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87Y1 - Deck of wood bridge - Google Patents

Deck of wood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87Y1
KR200486787Y1 KR2020180000081U KR20180000081U KR200486787Y1 KR 200486787 Y1 KR200486787 Y1 KR 200486787Y1 KR 2020180000081 U KR2020180000081 U KR 2020180000081U KR 20180000081 U KR20180000081 U KR 20180000081U KR 200486787 Y1 KR200486787 Y1 KR 200486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lens
infrared
wire
output
infrared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0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진기
Original Assignee
문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기 filed Critical 문진기
Priority to KR2020180000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에 있어서, 특히 콘크리트 설치물에 철재와 목재 데크로 바닥면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설치물에 반고리형 지지체를 각각 설치후 가로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봉에 와이어를 설치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지지토록함으로서 길이가 길면서도 안전한 목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타설물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반고리형 지지체와;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하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봉 및 반고리형 지지체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하는 장력센서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안전용 수직바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전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용 수평바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wire system, in particular, in which a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steel material and a wood deck in a concrete installation, and a semicircular support is installed in a concrete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bridging bridge using a suspension bridge system,
A concrete pouring material plac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using concrete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 step or a step; A bottom surfac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walked by using iron and wood; A semi-circular support bod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in an upward direction; A transverse bar for connecting the semicircular supports to assisting rigidity; A wire connecting the transverse bar and the bottom surface to induc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to induce transverse bar and semicylindrical supports to induce the pressure of the bottom surface to be absorb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transverse bar and the semi- A tension sensor for detecting a tension applied to the wire when the wire is installed between the wire and the bottom surface, and if the tension is not detected, determining that the wire is broken and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A safety vertical ba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And a safety horizontal b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afety vertical bar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Figure R2020180000081
Figure R2020180000081

Description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Deck of wood bridge}Deck of wood bridge < RTI ID = 0.0 >

본 고안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설치물에 철재와 목재 데크로 바닥면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설치물에 반고리형 지지체를 각각 설치후 가로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봉에 와이어를 설치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지지토록함으로서 길이가 길면서도 안전한 목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wire system. In particular, a floor is provided with a steel material and a wooden deck in a concrete installation, and a semicircular support is installed in a concrete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ootbridge using a wire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ong and safe long-distance bridge by supporting the bottom face by using a wire.

목교란, 목재 부재를 사용하여 가설한 교량을 의미한다.Bridge, wooden bridge, and wooden member.

최근에는 자연경관과 어울리는 목재 부재를 사용한 구조물이 선호받고 있으며, 대중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산책 또는 하이킹 등의 활동이 꾸준이 증가하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structures using timber members that match natural landscapes have been favored. As public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activities such as walking or hiking have steadily increased.

이에 따라, 강 또는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도록 목교 등의 목구조물 제작이 요구되고 있으며, 목재 부재를 사용한 다양한 구조물이 최근 설치되고 있다.Accordingly, a wooden structure such as a wooden bridge is required to be installed on a water surface such as a river or a lake so as to be able to view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various structures using wood members have recently been installed.

다만, 목재 부재만을 활용하여 제작된 경우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목재 수축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기술은 목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H빔 등의 철골조를 목재 부재와 결합하여 목구조물을 제작하고 있다.However, it is structurally weak when manufactured using only a wood memb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clearance is generated due to shrinkage of the wood. Accordingly, in the prior art, a wooden structure such as an H beam, which is structurally stable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wooden structure, is combined with a wooden member to manufacture a wooden structure.

통상적인 목재데크에는 목재와 다른 종류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7672호(2004.11.0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96804호(2005.09.20),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522921(2005.10.1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37025호(2007.10.22)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인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가공된 단위 목재들을 결합시키고 있다.A typical wood deck is different from wood,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67672 (Nov. 3, 2004),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96804 (September 20, 2005),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522921 (Oct. 13),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7025 (Oct. 22, 2007).

