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16Y1 -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 - Google Patents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16Y1
KR200486516Y1 KR2020170000668U KR20170000668U KR200486516Y1 KR 200486516 Y1 KR200486516 Y1 KR 200486516Y1 KR 2020170000668 U KR2020170000668 U KR 2020170000668U KR 20170000668 U KR20170000668 U KR 20170000668U KR 200486516 Y1 KR200486516 Y1 KR 200486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
insertion groove
fram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2020170000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장 프레임의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가완성 상태의 금고 도어에 결합되어 해당 금고 도어는 물론 해당 금고 도어를 구비하는 금고 전체의 외관 및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동시에 금고 본체에 대한 금고 도어의 회전형 결합을 위한 경첩 부위가 해당 금고의 정면 방향에서 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금고는, 물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금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장 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테두리 영역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기 테두리 영역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부의 삽입을 위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금고의 상기 도어가 위치한 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상기 경첩부가 상기 정면의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삽입되는 형태의 제2 삽입홈이 상기 제1 삽입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이 포함된 외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The outer frame for safe box door and safe box therefor}
본 고안은 외장 프레임의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가완성 상태의 금고 도어에 결합되어 해당 금고 도어는 물론 해당 금고 도어를 구비하는 금고 전체의 외관 및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동시에 금고 본체에 대한 금고 도어의 회전형 결합을 위한 경첩 부위가 해당 금고의 정면 방향에서 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 설치되어 각종 귀중품과 주요 문서 등을 보관하는 기능을 한다. 즉, 금고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 및 보관하여 해당 물품들이 외부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금고는 통상 물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이러한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금고의 도어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는 과거 기계식 잠금장치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기계식 및 전자식의 복합 형태인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금고들은 최초 제작 시 금고별로 그 외관 및 디자인이 정해지는 것이었고, 따라서 금고별 외관 및 디자인에 약간의 변화를 주는 경우에도 해당 금고의 금형 내지 가공 장치 등에 변화를 주어야 하며, 이는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보다 더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의 금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외관 및 디자인을 적용한 금고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이는 제조 비용의 과다한 지출로 이어지는바 대부분의 금고 제작사들은 금고 모델별로 몇 가지의 종류만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기존의 금고들 중 대다수는 금고의 본체에 대한 도어의 회전형 결합을 위한 경첩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여서 미관상 좋치 못한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경첩이 외부로부터 가려지는 형태의 도어 구조가 제공되기도 하였지만, 이로 인해 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도어 및 본체 모두의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해당 금고의 제조비용 증가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것이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47849호(2014.10.13.공고),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0398176호(2003.09.13.공고), “금고”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외장 프레임의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가완성 상태의 금고 도어에 결합되어 해당 금고 도어는 물론 해당 금고 도어를 구비하는 금고 전체의 외관 및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기능이 해당 금고 도어의 제작 시는 물론 해당 금고에 대한 사용자 구매 과정 및 사용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도 필요에 따라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금고 본체에 대한 금고 도어의 회전형 결합을 위한 경첩 부위가 해당 금고의 정면 방향에서 은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해당 금고의 외관 및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게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금고의 키패드 내지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조작 부위는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해당 금고의 도어 테두리에 결합되어 해당 금고 도어 및 금고 전체의 외관 및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 조작 부위가 해당 금고 도어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은, 금고의 도어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금고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부의 삽입을 위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금고의 상기 도어가 위치한 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상기 금고를 상기 정면에서 본 것을 기준으로 상기 경첩부를 육안상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시키는 형태의 제2 삽입홈이 상기 제1 삽입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정면과 동일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정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정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곡된 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부에 상기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금고의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경첩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보조 삽입홈을 상기 정면과의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쪽에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기타의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향하는 방향인 동시에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면에 상기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와 베이스 프레임 간의 결합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 간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탈착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금고는, 물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금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장 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테두리 영역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기 테두리 영역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부의 삽입을 위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금고의 상기 도어가 위치한 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상기 경첩부가 상기 정면의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삽입되는 형태의 제2 삽입홈이 상기 제1 삽입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이 포함된 외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결합되는 형태인 동시에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기타의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완성 상태의 금고 도어에 외장 프레임이 결합되어 해당 금고의 완성이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외장 프레임을 통해 해당 금고의 도어는 물론 금고 전체의 외관 및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또한 외장 프레임이 금고의 본체에 대한 도어의 회전형 결합을 위한 경첩 부위를 해당 금고의 정면 방향에서 은폐시켜 이를 통해 해당 금고의 외관 및 디자인을 한층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장 프레임이 금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키패드 내지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은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외장 프레임을 통해 금고의 도어 및 금고 전체의 외관과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으면서도 금고 도어에 위치하는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은 간섭 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베이스 프레임이 금고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고안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다른 각도에서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베이스 프레임이 금고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100: 이하 “외장 프레임”이라 약칭함)은 베이스 프레임(110) 및 커버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금고(200)의 도어(220)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제1 삽입홈(11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삽입홈(111)에 도어(220)를 금고(200)의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부(230)가 삽입된다.
