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30Y1 -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30Y1
KR200486330Y1 KR2020170003365U KR20170003365U KR200486330Y1 KR 200486330 Y1 KR200486330 Y1 KR 200486330Y1 KR 2020170003365 U KR2020170003365 U KR 2020170003365U KR 20170003365 U KR20170003365 U KR 20170003365U KR 200486330 Y1 KR200486330 Y1 KR 200486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support portion
vertical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학
Original Assignee
정연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학 filed Critical 정연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높낮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수평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활죽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활죽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MULTIPURPOSE SUPPORT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AGRICULTURE FACILIYT}
본 고안은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설치 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조의 변형을 통해 각종 작물의 재배시설, 소형 비닐하우스시설, 인삼재배시설 및 차광시설 등의 농업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지주로 사용할 수 있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는 각종 작물의 재배 및 건조를 위해 차광시설, 소형 비닐하우스시설, 인삼재배시설, 건조시설 등의 다양한 농업시설물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농업시설물은 기본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주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종래의 농업시설물에 사용되는 지주는 해당 작물의 재배 및 건조에 최적화되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작물의 재배를 위한 농업시설물에 적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지주는 고추 및 오이 등의 채소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농업시설물 또는 딸기, 포도 및 토마토 등의 과일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농업시설물 또는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농업시설물 또는 각종 작물이나 생선을 건조하기 위한 농업시설물에 최적화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각종 작물의 재배 또는 건조를 위한 차광시설, 소형 비닐하우스시설, 인삼재배시설 및 건조시설 등의 농업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지주를 사용해야 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9633호(등록일자: 2003년09월30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513호(등록일자:2011년12월16일)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설치 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조의 변형을 통해 각종 작물의 재배시설, 소형 비닐하우스시설, 인삼재배시설 및 차광시설 등의 농업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지주로 사용할 수 있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높낮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수평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활죽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활죽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부 표면에 높낮이 조절핀이 삽입되는 하나의 위치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낮이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부재는 상기 높낮이 조절핀에 의해 상기 제1 수직부재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평부재의 단부 표면에 간격 조절핀이 삽입되는 하나의 위치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격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수평부재는 상기 간격 조절핀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연결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 사이에 끈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대는, 상기 활죽고정부에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는, 외부로부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약제 또는 물과 약제가 혼합된 혼압액을 작물에 연무 또는 분무 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액체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분사장치는,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스프링쿨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는, 표면에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지주장치의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로 끈을 통과시켜 설치하기 위한 끈 통과공을 포함하며, 상기 끈 통과공에 설치되는 끈 위에는 차광막 또는 비닐이 덮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끈 통과공은,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끈 통과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직부재에는, 상기 수직지지부를 말뚝이나 고정팩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높낮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2 연결부; 및 상기 제1,2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부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연결부는, 표면에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지주장치의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해 끈을 통과시켜 고정하기 위한 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는, 표면에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지주장치의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로 끈을 통과시켜 설치하기 위한 끈 통과공을 포함하며, 상기 끈 통과공에 설치되는 끈 위에는 차광막 또는 비닐이 덮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끈 통과공은,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끈 통과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직부재에는, 상기 수직지지부를 말뚝이나 고정팩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하우스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끈 통과공이 형성되는 지주 본체; 및 상기 지주 본체의 자립이 가능하도록 지주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말뚝이나 고정팩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받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농업시설물의 설치 시 해당 작물에 따라 지면에 다수를 배치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세팅이 완료됨으로써, 설치가 간편할 수 있고, 수직지지부에 마련된 ‘⊥’형상의 제1 수직부재에 의해 설치 후 별도의 고정 없이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직지지부의 높낮이 조절, 수평지지부의 간격 조절, 활죽고정부에 활죽을 고정하여 수평지지부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배치하는 구조 변경을 통해 각종 작물의 재배시설, 소형 비닐하우스시설, 인삼재배시설 및 차광시설 등의 농업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다양한 용도의 지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지주장치의 구조 변경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목적 지주장치에 비닐 또는 차광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지주장치의 구조 변경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10)와, 제1,2 연결부(20, 22)와, 수평지지부(30)와, 그리고 활죽고정부(40)를 포함한다.
수직지지부(10)는 다목적 지주장치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제1 수직부재(12)와, 그리고 제2 수직부재(14)를 포함한다.
제1 수직부재(12)는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수직부재(12)는 상부 표면에 하나의 위치결정공(13)이 형성된다. 위치결정공(13)에는 후술하는 제2 수직부재(14)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높낮이 조절핀(16)이 삽입된다.