이러한 결합은 반복적인 하중에 취약하며, 외부에 설치되는 특성상 산성비 등에 의해서 이종의 재질 특히 금속 재질은 쉽게 부식되었고, 부식은 전이되어 목재를 손상시켰다. 또한, 부식으로 인한 목재 또는 고정구의 손상은 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보수 또는 교체의 주기가 빨라져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These bonds are susceptible to repetitive loads.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s installed on the outside, acidic materials such as acidic rubbers easily etch different materials, especially metal materials, and the corrosion is transferred to damage the wood. In addition, damage to the wood or fixture due to corrosion is not only a threat to the safety of the structure, but also leads to an increase in cost due to a faster cycle of repair or replacement.

또한, 등록특허 제 10-1007030호에는 정형화된 조립식 목재블록이 제안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교 등의 목재구조물에 적용되며,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H 빔(10)과, 상기 간격을 이루고 있는 H 빔(10)의 상부에 수평방향의 단위 목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상판(30)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데크 플레이트(32)와, 상판(30)에 설치되는 난간기둥(50)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007030 proposes a prefabricated prefabricated wooden block, which is applied to a wooden structure such as a wooden bridge as shown in Fig. 1, and includes an H beam 10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gap therebetween A plurality of deck plates 3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d H beams 10 so that the unit woo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upper plate 30, And a column 50.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목재 데크는 단순히 바닥면으로부터 기둥 형식으로 지지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강성 유지에 한계가 있었고, 아울러 목재 데크의 미려함에 한계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wooden deck is simply supported from the floor surface in the form of a column, there is a limit to stiffness maintenanc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beauty of the wooden deck.

즉, 종래의 조립식 목재 데크는 길이가 길 경우에 적절한 강도 유지가 어려웠고 아울러 목재 데크의 멋스러운 디자인에 한계가 있었다.That is, whe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wooden deck is lo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proper strength, and there is a limit to the fashionable design of the wooden deck.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양측면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생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에 철재 구조물과 목재를 이용한 바닥면을 설치하며, 이와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물에 반고리형지지 구조물을 결합후 가로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와이어로 결합하여 멋스러움을 제공하면서도 지지강도를 극대화하여 안전한 인도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d a bottom surface using wood structure and wood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At the same time, a semicircular support structure is joined to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and then the pouring material is connected by a cross bar. It is aimed to provide a safe bridge by maximizing the support strength while providing a fashion by combining with a wire.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타설물(1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면(2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반고리형 지지체(30)와;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하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40)과;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봉 및 반고리형 지지체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50)와; 상기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하는 장력센서부(6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안전용 수직바(7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전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용 수평바(80)와; 상기 바닥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2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ouring object 10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ground using concrete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 step or a step; A bottom surface 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walked by using iron and wood; A semicircular support (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in an upward direction; A transverse bar connecting rod (40) for connecting between the semicircular supports and assisting rigidity; A wire 50 connecting the transverse rod and the bottom surface to in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to induce the transverse and semicylindrical supports to induce the pressure of the bottom surface to be absorb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transverse rod and the semi- A tension sensor unit (60) for check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when the wire is installed between the wire and the bottom surface, and if the tension is not detected, judging that the wire is broken and guiding to output an alarm signal; A safety vertical bar 7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A safety horizontal bar (8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afety vertical bar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Dust measuring means 200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to measure dust;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when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measuring unit.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액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includes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for emitting infrared rays, a light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positioned to face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D)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 is smaller than a set value, an infrared receiv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which are wound around the actuator 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b and 2c which are arranged adjac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An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2)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tionary electromagnets (2d, 2e, 2f) fixedly installed; 2b and 2c and the stationary electromagnets 2d and 2e by flowing a curr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and 2b and 2c and the fixing electromagnets 2d and 2e and 2f, (2f), and drives the actuator (3); An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to flow the infrared transmitter back and forth; And a concave lens group (5) for varying the output of an infrared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The infrared ray transmitter flow means 4 includes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for outputting an infrared ray to the outside in the vicinity of a concave lens group 5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one side of the actuator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ving bar 4b for moving the transmitting element 4a and a solenoid 4c for moving the infrared transmitting element to the left and right by moving the moving bar.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actuator includes first to third fitting holes 6a for adjusting the operational sensitivity and first to third weight adjusting pins 6b inserted in the fitting holes. And further includes a speed adjusting means (6).

