본체(11)는 제일 아래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1받침대본체(11a)와, 상기 제1받침대본체(11a)의 일측 상부에 제1경첩(2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제2받침대본체(1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상기 제2받침대본체(11b)의 일측 상부에 제2경첩(21)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제3받침대본체(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destal main body 11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edestal main body 11a having the widest area, and a first hinge 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pedestal main body 11a. And a second pedestal body 11b hinged by the second pedestal body 11b. And furthermore, a third pedestal main body 11c hinged by a second hinge 21 on one side of the second pedestal main body 11b.

본 실시예는 3단으로 발받침대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디딤판의 높이 내지 밟을 수 있는 면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nded to allow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tread plate or the stepped area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foot pedestal in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

제2받침대본체(11b)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첩(21)만을 접음으로써 제3디딤판(12c)을 제공하여 디딤판의 면적을 넓힐 수 있게 한다. The second pedestal main body 11b allows the third tread 12c to be expanded by folding only the first hinge 21 as shown in Fig. 7 (c).

제2받침대본체(11b)와 제3받침대본체(11c)는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경첩(22)만을 접음에 의해 제1디딤판(12a)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2디딤판(12b)을 제공한다. The second pedestal main body 11b and the third pedestal main body 11c are formed by folding only the second hinge 22 as shown in Figure 7 (b) 12b.

키가 작은 유아는 도 7(b)와 같이 세팅하여 제2디딤판(12b)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반면에 성인 사용자들은 도 7(a) 또는 도 7(c)의 상태로 발받침대를 조정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도 7(c)의 상태에서 사용시 앞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버팀수단(미도시됨)이 구비되면 좋을 것이다. The infant with a small height may use the second tread plate 12b by setting as shown in FIG. 7 (b). On the other hand, adult users may use the footrest by adjusting the state of Fig. 7 (a) or Fig. 7 (c). 7 (c),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a support means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forward in use.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expressed in the claims. For example,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freely combined and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양변기본체 4 : 시트부
10 : (양변기용) 발받침대 11 : 받침대본체
12 : 디딤판 13 : 선단부
14 : 덮개 15 : 내부공간
16 : 손잡이홈
1: toilet body 4: seat portion
10: (for toilet seat) footrest 11: pedestal body
12: Step 13:
14: lid 15: inner space
16: Handle groove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의자높이를 가지며 상단에는 평평한 시트부(4)가 마련되어 있는 상부 개방형 양변기본체(1)의 하부에 끼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변기 본체(1)에 착좌한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받쳐질 수 있도록 평면상 "∩"의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양변기본체(1)의 전방에서 밀어 끼울 수 있는 받침대본체(11);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본체(11)의 상면에 마련되고, 선단부(13)는 손가락으로 걸어 발받침대(10)를 잡아뺄 수 있고, 신체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디딤판(12)을 포함하되,
상기 디딤판(12)은 발받침대(10)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발목이 심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을 향하여 5 ~ 15°의 각도(A)로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발받침대
And is fit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openable toilet bowl main body 1 having a seat height and having a flat seat portion 4 at an upper end thereof,
Is in the form of a plane "? &Quot; so that the feet of the user who is seated in the toilet body 1 can be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upwardly spaced from the ground, A pedestal main body 11;
The distal end portion 1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main body 1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user. The distal end portion 13 can be pulled out of the pedestal 10 by fingers, And a tread (12)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tr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ad plate (12) is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A) of 5 to 15 degrees toward the front in order to prevent the ankle from being bent excessively in a state of using the footrest (10)
삭제delete
KR2020180000221U 2018-01-16 2018-01-16 Foot Rests For Toilet Bowl KR2004871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21U KR200487119Y1 (en) 2018-01-16 2018-01-16 Foot Rests For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221U KR200487119Y1 (en) 2018-01-16 2018-01-16 Foot Rests For Toilet Bo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119Y1 true KR200487119Y1 (en) 2018-08-07

Family

ID=6320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221U KR200487119Y1 (en) 2018-01-16 2018-01-16 Foot Rests For Toil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19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48Y1 (en) 2021-04-30 2021-11-02 유재현 Footrest for both toilet seat and toilet seat
KR20210156666A (en) * 2020-06-18 2021-12-27 김덕우 Toilet bowl attachable foot wash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87U (en) * 2009-06-18 2010-12-28 이정호 Available jokyok crossoads ywabyeongi springboard for
KR20110000596U (en) 2009-07-13 2011-01-20 김천수 A protecting box cover for a water gauge
KR20120043920A (en) 2010-10-27 2012-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KR20170103606A (en) * 2016-03-04 2017-09-13 김진욱 Foothold for toilet bow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887U (en) * 2009-06-18 2010-12-28 이정호 Available jokyok crossoads ywabyeongi springboard for
KR20110000596U (en) 2009-07-13 2011-01-20 김천수 A protecting box cover for a water gauge
KR20120043920A (en) 2010-10-27 2012-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KR20170103606A (en) * 2016-03-04 2017-09-13 김진욱 Foothold for toilet bow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666A (en) * 2020-06-18 2021-12-27 김덕우 Toilet bowl attachable foot washing apparatus
KR102416611B1 (en) * 2020-06-18 2022-07-04 김덕우 Toilet bowl attachable foot washing apparatus
KR200494548Y1 (en) 2021-04-30 2021-11-02 유재현 Footrest for both toilet seat and toilet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846A (en) Foot rest for toilet
US5289596A (en) Commode of unitary construction
KR200460173Y1 (en) Toilet bowl having foothold
JPH0121966B2 (en)
KR200487119Y1 (en) Foot Rests For Toilet Bowl
US5343573A (en) Integrally molded stackable commode chair
US7454801B1 (en) Commodes with user's upper-body support
KR102514112B1 (en) Bathtub
KR200491817Y1 (en) Movable bedpan for inducing defecation
KR200399680Y1 (en) Chair for hot half bath having fixing structure with body weight
KR101493875B1 (en) Toilet bowl
JP2013236907A (en) Hip-placing base and toilet seat for male seated urination
JP4392648B2 (en) Shower wheelchair
KR200494548Y1 (en) Footrest for both toilet seat and toilet seat
KR200490345Y1 (en) Foot rest for toilet seat
JP6161976B2 (en) Toilet seat and portable toilet equipped with the toilet seat
CN209391838U (en) One kind kneeling formula closet
AU2010358605A1 (en) Anococcygeal support
CN219895549U (en) Toilet stool
CN214678767U (en) Adult mobile toilet
KR20100002420A (en) Toilet closestool for regular bowel movements
KR200364709Y1 (en) Toilet seat and cover
KR20110003074U (en) Toilet closestool for regular bowel movements
CN207244764U (en) A kind of Crouching and sitting dual-purpose water flushing device for toilet
JP5537452B2 (en) Portable toile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