제2 수직부재(14)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제1 수직부재(12)의 상부에 수직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수직부재(14)는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낮이 조절공(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10)는 위치결정공(13) 및 높낮이 조절공(15)으로 삽입되는 높낮이 조절핀(16)에 의해 제2 수직부재(14)가 제1 수직부재(12)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2 연결부(20, 22)는 수직지지부(10)에 마련된 제2 수직부재(14)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즉, 제1,2 연결부(20, 22)는 대략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2 연결부(20, 22)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1,2 연결부(20, 22)는 표면에 끈을 통과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끈 고정부(24)가 형성된다. 이때, 끈 고정부(24)는 제1,2 연결부(20, 22)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수평지지부(30)는 다목적 지주장치의 상부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제1 수평부재(32)와, 그리고 제2 수평부재(34)를 포함한다.
제1 수평부재(32)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제1 연결부(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수평부재(32)는 단부 표면에 하나의 위치결정공(33)이 형성된다. 위치결정공(33)에는 수직지지부(10)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해 간격 조절핀(36)이 삽입된다.
제2 수평부재(34)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제1 수평부재(32)와 제2 연결부(22)에 결합된다. 즉, 제2 수평부재(34)는 그 양단부가 제1 수평부재(32)와 제2 연결부(22)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수평부재(34)는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격 조절공(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지지부는 위치결정공(33) 및 간격 조절공(35)으로 삽입되는 간격 조절핀(36)에 의해 수직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활죽고정부(40)는 수직지지부(10)에 마련된 제2 수직부재(14)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즉, 활죽고정부(4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제2 수직부재(14)에 용접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러한 활죽고정부(40)는 활죽(42)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활죽(42)은 그 양단부가 활죽고정부(4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수평지지부(30)의 상부에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골조를 형성하도록 아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활죽(42)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금속, 대나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다목적 지주장치는 각종 농업시설물의 설치 시 해당 작물에 따라 구조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10)의 높낮이 조절구조와 수평지지부(30)에 의한 수직지지부(10)의 간격 조절구조를 통해 해당 작물의 재배 및 건조에 필요한 높낮이와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30)의 상부에 활죽(42)을 아치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활죽(42)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지지부(10)를 서로 다른 높낮이로 세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지지부(30)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를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수직지지부(10)의 높낮이와 수평지지부(30)의 간격을 조절하고, 제1,2 연결부(20, 22)에 마련된 끈 고정부(24)에 끈(1)을 고정하여 다수의 지주장치를 서로 연결하고 지주장치의 양측에서 말뚝(2)을 매개로 고정한 후 그 위에 차광막(3)을 설치함으로써, 각종 채소의 모종, 육묘 등의 재배시설의 설치를 위한 지주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죽고정부(40)에 활죽(42)을 설치하여 수평지지부(30)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배치하고 활죽(42) 위에 비닐(4)을 설치함으로써, 소형 비닐하우스시설의 설치를 위한 지주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지지부(10)를 서로 다른 높낮이로 세팅하고 그 위에 차광막(3)을 설치함으로써, 인삼재배시설의 설치를 위한 지주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다목적 지주장치는 수직지지부(10)의 높낮이 조절, 수평지지부(30)의 간격 조절, 활죽(42)의 배치를 통해 설정된 상태로 세팅한 후 그 위에 차광막(3)이나 비닐(4)을 설치함으로써, 각종 작물, 생선 및 기타 건조물의 건조시설의 설치를 위한 지주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각종 농업시설물의 설치 시 해당 작물에 따라 지면에 다수를 배치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세팅이 완료됨으로써, 설치가 간편할 수 있고, 수직지지부(10)에 마련된 ‘⊥’형상의 제1 수직부재(12)에 의해 지면에 설치 후 별도의 고정 없이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수직지지부(10)의 높낮이 조절, 수평지지부(30)의 간격 조절, 활죽고정부(40)에 활죽(42)을 고정하여 수평지지부(30)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배치하는 구조 변경을 통해 각종 작물의 재배시설, 소형 비닐하우스시설, 인삼재배시설 및 차광시설 등의 농업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다양한 용도의 지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30)에 작물을 향하여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액체분사장치(5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지지부(30)를 구성하는 제1 수평부재(32) 및 제2 수평부재(34)에 물 또는 약제 또는 물과 약제과 혼합된 혼합액을 작물에 연무 방식 또는 분무 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는 액체분사장치(50)가 설치된다. 