또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The concave lens group 5 is designed to vary the degree of output of infrared light according to the depression angle of the center portion. When a len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pression is selected by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sion means, A third concave lens 5c which is provided at the very center of the working rod and has a depression angle of 25 degrees; A second concave lens 5b provided on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ving a concave angle of 15 degrees; A first concave lens 5a provided on the second concave lens 152 and having a depression angle of 5 degrees; A fourth concave lens 5d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with a higher light output and is provided below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s a concave angle of 35 degrees; And a fifth concave lens 5e,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with a higher intensity, and which is provided below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has a concave angle of 45 degrees.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 for switching a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2 which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switches the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switching transistor Q3 for switching a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A fourth switching transistor Q4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switches the power supply uni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relay switch RL1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for induc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by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Wow;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re switched to induce switching of the relay switch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ource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turn off the transistor and to switc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o that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simultaneously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are turned on,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for mainta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 and continuing the communication state; A circuit breaker 1131 for contacting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ing power from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operation operating wire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A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for guiding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to be kept in the off state at all times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ven i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witched and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stopped whil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engaged with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and 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is overlapped, When the operation piece 1131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wire output control part A second resilient holding means (1134) which operates so that the power connection connecting piece (1132) automatically operates to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re guid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out being directly coupl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1133 are engaged, Spacing means (1133a) for guiding the means (1134)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naturally during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측면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생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에 철재 구조물과 목재를 이용한 바닥면을 설치하며, 이와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물에 지지용 구조물을 수직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용 구조물과 바닥면을 와이어로 결합하여 멋스러움을 제공하면서도 지지강도를 극대화하여 안전한 인도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is formed on both sides, the bottom surface using the steel structure and the wood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the supporting structur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afe bridge by maximizing the support strength while providing a niceness by combining the drag structure and the bottom surface with wires.

도 1은 일반적인 목교 구성도.
도 2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사시도.
도 3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정면도.
도 4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wire system. Fig.
3 is a front elevation view of a prefabricated footbridge using a wire system.
Fig. 4 is a sid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wire system. Fig.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dust measuring means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an infrared receiving means constituting the dust meas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measuring dust us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nd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peration for the flow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ngle measurement of the concav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view of a first concav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on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thir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four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fif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graph showing the optical intensity graph according to the concave lens center depress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ircuit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whole desig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added components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appropriate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ve concept in a more effective mann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일반적인 목교 구성도.Fig.

도 2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wire system. Fig.

도 3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정면도.3 is a front elevation view of a prefabricated footbridge using a wire system.

도 4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측면도.Fig. 4 is a side view of a prefabricated bridge using a wire system. Fig.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dust measuring means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an infrared receiving means constituting the dust meas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measuring dust us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nd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8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peration for the flow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ngle measurement of the concav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10 is a configuration view of a first concav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11 is a secon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FIG. 12 is a thir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FIG. 13 is a four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Fig. 14 is a fif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15 is a graph showing the optical intensity graph according to the concave lens center depress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16 is a circuit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로서,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콘크리트 타설물(10)과, 바닥면(20)과, 반고리형 지지체(30)와, 가로 연결용 가로봉(40)과, 와이어(50)와, 장력센서부(60)와, 안전용 수직바(70)와, 안전용 수평바(80)로 이루어진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a concrete pouring object 10, a bottom surface 20, a semicircular support 30, a transverse bar 40, a wire 50, a tension sensor 60 , A vertical bar (70) for safety, and a horizontal bar (80) for safety.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10)은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은 지면에 양생하여 이루어지되 적절히 땅속과 지상에 설치되어 단단한 지지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concrete poured material 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using concrete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 step or a step. That is, the concrete poured water is cured on the ground, but is properly installed in the ground and on the ground so that a solid support structure is formed.

