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40Y1 -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40Y1
KR200486240Y1 KR2020170004516U KR20170004516U KR200486240Y1 KR 200486240 Y1 KR200486240 Y1 KR 200486240Y1 KR 2020170004516 U KR2020170004516 U KR 2020170004516U KR 20170004516 U KR20170004516 U KR 20170004516U KR 200486240 Y1 KR200486240 Y1 KR 200486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elay switch
switch
alarm signal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찬중
Original Assignee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4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4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3/00Apparatus or methods for mixing clay with othe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5Non-ceramic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고, 우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찹쌀가루액 공급통을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 절단하는 칼날부를 절단부와 수직 절단된 왕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상기 황토와 우모와 폴리머와 볏짚 및 왕겨를 믹싱하는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믹싱후 틀에 고정시켜 황토패널을 제작하며, 특히 수직 절개한 왕겨를 혼합하여 수분함유율을 극대화시킴으로서 소음저검 및 습도조절에 최적화된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oess panel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and a loess pane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ess for providing a loess, a hopper for providing a loess, And a mixer for mixing the loess and the rice, the rice, the rice straw and the rice husk, and then the mixture is mixed and fixed to th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yellow clay panel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loess panel and, in particular, by mixing vertical hacked rice hulls to maximize the water content, thereby providing a loess panel optimized for noise reduction and humidity control. To a yellow clay panel produced by the method.

Description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oess panel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본 고안은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고, 우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찹쌀가루액 공급통을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 절단하는 칼날부를 절단부와 수직 절단된 왕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상기 황토와 우모와 폴리머와 볏짚 및 왕겨를 믹싱하는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믹싱후 틀에 고정시켜 황토패널을 제작하며, 특히 수직 절개한 왕겨를 혼합하여 수분함유율을 극대화시킴으로서 소음저검 및 습도조절에 최적화된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loess panel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anufacturing a loess panel having a hopper for providing a loess, a hopper for providing a worm, and a glutinous rice powder feeder, And a mixer for mixing the yellow soil, the wool and the polymer, and the rice straw and the rice hull to prepare a yellow soil panel by mixing and then fixing the blended soil to a mo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oess panel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loess panel optimized for noise reduction and humidity control by maximizing the water content by mixing rice husks.

통상 건축ㆍ토목재료(흙, 모래, 자갈, 시멘트, 기타 인조석 등) 및 그 표면마감재 즉, 마감용 모르타르(흙, 모래, 시멘트 등의 재료를 물과 함께 혼합한 상태 또는 타일, 벽돌 등과 같이 굳혀 일정규격과 모양으로 성형된 상태 등)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각종 구조물은 그 구조물이 가져야 하는 견고성, 내구성, 보온성, 강도, 경도, 접착력 등과 같은 기능을 위한 목적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는 실정에 있다.(Soil, sand, cement, etc.) are mixed together with water or hardened like tiles or bricks, or the like, in general,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materials (soil, sand, gravel, cement and other artificial stone) Various shapes of structures to be constructed using a certain standard and shape, etc. have no other function except for functions such as rigidity, durability, warmth, strength, hardness, and adhesion which the structure has to have .

그러나, 최근 가구당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주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점차 주택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은 주택의 기본적인 주거기능만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보다 특별하고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뿐 아니라, 오염되고 열악한 도심의 환경에서도 늘 자연의 숲속과 같은 쾌적한 환경을 원하는 실정에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여 이제는 각종 건축ㆍ토목 구조물 시공시에도 이에 부응하여 각 건설업체에서는 각종자재의 고급화와 다양한 시공방법의 개발 등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각종 건설신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 있고, 내장 마감분야의 일부인 표면마감재분야 역시 예외가 아니며, 아울러 각 건축업체간 차별화된 전략과 그에 상응하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더욱 그러하다.However, a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household income per household, the housing market is gradually becom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in response to the construction of various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each construction company has developed various materials and developed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Various new construc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Surface finishing materials, which are part of the built-in finishing field, are no exception. In addition, to create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corresponding high added value It is true.

이와 같은 표면마감재분야의 전통적인 선행기술로는 강도와 편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시멘트 모르타르가 주로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알카리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이로부터 일반적으로 시멘트독이라고 통칭되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성분이 많이 발산되고, 지나치게 조밀한 시멘트 입자에 의하여 공기를 유통시키지 못함으로써 통기가 불량하고 습도가 높아지며 실내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conventional prior art in the field of surface finishing materials, cement mortar has been mainly used in consideration of strength, convenience, and economy. In the case of such a cement mortar, a large amount of an alkaline component is contained therein, And the air is not circulated by the excessively dense cement particle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ntilation is poor, the humidity is high, and bacteria or fungi propagate in the room.

즉,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벽에 설치되거나 각 방을 구분하는 벽체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벽돌 등으로 시공되고, 이러한, 콘크리트 벽체는 발포 폴리스틸렌 폼, 기포 콘크리트, 릭스폴 콘크리트 등의 단열층을 형성하고, 그 단열층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나 발포 폴리스틸렌 폼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나 마감 모르타르 등의 완충층을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암면이나 유리면 등의 단열층과 석고보드 등의 방음재를 추가하여 구성하는바, 종래의 콘크리트 벽체는 차폐성이 우수한 반면에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으며, 발포 폴리스틸렌폼이나 콘크리트 등에서 지속적으로 유해물질이 발산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generally, the wall that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or that divides each room is constructed of a concrete made of concrete or a mixture of cement and sand, etc., and the concrete wall forms a heat insulating layer such as foamed polystyrene foam, air- A buffer layer such as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 foamed polystyrene foam, a polyethylene film or a finished mortar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a sound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rock surface or a glass surface and a sound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gypsum board are further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not smoothly circulated while the shielding property is excellent and harmful substances are continuously emitted from foamed polystyrene foam or concrete and adversely affect the human body.