커버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이러한 커버 프레임(120)은 금고(200)의 도어(220)가 위치한 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금고(200)를 상기 정면에서 본 것을 기준으로 경첩부(230)를 육안상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시키는 형태의 제2 삽입홈(121)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 삽입홈(111)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커버 프레임(120)이 중앙부가 개방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을 따라 결합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의 외장 프레임(100)은 커버 프레임(120)은 물론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도 다양한 외형 및 색상 등으로 형성되어 그 결합이 이루어지는 금고(200)의 외관 및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외장 프레임(100)은 그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가완성 상태의 금고 도어(220)에 결합되어 해당 도어(220)는 물론 해당 금고(200)의 전체 외관 및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외장 프레임(100)의 이러한 기능은 해당 금고(200)의 도어(220) 제작 시는 물론 해당 금고(200)에 대한 사용자 구매 과정 및 사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필요에 따라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외장 프레임(100)은 제1 삽입홈(111)을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110) 및 제2 삽입홈(121)을 형성한 커버 프레임(120) 간의 연계 작용을 통해 금고(200)의 경첩부(230)가 해당 금고(200)의 정면 방향에서는 가려져 은폐되는 것이므로 해당 금고(200)의 외관 및 디자인을 한층 미려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정면은 커버 프레임(120)에 대한 설명에서 정한 금고(200)의 도어(200)가 위치한 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이하의 설명들에서도 정면을 이를 기준으로 한 것임 밝혀 둔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 삽입홈(111)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정면과 동일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제2 삽입홈(121)은 상기 정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며, 또한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정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곡된 측면부(122)를 포함하여 이러한 측면부(122)에 제2 삽입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보조 삽입홈(112)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보조 삽입홈(112)은 금고(200)의 본체(210)에 결합되기 위한 경첩부(230)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에 따라 보조 삽입홈(112)은 상기 정면과의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제1 삽입홈(111)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프레임(120)은 도어(220)에 설치되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기타의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221)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정면을 기준으로 도어(220)를 향하는 방향인 동시에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24)을 포함하여 이러한 경사면(124)에 개방구(123)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커버 프레임(120)을 포함한 외장 프레임(100)이 금고(200)의 키패드 내지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221)은 외부에 노출시키는 상태로 해당 금고(200)의 도어(220) 테두리에 결합되어 해당 금고(200)의 도어(220) 및 금고(200) 전체의 외관과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221)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과정에서 외장 프레임(100)과의 간섭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220)와 베이스 프레임(110) 간의 결합 및 베이스 프레임(110) 및 커버 프레임(120) 간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탈착 가능한 결합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탈착 가능한 결합 방식은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탈착형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밝혀 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하나의 금고(200)를 기준으로 해당 금고(200)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외장 프레임(100)을 시간 내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는 해당 금고(200)의 외관 및 디자인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외장 프레임(100)이 적용된 금고(2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고(200)는 물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210) 및 이러한 본체(210)의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20) 그리고 도어(220)의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220)에는 외장 프레임(100)의 결합을 위한 테두리 영역(222)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이러한 도어(220)의 테두리 영역(222)에 외장 프레임(1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외장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외장 프레임(100)에 해당되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을 금고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300: 이하 “외장 프레임”이라 약칭함) 및 이를 적용한 금고(400)는 외장 프레임(300)이 베이스 프레임(310) 및 커버 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외장 프레임(300)이 금고(400)의 테두리 영역에 결합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외장 프레임(100) 및 금고(200)와 동일하다. 또한, 외장 프레임(300)의 베이스 프레임(310) 및 커버 프레임(320)의 대부분 구성 역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외장 프레임(100)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의 외장 프레임(300) 및 금고(400)의 경우, 금고(400)의 도어에 키패드 내지 터치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이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이에 따라 외장 프레임(300)의 커버 프레임(320)에 상기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300 : 외장 프레임 110,310 : 베이스 프레임