상기 바닥면(20)은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바닥면은 사람이 걸어다니기 때문에 H빔과 같은 철재와 상기 철재 상부에 배치되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사람은 목재 위를 걸어다니도록하고 철재류가 목재를 지지하여 무너지지 않토록 한다.The bottom surface 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walked by using iron and wood. That is, the bottom surface is made of a steel material such as an H beam and a wood material disposed on the steel material because a person hangs thereon, and a person is allowed to walk on the wooden material so that the steel material does not collapse by supporting the wood material.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30)는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반고리형 지지체는 콘크리트 타설물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향하도록 유도한다.The semicircular support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in an upward direction. That is, the semicyllable support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to induce the external pressure to be dir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상기 가로 연결용 가로봉(40)은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한다. 즉, 가로 연결용 지지봉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반고리형 지지체로 유도하여 콘크리트 타설물 및 지면을 통해 흡수되도록 유도한다.The transverse connecting rod 40 connects between the semicylindrical supports to assist the rigidity. That is, the horizontal connection support rods guide the external pressure to the semicylindrical support to be absorbed through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and the ground.

상기 와이어(50)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 연결용 가로봉으로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 연결용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한다. 즉, 와이어는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반고리형 지지체로 전달하여 지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를 흡수하여 바닥면을 보호한다.The wire (50) connects the transverse bar for connecting the transverse bar to the bottom for guid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to the transverse bar, and the pressure of the bottom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verse bar, the semi- . That is, the wire is for guid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floor surface to the ground by transmitting the impact to the semicircular support, and absorb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loor surface to protect the floor surface.

상기 장력센서부(60)는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한다. When the tension sensor unit 60 is installed between the wire and the bottom surfac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wire is checked. If the tension is not detected, the tension sensor unit 60 determines that the wire is broken and induces an alarm signal to be output.

상기 안전용 수직바(70)는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전용 수직바는 바닥면으로 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사람이 바닥면의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safety vertical bars 7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That is, the safety vertical bars a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안전용 수평바(80)는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전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전용 수평바는 수직바 사이를 연결하여 사람이 바닥면의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afety horizontal bar (8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is installed while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afety vertical bar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That is, the safety horizontal bar connects between the vertical bars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to the side of the floor.

한편, 본 발명은 바닥면 상부의 먼지 농도를 파악하여 기준이상일 경우 이를 표시하고 아울러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을 갖추도록한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ystem for detecting the dust concentr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and displaying an alarm signal when the reference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and outputting an alarm signal.

즉, 본 발명은 바닥면의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빠른 속도로 먼지 구역을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먼지가 기준이상 존재하면 경보를 행함으로서 먼지가 바닥면에 존재하여 발생하는 미끄럼 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measuring means is installed at one end of a bottom surface, dust is detected through 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and when dust above a reference level is detected, the dust is outputted through an alarm signal, . In addition, when the dust is present over the reference, an alarm is made to prevent the slip accident that occurs due to the presence of dust on the floor surface.

그리고, 먼지 측정수단(2000)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3000)로 전송되며, 제어부(3000)는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한다.The data measured by 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0, and the control unit 3000 displays the data measured by the dust measuring means on the display 4000.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for emitting infrared rays,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positioned to face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D)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C).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The infrared transmitting unit A receives the infrare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from the dust measuring control unit C, determines the infrared transmitting amount, and outputs the changed infrared transmitting amount.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esult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is transmitted to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C,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C predicts the dust generation amount based on the data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to adjust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amount to induce the output.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light amount data outputted from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is read by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and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mean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 read light amount data, so that the sensitivity adjustment is automatically maintained constant. So that th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ensitivity state.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C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high when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is low,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increase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I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is too high, a state of no contamination or precise measurement becomes difficult. Therefore, a control signal is outputted so as to lower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That is, it is necessary to keep the amount of infrared transmission light in an appropriate state. The infrared ray amount measured through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is accurate and the dust amount can be more precisely predicted. Therefore, the dust amount data measured by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dust measurement result with high reliability.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1)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을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C outputs a control sign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change of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uni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 recognizes the control signal and drives the infrared ray transmitter conversion unit to perform the most appropriate infrared ray transmission .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으로 이루어져,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2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which are wound around the actuator 3 and are mount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fix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electromagnets 2d, 2e, 2f to be installed,

