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920A -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920A
KR20120043920A KR1020100105217A KR20100105217A KR20120043920A KR 20120043920 A KR20120043920 A KR 20120043920A KR 1020100105217 A KR1020100105217 A KR 1020100105217A KR 20100105217 A KR20100105217 A KR 20100105217A KR 20120043920 A KR20120043920 A KR 2012004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terminal
apn
network
b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7235B1 (en
Inventor
홍승표
배성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35B1/en
Publication of KR2012004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8Provision for limiting connection, or expend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Abstract

PURPOSE: A selective data providing method using dynamic APN(Access Point Name) is provided to reduce data usage costs by establishing third-generation data blocking function. CONSTITUTION: A data providing apparatus(130) provides charging data and non-charging data to a user terminal which accesses a first data network by using a first APN.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provides the non-charg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which accesses a second data network by using a second APN.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blocks the providing of the charging data.

Description

동적 APN을 이용한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받을 때 선택적으로 데이터 접속을 차단하여 부당 데이터 과금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N을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데이터 차단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APN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에 접속하여, MMS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음으로써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여 부당 과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nfair data charging by selectively blocking data access when a user terminal accesses a packet data network and receives data, and more particularly, the user terminal accesses a data network to access an AP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when the data service is provided, the data providing device is accessed through another data network using another APN, and only the MMS or non-billing data is provided to block the provision of the charging data. This will prevent unfair charging.

일반적으로 WCDMA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는 APN은 Access Point Name의 약자로, 3GPP망에서 PDN(Packet Data Network)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WCDMA 단말기에서 APN을 이용하여 데이터 접속 요청을 올리면, GGSN은 APN에 따라 IP 할당 및 해당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 여부를 결정한다. In general, APN used in a WCDMA network stands for Access Point Name, and indicates the location of an access point for accessing a PDN (Packet Data Network) in a 3GPP network. When a WCDMA terminal issues a data access request using an APN, the GGSN determines an IP allocation and access to the data network according to the APN.

도 10은 종래 WCDMA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트래픽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flow of a data providing service in a conventional WCDMA network.

도 10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10)는 APN(예, web.rstelecom.com)을 이용하여 GGSN(1030)에 접속하여 IP를 할당받고, PDN A(1040)를 통해 외부 인터넷 접속이나 MMS 서버(1050)로부터 MMS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In the case of FIG. 10, the user terminal 1010 accesses the GGSN 1030 using an APN (eg, web.rstelecom.com) and is assigned an IP, and receives an external Internet connection or an MMS server through the PDN A 1040. 1050 is provided with a data service such as MMS.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10)가 스마트폰과 같이 데이터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 의도와는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동 통신망(3G망)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과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3G 데이터 차단” 기능을 지원하며, 이를 선택한 경우 모든 데이터 접속을 차단하여 부당 데이터 과금을 방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user terminal 1010 uses a lot of applications that use data such as a smartphone, the application may us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G network)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Will occur. As a result, most smartphones support the “3G data blocking” feature, which, when selected, will block all data access to prevent fraudulent data charging.

사용자 단말기(1010)에서 “3G 데이터 차단” 기능을 적용하여 데이터 접속을 막으면 부당 데이터 과금의 소지는 없으나, 비과금으로 이루어지는 MMS 서비스의 송수신(MMS 송신: 건당과금, 수신: 비과금)이나 비과금 정보성 데이터 서비스들까지 모두 제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들까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If the user terminal 1010 blocks the data access by applying the “3G data blocking” function, there is no risk of unfair data charging, bu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MMS service consisting of non-billing (MMS transmission: charge per case, reception: non-charge) or non All of the billing informational data services are limited,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is limited to the services desired.