그리고, 콘크리트의 단열성이 낮음으로 인하여 추가되는 단열층으로 발포 폴리스틸렌 폼이나 완충층의 폴리에틸렌 필름은 열에 취약한 바, 연소시 유독가스를 유발하여 인명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건축물 철거시에는 발포 폴리스틸렌 폼, 폴리에틸렌 필름, 콘크리트, 암면, 유리면 등의 폐기물의 처리가 곤란한 바,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amed polystyrene foam or the buffered polyethylene film is vulnerable to heat due to the low heat insulating property of the concrete, the foamed polystyrene foam or the buffering layer is vulnerable to heat, causing poisonous gas during combustion and causing loss of life. It is difficult to treat wastes such as foam, polyethylene film, concrete, rock wool, and glass wool, thereby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한편,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황토를 내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황토 미장재와 및 황토미장법 등이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시되었는데, 주로 황토의 주성분이 갖는 성질과 물질적 특징, 즉 낯은 친화성의 항상, 건조시나타나는 수축 균열의 보완, 강도의 항상 등을 목적으로 제시되었으며, 그 방법은 별도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취약한 친화성과 강도를 보상하는 방법과 함께 미장법의 개선 등을 통하여 황토가 갖는 물질적 구조 문제를 보완하여 건축용 미장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To overcome these drawbacks,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various ways for the use of clay loam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such as various clay loam materials and loess clay loam methods. Mostly, the proper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in loam loam, Shinatana has bee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ation of shrinkage cracks and strength, and the method is to add a separate additive to compensate for weak affinity and strength, So that it can be used as a plaster for architectural use.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공개번호 2001-0099082호에 소개된 "황토 미장재"는 자연황토에 종이섬유와 분쇄왕겨를 일정비율로 배합한 황토 미장재로 제조하여 미장 작업과 응고에서 황토의 균열을 방지하고 황토의 강도를 높히도록 한 것이나, 종이와 왕겨로 되는 첨가물이 황토와 혼합될 때 재료들의 친화성이 떨어져 만족할만한 미장재를 얻을 수 없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99082 entitled "Loess Plaster" is made of a loess material of natural loess mixed with paper fibers and pulverized rice husk at a certain ratio, And the strength of the loess is increased. However, when the additive which is made of paper and rice husk is mixed with the loess, the affinity of the materials is degraded and satisfactory finishing materials can not be obtained.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383566호의 "소성황토를 포함하는 미장재"는 시멘트, 콘크리트 건물의 접착면에서 황토의 이탈, 박리, 균열, 강도문제를 해결하고, 손쉽게 시멘트, 콘크리트 건물 표면에 황토 미장을 할수 있게 한 것으로, 1100℃ ~ 1200℃ 온도에서 5 ~ 8시간 소성한 황토분말 35중량% ~ 50중량%, 250 ~ 300mesh생석회 10 ~ 20중량%, 250 ~ 300mesh 아크릴수지 또는 멜라민수지 분말 5중량%, 제올라이트, 맥반석 또는 게르마늄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 5 ~ 25중량%을 혼합, 교반하여 소성황토를 포함하는 미장재로 만들어진 것이나, 아크릴,멜라민 수지를 첨가물로 사용함으로서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문제로 되었다."Finishing materials containing sintered loess"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83566 solves the problems of separation, peeling, cracking and strength of loess on the adhesion surface of cement and concrete buildings, and easily handles ocher stains on cement and concrete building surfaces. 35 to 50% by weight of loess powder calcined at 1100 to 1200 ° C for 5 to 8 hours, 10 to 20% by weight of 250 to 300 mesh quicklime, 250 to 300mesh of acrylic resin or 5% by weight of melamine resin powder, , Zeolite, elvan or germanium,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and 5 to 25% by weight of the mixture are mixed and stirred to produce a plaster containing the calcined loess, or an acrylic or melamine resin as an additive. .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470079호의 "균열방지를 위한 황토미장방법"의 기술은, 황토에 특정 물질과 구조체를 적용하여 벽구조물에 대한 미장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시멘트로 미장된 벽면에 황토모르타르를 미장하였을 때 벽면에 생기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시된 것이다. 이 기술은 황토미장재를 벽면에 먼저 도포하고 그 위에 화이버글라스매트를 덮은 다음 다시 황토미장재를 도포하여 화이버글라스매트를 매설함으로써 황토미장재의 균열을 방지하는 것이었다.The technique of "Horticulture for preventing cracks"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470079 is to apply a specific substance and a structure to the loess soil so that the wall structure can be plastered, And to prevent the cracks on the wall when they are used. The technique was to prevent the cracking of the clay loam by first applying the clay loam on the wall, then covering the fiberglass mat on it, and then applying the loam clay to the fiberglass mat.

또한, 종래의 황토를 이용한 패널 제조방법으로는 황토와 톱밥을 풀로 반죽하여 흙패널을 찍어내는 방법 (특2001-0007954), 황토, 옥, 맥반석, 대나무숯 등을 분말로 제조하여 석회, 굴패각, 느릅나무 추출액을 가하여 흙패널을 제작하는 방법(특2001-0069281), 황토, 볏짚을 원료로 성형하여 건조시키는 방법(특1999-0049674), 황토에 소금, 숯 및 도박접착제, 해초, 약초를 첨가하고 성형하는 방법(특2000-0033318), 황토, 참숯가루, 짚을 원료로한 황토패널을 성형하는 방법(특2000-0073333), 알칼리성 정제수를 만들고 난 황토에 석회분말, 마직포, 참숯가루를 첨가하여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특2000-0012566), 황토분말에 해초를 넣은 황토패널을 제조하는 방법(특1999-0085569),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약쑥, 당귀로부터 얻은 엑기스에 황토, 삼, 솔잎, 볏짚을 가미하여 황토타일, 몰탈, 패널, 구들을 제조하는 방법(특2001-0083811), 7가지의 복층구조를 갖는 건강주택시공방법 (10-2001-0025367) 등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 methods for producing panels using yellow clay include a method of kneading yellow clay and sawdust with a paste to form a dirt panel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0007954), a method of producing yellow clay, jade, elvan, bamboo charcoal, (2001-0069281), a method of forming loess and rice straw into raw materials and drying it (1999-0049674), adding salt, charcoal and gum adhesive, seaweed and herb to the loess (2000-0033318), a method of forming a yellow clay panel made of yellow loam, charcoal powder and straw as raw material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0-0073333), adding lime powder, hemp cloth, charcoal powder to the loess soil made of alkaline purified water (2000-0012566), a method for producing a loess panel containing seaweed on loess powd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999-0085569), extracts from elm bark, pine root, Pine tile with pine needles and rice straw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rtar, a panel, and a spher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083811), a method of constructing a health house having seven multi-layered structures (10-2001-0025367), and the like.