송신 제어부(1)의 신호가 인가되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가 흘러 자성이 형성되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여 액추에이터(3)를 구동하게 된다.When a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 is applied, current flows through the floating electromagnets 2a, 2b, 2c and the fixed electromagnets 2d, 2e, 2f to form magnetic electromagnets 2a, 2b, 2c And the fixed electromagnets 2d, 2e, and 2f, and the actuators 3 are driven.

상기 액추에이터(3)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의 유동에 의해서 적외선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렌즈군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The actuator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cave lens groups for limiting the infrared ray output by the flow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2.

이를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액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진다.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for performing this operation includes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for outputting infrared rays to the outside in the vicinity of the concave lens group 5 formed 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one side of the actuator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ving bar 4b for mov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element 4a and a solenoid 4c for mov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element to the left and right by moving the moving bar.

상기한 구성에서 액추에이터(3)의 이동시 솔레노이드(4c)에 제공되는 전원인가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4a)가 좌우로 유동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actuator 3 is moved,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element 4a flows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the application of power to the solenoid 4c.

상기 적외선 송신용 렌즈군(5)은 작동봉에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되,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lens groups 5 are arranged on the working rods and are designed so that the degree of output of the infrared light is varied according to the depression angle of the center portion. The infrared ray of different intensity can be outputted.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5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The second concave lens 5c disposed above the third concave lens 5c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output with a small amount of light, and the second concave lens 5c provided above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outputs light through the first concave lens 5a provided above the second concave lens 5b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by further reducing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ted with higher light intensity, light is output through the fourth concave lens 5d provided below the third concave lens 5c.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ted with higher intensity, And outputs the light through a fifth concave lens 5e provided below the second concave lens 5d.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3 오목렌즈(5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The concave lens group is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degree of output of infrared light depending on the depression angl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len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pression can be selected by the movement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sion means to output infrared light of different intensity The third concave lens 5c is bas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orking rod and forms a depression angle of 25 degrees.

그리고, 제 2 오목렌즈(5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The second concave lens 5b is used for outputting a slightly reduced amount of infrared light and is provided above the third concave lens 5c to form a depression angle of 15 degrees.

그리고, 제 1 오목렌즈(5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The first concave lens 5a is used when it is required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and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cave lens 5b and forms a depression angle of 5 degrees.

그리고, 제 4 오목렌즈(5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The fourth concave lens 5d is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infrared ray with a higher light output,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forms a depression angle of 35 degrees.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The fifth concave lens 5e is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infrared ray with a higher intensity, and is provided below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forms a concave angle of 45 degrees.

적외선의 광을 높여야할 경우 액추에이터(3)을 상승시키고 적외선 광을 줄여야 할 경우 액추에이터(3)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When the infrared light needs to be increased, the actuator 3 is raised, and when the infrared light needs to be reduced, the actuator 3 is lowered.