이때, 액체분사장치(50)는 다수가 제1 수평부재(32) 및 제2 수평부재(34)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액체분사장치(50)는 물 저장탱크 또는 약제 저장탱크 또는 물과 약제과 혼합된 혼합액 저장탱크와 공급호스(52)를 매개로 연결되는 공지된 분사장치, 연무장치, 스프링쿨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체분사장치(50)는 모터에 의해 물 저장탱크 또는 약제 저장탱크 또는 물과 약제가 혼합된 혼합액 저장탱크에서 공급호스(52)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를 작물에 연무 방식 또는 분무 방식으로 분사하여 공급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수평지지부(30)에 액체분사장치(50)를 설치하여 물 또는 약제 또는 물과 약제가 혼합된 액체를 작물에 연무 방식 또는 분무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목적 지주장치에 비닐 또는 차광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에 끈(1)을 통과시켜 설치할 수 있는 끈 통과공(18, 38)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는 주변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지주장치의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로 끈(1)을 통과시켜 설치하기 위한 끈 통과공(18, 38)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끈 통과공(18, 38)은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끈 통과공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끈(1)은 지주장치가 하우스 구조물을 구축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지주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는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의 끈 통과공(18, 38)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끈 통과공(18, 38)에 설치되는 끈(1) 위에 차광막(3) 또는 비닐(4)이 덮여지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하우스 구조물의 구축 시 차광막(3) 또는 비닐(4)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지지부(10)를 구성하는 제1 수직부재(12)의 하부에는 말뚝이나 고정팩이 통과되기 위한 고정공(1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공(19)을 통해 설치되는 말뚝이나 고정팩에 의해 수직지지부(1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에 형성되는 끈 통과공(18, 38)으로 끈(1)을 통과시켜 차광막(3) 또는 비닐(4)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제1 수직부재(12)의 고정공(19)을 통해 말뚝이나 고정팩을 설치하여 수직지지부(1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30)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수평지지부(30)는 전술한 제1 수평부재(32)와 제2 수평부재(34)로 분리 구성되지 않고 아치 형상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제1,2 연결부(20, 2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구조와 달리, 수평지지부(30)의 양단부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수평지지부(30)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지지부(30)는 아치 형상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수직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는 없으나, 활죽(42)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활죽고정부(40) 및 활죽(42)이 없는 상태에서도 상태에서도 소형 비닐하우스 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수평지지부(30)를 아치 형상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활죽고정부(40) 및 활죽(42)이 없는 상태에서도 소형 비닐하우스 시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축 가능하면서도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5 실시예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지주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가 하나의 강관에 의해 벤딩되는 일체형 구조의 지주 본체(100)로 형성된다.
지주 본체(100)는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다른 지주 본체(100)에 대해 끈(1)을 통과시켜 설치하기 위한 끈 통과공(102)이 형성된다. 이때, 끈 통과공(102)은 지주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끈(1)의 양단부는 지주 본체(100)가 하우스 구조물을 구축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지주 본체(100)의 끈 통과공(102)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끈 통과공(102)에 설치되는 끈(1) 위에 차광막(3) 또는 비닐(4)이 덮여지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하우스 구조물의 구축 시 차광막(3) 또는 비닐(4)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주 본체(100)는 그 하부에 받침지지부(110)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지주 본체(100)는 받침지지부(110)의 지지구조에 따라 지면에 설치 시 자립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받침지지부(110)에는 말뚝이나 고정팩이 통과되기 위한 고정공(1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공(112)을 통해 설치되는 말뚝이나 고정팩에 의해 지주 본체(10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는, 수직지지부(10)와 수평지지부(30)가 분리 형성되어 상호 조립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강관에 의해 벤딩되어 형성되는 지주 본체(100)로 형성됨으로써 소형 비닐하우스 시설의 구축 시 신속성과 용이성을 도모하면서도 일체형 구조에 의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수직지지부
12: 제1 수직부재 13: 위치결정공
14: 제2 수직부재 15: 높낮이 조절공
16: 높낮이 조절핀 18: 끈 통과공
19: 고정공
20, 22: 제1,2 연결부
24: 끈 고정부
30: 수평지지부
32: 제1 수평부재 33: 위치결정공
34: 제2 수평부재 35: 간격 조절공
36: 간격 조절핀 38: 끈 통과공
40: 활죽고정부
42: 활죽
50: 액체분사장치

Claims (16)