위의 개시된 방법들은 황토와 천연재료를 이용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하고 있으며, 시공방법 또한 나름대로의 창의성을 갖고 있다.The above-mentioned methods show various methods using loess and natural materials,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has its own creativit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황토 공급용 호퍼와 우모 공급용 호퍼와 찹쌀가루액 공급통과, 볏짚 공급용 호퍼를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공하는 호퍼를 구비한후, 이들을 혼합할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합토를 일정한 틀에 삽입후 자연건조하여 제작함으로서 소음 저감능력이 뛰어나고 동시에 습도 조절능력이 뛰어난 자연 친환경적인 황토패널을 제작토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tting device for vertically cutting rice husks, a hopper for feeding loess, a feed hopper for feeding a glutinous rice, a hopper for feeding a rice straw, The hopper is provided with a hopper for providing a cut rice hull, and a mixer for mixing the hopper is provided to form a blended soot. The blended soot is inserted into a certain frame and dried naturally, thereby being excellent in noise reduction capabi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construct a green loam pan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황토패널을 제작하기 위해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오픈된 다격형통 형태의 형틀과; 상기 형틀을 자동으로 운반하여 황토반죽 공급지점에서 황토반죽을 담고 다시 건조시킬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일단에 설치하되 황토반죽이 공급되는 시점에서 형틀에 진동을 제공하여 황토반죽이 형틀에 고르게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진공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일단에 설치되며 형틀의 위치를 파악하여 진공수단에 작동명령을 출력하기 위한 센서 및 제어부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황토를 제공하기 위한 황토 제공용 호퍼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우모를 제공하기 위한 우모 제공용 호퍼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볏짚을 제공하기 위한 볏집 제공용 호퍼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왕겨를 수직 절단하기 위한 왕겨 수직 절단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수직 절단된 왕겨를 수납하여 제공하기 위한 왕겨 제공용 호퍼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황토를 혼합하기 위한 찹쌀가루액을 제공하는 찹쌀가루액 공급통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왕토 제공용 호퍼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우모 제공용 호퍼로부터 우모를 제공받으며, 볏짚 제고용 호퍼로부터 볏짚을 제공받고, 왕겨 제공용 호퍼로부터 왕겨를 제공받고 찹쌀가루액 공급통으로부터 찹쌀가루액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형틀에 황토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yellow clay panel, comprising the steps of: A conveyor for automatically conveying the mold and moving the loess dough from the loess dough feed point to a point where it is dried again; A vacuum mean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veyor to provide vibration to the mold at a time when the loess dough is supplied to guide the loess dough to be evenly placed on the mold; A sensor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vey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ld and out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vacuum means; A hopp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veyor and provided with a loess for providing loess; A hopper-providing hopp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veyor for providing a moth; A hopp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veyor for providing rice straw; A rice hog vertical cutting mean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veyor for cutting the rice hog vertically; A hopper for supplying a rice husk to the upper end of the conveyor for receiving and vertically cutting the rice husk; A glutinous rice flour liquid supply passag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veyor and providing a glutinous rice flour solution for mixing yellow loess; A rice straw is provided from the hopper provided with rice straw, a rice husk is provided from the hopper for supplying the rice husk, and the rice husk powder is supplied from the hopper for providing rice husk, And a mixer for mixing glutinous rice flour from the feeder and mixing the flour and then discharging the loamy dough to the flask.

또한, 상기 왕겨 절단장치는 황토분말과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세워진 상태에서 수직 가로방향 및 수직 세로방향으로 다수회 절단하여 4분할 이상의 분할면이 생성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rice hack cutting apparatus is configured such that a divided surface of four or more segments is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times in a vertical transverse direction and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rice hull cutting apparatus is vertically long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maximize an area contacted with the loess powder.

또한, 상기 왕겨 절단장치는 하부 모터와 상부 수직날개와 이들을 보호하고 왕겨를 삽입하는 원통형 하우징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수직날개는 다수개의 틈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틈에 칼날을 부착하며, 상기 틈으로 왕겨가 통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rice hull cutting apparatus includes a lower motor, an upper vertical blade, and a cylindrical housing that protects the lower motor and the rice husk, and the upper vertical blade forms a plurality of gap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assing the rice husk through the ga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황토 공급용 호퍼와 우모 공급용 호퍼와 찹쌀가루액 공급통과 볏짚 공급용 호퍼를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공하는 호퍼를 구비한후, 이들을 혼합할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합토를 일정한 틀에 삽입후 자연건조하여 제작함으로서 소음 저감능력이 뛰어나고 동시에 습도 조절능력이 뛰어난 자연 친환경적인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pper for feeding a loess, a hopper for feeding a wool, and a hopper for feeding a rice straw feedstock through which a rice flour is supplied, wherein the hopper is provided with a cutting device for vertically cutting rice husks, Which is excellent in noise abatement ability and at the same time, is capable of providing a natural environmentally friendly yellow clay panel by providing a mixer for mixing them and forming a blasted soil, inserting the blended soil into a certain frame, .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칼날부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apparatus construction view for producing a vertically cut rice hu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vice cross-sectional view for making a vertically cut rice hu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of a blade section for manufacturing the vertically cut rice hu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n alarm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diagram of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utomatic circui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whole desig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added components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appropriate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ve concept in a more effective mann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고안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Fig. 2 is an apparatus construction view for producing a vertically cut rice hu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고안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단면도.3 is a device cross-sectional view for making a vertically cut rice hus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칼날부 구성도.Fig. 4 is a view of a blade section for manufacturing the vertically cut rice hu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n alarm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of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8은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utomatic circui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황토는 인류의 4대 문명의 발상지가 동일하게 황토지역으로 알려진바 와같이 인류가 필요한 조건 하에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황토가 생태계에 기여하 는 역할이 지대하다는 것은 미루어 짐작할만하다. 현금(現今)에도 해양적조현상에 황토를 투입하여 적조현상의 학산을 저지하고 있으며 또한 황폐된 논(沓)에도 객토라 하여 황토를 주입하여 논의 지질을 교정하고있다. 옛날 우리나라의 솥걸이 부뚜막의 황토는 복룡간(伏龍肝)이라 하여 부인병, 중풍, 설사, 이질, 소나 말에 옴이나 종기가난 곳에 의료용으로 이용한 사실은 의서인 한약집성방, 동의보감등에 기술되어있다. 또한 산삼과 송이버섯은 황토땅이 아니면 자라지 않는다. 이러한 생기를 갖는 황토를 우리 선조들은 적절하게 잘 이용해왔다.The loess can recognize that the birthplace of the four major civilizations of mankind was under the necessary conditions of mankind, as is also known as the loess area. It is conjectured that the role of loess in the ecosystem is large. In cash (nowadays), it is putting yellow soil into the ocean red tide phenomenon to block the tide of red tide phenomenon. In the past, the loess of the Korean pottery cooktop was described as a female oriental herb, called paralysis, paralysis, diarrhea, dysentery, and the use of herbs for medical purposes in the end of the boar. Also, wild ginseng and pine mushroom do not grow unless they are in the soil of yellow soil. Our ancestors have appropriately used this loess of loess.

황토는 습도가 높을 때 습기를 흡수해주고 건조할 시에는 습기 발산을 함으로써 사용자 주변의 습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해 주는 기능을 가지며, 음식냄새, 담배냄새 등 기타 유해한 냄새를 신속히 흡수함으로써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곰팡이 및 인체에 유해한 각종 균류의 서식을 방지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강알칼리성분을 흡수하며 중화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다.Hwangtoe absorbs moisture when humidity is high, and when it is dry, it emits moisture and automatically adjusts humidity around the user. It absorbs food odor, tobacco smell and other harmful smell promptly, , Fungi and various fungi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has a function of absorbing and neutralizing the strong alkali component which is harmful to human body.