전술한 사정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N을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데이터 차단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APN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MMS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음으로써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여 부당 과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동적 APN을 이용한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nother data network using another AP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data network and receives a data service using the AP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lective data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dynamic APN, whic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harged by blocking the provision of billing data by receiving only MMS or non-billing data.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1 APN을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APN을 이용해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하고, 상기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는 데이터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the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is provided by accessing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when sett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to receive only non-billing data and receiving a service for blocking traffic of the billing data; And providing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and providing the billed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Provided is an optional data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only non-billing data and includes a data providing device that blocks the provision of billing data.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제공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제공에 대한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 차단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상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어플리케이션부; 제1 APN 및 상기 제2 APN에 관한 APN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An input unit for setting release of a data blocking function for provid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or setting a data blocking function; When sett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non-billing data is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by accessing the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and the service of blocking the traffic of the charging data is provided. An application unit;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P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PN and the second APN, and stores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received from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상기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when releas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access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and charges data and non-bill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Can be provided.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으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비과금 데이터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부; 및 상기 과금 데이터 및 상기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the data blocking unit recognizes the setting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to block the provision of billing data, and provides only the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 conne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onnection method of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or the second data network; And a database storing the charging data and the non-billing data.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 또는 상기 비과금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Here,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the data providing unit recognizes that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and the charging data or the non-billing data is rea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제공장치 간에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상태인 경우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경우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selective data providing method of a system for communicating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a) the user terminal to set the data service function Checking the status; (b)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a release stat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a first APN, and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Access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And (c)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provides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and via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When connected,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is provided that includes providing only non-billing data.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제공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 (a)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elective data receiv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checking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b) access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to a data blocking function; And (c) receiving only non-bill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Here, in step (b),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to releas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may be accessed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a first APN. In this case, in step (c), non-billing data and billing data may be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시, 접속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접속 방식이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when the user terminal connected, confirming the connection method Making; (b)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as a data blocking function when the access method is connected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And (c) providing only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접속 방식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시,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b),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it may be recognized as the releas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In this case, step (c) may provide non-billing data and 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시, 접속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접속 방식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데이터 차단 기능 또는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인 경우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인 경우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when the user terminal connected, confirming the connection method Making; (b) recogniz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or the data block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sult of checking the access method; And (c) providing only non-billing data in the cas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and providing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in case of releas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provided.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시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시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인식한다.In this case, step (b) recognizes that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in step (a), and the user in step (a). The terminal recognizes the data blocking function when the terminal accesses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비과금 데이터 및 상기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과금 데이터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In the step (c), the non-billing data and the billing data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and only the non-billing data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접속 시 "3G 데이터 차단" 설정에 따른 동적 APN을 이용함으로써, 과금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MMS와 같은 데이터 트래픽과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원치 않는 부당한 데이터의 과금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dynamic APN according to the "3G data blocking" setting when connect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block only the billing data, and can only receive data traffic and non-billing data such as MMS, so that the user does not want Unfair data charging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장치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또는 해제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WCDMA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트래픽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block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having a server func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option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ective data reception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low according to setting or releasing a data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flow of a data providing service in a conventional WCDMA network.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통신망(120), 데이터제공장치(130) 및 MMS(Multi Media Service) 서버(14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optional data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10, a communication network 120, a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an MMS server 140, and the like. do.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When the user terminal 110 releases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to receive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and when sett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Only the non-billing data is provided by accessing the service, and traffic of the billing data is blocked.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고, 통신망(120)이 인터넷이나 PSTN인 경우 컴퓨터 단말기 등 유선 단말기가 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and may be a wired terminal such as a computer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s the Internet or a PSTN.

통신망(120)은 이동 통신망, 패킷 전송망,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망(120)은 제1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A)(122)와 제2 데이터 네트워크(PDN B)(124)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Access Point Name)을 이용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acket transmission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a first data network (PDN A) 122 and a second data network (PDN B) 124. The first data network 122 provides an access path through which the user terminal 110 can acces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using a first access point name (APN). The second data network 124 provides a connection path through which the user terminal 110 can acces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using the second APN.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10)에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10)에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하면서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한다.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provides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using the first APN, and the second data network 124 using the second APN. While providing only the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the block to provide the billing data.