  1.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높낮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부;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표면에 끈을 통과시켜 고정하도록 구멍으로 형성되는 끈 고정부가 마련되는 제1,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수평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활죽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활죽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죽고정부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부재에 용접을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활죽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금속, 대나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활죽고정부에 양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의 상부에 아치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부 표면에 높낮이 조절핀이 삽입되는 하나의 위치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부재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낮이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부재는 상기 높낮이 조절핀에 의해 상기 제1 수직부재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평부재의 단부 표면에 간격 조절핀이 삽입되는 하나의 위치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간격 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수평부재는 상기 간격 조절핀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외부로부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약제 또는 물과 약제가 혼합된 혼압액을 작물에 연무 또는 분무 방식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액체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분사장치는,
    상기 제1 수평부재 및 제2 수평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스프링쿨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는,
    표면에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지주장치의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로 끈을 통과시켜 설치하기 위한 끈 통과공을 포함하며,
    상기 끈 통과공에 설치되는 끈 위에는 차광막 또는 비닐이 덮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끈 통과공은,
    상기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끈 통과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재에는,
    상기 수직지지부를 말뚝이나 고정팩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20170003365U 2016-11-24 2017-06-28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KR2004863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34 2016-11-24
KR20160006834 2016-11-24
KR2020170000823 2017-02-17
KR20170000823 2017-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30Y1 true KR200486330Y1 (ko) 2018-05-03

Family

ID=6216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65U KR200486330Y1 (ko) 2016-11-24 2017-06-28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71A (ko) * 2020-06-30 2022-01-06 (주)이에스알산업 지주대 체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633Y1 (ko) 2003-07-04 2003-10-10 성무경 농업용 다용도 지주
KR20040057513A (ko)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JP2005211000A (ja) * 2004-01-30 2005-08-11 Sekisui House Ltd プランター設置用フレーム
KR200392441Y1 (ko) * 2005-05-24 2005-08-17 김옥기 포도재배용 비닐하우스용 지주대 구조
KR101391485B1 (ko) * 2012-09-28 2014-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레임 조립체
KR101495727B1 (ko) * 2012-07-31 2015-02-25 안기풍 비닐하우스 프레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513A (ko)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329633Y1 (ko) 2003-07-04 2003-10-10 성무경 농업용 다용도 지주
JP2005211000A (ja) * 2004-01-30 2005-08-11 Sekisui House Ltd プランター設置用フレーム
KR200392441Y1 (ko) * 2005-05-24 2005-08-17 김옥기 포도재배용 비닐하우스용 지주대 구조
KR101495727B1 (ko) * 2012-07-31 2015-02-25 안기풍 비닐하우스 프레임 장치
KR101391485B1 (ko) * 2012-09-28 2014-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레임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71A (ko) * 2020-06-30 2022-01-06 (주)이에스알산업 지주대 체결구
KR102466190B1 (ko) 2020-06-30 2022-11-14 (주)이에스알산업 지주대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653A (en) Plant watering and feeding support system
US7017299B1 (en) Gardening cage apparatus and system
KR101271600B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JP4381429B2 (ja) 枝状部材を具える打ち込み式支柱装置及び枝状部材を具える支柱の立設工法
KR200486330Y1 (ko) 농업시설물 설치용 다목적 지주장치
US7533491B2 (en) Garden bed assembly and extensions therefor
CN104186246A (zh) 一种用于葡萄栽培的简易大棚
JP6458753B2 (ja) 縦型植物栽培機構および縦型植物栽培装置
JP2009142168A (ja) 液体散布装置
KR101780467B1 (ko) 농작물 지지대
KR20190005411A (ko) 빗살형 프레임과 섬유베드를 활용한 수경 재배대
KR102129109B1 (ko) 조립형 재배장치
KR200466260Y1 (ko) 다용도 농작물 지주대
JP3196472U (ja) 雑草防止シート
KR200487596Y1 (ko) 딸기 고설재배용 가대
KR20150121811A (ko) 딸기용 고설 재배대
KR101785550B1 (ko) 식물 재배기
KR20140053593A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JP2007151402A (ja) 支柱保持具
KR101416587B1 (ko) 식물의 고설 재배장치
JPH03259020A (ja) イチゴの栽培方法
WO2013040566A2 (en) Universal plant support system
KR200480429Y1 (ko) 수경재배시설용 베드 지주구조물
KR20160002289A (ko) 고설 재배상의 지주 받침대
KR102087604B1 (ko) 작물 재배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