또한,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이 살아 숨 쉬면서 주변 환경을 정화시켜 줌과 동시에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생육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In addition, loess is a beneficial microorganism living in the human body, living environment, while cleansing, while promoting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body, promote metabolism, activate the cell function and promote the growth of the far-infrared radiation that acts It is known that there is an effect.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황토의 결정구조 및 형상의 분류는 카올린 광물에 근접한다. 카올린광물은 점토광물을 대표하는 광물로써 황토의 주요성분 광물로 황토속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주된 카올린 광물은 고령토라 불리는 카올린(Kaolin)이다. 우리나라 카올린은 거의 모두 할로이사이트(halloysite)로 되어있으며, 대부분 관상(管狀) 결정체로 되어있다. 황토는 고령토층의 표토로서 Fe2O3 를 7∼15% 정도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색상은 적갈색으로 내화도가 낮아 내화물, 도자기공업에 이용되지 못하는 저급의 고령토이다.The classification of the crystal structure and shape of the loess that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 to kaolin minerals. Kaolin minerals are representative of clay minerals and are a major component of loess, contained in the loess, and the main kaolin minerals are Kaolin called kaolin. In Korea, kaolin is almost all halloysite and most of it is tubular crystals. Hwangto is the topsoil of kaolinite layer and contains Fe 2 O 3 as much as 7 ~ 15%. Its color is reddish brown and low in refractoriness, so it is low grade kaolin which is not used in refractory and ceramics industry.

할로이사이트(Halloysite)의 기본조성은 카올린나이트(Kaolinite)와 같지만 과잉의 수분을 함유하여 Al2O3 ·2SiO2 ·4H2O로 되어 있으며 결정도가 낮은 광물이다. 카올린족 광물은 모두 층상의 규산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SiO4 ]-4 사면체가 정점을 서로 연결하여 이차원적으로 넓혀진 육각 망목상이 Si-O층을 골격으로 하고, 나머지 한 개의 정점은 그 층상격자 사이에 들어가는 Al 이온이 O2- 나 OH- 를 6배위한 팔면체층과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황토는 하동옥종지역의 광산원광을 250℃로 건조한 후 분쇄가공한분말이며, 할로이사이트(Halloysite)가 주광물이고, α-Quartz가 2차상으로 존재하며, Fe2O3 가 7%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평균입경은 10∼30㎛이다.
The basic composition of Halloysite is similar to kaolinite but it contains excess water and is made of Al 2 O 3 · 2SiO 2 · 4H 2 O and has low crystallinity. All of the kaolin minerals have a layered silicate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hexagonal mesh of the [SiO 4 ] -4 tetrahedron connects the apexes of the hexagonal mesh to the vertices of the hexagonal mesh, and the other one of the vertices has the Al 2 O 3 or OH - < / RTI > with octahedral layer for 6 times. In the present invention, loess is a powder obtained by drying mined ore at Hadong Okjong region at 250 ° C., and is a main mineral of Halloysite, α-Quartz exists as a secondary phase, Fe 2 O 3 is 7% Or more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to 30 mu m.

상기에서 볏짚은 값싸고 흔한 소재로서 그 자체로서 내구성이나 강도에 매우 취약한 재료이나 섬유조직이 황토 및 접착제와 함께 결합되어 고형화 됨으로서 높은 강도를 발휘하게 되고, 각각의 볏짚이 서로 얽힌 상태로 결합됨으로서 부직조직과 같은 인장력을 발휘하며, 다공조직으로서 내외장재의 경량화에 기여하고, 보온과 보습효과를 갖는다.In the above, the rice straw is a cheap and common material, and the material or the fiber structure which is very weak to the durability or the strength itself is solidified by bonding together with the loess and the adhesive, so that the rice straw exhibits high strength and each rice straw is tangled with each other, It exerts the same tensile force as the tissue, contributes to the weight reduc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s a porous structure, has warming and moisturizing effect.

볏짚의 절단 길이는 굳이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1cm이상 되면 접착제 및 황토의 침투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혼합시간이 많이 걸리며, 1cm이하가 되면 볏짚상호간의 응착력이 감소되어 강도저하를 초래함으로 1cm내외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cutting length of the rice straw is not limited, but if it is more than 1 cm, the permeability of the adhesive and the loess is not easy and the mixing time is long. When the length is less than 1 cm, the cohesive strength between the rice straws is decreased, desirable.

황토는 볏짚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볏짚조직에 스며들어 접착제에 의해 고형화됨으로서 볏짚조직의 강도를 보강하고, 황토 자체의 특성에 의해 불연성,보온성,방음성,방습 및 방충효과를 갖는다.The loess is permeated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rice straw and solidified by the adhesive,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rice straw by the adhesive, and having the nonflammable, warmth, soundproof, moisture proof and insecticidal effect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ess itself.

접착제는 볏짚과 황토를 응착시키기 위한 수지계 바인더로서 황토와 함께 볏짚조직에 스며들어 볏짚을 고형화 시키고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수분과의 접촉에 따른 황토조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adhesive is a resin binder for adhering rice straw and loess, and it penetrates into the rice straw together with the loess, solidifies the rice straw and forms a thin film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loess tissue due to contact with moisture.

볏짚의 혼합비는 내외장재의 중량에 영향을 미치고, 황토 및 접착제의 혼합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볏짚함량이 높을 수록 황토의 함량은 낮아지기 때문에 완성된 내외장재의 중량은 가벼워지고, 볏짚에 의한 보온성과 단열성능은 증가되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The mixing ratio of rice straw affects the weight of the inner and outer materials, and as a factor affecting the mixing ratio of the loess and the adhesive, the content of the loess is lowered as the rice straw content is higher. Therefore, the weight of the finished inner and outer material is lighter, Is increased but the strength is lowered.

본 고안에 적용되는 찹쌀가루액은 친환경 접착제로 활용하기 위해 혼합시키는 것으로서, 찹쌀가루의 원료가되는 찹쌀은 떡이나 약식, 전병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찹쌀의 주성분인 전분이 주로 아밀로펙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멥쌀보다도 소화가 용이하여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이 먹으면 소화가 잘되어 비만을 예방하고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glutinous rice pow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to be used as an eco-friendly adhesive. Glutinous rice, which is a raw material of glutinous rice flour, has been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rice cakes, It is said that it is easier to digest than rice, so that people who have weak digestion function can digest well and prevent obesity and have a diet effect.

