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31Y1 - 발코니 이중 창호 - Google Patents

발코니 이중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31Y1
KR200485931Y1 KR2020120003464U KR20120003464U KR200485931Y1 KR 200485931 Y1 KR200485931 Y1 KR 200485931Y1 KR 2020120003464 U KR2020120003464 U KR 2020120003464U KR 20120003464 U KR20120003464 U KR 20120003464U KR 200485931 Y1 KR200485931 Y1 KR 200485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balcony
s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406U (ko
Inventor
박항순
김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120003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3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창틀에 방충망 창틀 및 한 쌍의 이동 창틀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발코니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곽 창틀의 하단부는 상기 이동 창틀이 장착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의 높이보다 상기 방충망 창틀이 장착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의 높이가 낮도록 단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밀유지구보다 저수조가 낮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수조보다 방충망 창틀이 더 낮게 배치되어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원활히 배수시키고, 이를 통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코니 이중 창호 {BALCONY DUAL FITTINGS}
본 고안은 발코니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원활히 배출하여 높은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상 미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코니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고층용 창호는 강한 풍압에도 견딜 수 있는 내풍압성이 강화된 창호용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입주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현재 아파트나 고층건물에 설치된 고층용 창호는 내창, 외창 모두 슬라이딩의 형태의 창호로 제작된다.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발코니 외측에 발코니 창을 설치하고 발코니와 거실의 경계부에 거실 창을 설치하여 거실과 발코니가 분리되어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여 거실면적을 확장하고자 거실 창을 제거하는 거실확장공사가 많이 보편화되었고, 이로 인해 발코니 외측에 설치된 창에 대하여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더욱 높은 수밀성을 확보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때, 높은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실외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어야 하는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원활히 배출하기 위해서는 창호에 크기가 비교적 큰 홀들이 다수 형성되어야 하는바, 이로 인해 외관상 미려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높은 수밀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외관상 미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코니 이중 창호가 제작되지 않았고, 수밀성과 외관상 미려감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왔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원활히 배출하여 높은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상 미려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코니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는,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창틀에 방충망 창틀 및 한 쌍의 이동 창틀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발코니 이중 창호로서, 상기 외곽 창틀의 하단부가 상기 이동 창틀이 장착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의 높이보다 상기 방충망 창틀이 장착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의 높이가 낮도록 단차져 있는(be steped)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와 인접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의 높이가 상기 방충망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추가적으로 단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에, 한 쌍의 상기 이동 창틀 중 상기 방충망 창틀에 인접한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과 평행한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를 따라 배수구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수구에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를 거쳐 실외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이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는 상기 배수구를 향할수록 낮은 높이를 갖도록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구의 하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저수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를 통해 공기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이동 창틀 중 상기 방충망 창틀에 인접한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과 상기 격벽 사이에 기밀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밀유지구는, 상기 방충망 창틀에 인접한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과 상기 격벽 사이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날개부와, 상기 다수의 날개부 중 어느 한 쌍의 날개부가 연결되어 상측을 덮는 수막부와, 상기 격벽에 인접하여 상기 수막부 하측에 마련되어 수막부 하측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는 개공부 및 상기 수막부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상기 다수의 날개부 중 어느 한 쌍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날개부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실외로 배출되는 방향으로 더 낮게 단차져 있으므로, 상기 물을 실외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어 높은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물을 배수하기 위해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홀을 없앨 수 있어 외관상 미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하측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기밀유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고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의 하측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에 포함된 기밀유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하측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기밀유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고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외곽 창틀(100)과,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외곽 창틀(100)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방충망 창틀(200) 및 한 쌍의 이동 창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곽 창틀(100)은 벽체에 지지되어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외곽 창틀(100)은 설치를 위한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일정한 강도가 유지되지 않아 비틀려지거나 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어 부분적으로 보강프레임(도면번호 미부여)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곽 창틀(100)은 하단부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단부(110), 제2 하단부(120), 제3 하단부(130)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외곽 창틀(100)을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제3 프레임(130')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나누어 본 것일 뿐, 실제 제작을 할 때에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작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방충망 창틀(200)은 내부에 방충망이 마련되어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에 대응하는 제1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방충망 창틀(200)은,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시야가 형성되는 방향이 주로 실내에서 실외라는 점을 고려하여 불 때, 외곽 창틀(100)에 있어서 실외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외관상 미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동 창틀(300)은 내부에 창(도면번호 미부여)이 마련되어 실외와 실내를 연통시키는 부분을 개폐하는 구성요소로서,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 및 제3 하단부(130)에 대응하는 제2 프레임(120') 및 제3 프레임(130')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창틀(300)은 방충망 창틀(200)에 대향하는 제1 이동 창틀(310)과 제1 이동 창틀(310)에 대향하여 실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제2 이동 창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에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들이 부가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으로 인해,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원활히 배출하여 높은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감이 향상될 수 있다.