111 : 제1 삽입홈 112 : 보조 삽입홈
120,320 : 커버 프레임 121 : 제2 삽입홈
122 : 측면부 123 : 개방구
124 : 경사면 200,400 : 금고
210 : 본체 220 : 도어
221 :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 222 : 테두리 영역
230 : 경첩부

Claims (10)

  1. 금고의 도어 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금고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부의 삽입을 위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금고의 상기 도어가 위치한 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상기 금고를 상기 정면에서 본 것을 기준으로 상기 경첩부를 육안상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시키는 형태의 제2 삽입홈이 상기 제1 삽입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정면과 동일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정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금고의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경첩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보조 삽입홈을 상기 정면과의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정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곡된 측면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부에 상기 제2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결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기타의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를 향하는 방향인 동시에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면에 상기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베이스 프레임 간의 결합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 간의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탈착 가능한 결합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9. 물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금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외장 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테두리 영역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기 테두리 영역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첩부의 삽입을 위한 제1 삽입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금고의 상기 도어가 위치한 면을 정면으로 정할 때 상기 경첩부가 상기 정면의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삽입되는 형태의 제2 삽입홈이 상기 제1 삽입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이 포함된 외장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정면과 동일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상기 정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금고의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경첩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보조 삽입홈을 상기 정면과의 동일 평면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쪽에 형성한 금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따라 결합되는 형태인 동시에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기타의 사용자 조작용 입출력 구성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KR2020170000668U 2017-02-09 2017-02-09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 KR200486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68U KR200486516Y1 (ko) 2017-02-09 2017-02-09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668U KR200486516Y1 (ko) 2017-02-09 2017-02-09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516Y1 true KR200486516Y1 (ko) 2018-05-31

Family

ID=6229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668U KR200486516Y1 (ko) 2017-02-09 2017-02-09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1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76B1 (ko) 2003-06-10 2003-09-13 이병곤 금고
KR200387672Y1 (ko) * 2005-03-18 2005-06-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고용 이중도어
KR20130058467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선일 금고
KR101447849B1 (ko) 2014-03-03 2014-10-13 김명철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76B1 (ko) 2003-06-10 2003-09-13 이병곤 금고
KR200387672Y1 (ko) * 2005-03-18 2005-06-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고용 이중도어
KR20130058467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선일 금고
KR101447849B1 (ko) 2014-03-03 2014-10-13 김명철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9239B1 (en) Safety cov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US9717335B2 (en) Drawer stop mechanism for sliding drawer
KR200486516Y1 (ko) 금고 도어의 외장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금고
GB2508986A (en) A restrictor with a flexible cable
KR101447849B1 (ko) 금고 및 그의 제조방법
US4595115A (en) Hidden panel connector
US998160A (en) Locket.
CN220055918U (zh) 一种分门内隐藏按钮操纵箱
KR101962078B1 (ko) 강화된 경첩부를 갖는 사물함
JPH0947342A (ja)
KR20110045116A (ko)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KR20030013637A (ko) 틸팅형 드럼세탁기의 캐비닛 커버와 톱플레이트 설치 구조
KR200496567Y1 (ko) 도어에 단차부를 포함하는 금고
KR20030044524A (ko) 신발장
KR20000037720A (ko) 전자동 세탁기의 리드구조
KR200404172Y1 (ko) 컨트롤 패널이 개폐되는 성인오락기 케이스
CN217709999U (zh) 一种洗衣机
JP7229490B1 (ja) 防犯装置
JP2001049971A (ja) 物置用ドア
CN109725677B (zh) 触摸显示器
KR890005017Y1 (ko) 냉장고의 하부판
CN214855413U (zh) 一种密码开锁的智能橱柜
JP3210946U (ja) 収納体の施錠構造及び収納体
KR102196433B1 (ko) 끼임 방지 문 및 그 문틀
CN207374248U (zh) 一种新型汽车储物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