찹쌀의 영양성분은 찹쌀 100g에 니아신 1.60mg, 나트륨 3.00mg, 단백질 7.40g, 당질 81.20g, 레티놀 0.001㎍, 베타카로틴 0.002㎍, 비타민 A 0.002㎍RE, 비타민 B1 0.14mg, 비타민 B2 0.08mg, 비타민 B6 0.10mg, 비타민 C 0.002mg, 비타민 E 0.40mg, 식이섬유 0.60g, 아연 1.16mg, 엽산 6.80㎍, 인 151.00mg, 지질 0.40g, 철분2.20mg, 칼륨 191.00mg, 칼슘 4.00mg, 콜레스테롤 0.002mg, 회분 0.70g 이 포함되어 있다.Nutritional components of glutinous rice are niacin 1.00 mg, sodium 3.00 mg, protein 7.40 g, carbohydrate 81.20 g, retinol 0.001 g, beta carotene 0.002 g, vitamin A 0.002 g, vitamin B1 0.14 mg, vitamin B2 0.08 mg, B6 0.10 mg, vitamin C 0.002 mg, vitamin E 0.40 mg, dietary fiber 0.60 g, zinc 1.16 mg, folic acid 6.80 g, phosphor 151.00 mg, lipid 0.40 g, iron 2.20 mg, potassium 191.00 mg, calcium 4.00 mg, cholesterol 0.002 mg , And 0.70 g ash.

따라서, 찹쌀은 비타민 B와 무기염류가 풍부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임산부의 입덧을 줄여 주고 산후증을 없게 해주며, 젖을 돌게 하여 모유수유에 도움을 주고, 비타민 B가 풍부하여 피부를 좋게 하고, 현미외피의 주성분인 피친산과 섬유소는 인체에 축적되기 쉬운 수은 등의 중금속을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여 피부미용 및 해독작용에 효과가 있고, 대변량을 증가시키고 대변의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켜 대장암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refore, glutinous rice is rich in vitamin B and inorganic salts to prevent hypertension and adult diseases of arteriosclerosis, to reduce morning sickness of pregnant women,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to help breast milk to breastfeed, and rich in vitamin B Phinophilic acid and fibrin,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brown rice husk, exert heavy metals such as mercury which are liable to accumulate in the human body, and are effective for skin cosmetic and detoxifying action, increase the amount of feces and increase intestinal transit time And it is known to help prevent colon cancer.

본 고안의 찹쌀가루액은 95℃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신속하게 급속 냉각처리하며, 상기 냉각처리에 의해 혼합물은 접착력이 상승하게 된다.The glutinous rice flou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pidly cooled rapidly by heating at 95 ° 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adhesion of the mixture is increased by the cooling treatment.

즉, 찹쌀가루가 물과 반응하여 접착성분이 발생하고 급속 냉각절차에 의해 접착력이 활성화가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glutinous rice powder reacts with water to generate adhesive components, and the adhesive force is maintained by the rapid cooling process.

본 고안에 적용되는 우모는 부식이 없고 황토의 갈라짐을 방지하며, 우모 사이로 통풍을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산소를 공급한다. 우모(牛毛)를 5 내지 15 부피%로 함께 배합하는 바, 이 또한 황토패널을 제조시에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함인 바, 상기 범위 외의 양으로 배합시 갈라짐의 발생이 과도하였다. 이러한 우모 대신에 마모(馬毛)도 동일한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The moth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ree of corrosion, prevent cracking of the loess, provide a channel for ventilation between the hams, and supply oxygen. And 5 to 15% by volume of bovine hair are mixed together. This is also intended to prevent cracking of the yellow clay panel during its production, and when it is blended in an amount outside the above range, generation of cracks is excessive. Instead of these wool, the same amount of wool can be blended.

본 고안에 적용되는 왕겨에는 조섬유가 35 내지 46%, 가용성 당질이 22 내지 35%, 회분이 13 내지 21%, 조단백질이 2 내지 3%함유되어 있으며, 왕겨에서 나오는 회분의 90% 이상이 실리카이고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이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rice hus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35 to 46% of crude fiber, 22 to 35% of soluble sugar, 13 to 21% of ash and 2 to 3% of crude protein, more than 90%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본 고안의 황토패널 제작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yellow c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의 황토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loess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황토를 제공하기 위해 황토를 저장한 황토 제공용 호퍼(11)와;A loess-providing hopper 11 for storing loess for providing loess;

볏짚을 제공하기 위해 볏짚 제공용 호퍼(12)와;A hopper (12) for supplying rice straw to provide rice straw;

왕겨를 제공하기 위한 왕겨 제공용 호퍼(13)와;A hopper 13 for providing a rice husk;

우모를 제공하기 위한 우모 제공용 호퍼(14)와;A hopper-providing hopper 14 for providing a moth;

찹쌀가루액을 제공하기 위한 찹쌀가루 제공용 호퍼(15)와;A hopper 15 for providing a glutinous rice flour for providing glutinous rice flour;

상기 황토 제공용 호퍼(11)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볏짚 제공용 호퍼(12)로부터 볏짚을 제공받으며, 왕겨 제공용 호퍼(13)로부터 왕겨를 제공받고, 우모 제공용 호퍼(14)로부터 우모를 제공받고, 찹쌀가루액 제공용 호퍼(15)로부터 찹쌀가루액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황토패널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20)와;The rice husk is supplied from the hopper 11 for supplying yellow rice and the rice straw is supplied from the hopper 12 for rice straw and the rice husk is supplied from the hopper 13 for supplying rice husk, A mixer 20 for receiving the glutinous rice flour solution from the hopper 15 for providing the glutinous rice flour solution, mixing the flour mixture and outputting the loamy panel dough;

상기 믹서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믹서 내부의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원하는 만큼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원적외선 센서(30)와;A far infrared ray sensor 3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ixer for checking whether a desired far infrared ray is emitted by checking a far infrared ray inside the mixer;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황토 반죽을 입력받으며,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시키는 블록성형기(40)와;A block molding machine (40) for receiving the yellow loam dough outputted from the mixer and compressing and molding the doug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상기 블록성형기 아래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블록성형기로부터 출력되는 황토블록을 담아 이송시키는 파레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nd a pallet 50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the loess block outputted from the block molding machine while moving through the conveyor under the block molding machine.

그리고, 본 고안은 왕겨를 수직하게 2분할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하고, 분할이 이루어진 왕겨를 호퍼에 주입하여 황토패널을 제작하는바, 이하에서 왕겨를 수직 분할하는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ce husk is vertically divided into two or more pieces, and the divided rice husk is injected into the hopper to produce a loess panel.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vertically dividing the rice husk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서 왕겨를 수직 분할하는 장치는 크게 왕겨 적재함(101)과, 송풍기(102)와, 왕겨 회전공급통(103)과, 왕겨 수직절단용 칼날부(104)와, 모터부(105)와, 수평 칼날부(106)와, 수직 칼날부(107)와, 왕겨 수직 절단 확인용 카메라부(400)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vertically dividing a rice husk includes a rice hanger 101, an air blower 102, a rice hog rotation feeder 103, a rice hog vertical cutting blade 104, a motor 105, A horizontal knife portion 106, a vertical knife portion 107, and a camera portion 400 for vertical cutting of rice husk.