작동봉의 1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2고정용전자석(2e)-제1유동용전자석(2a), 제3고정용전자석(2f)-제2유동용전자석(2b)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액추에이터(3)가 하강하여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2a)이, 제3고정용전자석(2f)의 위치에 제2유동용전자석(2b)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하강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2 오목렌즈(5b)에 근접하게 되어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 the first moving electromagnet 2a,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 the second floating electromagnet 2b, and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b are controll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 (2f) -For the third moving electromagnet 2c, a repulsive force signal is given, and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the first floating electromagnet 2a, the third fixing electromagnet 2f- The actuator 3 is lowered by applying a force signal to the electromagnet 2b so that the first moving electromagnet 2a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 and the second moving electromagnet 2a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third fixing electromagnet 2f, The electromagnet 2b is positioned.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rod is lowered by one step,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comes close to the second concave lens 5b and outputs infrared light through the second concave lens 5b.

그리고, 액추에이터의 1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1고정용전자석(2d)-제2유동용전자석(2b), 제2고정용전자석(2d)-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액추에이터(3)이 상승하여 제1고정용전자석(2d)의 위치에 제2유동용전자석(2b)이,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2c)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상승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4 오목렌즈(5d)에 근접하게 되어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the first moving electromagnet 2a,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the second floating electromagnet 2b, and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b are controll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 in the control for the one- The third stationary electromagnet 2f and the third stationary electromagnet 2d are supplied with a repulsive force signal to the third stationary electromagnet 2f and the third stationary electromagnet 2c, and the first stationary electromagnet 2d, the second stationary electromagnet 2d, The actuator 3 is raised to give the second moving electromagnet 2b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 and the second moving electromagnet 2b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 3 floating electromagnet 2c are located.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rod is raised by one step, the infrared transmitting element comes close to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outputs infrared light through the fourth concave lens 5d.

그리고 작동봉의 2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제3고정용전자석(2f)과 같은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2a)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되고, 액추에이터(3)의 2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제1고정용전자석(2d)과 같은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2c)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moving electromagnet 2a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hird fixing electromagnet 2f when the operation rod is lowered for two steps and accordingly the infrared transmitting element 4a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concave lens 5a, And the third moving electromagnet 2c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 in the control for raising the actuator 3 in two steps, The light is output through the fifth concave lens 5e.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액추에이터(3)의 하단에 돌출 성형되며, 상기 액추에이터(3)에 다수개의 끼움용 홀(6a)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용 홀에 액추에이터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용 핀(6b)을 삽입 설치하여 액추에이터(3)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tion speed adjusting means 6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6a are formed in the actuator 3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3, A weight adjusting pin 6b capable of adjusting the weight of the actuator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for adjusting the moving speed of the actuator 3. [

즉, 끼움용 홀(6a)에 무게조절핀(6b)을 삽입 설치하되, 1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가볍기 때문에 빠른 유동이 가능하고, 3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무겁기 때문에 느린 유동이 가능하다.That is, the weight adjusting pin 6b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6a. If one weight adjusting pin is provided, the working rod is light and thus it is possible to flow rapidly. When the three weight adjusting pins are installed, Slow flow is possible.

상기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은 액추에이터(3)의 움직임을 빠른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를 조절하는바, 이는 액추에이터(3)가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민감도가 높아지고, 액추에이터(3)가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사용자가 액추에이터(3)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movement speed adjusting means control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3 is fast or slow. If the actuator 3 moves too fast, the sensitivity increases. If the actuator 3 moves too slowly,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3.

즉, 사용자가 민감도를 높이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1개만 삽입 결합시키고, 민감도를 낮추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3개까지 삽입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user wants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nly one weight control pin 6b is inserted and coupled, and if the sensitivity is to be lowered, up to three weight control pins 6b are inserted and coupled.