여기서,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 및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10)로 구현할 수 있다.Here,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providing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and the second data network 124. In addition,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110 in which an application having a server function is installed.

MMS 서버(140)는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 또는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MMS 메시지를 제공한다.
The MMS server 140 provides an MMS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10 via the first data network 122 or the second data network 124.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통신부(210), 입력부(220), 어플리케이션부(230), 저장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ient function for an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 input unit 220, an application unit 230, a storage unit 240, and a display. Section 250 and the like.

통신부(210)는 데이터제공장치(13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tes with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입력부(220)는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의 데이터 제공에 대한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 차단 기능을 설정할 때 이용된다.The input unit 220 is used to set the releas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for provid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or to set the data blocking function.

어플리케이션부(230)는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하여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When sett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application unit 230 access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using the second APN and receives only non-bill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The service is provided to block traffic of billing data.

또한, 어플리케이션부(230)는,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하여,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the application unit 230 access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using the first APN, and thus, the first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may be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122.

저장부(240)는 제1 APN 및 제2 APN에 관한 APN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40 stores AP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PN and the second APN, and stores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디스플레이부(250)는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입력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50)는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 스크린 형태로 일체화시켜 구성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50 displays the data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on the screen. Here, the input unit 220 and the display unit 250 may be configured by integrating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 phon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장치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block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통신부(310), 데이터 제공부(320), 접속 인식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data providing unit 320, a connection recognition unit 330, a database 340, and the like.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데이터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으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second data network 124 using the second APN, the data provider 320 recognizes the setting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to block the provision of the billing data and only the non-billing data.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10.

또한, 데이터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s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using the first APN, the data providing unit 320 recognizes that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so that the billing data and the non-billing data are set to the first.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data network 122.

접속 인식부(3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하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하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인식한다.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330 recognizes a connection method as to whether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or the second data network 124.

데이터베이스(3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The database 340 stores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having a server func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의 사용자 단말기(110)와는 다르게 도 3의 데이터 제공 장치(130)와 같이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client function for the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the user terminal 400 may include a server function for the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such a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of FIG. 3. An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to perform server functions for optional data provision service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으로, 통신부(410), 입력부(420), 어플리케이션부(430), 저장부(440) 및 디스플레이부(45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 terminal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 function for an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0, an input unit 420, an application unit 430, and a storage unit ( 440, a display unit 450, and the like.

통신부(410)는 통신망(120)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10 communicates with other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입력부(42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기능을 서버 기능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나 단말기의 기능 조작에 관한 명령 등을 입력한다.The input unit 420 inputs a command for execu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function as a server function, a command relating to a function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like.

어플리케이션부(43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으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중계한다.The application unit 430 is an application of a server function for the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is installed,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it is recognized as the setting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billing data Blocks the provision of and relays only non-billing data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또한, 어플리케이션부(4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인식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unit 430 recognizes a connection method as to whether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or the second data network.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4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중계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the application unit 430 recognizes that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so that the billed data and the non-billed data are stor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Relay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10.

저장부(4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접속 방식을 저장하거나,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상태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440 stores a connection method of the user terminal 110 or stores a setting state of a data blocking function.

디스플레이부(450)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450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5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option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S510).5, the user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S51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상태인 경우(S520a),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하고(S530a),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S520b)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한다(S530b).Subsequently,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a release stat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S520a),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using the first APN. In operation S530a,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as the data blocking function (S520b),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is accessed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using the second APN (S530b).

한편,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한 경우, APN A를 이용한 PDN A를 통해 접속한 것으로 인식하여(S540a),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한다(S550a).Meanwhile, when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first data network 122 using the first APN,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recognizes that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PDN A using the APN A (S540a).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are provid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S550a).