먼저,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는 이동 창틀(300)이 장착되는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의 높이보다 방충망 창틀(200)이 장착되는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의 높이가 낮도록 단차져 있을(be steped) 수 있다.
즉,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와 제2 하단부(120)가 마치 계단을 이루듯이 형성되되, 실외에 더 가깝게 인접해 있는 제1 하단부(110)가 더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와 제2 하단부(120)의 높이를 달리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제2 하단부(120)에서 제1 하단부(110)로 자연스럽게 배수되며,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실외로 배출되기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는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외 인접하는 제1 하단부(110)의 높이가 방충망 창틀(200)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112)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추가적으로 단차져 있을 수 있다.
즉,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외 인접하는 제1 하단부(110)와 레일(112) 사이가 마치 함몰되어 있는 듯하게 형성되되, 구름바퀴가 장착되는 방충망 창틀(200)의 일 부분이 배치되는 제2 하단부(120)가 더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에 있어서도 실외에 더 가까운 부분의 높이를 낮게 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제2 하단부(120)를 거쳐 제1 하단부(110)로 유입된 이후에도 제1 하단부(110) 내에서 자연스럽게 배수되며,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실외로 배출되기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다.
한편,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에 인접하는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에는, 한 쌍의 이동 창틀(300) 중 방충망 창틀(200)에 인접한 제1 이동 창틀(310)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122)과 평행한 격벽(14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격벽(140)은 제1 이동 창틀(310)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122)과 방충망 창틀(200) 사이에서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격벽(140)은 제1 이동 창틀(310)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레일(122)을 예상치 못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가 단차져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역류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조금이나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있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격벽(14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이동 창틀이 올려지는 레일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도 2는 이동 창틀(300)에 대향하여 실외 방향으로 고정 창틀(미도시)이 격벽(140)에 올려지는 것을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어서 격벽(140)으로 설계하고 도시한 것이지만, 이동 창틀이 올려진다면 격벽(140)을 레일로서 사용하도록 충분히 설계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격벽(140)이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에 마련됨에 따라 자연스레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배수구(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더욱 쉽게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배수구(150)는 도 2 및 도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벽(140)과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를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140)이 형성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배수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실외로 배출하면, 도 3에 도시된 Ⅰ 및 Ⅱ로 구분한 2개의 화살표 방향 양쪽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더욱 쉽게 실외로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배수구(150)를 향해 유동할 수 있기 용이하도록,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는 배수구(150)를 향할수록 낮은 높이를 갖도록 기울어져 있는 것이 유리하다.
나아가, 외곽 창틀(100)의 제2 하단부(120)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3 하단부(130) 역시 배수구(150)를 향할수록 낮은 높이를 갖는다면, 제2 이동 창틀(320)에 설치된 창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어 외곽 창틀(100)의 제3 하단부(130)에 물이 집수되더라도, 배수구(150)를 통해 집수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배수구(15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를 거쳐 실외로 배수될 수 있도록,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를 거쳐 실외와 연통되는 배수홀(15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수홀(152)은 도 3에 도시된 Ⅱ로 구분된 화살표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배수구(150)에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배수홀(152)은 크기이나 개수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이 다양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실외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상기 물을 배수하기 위해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홀과 같이 크기가 클 필요도 없으며, 개수도 많이 있을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편, 배수구(150)의 하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저수조(154)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저수조(154)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배수되는 물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우 배수구(150) 또는 배수홀(152)을 통해 물이 모두 배수되지 않고 외곽 창틀(100)의 제3 하단부(130)를 향해 역류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저수조(154)는 이러한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저수조(154)는 배수구(150) 하측에 해당되는 외곽 창틀(100) 내부 중공부에 마련될 수 있으면, 그 형상이나 크기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기밀유지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밀유지구(400)는,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를 통해 공기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이동 창틀(300) 중 방충망 창틀(200)에 인접한 이동 창틀(310)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122)과 격벽(140)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기밀유지구(400)는 공기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면, 그 구성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만, 공기 및 물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기밀유지구(400)는 날개부(410), 수막부(420), 개공부(422), 배출공(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410)는 다수의 얇은 플레이트가 방충망 창틀(200)에 인접한 이동 창틀(310)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122)과 격벽(140)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된 구성요소이다.