상기 왕겨 적재함(101)은 최초로 왕겨를 삽입시켜 저장하는 장치로서 호퍼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rice hull loading box 101 is a hopper type apparatus for storing rice hulls for the first time.

상기 송풍기(102)는 왕겨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되며 왕겨 적재함에 담긴 왕겨를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 바람을 제공하는 장치이다.The blower 102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ice chaff rack and is a device for providing wind to transfer the chaff contained in the chaff rack to another place.

상기 왕겨 회전공급통(103)은 송풍기에 연결되며 송부기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되 내부에서 왕겨가 회전되면서 서서히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rice husk rotation feeder 103 is connected to a blower and is provided with rice husk through a sender, and serves to slowly feed the rice husk while being rotated.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104)는 왕겨 회전공급통의 하단에 위치되며 호퍼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고 내부 칼날을 이용하여 왕겨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haff vertical cutting blade 104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haff feed rotary drum and is provided with chaff through the hopper and serves to cut the chaff in a vertical direction by using the inner chaff.

상기 모터부(105)는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에 삽입설치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The motor unit 105 is inserted into the blade unit for vertical cutting of rice husk, and provides rotational power.

상기 수평 칼날부(106)는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수평 회전한다.The horizontal blade unit 106 receives power from the motor unit and rotates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상기 수직 칼날부(107)는 수평 칼날부의 끝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평 칼날부의 회전에 상응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왕겨를 수직 절단시킨다.The vertical knife portion 107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knife portion and vertically cuts the rice husk while rotating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knife portion.

상기 왕겨 수직 절단 확인용 카메라부(400)는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의 측면 일단에 설치되며 왕겨가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촬영한다.The camera unit 400 for confirming the rice husk vertical cutting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ide of the rice husk vertical cutting blade and photographs whether the rice husk is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어부(500)는 카메라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미리 저장된 왕겨의 수직 절단 이미지와 다르게 수평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칼날의 끝단이 수직하지 못하고 휘어 있거나 수평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즉,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에 존재하는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의 끝단부는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바, 장시간 사용으로 휘어지게 되면 왕겨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지 못하고 수평한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는바, 카메라로 왕겨를 촬영하여 수직 절단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500 analyzes the image of the camera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edge of the blade is not vertically bent and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outputs an alarm signal through the output terminal. In other words, the end portion of the cutting edge for vertical cutting of the rice husk existing in the blade for vertical cutting of the rice husk is vertically erected. When the blade is bent for a long time, the rice husk can not b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 vertical cutting is not performed by photographing the rice hull with the camera, the alarm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아울러 본 고안은 호퍼로부터 제공되는 구성성분이 일정량만큼씩만 낙하하도록 설계되는바, 황토분말 중량대비 13 - 15중량%의 볏짚을 믹서에 투입하고, 상기 황토분말 중량대비 7 - 10중량%의 왕겨를 믹서에 투입하며, 상기 황토분말 중량대비 5 - 15중량%의 우모를 믹서에 투입하고, 상기 황토분말 중량대비 1 - 2중량%의 찹쌀가루액을 투입시킨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uch that the constituent components provided from the hopper are dropped only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rice straw of 13 - 15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loess powder is introduced into the mixer, and the rice husks of 7 - 10 wt% The mixture is put into a mixer, and 5 to 15% by weight of wool is added to the mixer, and 1 to 2% by weight of glutinous rice flour is added to the weight of the loess powder.

그리고, 상기 배합토를 패널용 형틀에 채운후 배합토가 균열됨이 없도록 2-3일 자연건조시켜 상기 황토반죽이 건조되도록 하는 자연건조시킨다.Then, after the filling soil is filled in the panel mold, the mixture is naturally dried for 2 to 3 days so as not to be cracked, and naturally dried so that the loess material is dried.

아울러, 본 고안에서 수분흡수에 핵심역할을 하는 왕겨는 몸체 전체를 통해 수분을 흡수하며, 통상 수부 흡수율이 200%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rice husk which plays a key role in absorbing water absorbs moisture through the entire body and is generally known to have a water absorption rate of 200% or more.

상기 왕겨는 세웠을때 가로방향이 짧은 단축과 세로방향이 긴 장축으로 이루어져 대략 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rice husks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having a short axis having a short transverse direction and a long axis having a long transverse direction when standing up.

그리고, 쌀알갱이가 빠져 나간 상태에서는 일단 내부 공간부가 존재하나, 황토 분말과 혼합 과정에서 내부 공간부가 없이 전면과 후면이 겹쳐진 상태를 가지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rice grains are removed, there is an inner space portion, bu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verlapped without mixing the inner space in the mixing process with the loess powder.

즉, 쌀알갱이가 제거된 왕겨를 황토분말과 혼합하였을때, 실제로 황토분말과 접촉하는 왕겨 부분을 살펴보면 외부와 접촉면적이 전면 전방과 후면 후방으로서 단지 2개면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분 흡수율이 비교적 높지 않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rice husks from which the rice grains are removed are mixed with the loess powder, the area of the rice husk contacting with the loess powder is only two surfaces a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ice so that the water absorption rate is not relatively high do.

다시말해서, 왕겨의 외측에 황토분말이 접면되기 때문에 왕겨의 몸체에 접촉되면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왕겨의 전면과 후면이 밀착되므로 왕겨의 내측면은 황토와 접면되지 못하고 단지 왕겨의 전면과 후면에서만 수분 흡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rice husk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ice husk, the inner surface of the husk is not in contact with the yellow soil because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ice husk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왕겨를 절단하는 공법을 이용하나, 왕겨를 세운 상태에서 수평 절단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2분할 또는 3분할 하더라도 왕겨는 전면과 후면이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부 단면 또한 하부 단면을 통해 황토분말과 접촉하는 면이 더 발생되어 이 면을 통해 수분흡수가 더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지 조금의 수분흡수율이 더 늘어날 뿐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ethod of cutting the rice hulls is used. However, since the rice hulls are horizontally cut in a standing state, the rice hulls maintain the superposed state of the front and rear faces even when the rice hulls are divided into two or thre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ore water is absorbed through this surface, so that only a little water absorption rate is further increased.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왕겨를 세운 상태에서 수직 절단하여 2개 이상의 수직 절개면을 형성토록하며, 이에 따라 왕겨가 수직 절단되어 각각 분할됨으로서 분할면 각각의 전면과 후면이 황토와 접면되기 때문에 수분흡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ice horses are vertically cut to form two or more vertical cut surfaces, so that the rice horses are vertically cut and divided, The absorption rate can be maximized.

즉, 본 고안은 왕겨를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수직 절단하게 되면 겹쳐지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된 왕겨의 전면과 후면 모두를 통해 황토분말과 접촉하게 되므로 수분 흡수율일 극대화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overlapped region when the rice husks are vertically cut in a state where the rice horses are vertically set up,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is maximized because the hors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cher flour through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haff.