또한,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한 경우, APN B를 이용한 PDN B를 통해 접속한 것으로 인식하여(S540b)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한다(S550b).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using the second APN,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recognizes that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through the PDN B using the APN B (S540b). Blocking the provision of data and providing only non-billing data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S550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ective data reception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먼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S610).Referring to FIG. 6, in a state where an application of a client function for an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is installed, the user terminal 110 first checks a setting state of a data service function (S61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620-예),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한다(S630).Subsequently,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to the data blocking function (S620-Yes), the user terminal 110 connects to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using the second APN. To connect (S630).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MMS 서버(140)로부터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MMS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는다(S640).Subsequently,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MMS data from the MMS server 140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or provides only non-bill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Receive (S640).

한편,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620-아니오),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다(S650). 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10, if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to the releas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S620-No),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4 using the first APN ) Can be connected (S650).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S66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non-billing data and bill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S66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하면(S710),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했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했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확인한다(S720).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terminal 110 is connected (S710), whether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or via the second data network 124 is provided. The connection method as to whether the connection is confirmed (S720).

이어,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접속 방식이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730-예), 사용자 단말기(110)에 대해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인식한다(S740).Subsequently, when the access method is a connection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S730-Y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recognizes the user terminal 110 as a data blocking function (S740).

이어, 데이터제공장치(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PDN B)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750). 즉,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PDN B)를 통해 외부 인터넷 접속 트래픽을 차단하고, MMS 메시지 등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또는 해제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provides only the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PDN B) (S750). That is,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blocks external Internet access traffic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PDN B), and provides only the non-billing data such as an MMS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10.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low according to setting or releasing a data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방식이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730-아니오),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한다(S760).Meanwhile, when the access method of the user terminal is a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S730-No), the data providing device 130 recognizes that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S760).

그리고, 데이터제공장치(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PDN A)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를 제공한다(S770).
As shown in FIG. 9,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130 provides non-billing data and 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PDN A) (S77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통신망(120)을 통해 접속한 경우(S810),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했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했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확인한다(S820).Referring to FIG. 8, when the user terminal 400 connect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 a state where an application of a server function for a selective data providing service is installed, the user terminal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S 810, the access method as to whether the connection is made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or the second data network 124 is checked (S820).

이어, 사용자 단말기(400)는 접속 방식이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830-예), 사용자 단말기(110)에 대해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인식한다(S840).Subsequently, when the access method is a connection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S830-Yes), the user terminal 400 recognizes the user terminal 110 as a data blocking function (S840).

이어, 사용자 단말기(400)는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PDN B)를 통해 MMS 데이터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중계한다(S850).Subsequently, the user terminal 400 relays only MMS data or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124 (PDN B) (S850).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방식이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830-아니오),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한다(S860).Meanwhile, when the access method of the user terminal is a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S830-No), the user terminal 400 recognizes that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S860).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0)는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PDN A)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중계한다(S870).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400 relays the non-billing data and the billing data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122 (PDN A) (S87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N을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데이터 차단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APN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MMS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음으로써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여 부당 과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동적 APN을 이용한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data network and receives a data service using the AP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the other data network using another APN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selective data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dynamic AP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to be provided with only the MMS or non-billing data to block the provision of the billing data to prevent fraudulent bill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as limiting. Should b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은 APN(Access Point Name)을 이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기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erminal accessing a data network using an access point name (APN), a system for providing a data providing service through a data network, and the like.

100 :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통신망 130 : 데이터제공장치
140 : MMS 서버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어플리케이션부
240 : 저장부 250 : 디스플레이부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 제공부
330 : 접속 인식부 340 : 데이터베이스
400 : 서버 기능의 사용자 단말기 410 : 통신부
420 : 입력부 430 : 어플리케이션부
440 : 저장부 450 : 디스플레이부
100: optional data providing system 110: user terminal
120: communication network 130: data providing device
140: MMS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input unit 230: application unit
240: storage unit 250: display unit
310: communication unit 320: data providing unit
330: connection recognition unit 340: database
400: user terminal of the server function 410: communication unit
420: input unit 430: application unit
440: storage unit 450: display unit