상기 끼움용 홀(6a)과 무게조절핀(6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끼움홀(6a)과 3개의 무게조절핀(6b)을 예시하여 설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number of the fitting holes 6a and the weight adjusting pins 6b may be varied according to ne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fitting holes 6a and three weight adjusting pins 6b ), So that the explanation can be made more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어알림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3000)가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ust is detected as a reference or more and a notification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3000 displays the notification status through the automatic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000 and prompts the user to solve the problem quickly,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w1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w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supply line 1110. The power supply unit 11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 third switching transistor, a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and a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1120).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source unit 1110 applies power to its own power source.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통신 제어부(1120)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 switches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2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switches the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통신 제어부(1120)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Q3 switches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of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

상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Q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supply uni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릴레이 스위치(RL1)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relay switch RL1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piece by the relay switch.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by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do.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120 switches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o switch the relay switch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are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while turning off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nd to turn off the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nd maintains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간격유지수단(1133a)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it board 1131 for operation, a wire piece 1132 for connection to a power supply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unit, a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1133, a second resilient holding means 1134, (1133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operating piece 1131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s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connection ir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When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hereby induc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상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1133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operating wire 1131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circuit-operating wire 1131 are always kept in an off state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is overla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So that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stopped, the state of attaching the circuit breaker 1131 continues to maintain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t this time,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the communication piece 1132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상기 간격유지수단(1133a)은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유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의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수단(1133a)을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gap maintaining means 1133a guides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out being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re engaged, 1133 and the second resilient holding means 1134 can be more smooth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gap maintaining means at the time of disassembly. If the gap maintaining means is not present,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can be easily separated by further providing the gap holding means 1133a.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nnected to a wire for circuit operation and a wire for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wire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is stopped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 스위치(RL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a control relation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a power is applied to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o operate the relay switch RL1.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an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display the communication signal.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in the middle of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is, and then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re operated, It is possible to keep the closed circuit while moving the iron piece and at the same time return the power outputt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part 1140 to continuously operate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art 1150.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otification factor is not solved, the communication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to induce the notification factor to be solved.

즉,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witching signal is applied to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in th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by returning the power source agai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reliably solve the cause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If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no longer applies a power supply signal t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 Can be manually operated by a user to interrupt the communication signal.

10: 콘크리트 타설물
20: 바닥면
30: 반고리형 지지체
40: 가로 연결용 가로봉
50: 와이어
60: 장력센서부
70: 안전용 수직바
80: 안전용 수평바
1000: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먼지 측정수단
3000: 제어부
4000: 디스플레이
10: concrete pour water
20: bottom surface
30: Symphonic support
40: Horizontal bar for connection
50: wire
60: tension sensor unit
70: Vertical bar for safety
80: Safety bar for safety
1000: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2000: Dust measuring means
3000:
4000: Display

Claims (5)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타설물(1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면(2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반고리형 지지체(30)와;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하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40)과;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봉 및 반고리형 지지체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50)와;
상기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하는 장력센서부(6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안전용 수직바(7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전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용 수평바(80)와;
상기 바닥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2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액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A concrete pouring material 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using concrete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 step or a step;
A bottom surface 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walked by using iron and wood;
A semicircular support (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crete pouring material in an upward direction;
A transverse bar connecting rod (40) for connecting between the semicircular supports and assisting rigidity;
A wire 50 connecting the transverse rod and the bottom surface to in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to induce the transverse and semicylindrical supports to induce the pressure of the bottom surface to be absorb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transverse rod and the semi-
A tension sensor unit (60) for check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when the wire is installed between the wire and the bottom surface, and if the tension is not detected, judging that the wire is broken and guiding to output an alarm signal;
A safety vertical bar 7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A safety horizontal bar (8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afety vertical bar to prevent a person from falling down;
Dust measuring means 200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to measure dust;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when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measuring unit as a reference or abnormality;