또한, 수막부(420)는 다수의 날개부(410) 중 어느 한 쌍의 날개부가 연결되어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 구성요소이며, 이와 같은 수막부(420)를 포함하여 기밀유지구(400)가 구성되기 때문에 기밀유지구(400)를 통해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대부분의 물을 차단시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공부(422)는 수막부(420) 하측에 마련되어 수막부 하측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물론 수막부(420)를 통해 대부분의 물을 차단시킬 수 있지만, 물을 완전히 차단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어쩔 수 없이 유입된 물은 배출하여야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개공부(422)가 마련된다.
이러한 개공부(422)는 수막부(420)를 기준으로 레일(122)과 격벽(140) 각각에 인접하여 양측 모두 마련될 수 있으나, 양측 모두 마련되는 경우 기밀성이 저하됨은 물론 오히려 수밀성 또한 저하될 수 있으므로, 격벽(140)에 인접한 일측에만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격벽(140)에 인접한 일측이 공기 및 물이 유입과 관련된 이동 창틀(300)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공(430)은 수막부(420)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다수의 날개부(410) 중 어느 한 쌍의 사이에 마련되어 다수의 날개부(410)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배출공(430)은 전술한 저수조(154)와 연통될 수 있으나, 별도의 배수라인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밀유지구(400)는 격벽(140)과 레일(122) 사이 뿐만 아니라 또 다른 격벽과 레일(132)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의 하측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에 포함된 기밀유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와 유사한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를 가정하여(be supposed)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설명하여 본다.
이때,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는,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가 갖는 작용 및 효과와 차이나는 점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서의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에 부가된 기술적 특징을 모두 배제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의 경우에는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 어디에도 단차져 있지 않으며, 외곽 창틀(100)과 격벽(140) 사이에 배수구(150)도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에 따른 배수구(150), 저수조(154)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F로 구분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물이 배수되는데, 외곽 창틀(100)의 하단부 어디에도 단차져 있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격벽(140)을 넘어서 배수되거나 또는 외곽 창틀(100)의 제1 하단부(110)에 일정 정도 물이 고이면서 배수되는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실외로 원활히 배수되지 않아 수밀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의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커다란 다수의 홀(미도시)을 외곽 창틀(100)의 다른 부분에 마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다란 다수의 홀(미도시)은 수밀성과 단열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므로 방충망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외관상 미려감을 저하시킨다는 추가적인 단점을 발생시킨다.
뿐만 아니라,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의 경우에는, 이러한 추가적인 단점을 해결하고자 실링 부재를 격벽(140)과 레일(122, 132) 사이에 마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실링 부재는 역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배수를 방해함은 물론 외관상 미려감을 저하시킨다는 새로운 단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설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밀유지구(400’)를 포함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이러한 기밀유지구(400’)의 경우에는 역으로 기밀성이나 수밀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또 다른 새로운 단점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한다면, 물을 원활히 배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한 구역에서는 기밀성과 수밀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가 갖는 여러 단점은 발생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곽 창틀(100)이 실외를 향하면서 순차적으로 단차져 있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으며, 배수구(150)를 이용한다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더욱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서 화살표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다. 즉, 기밀유지구(400)보다 저수조(154)의 위치가 낮게 배치되어 있으며, 저수조(154)보다 방충망 창틀(200)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어, 배수구(150)를 통해 배수되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저수조(154)와 방충망 창틀(200)을 순차적으로 거쳐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로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적어,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와는 달리 수밀성이 매우 좋다고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이중 창호의 일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으므로,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와는 달리 커다란 다수의 홀(미도시)을 외곽 창틀(100)의 다른 부분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나아가 별도의 실링 부재를 격벽(140)과 레일(122, 132) 사이에 마련할 필요도 없다.