다시말해서, 종래에는 왕겨가 3차원 형태로 존재하되 통상 수평 절단에 의해 무작위로 절단하게 되며, 그렇게 절다하더라도 전면과 후면이 달라붙어 겹치게 됨으로서 황토분말과의 접촉면이 작게 형성되어 수분 흡수율을 높이지 못하지만, 본 고안은 왕겨를 수직 분할하기 때문에 분할면의 전면과 후면을 통해 모두 황토분말과 접촉되어 수분흡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the rice husk is present in a three-dimensional form, and is usually cut randomly by horizontal cutting. Even if it is bad,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re overlapped and overlapped to form a small contact surface with the loess powd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water absorption rate by contacting with the loess powder throug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divided surface because the rice husk is vertically divided.

바람직하게는 왕겨를 수직분할하되 2분할 이상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분할 이상으로 분할하게 되면 겹쳐진 면이 없이 모든 면에서 황토분말을 접촉하게 된다.Preferably, the rice husks are vertically divided into two or more divided portions, and when divided into two or more divided portions, the loess powder is contacted on all surfaces without overlapping surfaces.

즉, 왕겨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되 수직 가로방향 또는 수직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2분할 시키게 되면 왕겨 본체가 겹쳐지는면이 없기 때문에 절단면 전체의 전면과 후면 그리고 테두리면이 모두 황토 분말과 접촉하게 되어 수분 흡수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ice husks ar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cut in the vertical transverse direction or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divided into two, there is no overlapping face of the rice husk body, so that the front, The absorption rate can be maximized.

물론, 4분할 이상 5분할이나 6분할 또는 그 이상 분할이면 절단면이 모두 황토분말과 접촉되므로 수분 흡수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Of course, if the quartz is divided into 5 or 6 or more divisions, the cut surfaces are all in contact with the loess powder, so that the water absorption rate can be maximized.

따라서, 본 고안은 왕겨를 절단하여 황토 분말과 혼합하여 배합토를 제작토록하되 왕겨를 세운 상태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수직 가로방향과 수직 세로방향으로 2분할 또는 4분할토록함으로서 각 분할된 절단면의 전면과 후면 및 테두리면이 황토분말과 모두 접촉함으로서 수분 흡수율을 높이도록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여 황토패널을 제작하게 되면 습도 조절능력이 극대화되는 황토패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t the rice husks and mix them with the loess powder to prepare the blended soil. In this case, the rice husks are divided into two halves or four hal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ar surface and the rim surfac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hole of the loess powder to increase the water absorption rate. Thus, when the loess panel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oess panel in which the humidity control ability is maximized.

한편,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alarm signal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a first relay switch RY1, a second relay switch RY2, a third relay switch RY3, A switch sw1, a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and an alarm control unit 1120. [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source unit 1110 applies power to its own power source.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first relay switch RY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second relay switch RY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to switch the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third relay switch RY3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piece by the third relay switch.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third relay switch so that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on to induce an alarm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It plays a role.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larm control unit 1120 switches the second relay switch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are switched,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second alarm signal are continuously maintained to switch the alarm state It plays a role to sustain.

또한, 본 고안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it board 1131 for operation, the iron piece 1132 for connecting the alarm signal operation control unit power supply,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Means 1133a, a gap 1134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As shown in Fig.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operating piece 1131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rela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connecti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breaker 1131.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Thereby induc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sw1 and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are always kept in the off-state.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has a bar magnet shape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magnet holding The circuit breaker 1133 is pushed to push the circuit breaker 1131 up to maintain the electrically turned off state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S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en the first relay swit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relay switch is in the close position and the first relay switch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State And then maintains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is time, when the circuit breaker iron piec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he iron wire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of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ler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alarm signal is outputted to the outside.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keep the circuit in a disconnected state while the third relay switch is in operation, The operating wire 1131 is lowered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Particularly, 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affects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even i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blinded, so that the off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during the third relay switch non- And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gap 1134a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separated more naturally from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spacing agent at the time of disassembly. If the spacing agent is not present, the body of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body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rther spacer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spacing agent is provided only arou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Pole and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eparat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f the spacing agent is wrapped to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he strength of the S-poles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weaken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pacers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maintenance of the separation state may become unstable.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gap separator is provided only on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magnetically coupl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n practice, when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are strongly magnetically coupled Even if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the fall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1131 is maintained, so that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can be maintained.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nnected to a wire for circuit operation and a wire for connecting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to the power supp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automatic operation switch 1135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in a state that the alarm signal output unit is turned off, The signal output control unit turns off the iron wire for power connecti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is stopped so that no alarm signal is outputted.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a control relation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applies power to the second relay switch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on and the alarm signal is display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witch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relay switch.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in the middle of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operated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by returning the power to the alarm signal control unit 1140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circuit while moving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40.

즉, 본 고안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if the alarm factor is not solved,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outputs a warning sound to induce the alarm factor to be solved.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first relay switch, the power supply is returned again and the alarm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Accordingly, even if the alarm signal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reliably solve the cause of the alarm signal.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is no longer needed by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signal is no longer appli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n this case,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manual switch 1135 to turn off the alarm signal .

11: 황토 제공용 호퍼
12: 볏짚 제공용 호퍼
13: 왕겨 제공용 호퍼
14: 우모 제공용 호퍼
15: 찹쌀가루 제공용 호퍼
20: 믹서
40: 블록 성형기
50: 파레트
101: 왕겨 적재함
102: 송풍기
103: 왕겨 회전공급통
104: 왕겨 수직절단용 칼날부
105: 모터부
106: 수평 칼날부
107: 수직 칼날부
400: 왕겨 수직 절단 확인용 카메라부
5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11: Hopper for loess
12: hopper for rice straw
13: hopper for chaff feeding
14: Hopper-supplied hopper
15: hopper for glutinous rice powder
20: Mixer
40: Block molding machine
50: Palette
101: Chaff loader
102: blower
103: Rice husk rotating feed cylinder
104: Knife blade vertical cutting section
105:
106: horizontal blade portion
107: vertical blade portion
400: Camera section for checking vertical cutting of rice husk
500:
1000: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Claims (5)