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for emitting an infrared ray; an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nd determining the inflow of dus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eceiving amount, (C)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 is smaller than a set value;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wound around the actuator 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fixed electromagnets fixedly install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2d, 2e, 2f); 2b and 2c and the stationary electromagnets 2d and 2e by flowing a curr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and 2b and 2c and the fixing electromagnets 2d and 2e and 2f, (2f), and drives the actuator (3); An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to flow the infrared transmitter back and forth; And a concave lens group (5) for varying the output of an infrared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for outputting an infrared ray to the outside in proximity to the concave lens group 5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one side of the actuator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olenoid (4c) for moving the infrared transmitting element by moving the moving bar to the left and righ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first to third fitting holes (6a) for adjusting the operational sensitivity and first to third weight adjusting pins (6b)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And a means (6)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ri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ave lens group (5)
And a len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pression is selected by a movement operation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so as to be able to output infrared rays of different intensity,
A third concave lens 5c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orking rod and having a concave angle of 25 degrees;
A second concave lens 5b provided on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ving a concave angle of 15 degrees;
A first concave lens 5a provided on the second concave lens 152 and having a depression angle of 5 degrees;
A fourth concave lens 5d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with a higher light output and is provided below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s a concave angle of 35 degrees;
And a fifth concave lens (5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having a concave angle of 45 degrees,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ted with a higher light output, and a fifth concave lens .
삭제delete
KR2020180000081U 2018-01-05 2018-01-05 Deck of wood bridge KR2004867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81U KR200486787Y1 (en) 2018-01-05 2018-01-05 Deck of wood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81U KR200486787Y1 (en) 2018-01-05 2018-01-05 Deck of wood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87Y1 true KR200486787Y1 (en) 2018-06-28

Family

ID=6274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81U KR200486787Y1 (en) 2018-01-05 2018-01-05 Deck of wood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87Y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155B1 (en) * 2001-08-10 2003-12-01 (주)다산알앤디 Dust measuring instrument
KR200411341Y1 (en) * 2005-12-21 2006-03-15 주식회사한국삭도 The elevated bridge
KR20060127712A (en) * 2005-06-08 2006-1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Tv set included dust indicator
KR200484803Y1 (en) * 2016-05-04 2017-10-26 케이웨더(주) Multipurpose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Equipment
KR20170141122A (en) * 2016-06-14 2017-12-22 황윤식 Indoor and outdoor fine dust compared measurable device of interlocking smart device
KR101815869B1 (en) * 2017-08-19 2018-01-08 한울로드주식회사 Deck of wood brid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155B1 (en) * 2001-08-10 2003-12-01 (주)다산알앤디 Dust measuring instrument
KR20060127712A (en) * 2005-06-08 2006-1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Tv set included dust indicator
KR200411341Y1 (en) * 2005-12-21 2006-03-15 주식회사한국삭도 The elevated bridge
KR200484803Y1 (en) * 2016-05-04 2017-10-26 케이웨더(주) Multipurpose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Equipment
KR20170141122A (en) * 2016-06-14 2017-12-22 황윤식 Indoor and outdoor fine dust compared measurable device of interlocking smart device
KR101815869B1 (en) * 2017-08-19 2018-01-08 한울로드주식회사 Deck of wood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6876T3 (en)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KR200486786Y1 (en) Deck of wood bridge
KR101815869B1 (en) Deck of wood bridge
JP2006225922A (en) Shutter obstruct detector
KR200486787Y1 (en) Deck of wood bridge
KR100871897B1 (en) Fram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KR200486788Y1 (en) Deck of wood bridge
JP2017223087A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KR101694117B1 (en) Tension control device of wire rope for lance
KR20150142240A (en) Apparatus for binding wires of girder bridge
US5281858A (en) Fluid level activated float switch
KR100870247B1 (en) Fram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ixation
KR101997100B1 (en) Tension Adjusting Apparatus of Electric Car Line
KR102062887B1 (en) Drone experimental apparatus
KR101782940B1 (en) Notice system for managing bridge and system for lifting bridge
KR101558162B1 (en) Pulley unit and intelligent stage setting apparatus using the unit
KR20070030728A (en) Bridge particularly for crossing a passage of a navigation channel
KR101823883B1 (en) Deck of wood bridge
KR101823881B1 (en) Deck of wood bridge
KR101730798B1 (en) Form traveller
KR101850353B1 (en)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KR101520796B1 (en) Lift for engine assembly
KR101555834B1 (en)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ES2689499T3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3049521A (en)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nsion of compensating rope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