설사, 수밀성이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격벽(140)과 레일(122, 132) 사이에 기밀유지구(400)를 포함한다면, 구조적으로 수밀성과 기밀성을 높이면서도 유입된 물을 원활히 배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도 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가상의 발코니 이중 창호가 갖는 추가적인 단점 및 새로운 단점은 발생되지 않으며, 오히려 외곽 창틀(100)에 필요없는 구성요소가 없기 때문에 외관상의 미려감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외곽 창틀
110 :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
112 : 방충망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
120 :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
122 : 제1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
130 : 외곽 창틀의 제3 하단부
132 : 제2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
140 : 격벽
150 : 배수구
152 : 배수홀
154 : 저수조
200 : 방충망 창틀
300 : 이동 창틀
310 : 제1 이동 창틀
320 : 제2 이동 창틀
400 : 기밀유지구
410 : 날개부
420 : 수막부
422: 개공부
430 : 배출공

Claims (9)

  1. 벽체에 지지되는 외곽 창틀에 방충망 창틀 및 한 쌍의 이동 창틀이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된 발코니 이중 창호에 있어서,
    상기 외곽 창틀의 하단부는, 상기 이동 창틀이 장착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의 높이보다 상기 방충망 창틀이 장착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의 높이가 낮도록 단차져 있고(be steped),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와 상기 격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모서리를 따라, 상기 이동 창틀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단부의 말단까지,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실외와 연통되는 배수홀이 마련되고,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를 통해 공기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이동 창틀 중 상기 방충망 창틀에 인접한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과 상기 격벽 사이에 기밀유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유지구는,
    상기 방충망 창틀에 인접한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과 상기 격벽 사이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날개부와,
    상기 다수의 날개부 중 어느 한 쌍의 날개부가 연결되어 상측을 덮는 수막부와,
    상기 격벽에 인접하여 상기 수막부 하측에 마련되어 수막부 하측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는 개공부 및
    상기 수막부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상기 다수의 날개부 중 어느 한 쌍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날개부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발코니 이중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와 인접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의 높이가 상기 방충망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추가적으로 단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이중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에, 한 쌍의 상기 이동 창틀 중 상기 방충망 창틀에 인접한 이동 창틀의 구름바퀴가 얹혀지는 레일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이중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실외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이중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창틀의 제2 하단부는 상기 배수구를 향할수록 낮은 높이를 갖도록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이중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다수 개가 마련되되, 상기 외곽 창틀의 제1 하단부를 거쳐 실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이중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하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저수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이중 창호.
  8. 삭제
  9. 삭제
KR2020120003464U 2012-04-27 2012-04-27 발코니 이중 창호 KR200485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64U KR200485931Y1 (ko) 2012-04-27 2012-04-27 발코니 이중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64U KR200485931Y1 (ko) 2012-04-27 2012-04-27 발코니 이중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06U KR20130006406U (ko) 2013-11-06
KR200485931Y1 true KR200485931Y1 (ko) 2018-03-13

Family

ID=5243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464U KR200485931Y1 (ko) 2012-04-27 2012-04-27 발코니 이중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3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04Y1 (ko) * 2000-01-10 2000-06-15 주부돈 방풍용 창문틀 구조
KR200224349Y1 (ko) * 2000-11-27 2001-05-15 주식회사엘지화학 샌드위치파넬용 미세기창의 하부창틀
KR200263706Y1 (ko) * 2001-10-23 2002-02-08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5510Y2 (ko) * 1977-07-05 1982-11-30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04Y1 (ko) * 2000-01-10 2000-06-15 주부돈 방풍용 창문틀 구조
KR200224349Y1 (ko) * 2000-11-27 2001-05-15 주식회사엘지화학 샌드위치파넬용 미세기창의 하부창틀
KR200263706Y1 (ko) * 2001-10-23 2002-02-08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06U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183B2 (en) Anti-sputtering sill system and method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334229B1 (ko) 커튼월 유닛
US8898973B2 (en) Building cavity ventilation system
PL231795B1 (pl) Okno dachowe, zwłaszcza dla dachów płaskich
KR200482868Y1 (ko) 분할식 이중 창호
US11846134B2 (en) Modular sill
JP4594817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窓部換気構造
KR101198280B1 (ko)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KR20070083017A (ko) 복합 이중창호
JP2007113194A (ja) 開口部装置
KR200485931Y1 (ko) 발코니 이중 창호
CN204827066U (zh) 带防盗防蚊蝇金刚网的平开门窗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WO2013081337A1 (en) Sliding system window having drain hole cap for high-rise building
JPS609622B2 (ja) 建築物の壁面構造
JP4511391B2 (ja) アルミ製建具防風雨装置
JP4686376B2 (ja) 建具
CN209724094U (zh) 一种固定门槛人防门结构
CN206158462U (zh) 一种推拉窗及其窗框
US8256162B2 (en) Double hung window with improved water management system
JP2014114660A (ja) 建物の排水構造及び建物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KR200471344Y1 (ko)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