황토를 제공하기 위해 황토를 저장한 황토 제공용 호퍼(11)와;
볏짚을 제공하기 위해 볏짚 제공용 호퍼(12)와;
왕겨를 제공하기 위한 왕겨 제공용 호퍼(13)와;
우모를 제공하기 위한 우모 제공용 호퍼(14)와;
찹쌀가루액을 제공하기 위한 찹쌀가루 제공용 호퍼(15)와;
상기 황토 제공용 호퍼(11)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볏짚 제공용 호퍼(12)로부터 볏짚을 제공받으며, 왕겨 제공용 호퍼(13)로부터 왕겨를 제공받고, 우모 제공용 호퍼(14)로부터 우모를 제공받고, 찹쌀가루액 제공용 호퍼(15)로부터 찹쌀가루액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황토패널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20)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황토 반죽을 입력받으며,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시키는 블록성형기(40)와;
상기 블록성형기 아래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블록성형기로부터 출력되는 황토블록을 담아 이송시키는 파레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왕겨 제공용 호퍼(13)에 제공되는 왕겨는,
최초로 왕겨를 삽입시켜 저장하는 왕겨 적재함(101)과;
상기 왕겨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되며 왕겨 적재함에 담긴 왕겨를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기(102)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며 송부기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되 내부에서 왕겨가 회전되면서 서서히 공급되도록 하는 왕겨 회전공급통(103)과;
상기 왕겨 회전공급통의 하단에 위치되며 호퍼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고 내부 칼날을 이용하여 왕겨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시키는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104)와;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에 삽입설치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105)와;
상기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수평 회전하는 수평 칼날부(106)와;
상기 수평 칼날부의 끝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평 칼날부의 회전에 상응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왕겨를 수직 절단시키는 수직 칼날부(107)를 통해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A loess-providing hopper 11 for storing loess for providing loess;
A hopper (12) for supplying rice straw to provide rice straw;
A hopper 13 for providing a rice husk;
A hopper-providing hopper 14 for providing a moth;
A hopper 15 for providing a glutinous rice flour for providing glutinous rice flour;
The rice husk is supplied from the hopper 11 for supplying yellow rice and the rice straw is supplied from the hopper 12 for rice straw and the rice husk is supplied from the hopper 13 for supplying rice husk, A mixer 20 for receiving the glutinous rice flour solution from the hopper 15 for providing the glutinous rice flour solution, mixing the flour mixture and outputting the loamy panel dough;
A block molding machine (40) for receiving the yellow loam dough outputted from the mixer and compressing and molding the doug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And a pallet (50) carrying a loess block output from a block molding machine while carrying it through a conveyor under the block molding machine;

The rice husks supplied to the hopper 13 for supplying rice husk,
A rice hull loading box 101 for storing and storing rice hulls for the first time;
A blower (102)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ice hull loading box and providing wind to transfer rice hulls contained in the rice hull loading rack to another place;
A rice horn rotating feed cylinder 103 connected to the blower and provided with rice hulls through a feeder to allow the rice hull to be gradually rotated while being rotated;
A hog vertical cutting blade 104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hog rotation feeder and provided with hog through a hopper and cutting the hog by a vertical blade using an inner blade;
A motor unit 105 inserted into the blade for vertical cutting the rice husk and providing rotational power;
A horizontal blade portion 106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portion and horizontally rotat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motor;
And a vertical knife portion (107) formed perpendicular to an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knife portion and vertically cutting the rice husk while rotating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knife portion.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의 일단에는 왕겨의 수직 절단을 확인하기 위한 왕겨 수직 절단 확인용 카메라부(400)와;
상기 카메라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미리 저장된 왕겨의 수직 절단 이미지와 다르게 수평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칼날의 끝단이 수직하지 못하고 휘어 있거나 수평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section 400 for confirming vertical cutting of the rice husk to confirm the vertical cutting of the rice husk, at one end of the blade vertical cutting sec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orizontal cutting is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ly stored vertical image of the rice husk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camera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end of the blade is not vertical, and the blade is warped or horizontal. A control unit 500 for outputting the data;
And an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larm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not shown) that is op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to display an alarm signal through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1150 when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 alarm for switching the relay switch and for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alarm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e same time,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n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alarm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guiding the alarm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third relay switch, the first relay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display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alarm unit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Further comprising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so that no further alarm signal is outputted.
삭제delete
KR2020170004516U 2017-08-25 2017-08-25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KR2004862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16U KR200486240Y1 (en) 2017-08-25 2017-08-25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16U KR200486240Y1 (en) 2017-08-25 2017-08-25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40Y1 true KR200486240Y1 (en) 2018-04-19

Family

ID=6207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16U KR200486240Y1 (en) 2017-08-25 2017-08-25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4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8471A (en) * 2019-05-17 2019-08-02 江门市东鹏智能家居有限公司 The high-pressure slip-casting ceramic slurry and preparation method, system recycled based on useless porcela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13A (en) * 2002-03-13 2003-09-19 박선만 Hwang to Panel Board
KR20060093514A (en) * 2005-02-22 2006-08-25 (주)나인 Fabricating method for an ocher decorating materials
KR100780608B1 (en) * 2006-11-08 2007-11-30 이학영 Method of producing loess board for a interior decoration structure
KR101618664B1 (en) * 2016-01-11 2016-05-09 주식회사 책임건축 Prefabricated floor st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13A (en) * 2002-03-13 2003-09-19 박선만 Hwang to Panel Board
KR20060093514A (en) * 2005-02-22 2006-08-25 (주)나인 Fabricating method for an ocher decorating materials
KR100780608B1 (en) * 2006-11-08 2007-11-30 이학영 Method of producing loess board for a interior decoration structure
KR101618664B1 (en) * 2016-01-11 2016-05-09 주식회사 책임건축 Prefabricated floor st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8471A (en) * 2019-05-17 2019-08-02 江门市东鹏智能家居有限公司 The high-pressure slip-casting ceramic slurry and preparation method, system recycled based on useless porcelain
CN110078471B (en) * 2019-05-17 2021-11-02 江门市东鹏智能家居有限公司 High-pressure grouting ceramic slurry based on waste ceramic recycling and prepar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5098B1 (en) Light-weight material containing blown perlit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KR200486240Y1 (en)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CN103880373A (en) Thick double-row-hole light aggregate concrete partition board and production process of partition board
KR20190109158A (en) 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CN108203284A (en) A kind of energy saving heat insulating sound environment protection architecture morta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5034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nel for noise lowering
KR19990064885A (en) a method of producing a in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KR100245567B1 (en) Yellow soiled plate manufactural method and process thereof
KR100695488B1 (en) Charcoal board for building use including recycl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86237Y1 (en) Assembable Floor Heater Block
CN210161407U (en) Mortar mixer for fireproof insulation board
KR2019010915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nel for noise lowering
KR101293727B1 (en) With the abolition of a brick manufacturing unit
KR01507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terior finishes
CN211279281U (en) Polyethylene cable material loading compounding device
KR100656828B1 (en) The making method of yellow earth plate using feldsper, white cement, and pulp
CN204700990U (en) Thistle board raw material lifting material feeder
KR101491091B1 (en) Pottery dehumidifier
KR10119654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yellow earth brick
CN207942559U (en) A kind of uniform stirring equipment for building
CN102372497A (en) External brick, preparation technology thereof and processing device thereof
WO2000023394A1 (en)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blocks with incorporated heat insul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the like
KR102448585B1 (en) Bed board using mu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5289712A (en) Brick and mist sauna room utilizing it
CN207524419U (en) A kind of conveying belt die machine for being easy to turn at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