Claims (9)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1 APN을 이용해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APN을 이용해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하고, 상기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는 데이터제공장치;
를 포함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the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are provided by accessing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and the billing data is accessed by accessing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when sett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A user terminal provided with only and provided with a service for blocking traffic of billing data; And
Provide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and the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A data providing device providing only charging data and blocking provision of the charging data;
Optional data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데이터제공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제공에 대한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 차단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상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어플리케이션부;
제1 APN 및 상기 제2 APN에 관한 APN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ata providing device;
An input unit for setting release of a data blocking function for provid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or setting a data blocking function;
When sett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non-billing data is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by accessing the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and the service of blocking the traffic of the charging data is provided. An application unit;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P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APN and the second APN, and stores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received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Lt; / RTI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상기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application unit, when releas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access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and charges data and non-bill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으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비과금 데이터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인식하는 접속 인식부; 및
상기 과금 데이터 및 상기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the data blocking unit recognizes the setting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to block the provision of billing data, and provides only the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 connec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onnection method of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or the second data network; And
A database storing the charging data and the non-charging data;
Optional data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 또는 상기 비과금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a first APN, the data providing unit recognizes that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and the charging data or the non-billing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Optional data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제공장치 간에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시스템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상태인 경우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경우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hecking, by the user terminal, a setting state of a data service function;
(b)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a release stat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a first APN, and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Access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And
(c) The data providing device provides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and accesses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Providing only non-billing data;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데이터제공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
(a)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c)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
An optional data receiv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communicating with a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hecking a setting state of a data service function;
(b) access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second data network using a second APN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to a data blocking function; And
(c) receiving only non-billing data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Optional data receiving method of the user terminal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step (b),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to releas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 first data network using a first APN. Optional data reception metho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데이터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c), the non-billing data and the billing data are provided from the data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KR1020100105217A 2010-10-27 2010-10-27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KR1019372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217A KR101937235B1 (en) 2010-10-27 2010-10-27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217A KR101937235B1 (en) 2010-10-27 2010-10-27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874A Division KR102057466B1 (en) 2019-01-03 2019-01-03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920A true KR20120043920A (en) 2012-05-07
KR101937235B1 KR101937235B1 (en) 2019-01-10

Family

ID=4626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217A KR101937235B1 (en) 2010-10-27 2010-10-27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3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77A (en)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network access and the eletronic device therefor
KR20160027825A (en) *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seperated accounting for wireless data service fee, seperated accounting system for wireless data service fee and user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0487119Y1 (en) 2018-01-16 2018-08-07 윤현수 Foot Rests For Toilet Bow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77A (en)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network access and the eletronic device therefor
WO2016036110A1 (en) * 2014-09-01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Network access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US9872180B2 (en) 2014-09-01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acces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60027825A (en) *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seperated accounting for wireless data service fee, seperated accounting system for wireless data service fee and user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0487119Y1 (en) 2018-01-16 2018-08-07 윤현수 Foot Rests For Toilet Bo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235B1 (en)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1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ppling History Information of Terminal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and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and End Device therefor
JP5621162B2 (en) Method, apparatus and mobile phon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internet traffic of mobile phone
EP246989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billing method for wireless terminal device
WO2018107822A1 (en) Traffic accounting method and system, and control server
CN102918919A (en)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PDP contexts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WO201912887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sim card, and electronic device
US20080262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mmercial subscribers of a communications carrier to access a network of wireless access points of other subscribers
KR20120043920A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CN108235237B (en) Data report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91733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mpting wandering during conversation with mobilephone
KR102057466B1 (en)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479007B (en) Data service control method, related equipment and system
CN102293020A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ternet telephone servic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N103581977A (en) Data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process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16530801A (en) One-touch call mode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US20140364084A1 (e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09225B2 (en) Multicarrier wireless service selection
US8538476B2 (en) Cellular network computer adaptation system
JP568828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KR20150015297A (en) User equipment and service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208131A (en) Tie-up service providing method
WO201208679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a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ntract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KR101999619B1 (en)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sharing service system and sharing service method thereof
TWI54593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st-saving telephone service
US8718600B2 (en) Operation of a terminal which can be used with an account in a mobile network which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71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20

Effective date: 201809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